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between the Insurance Industry and the Climate Change

        Byung-Jin Yim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3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기후변화와 보험업 지수 시계열 주간 자료에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기후변화 지수와 보험업 지수 2016년 01월 09일 부터 2023년 01월 13일까지 367개의 주간 시계열 자료이다. KOSPI 200 기후변화와 보험업 지 수 시계열 주간 자료 간의 인과관계와 상호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기후변화와 보험업 지수 시 계열 주간 자료간 영향력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후변화와 보험업 지수 시계열 주간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분해 결과 기후변화 지수 분산분해에서 기후변화 지수의 변화는 기후변화 지수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99% 이상을 설명하고 있고, 보험업 지수의 설명력은 1% 미만을 설명하고 있고 보험업 지수 분산분해에서 보험업 지수의 변화는 보험업 지수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66% 이 상을 설명하고 있고, 기후변화 지수의 설명력은 33% 이상을 설명하고 있다. 둘째, 기후변화 지수의 변화는 5% 유의수준에서 보험업 지수의 변화에 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와 보험업 지수 시계열 주간 자료의 상관관계는 –0.330559로 음 (-)의 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후변화에 대비한 보험상품의 개발도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 지수와 보험업 지수의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기후변화 지수와 보험업 지수에 대한 자료가 한국거래소 지수 외에 다양하고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이다. 향후 기후변화 지수 자료와 보험업 지수 자료가 다양하게 제 공된다면 보다 세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between the insurance industry index and the climate Change index in Kore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We examine the interdependence of the insurance industry index and the climate change index in Korea for 367 weekly data from January 09, 2016 to January 16, 2023. We emplo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of the climate change index in Korea for 367 weekly data. The finding that many macro time series may contain a unit root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Results :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of all, Raw time series data of the insurance industry index and the climate change index in Korea has unit roots. Secondly, the first differential data of the insurance industry index and the climate change index in Korea has no unit roots.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climate change index has a Granger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in the insurance industry index at the 5% significance level.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 and insurance industry index time series weekly data is -0.330559, showing a negative (-) relationship.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s that the climate change granger causes the insurance industry. This study differs in that it uses tthe climate change and the climate change index in Korea. it has limitations in that the study period is short and the study sample is limited.

      • 談現代漢語中變化動詞的分類問題

        박중규 중국인문학회 2004 中國人文科學 Vol.0 No.28

        본문은 비자주동사중의 변화동사의 분류상황을 논한 것으로, 상태변화의 회복성을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서 변화동사의 분류계통을 아래와 같이 나누었다. 속성동사, 가회복성상태변화동사, 비자주동사, 가회복성변화동사, 가회복성동태변화동사, 변화동사, 불가회복성변화동사, 순간변화동사, 비순간변화동사 이편의 문장은 변화동사중에서 각류사의 구별성 어의특징을 지시하여 나타내고, 아물러 몇 개의 분류사에 시량 성분을 더한 뒤 나오는 어법특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회복성변화동사에 시량 성분을 더한 후에 동작 혹은 상태지속의 시간을 나타내었지만, 불가회복성변화동사에 시량 성분을 더한 후에는 동작의 완성이나 경력의 시간을 나타내는 특징을 찾아냈다. 가회복성변화동사와 불가회복성변화동사는 또한 내부 특징이 다름으로 인하여 더 세분하여 가회복성 상태 변화와 가회복성 동태변화, 순간변화와 비순간 변화로 모두 네가지의 분류로 나누어 특징을 논하였다.

      • 메콩유역의 기후변화 대응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물관리 정책 연구

        강상인 ( Kang Sang In ),제갈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사업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는 녹색경제협동연구과제의 세부과제로 진행되며, 2014년부터 진행된 KEI 녹색경제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의 모색을 위해 진행되었다. 2017년의 첫 번째 연구주제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2의 핵심주제인 식량안보로 농산업 분야의 발전계획과 농촌정책 등을 통해 메콩유역의 식량안보 영향인자에 대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주제는 메콩유역 수자원 관리로 관련 사례와 정책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표의 설정은 본 연구의 주제 선정과정에서 KEI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3국 사회과학원이 메콩지역의 기후변화로 인한 가용 수자원 공급량 변동 및 농산업 발전과 산업화, 도시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수자원 수요 증가에 대응해 지속가능한 용수관리정책을 수립 시행하는 일이 해당 지역은 물론 역외 식량 수입 국가의 식량안보에 중요한 녹색경제 전환정책인자가 될 것이란 점에 동의한 내용이 반영된 것이다. 본 연구 2장의 1절에서는 메콩 3국의 기후변화 대응 가능성을 전망하는 데 필요한 메콩3국의 거시경제 현황과 식량안보 및 농업용수 관리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농지 및 농촌정책 동향 및 농산업 발전계획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1절의 내용인 거시경제여건의 경우 메콩 3국은 기존의 성장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기는 하나, 세계적인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예상과는 다르게 낮은 수준의 경제성장을 달성할 가능성이 있으며, 라오스와 캄보디아는 금융 부문 등의 대외의존도가 주변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수출입에 있어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국가로 분류되어, 중국의 해외수출 분야 구조변경이 이 지역의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2절에서는 메콩 3국의 농지 및 농촌정책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각국은 국가주도 방식으로 농산업 관리를 위한 농업 관련 주요 정책들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절에서는 3국의 주요 농산업 발전계획을 살펴보았다. 라오스는 농업의 현대화와 관련정책의 마련, 생산기술의 혁신 등을 추진하고 있고, 캄보디아는 메콩강과 톤레샵호수를 중심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농업의 성장과 농산업 발전을 추구하며, 식량안보를 위해 농업개발의 주요 목표치를 설정하고 지원정책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베트남은 농업의 현대화에 집중하며, 농업발전을 위한 인력양성과 자본유치를 계획하고 있는 상황으로 3국은 모두 국가발전에 필요한 농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농산업 분야의 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3장에서는 메콩유역의 기후환경 관련 물 및 식량안보 영향인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1절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지역별 전망을 통해 연구지역의 식량안보 및 기후변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는 기후변화가 미래 식량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지구 기온이 4℃ 혹은 20세기 후반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식량 수요 증가 문제와 맞물려 전 세계 및 지역의 식량안보가 막대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대부분의 건조 아열대 지역에서 재생 가능한 지표수와 지하수 자원이 고갈되어 지역간 수자원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물 수지 전망과 관련해서는 UN 요하네스버그 정상회담, UN 세계수자원개발보고서, 세계기상기구(WMO) 등의 다양한 물 수지 관련전망이 있는데, 이들 전망의 공통점은 현재 추세로 진행될 경우 전 세계는 심각한 물 부족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식량생산에 필요한 관개용 수자원 등의 부족이 야기돼 식량안보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점이었다. 2절에서는 메콩유역에서의 농업용수 수요 변화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면서, 메콩유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경작지의 관개수와 소규모 천수답을 구분해서 수요 변화를 분석했다. 메콩 3국의 수자원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미래에 요구되는 농업용수 자원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관개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해당 지역에서 산업 분야 및 도시의 물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새로운 수자원 개발을 위해 선택이 가능한 옵션이 제한적이며, 보호지역 지정 등으로 인해 개발에 난항이 예상된다. 천수답의 경우 우기에는 충분한 농업용수가 공급되지만, 건기에는 관개시스템에 의해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지역이 매우 소규모인데, 이것은 물 공급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관개용수가 공급되는 방식의 유연성이 부족하며, 건기의 노동비용이 높아져서 농가의 수익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1절과 2절의 내용을 바탕으로 3절에서는 메콩유역의 기후적응력 강화를 위한 농산업 선진화 방안으로 상대적으로 기후변화에 민감한 농업분야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고지대 소농의 작부체계 정비, 파종시기의 조절 방안에 대한 연구진행,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술 개발, 기반시설 관리, 인력양성 및 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 ICT 및 바이오기술 등의 융합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실천, 관련 재원 마련 등을 제시했다. 4장에서는 지속가능한 농업용수 관리 및 영농기술 동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1절에서는 광역 농업용수 관리 자동화 통합관리 사례로 우리나라 농어촌공사 여주이천지사의 농업용수관리 자동화사업(TM/TC) 사업을 제시하였으며, 2절에서는 메콩유역 소농의 수자원 관리 사례로 캄보디아의 Svay Rieng 마을, 고원 산지 논농인 라오스의 Luang Prabang 마을, 라오스의 천수답 농업을 살펴보았다. 메콩유역 소농들의 경우 지하수를 활용한 관개가 수자원 활용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업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관점에서도 지하수 자원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나, 현재까지는 정부 차원의 지하수 관리계획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3절에서는 식량안보 관점에서 농업의 기계화 사례연구를 수행한 라오스 농업연구센터(ARC: Agriculture Research Center)의 '라오스 쌀 생산을 위한 농업 기계화 혁신'에 대한 연구사례를 분석했다. 이 연구사례에서 이앙기, 파종기의 사용은 수작업 모내기에 비해 노동력이 절감되지만, 평균 수확량이 약 8~10%정도 감소하며, 수확에 콤바인을 사용할 경우 노동력과 수확비용은 적게 들지만, 수확된 쌀을 별도로 건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콤바인 도급 서비스의 비용이 총 생산량의 15~20%에 해당하여 비용적인 이익이 크지 않다는 것을 파악했다. 이 사례를 통해 농업의 기계화가 대규모 농지에는 적합하나 소규모 농지에서는 높은 인건비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을 파악했다. 결론인 5장에서는 앞선 2, 3, 4장의 주요내용을 정리하고, 앞에서 도출된 메콩유역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물관리 및 식량안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 외에 차년도의 연구 주제는 메콩유역의 에너지와 물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될 예정임을 언급했다. This study is conducted as the detailed subtasks of the broader green economy collaborative research task,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measure for the expansion of green economy.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by the Korea Economic Institute (KEI) since 2014. The first study subject in 2017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food security in the Mekong basin through rural policies and development plans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the core subject of the United Nations'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2, which is, food security. The second study subject is to review case studies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he Mekong basin and policy trends. The setup of the study objectives reflects the agenda, which is agreed upon by the KEI and Social Science Academies of three nations (Vietnam, Laos, and Cambodia) during the subject selection process of this study. It is concurred that establishing and executing policies of the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in response to variati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 supply due to climate change and increase in water resource demand required dur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es in the Mekong region will become the policy factors in the conversion to the green economy. This consideration is deemed important to the food security of not only the Mekong region but also food import nations out of the area. Chapter 2 of this study discusses the farmland of three nations of Mekong, the trend of agricultural policies, and the development plan of agricultural industry to forecast the possibility of response to climate changes in the three nations of Mekong. Through this chapter, details about the macroeconomic status, food security, an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farmlands in three nations of Mekong, the trend of agricultural policies, and the major development policies of agricultural industry are reviewed. This study then identifies that each of the nations has established major policies related to agriculture for the management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led by the nations. Chapter 3 conducts the analysis of impact factors of food security and climate environment-related water in the Mekong basin. Section 1 in Chapter 3 discusses the food security of study area an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through the regional prospect propos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ection 2 discusses the prospect of changes in demand of agricultural water in the Mekong basin. It further analyzes changes in the demand by dividing the Mekong basin into irrigated water in the large-sized farmland and small-sized rain-fed paddy field. Section 3 proposes the strategies for advancement based on Sections 1 and 2 as follows to strengthen climate adaptability in the Mekong basin: arrangement of the cropping system for small farmers in the high land, study conducted for measures to control a sowing period, technical development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providing policy and measure to progress human resource promotion and education continuously, achievement of practice of the smart agriculture utilizing fusion technology,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bio-technology, and providing related funding to adapt to climat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field, which is sensitive to the climate change relatively. Chapter 4 conductes analyses on the sustainabl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nd the current trend of agricultural technology. Section 1 of Chapter 4 presentes th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utomation project (TM/TC) in the Yeoju & Icheon branch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s a case study of integrated automation management of wide-area agricultural water. Section 2 discusses case studies on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small farms in the Mekong basin as follows: Svay Rieng town in Cambodia, Luang Prabang town in Laos, which is a highland mountain paddy field, and a rain-fed paddy field in Laos. In addition, Section 3 analyzes a case study of 'Agricultural Machine Innovation for Rice Production in Laos,' conducted by the Agriculture Research Center (ARC) in Laos. This agricultural machine case study i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food security.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s, in which the main contents of Chapters 2, 3, and 4 are summarized. The chapter also refers to the future study about energy and water in the Mekong basin in addition to the presentation of the aforementioned measures for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and food security in response to the climate change in the Mekong basin.

      • KCI등재

        변화관리에 대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노동조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based on the 8-step strategy model for change management proposed by J. P. Kotter, tried to check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about change management of the librarians at National Library of Korea. Also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understanding of each 8-step strategy model. To this end, the concept and process of change management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8 librarian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is study drews five results. First, the majority of librarians at National Library of Korea do not know about change management, and they do not have experience in using change management techniques. Second, the period required for the 8-step change management process is 5 years. Third, during the change management stage, librarian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tages 4 and 3 was high. Fourth,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librarians’ perceptions of change management by gender, education, major, and tasks. Fift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and service years of the librarian in the 3rd, 4th, and 7th stages of change management. Als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librarian at the 1st and 3rd stage of change management, and between librarians’ department and 1st stage of change management. The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not only raise awareness of change management but also suggest organizational responses to change at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level. 본 연구에서는 코터(J. P. Kotter)가 제시한 변화관리의 8단계 전략 모델에 의거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들의 변화관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확인하고, 나아가 8단계 전략 모델별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하여 변화관리의 개념과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의 절대다수는 변화관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부족하다. 둘째, 8단계 변화관리과정의 소요 기간은 5년이 적정하다. 셋째, 변화관리 단계 중에는 4단계와 3단계에 대한 사서들의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넷째, 사서의 성, 학력, 전공, 담당업무별 변화관리의 인식에는 차이가 없다. 다섯째, 사서의 연령과 근속연수는 변화관리의 3단계, 4단계, 7단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사서의 직급은 변화관리의 1단계, 3단계에서, 사서의 근무 부서와 변화관리의 1단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변화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는 물론 변화에 대한 개인 또는 조직 차원의 조직적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융합평가 지수에 따른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 변화탐지 정확도의 비교평가

        Wang Biao,최석근(Choi, Seok Geun),최재완(Choi, Jae Wan),양성철(Yang, Sung Chul),변영기(Byun, Young Gi),박경식(Park, Kyeong Sik)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2

        변화탐지 기법은 위성영상의 활용 및 국토 모니터링에 있어서 필수적인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변화탐지 기법을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용할 경우, 다시기 영상 간의 기하학적 차이 등에 의하여 변화탐지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위성영상의 변화탐지를 위하여 기존의 융합 영상 평가지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다시기 위성영상을 활용한 일반적인 변화탐지 기법과 교차융합영상을 이용한 변화탐지 결과를 비교하여, 다시기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합한 변화탐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융합영상 평가 지수인 ERGAS, UIQI, SAM를 무감독 변화탐지 기법에 적용하고 기존의 CVA를 이용한 변화탐지 기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영상융합 기법에 따른 고해상도 위성영상 변화탐지 정확도를 평가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무감독 변화탐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하학적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교차융합영상과 ERGAS 지수를 활용한 변화탐지 기법이 기존 기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변화지역 탐지 가능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ange detection technique is essential to various applications of Very High-Resolution(VHR) satellite imagery and land monitoring. However, change detection accuracy of VHR satellite imagery can be decreased due to various geometrical dissimilarity. In this paper, the existing fusion evaluation indexes were revised and applied to improve VHR imagery based change detection accuracy between multi-temporal images. In addition, appropriate change detection methodology of VHR images are proposed through comparison of general change detection algorithm with cross-sharpened image based change detection algorithm. For these purpose, ERGAS, UIQI and SAM, which were representative fusion evaluation index, were applied to unsupervised change detection, and then, these were compared with CVA based change detection result. Methodologies for minimizing the geometrical error of change detection algorithm are analyzed through evaluation of change detection accuracy corresponding to image fusion method,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that change detection accuracy based on ERGAS index by using cross-sharpened images is higher than these based on other estimation index by using general fused image.

      • CERES-Rice를 이용한 논벼의 필요수량 및 생산량 변화 분석

        이태석 ( Tae-seok Lee ),유승환 ( Seung-hwan Yoo ),이상현 ( Sang-hyun Lee ),최진용 ( Jin-yong Choi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1906~2005년 동안 전 지구적으로 기온이 약 0.74℃ 상승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1904~2000년까지 평균기온이 1.5℃ 상승하였다. 이러한 기온의 상승은 증발산량을 증가시켜 생산량 증가요인이 되는 한편, 생육기간의 단축, 임실율의 감소, 호흡량의 증가 등 생육환경의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벼의 경우 기온과 강수량, 일조시간 등의 기상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라 벼의 생육 역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작부시기 등이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벼의 필요수량 역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기후 요소들은 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산량 및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미래의 작부체계 및 농업용수 공급체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벼의 생육환경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필요수량 및 생산량의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벼의 생육환경변화를 작부시나리오로 설정하고, 필요수량과 생산량 변화를 작물생육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SRES A1B, A2, B1 시나리오에 대하여 2020s (2010-2039), 2050s (2040-2069), 2080s (2070-2099)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작물생육모형은 CERES-Rice를 이용하였으며, 벼 이앙재배의 표준영농법에 맞추어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환경, 작물생육환경의 변화가 벼 재배시의 관개요구량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변화추이를 전망하고, 미래 논벼 재배에 있어서 농업용수 관리계획 수립 및 영농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과 실천 분석: 초․중등 교육에 갖는 함의를 중심으로

        황세영,강경균 한국환경교육학회 2024 環境 敎育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교육에 있어 청소년의 주도적인 참여와 실천이 강조되는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을 분석하는 데 있다. 설문 조사지는 사회인구학적 배경, 청소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 및 실천에 대한 총 4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적인 표집을 통해 총 3,024명(초등학교 762명, 중학교 1,156명, 고등학교 1,106명)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조사 결과, 청소년들의 대다수가 기후변화를 실제 발생하는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나, 기후변화 문제를 자신의 문제라고 보는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지구 온난화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또한, 청소년들은 기후변화의 발생에 대한 불안과 분노를 상대적으로 크게 느끼고 있었다.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문제해결 행동보다는 편리함이 우선이라는 쪽에 약간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대한 실천 역량의 경우, 성찰ㆍ통찰 역량 > 의사소통 및 갈등해결 역량 > 정보활용 역량 > 공동체 역량 >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과 관련하여 국가(정부) 및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청소년들은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에너지 사용량 줄이기, 등하굣길에 대중교통 이용하기, 지역 환경개선 활동 등에 절반 이상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참여 기회의 부족과 무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실천과 참여 중심의 기후변화교육의 방향 설정에 있어 본 연구는, 1) 기후변화 문제의 개인적 의미 부여, 2) 부정적 감정의 존중과 건설적 희망, 3) 공동체 문제에 대한 다차원적인 탐구, 4) 개인 실천을 넘어 사회적 변화에 대한 믿음, 5) 무관심 이면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탐구와 청소년(개인별, 집단별)의 일상적 관심사에 대한 고려 등을 중요한 요소로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youths’ perceptions and actions related to climate change within the context of increased emphasis on youth-driven participation and action in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survey consists of forty eight items including youth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nd attitude and ac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was conducted with a national sample of 3,024 youths (762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56 middle school students, and 1,106 high school students). In result, the majority of youth perceived climate change as a real problem, but there was a relatively lower rate on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ffecting their lives, despite showing high awareness of global warm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addition, the youths showed high rate on climate anxiety and anger.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 climate change, the youths tended to prioritize convenience over pro-environmental behavior. As for action competencies, the youths showed the highest rate of reflection and insights, followed by communication and conflict-solving, information, community act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in order. In terms of climate action, the youths emphasized the role of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nd more than half participated in reducing single-use items, energy-saving,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nd community service while addressing the lack of opportunities and personal interest as the main barriers to particip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i) personal relevance, ii) respect for negative emotions and constructive hope, iii) community-based multi-faceted inquiries, iv) belief in social change beyond personal behavior change, and finally, inquiries into the formative influences on youths’ lack of interest and more attention to their everyday interests, as the necessary elements for designing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youth participation and action.

      • KCI등재

        기후변화와 평화

        조정원 한국평화종교학회 2017 평화와 종교 Vol.0 No.4

        기후변화는 인류의 생활과 산업 생산에 필요한 물과 에너지, 토지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국내와 국제 사회에 새로운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다르푸르 분쟁과 현재까지 진 행되고 있는 시리아 내전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그리고 히말라야 산맥 빙하 용해로 인해 공급 되는 담수에 대한 인도 정부와 파키스탄 정부의 갈등에서 보듯이 기후변화로 발생되는 공공재 사용에 대한 국가 간의 갈등 발생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제 사회는 이러한 문제를 예방 하기 위해 2015년 12월 UNFCCC에서의 파리협정 체결 이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들을 논의하고 있다. 향후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은 단기적으로는 기 후변화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유럽연합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하는 선진국 그룹과 개발도상국들의 정책 입안자들과 기업들, 전문가들 간의 협력과 각국의 정부 차원에서의 대응 을 통해서 진행될 것이다. 또한 분야별 정책 사례에 대한 공유, 회원국들과 다자개발은행들, 각 국의 도시, 기업, 금융 기관, 시민 사회 간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협력이 진행될 것이 다. 특히 각국 도시의 지방정부와 기업, 시민 사회의 협력이 어떻게 진행될 지에 따라서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선진국들과 유럽연합, 다자개발 은행들 간에 개발도상국들이나 빈곤층이 많은 저개발국가들에 대한 기술과 자금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국가와 지역 간의 이해 관계를 조정할 법적 구속력이 있는 레짐의 부재는 국제 사회와 각국 정부 간의 협력과 대응을 통해 현재보다 구속 력이 있는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내놓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Climate change affected utilization of energy, water and land, made new conflict in nations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The civil war in Darfur and Syria proved it. Conflict between India and Pakistan was originated from the utilize of fresh water due to the dissolution of glacier in Himalaya. It verified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conflict in the process of public goods due to the climate change. International communities discussed various schemes of cooperation to respond climate change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aris Climate Accord agreement in December, 2015. In the future,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cooperation will consist collaboration between policy makers of EU, advanc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businesses, experts and responses of governments. Also, countries,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 cities, companies, financial institutes, civil society will keep up various cooperation and sharing of policy. Especially, if collaboration between municipal governments of cities,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succeed, climate change response in the city level will be made positive changes. However, it will be difficult to make concrete consensus of technical, financial aids to developing countries, less-developed nations between EU, advanced countries and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 The absence of legally binding regimes will be an obstacle of complementing more effective response on climate change.

      • KCI등재

        유엔기후변화협약 내 성평등의 제도화와 실천전략의 변화

        김효정(Hyojeong Kim)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24 여성학논집 Vol.41 No.1

        본 연구는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당사국 총회 결정문, 보고서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기후변화 체제가 초기 어떠한 몰성성을 나타내었고, 이후 시민사회와의 젠더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어떻게 성평등이 제도화되고 실천전략이 변화되어왔는지 역사적 맥락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초기 몰성성을 나타내었지만, 이후 젠더 거버넌스와 성주류화 실천으로써 젠더 프로그램 및 젠더액션플랜 등의 제정과 이행을 통해 성평등을 제도화해왔다. 그러나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성평등 실천은 대개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고 성별 균형을 고려하는 문제로 다루어지면서 기후변화로 인해 심화되고 있는 성차별 문제를 구조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협약, 국제노동기구, 캐나다 정부 등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교차성이 고려된 기후 성평등 제도화와 실천전략을 바탕으로 유엔기후변화협약 내 새로운 성평등의 제도화와 실천전략으로써 교차성의 의미와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교차성은 주요 사회적 범주들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불평등한 권력 구조를 밝히는 동시에 상호연결된 불평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후 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젠더분석 도구이자 실천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문제와 교차하는 성평등의 실현을 위해서 제도의 안과 밖을 넘나드는 새로운 협력과 동맹의 방향이자 방안으로써 단일한 여성 문제를 넘어서 인종, 계급, 연령, 지역 등 여성들 간의 차이를 다루는 동시에 성소수자, 남성 모두를 포괄하는 젠더 관점으로써 교차성을 유엔기후변화협약 내 새로운 성평등 제도화와 실천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차성의 성평등 실천전략이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국제적 수준을 넘어서 국내 수준에서 실질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어떻게 지역의 젠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정치적 동원을 이룰 것인지에 대한 더 많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UNFCCC’s decisions, reports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and existing literature that is related to gender equality to provide a historical context for how the global climate change regime was initially dominant, how gender equality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how action strategies of gender equality have been transformed in the UNFCCC through gender governance with civil society. Despite its initial intransigenc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UNFCCC has institutionalized gender equality through gender governance and gender mainstreaming practices, including the gender programs and gender action plans. However, the process of gender equality implementation in the UNFCCC is often framed as a matter of increasing women's representation and considering gender balance, which fails to address the structural gender discrimination tha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possibilities of intersectionality as a new institutionaliza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UNFCCC.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tersectionality cases of climate gender equality through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and the Canadian government. Intersectionality can be an effective gender analysis tool and action strategy for realizing climate gender equality, as it can reveal unequal power structures arising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major social categories and analyze how interconnected inequalities operate. Therefore, this study seeks intersectionality as a new gender equality action strategy that goes beyond women's issues to encompass women’s differences and gender diversity as a way forward for new cooperation and alliances within and beyond institutions to realize gender equality that intersects with climate change issues. However, more discussion and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build national gender governance and political mobilization for intersectionality to work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beyond the global level of the UNFCCC.

      • KCI등재

        동기변화를 통한 부부갈등의 회복 - 성경적 상담의 관점으로

        최성미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the motive of the hear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marital conflict resolution,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to study the recovery process of marital conflict by changing motivation through the gospel of Jesus Christ.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of the causes and solution of marital conflict, and understands this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After explaining the psychological concept of motivational theory, it examines the issue of heart motivation in biblical counseling. Finally, it discusse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change of heart motivation and the recovery result through the dynamics model of biblical change. The real change of a person comes from a change of heart, and a complete and lasting change is possible only if the motivation of the heart is changed. The approach of biblical counseling on conflict resolution focuses on changing the motivation of the heart, rather than the changing in behavior, thinking, and emotions. Human motivation is not an area that is influenced by psychological needs but an area determined by faith and is a matter of worship. Therefore, the goal of biblical change is to abandon sinful motives, the idol of the heart, and to make God control his thoughts and motives. Biblical counseling for the change of marital relationship is a biblical change ministry that recovers the relationship with God by changing the motive that governs each person's heart. Married couples who have recovered to a redemptive relationship with changed motives may react differently to conflict. When the relationship with God is recovered, marital relationship is recovered, and the conflict becomes a channel of gratitude and blessing. 이 논문의 목적은 부부갈등 해결에서 중요한 요소인 동기의 탐색과 해석을 성경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통해서 마음의 동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부부갈등이 회복되는 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일반적인 부부갈등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갈등의 원인과 대처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어서 동기이론에 대한 심리학적 개념을 설명한 후 성경적 상담에서 말하는 마음의 동기의 문제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성경적 변화의 역동성 모델을 통해 마음의 동기 변화와 부부갈등 해결의 유기적 연관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사람의 진정한 변화는 마음의 변화에서부터 오는 것이며, 완전하고 지속적인 변화는 마음의 동기가 변화되어야 가능하다. 갈등 해결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접근은 행동과 사고와 감정의 변화보다 마음의 깊은 동기가 변화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상담에서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고 변화를 촉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간의 동기는 심리적 욕구에 의해서 좌우되는 영역이 아니라 신앙적인 믿음에 의해 결정되는 영역이며, 이는 곧 예배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경적 변화의 목표는 마음의 우상인 죄 된 동기를 버리고 하나님이 그의 생각과 동기를 다스리게 하는 것이다. 부부관계의 변화를 위한 성경적 상담은 각 사람의 마음을 지배하고 있는 동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도록 돕는 성경적 변화(聖化)의 사역이다. 변화된 동기를 가지고 구속적인 관계로 회복된 부부는 갈등에 대해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면 부부의 관계가 회복되고, 갈등은 감사와 축복의 통로로 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