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음알이의 분석적 연구

        정성욱(Jeong, Seong-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4 No.-

        중국의 초기선은 달마의 벽관(壁觀)으로부터 비롯되어 전등을 이어왔다. 그러나 벽관(壁觀)이 중국적 토양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알음알이가 부가되어 참선에 많은 장애가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알음알이가 벽관(壁觀)이 될 수 없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고 분석하여, 알음알이를 벽관(壁觀)의 상대적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 알음알이의 시원을 도신의 일물(一物)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알음알이는 벽관(壁觀)에서 고성제(苦聖諦)가 분리되면서 발생하였다고 추정된다. 왜냐하면 자신의 고통이 아닌 문제를 연구할 때 그 문제는 추상화되고 자신과 관계없는 알음알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신의 알음알이를 이어받아 홍인은 진심(眞心)이라고 불렀고 혜능은 견성(見性)이라고 하였다. 그 방식은 선지식이 먼저 알음알이를 주어서 생각할 수 있는 기연을 만들고 다음에는 알음알이를 부정하는 과정을 겪도록 하였다. 이에 수행자는 선지식이 주는 알음알이에 혹했다가 다시 알음알이를 부정하는 과정으로 공부하지만 늘 혼란을 느끼게 된 것이다. 또 이러한 알음알이의 영향으로 선가에서는 바르게 아는 것보다 체험주의가 확산되었고 개인적 수행주의가 만연하여 왔다. 본고는 이러한 면의 원인이 알음알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알음알이에 대하여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벽관(壁觀)을 바르게 성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에서 작성되었다. The Early Stage of Zen[初期禪] was derived from Dharma(達磨)’s Byeokgwan(壁觀) and have been followed the light[傳燈]. But the Knowing[知解] was added to Byeokgwan(壁觀) in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in Chinese land, and then it became an obstacle to the study of Zen. Accordingly, in this thesis, I analyzed the fact that the Knowing[知解] is the reason that someone cannot become Byeokgwan(壁觀). And I could find the origin of the Knowing[知解] at the One-thing[一物] of Dosin(道信). It was presumed that such Knowing occurred at the time when Goseongje(苦聖諦) was separated from Byeokgwan (壁觀). Hence the master gave his disciple the Knowing first to make him think and he made his disciple undergo the process to deny the Knowing next time. They inherited Dosin(道信)’s Knowing, which Hongin(弘忍) named Jinsim(眞心) and Hyeneung(慧能) Gyenseong(見性). Therefore, the disciple always felt confusion because he was attracted to the Knowing that the master had given him and he studied the course of abandoning it in another moment.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Knowing, empiricism rather than a correct understanding of Zen spread, and it has been pervasive in individual practicism[修行主義]. This paper has the viewpoint that the cause of such a problem was deriv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Knowing, and a detailed study of the Knowing will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ccomplishment of Byeokgwan(壁觀).

      • KCI등재

        벽관에 대한 분석적 연구

        정성욱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2 No.-

        Although Dharma‘s Byeokgwan(壁觀) is an important part of Northern Buddhism and Zen Buddhism, there was not much in-depth consideration of it due to the influence of Bulipmunja(不立文字). However, for Chinese Zen, it is possible to analyze personalities only by putting precedence on analyzing Dharma‘s Byeokgwan(壁觀), so I mainly analyzed the conversations and writings of all the old Zen mentors[祖師] starting from Dharma(達磨). Among them, I researched the Fourth Mentor Dosin(道信) who caused the most drastic changes in the trends of Initial Zen(初期禪). Then I compared and analyzed the period before and after Dosin's times, then classified them to the Passive Byeokgwan(受動的壁觀), the Internal Byeokgwan(內在的壁觀) and the Active Byeokgwan(能動的壁觀). Dharma(達磨), Hyega(慧可) and Seungchan(僧瓚) can belong to the Passive Byeokgwan(受動的壁觀), Dosin and Hongin(弘忍) can belong to the Internal Byeokgwan(內在的壁觀), and Hyeneung(慧能) can belong to the Active Byeokgwan(能動的壁觀). I think that the cause of Byeokgwan(壁觀)’s ideological change started from Dosin(道信)'s countermeasure against Byeokgwan(壁觀)'s adaption into Chinese society. Dosin internalized Byeokgwan(壁觀) and claimed the practice as Ilhaeng Samme(一行三昧) and Suilbulri(守一不移). Hongin drew a veil of Yeorae Chungjeongsim(如來淸淨心) over Byeokgwan(壁觀) and insisted the practice as his own real mind[修本眞心]. But Hyeneung(慧能) shed the temporary solution and built Gyedan(戒壇) by delivering the teachings of Musang-Simji-Gye(無相心地戒), insisted that Munyeom(無念), Musang(無相), Muju(無住), Yeorae-Cheongjeongsim(如來淸淨心), Bulseong(佛性) to be the theories behind the Diamond Sutra[金剛般若波羅蜜], and then he began to emphasize Byeokgwan(壁觀) positively. Byeokgwan(壁觀), which had no room to be considered before, was added with Areumari[Knowing] through Hyeneung(慧能)‘s teachings and was transformed to Active Byeokgwan(能動的壁觀). Then this became the Hwadu(話頭) of today. 달마의 벽관은 북방불교와 선불교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지만 불립문자의 영향으로 깊이 있게 고찰된 부분이 적다. 그러나 중국선은 벽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그 성격분석이 가능하므로 달마를 비롯한 초기선의 제조사들의 대화와 저술을 중심으로 벽관을 분석해 보았다. 이 가운데 변화가 가장 큰 도신의 전후를 비교분석하여 수동적 벽관과 내재적 벽관, 그리고 능동적 벽관으로 분류하였다. 달마와 혜가, 그리고 승찬은 수동적 벽관에 포함되고 도신과 홍인은 내재적 벽관, 혜능은 능동적 벽관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렇게 벽관이 변화한 원인은 벽관의 중국사회 적응에 대한 도신의 대응책에서 비롯된다고 하겠다. 도신은 벽관을 내재화시키고 一行三昧나 守一不移라는 수행을 주장하였고 홍인은 벽관을 如來密印이라는 베일에 가리고 修本眞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혜능은 임시적 방책을 벗고 無常心地戒라는 법문으로 계단을 삼고 無念과 無想, 無住와 如來淸淨心이나 佛性 등을 金剛般若波羅密의 이치라고 주장하면서 적극적으로 벽관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어떤 여지도 없던 벽관은 혜능의 법문으로 알음알이를 부가시키면서 능동적 벽관으로 변신하게 되었다. 이것이 오늘날 화두가 되었다.

      • KCI등재

        `벽성(闢聲)`계(系) 전주(轉注)에서 본 상고한어(上古漢語)와 한국고(韓國固)유어(有語)의 대응(對應)

        오세준 ( Oh Sejun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79 No.-

        본 논문에서는 轉注 중에서 `闢聲`系 자 漢字群을 한자의 上古音(AC)과 한국고유어의 同源的 대응법으로 재해석해보았다. 林尹(1971: 151), 鄭張尙芳(2013: 3) 등의 轉注에 대한 기본적 학설, 즉 “語根이 같고 의미가 같으나 형체가 다른 문자끼리의 상호 해석”(林尹 1971: 151)에 의거해 이 조건에 부합하는 `闢聲`系 轉注만을 토론 대상으로 삼았다. 필자의 최근 수년간(2003-2015)의 연구에 의하면, 상고시기에는 중고시기의 `漢-韓차용` 관계를 뛰어넘는 한자의 상고음과 한국(또는 알타이제어) 고유어(기초 어휘나 動詞類어)가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현상이 있으며, 이들을 통해 “漢-韓(알타이) 準同源語” 재구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토론한 결과를 약술해 보면 아래와 같다. 우선, `闢聲`系내에는 총 세 종류의 전주자군이 한국 고유어들과 음의 양 방면에서 대응하고 있다. 그 중 한 예를 들면.. `壁[*peeg](AC):?[*pheg](AC)` - [pj□□Λ](벼□)(AK-崖), [pj□□o](벼로)(MK-崖), [pΛ□Λm]( □□)(MK-壁), [pj□l-h](별ㅎ)(MK-絶壁). 또, `闢聲`계에서 일반 글자 중에도 `漢-韓대응` 하는 예가 세 개 있는데, 그 중 하나를 들어보면.. 霹[*phleeg>*pheeg](AC-霹):[pj□□ak](K-霹)이들 `漢-韓대응`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闢聲`系자와 관련된 총 여섯 개의 `漢-韓準同源語群`을 재구하였는데, 그 중 하나만 예들어 보면 아래와 같다. “[PVR-]/{壁, 崖} 漢-韓準同源語群”- “壁[*pleeg](AC-壁), ?[*phljeg](AC-牆):[pj□□Λ](AK-崖), [pj□□o](MK-崖), [pΛ□Λm](MK-壁), [pj□l-h](MK-絶壁)”아울러, 토론과정에서 몇몇 鄭張尙芳(2013)의 上古音을 수정하였다. 예컨대, `闢聲`系의 `漢-韓對應`에 근거하면, `闢聲`系안의 四等韻字들은 [l]개음을 동반하는 음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겠다. 예컨대, `霹(普擊切)(霹靂)[*pheeg]→[*phleeg] This study reinterpret the `闢 phonetic radicals` Chinese Character in the ZHUAN-ZHU applying Chinese Character`s Archaic Chinese and cognation corresponding method of Nativ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general theory regarding ZHUAN-ZHU that “the mutual interpretation among those letters which have same roots, same meaning but different shape”(林尹 1971: 151), presented by of 林尹(1971: 151), 鄭張尙芳(2013: 3) and so forth, this study selected the `闢 phonetic radicals` ZHUAN-ZHU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According to my study for several years (2003-2015), there was a systematic corresponding phenomenon of Chinese Character`s phonology and Korean (or Altaic language) native (basic vocabulary or verbs) in the Archaic time, which surpass the `Chinese-Korean borrowing` relations of the mediaeval time. It is possible to reconstitute “Chinese-Korean(Altaic language) quasi-cognate words” through this. The summary of this study`s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ree types of ZHUAN-ZHU group are corresponding from the meaning and sound perspective with native Korean language inside the `闢 phonetic radicals`. One example among them is as follows: `壁[*peeg](AC):?[*pheg](AC)` - [pj??Λ](AK-崖), [pj??o](MK-崖), [pΛ?Λm](MK-壁), [pj□l-h](MK-絶壁) Moreover, among the general letter in `闢 phonetic radicals` also there are three examples of the `Chinese-Korean correspondence.` One example among them is as follows: 霹[*phleeg>*pheeg](AC-霹):[pj□□ak](K-霹) This study reconstitute six `Chinese-Korean quasi-cognate words,` related with the `闢 phonetic radicals`, through `Chinese-Korean correspondence. One among them is as follows: “[PVR-]/{壁,崖} Chinese-Korean quasi-cognate words”- “壁[*pleeg](AC-壁), ?[*phljeg](AC-牆):[pj□□Λ](AK-崖), [pj□□o](MK-崖), [pΛ□Λm](MK-壁), [pj□l-h](MK-絶壁)” In addition, it modifies few Archaic Chinese of 鄭張尙芳 (2013: 3).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modify 4 DENG-YUN (4等韻)sadugeun character in the `闢 phonetic radicals` need to modify to the sound accompanying medial [l] sounds, based on `闢 phonetic radicals` `Chinese-Korean correspondence.` The example is: `霹(普擊切)(霹靂)[*pheeg]→[*phleeg]

      • <闢衛新編 評語>를 통해 본 瓛齊 朴珪壽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론

        조지형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1 누리와 말씀 Vol.- No.29

        윤종의(尹宗儀)의 벽위신편(闢衛新編)은 ‘척사론(斥邪論)’과 ‘해방론(海防論)’의 두 축을 근간으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서양 세력의 침입을 막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의 반영물이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편찬물로만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당시 서양 세력의 침입과 천주교의 확산이라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중국과 조선 지식인들의 지적 고민이 망라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박규수(朴珪壽)의 <벽위신편 평어(闢衛新編評語)>는 벽위신편에 대한 평어(評語)이자 발문(跋文)의 성격을 지닌 글이며, 해방론 쪽으로 치우친 벽위신편에 자신의 척사론을 덧붙여 척사론과 해방론의 두 축을 균형감 있게 보완하려는 성격의 글이다. 아울러 천주교에 대한 억압과 탄압만으로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는 데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점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고, 이에 자신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 논설이기도 하다. 본고는 <벽위신편 평어>가 이렇듯 본래 천주교에 관한 척사론의 입장을 담고 있는 글임에도 불구하고, 기왕의 선행 연구에서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측면에 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선행 연구 성과를 충실하게 수용하는 가운데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박규수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에 논하였다.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천주교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은 크게 5가지로 나타난다. ① ‘천(天)’・‘천주(天主)’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② ‘서학중국원류설(西學中國源流說)’의 긍정과 동도(東道)에 대한 우월의식, ③ ‘천주강생설(天主降生說)’에 대한 비판, ④ 교파(敎派) 분열의 실상 고발, ⑤ 천주교의 침략성과 포교(布敎) 의도 대한 비판. 이 가운데 ④와 ⑤는 기독교의 교파 분열 상황과 서양의 역사적인 사실을 들어 천주교를 비판한 방식으로 다른 척사론자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박규수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고 천주교도들을 회유하기 위해 천주교 관련 서적에 대한 연구를 통한 비판 방법을 제기하였다. 박규수의 이러한 천주교 대응 방식은 유학(儒學)의 우월성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억압과 탄압 방식으로는 천주교 확산을 저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명확하게 깨닫고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던 것이라 하겠다. 주제어 : 朴珪壽, <闢衛新編 評語>, 尹宗儀, 『闢衛新編』, 斥邪論, 海防論, 西學中國源流說 通过<辟卫新编评语>考察朴珪寿(号瓛斋)对天主教的认识與应对论 趙 志 衡 尹宗仪的《辟卫新编》以“斥邪论”与“海防论”为理论核心,论述了在“西势东渐”的情况下“如何阻止西方的入侵”这一问题。它不能简单地定性为个人作品,可以说它反映了当时中朝知识分子们共同面临“西方国家的入侵及天主教的扩散”这一危机而产生的普遍疑虑。 朴珪寿的<辟卫新编评语>即是对《辟卫新编》的评语,又是具有跋文性质的文章。同时,它还在偏重于海防论的《辟卫新编》中附加自己的斥邪论,意在平衡“斥邪论”与“海防论”这两个理论核心的比重。而且,著者提出“仅依靠抑制和打压天主教的措施,从根本上阻止天主教的扩散是有局限性的”这一问题,并对此论述了自己认为行之有效的应对方案。 在<辟卫新编评语>中,尽管包含了对天主教的“斥邪论”的立场,而在以往的研究中未能从著者“对天主教的认识与应对方案”的角度上进行深度研究。基于这一点,笔者在充分收容先行研究成果的前提下,探讨了在<辟卫新编评语>中出现的朴珪寿对天主教的认识与应对方式。 <辟卫新编评语>中出现的对天主教的批判,主要分以下五点:①、对天主教使用“天”、“天主”等词汇的批判;②、对“西学中国源流论”的肯定与东方儒学的优越意识;③、对“天主降生说”的批判;④、揭露教派分裂实情;⑤、对天主教的侵略性与传教企图的批判。其中,④、⑤是通过例举基督教的教派分裂情况与西方的历史事实对天主教进行批判的,这是在其他“斥邪论”论者的论证中见不到的一个崭新的方式。最后,朴珪寿以阻止天主教的扩散、规劝天主教徒为目的,提出了通过研究天主教相关书籍而进行批判的方法。朴珪寿的这一对天主教的应对源自著者他本人对东方儒学优越性的自信。而且,他还清楚地认识到用压迫与镇压的方式在阻止天主教扩散方面具有局限性这一点,从而探索了上文所述的解决方案。 关键词:朴珪寿、《辟卫新编评语》、尹宗仪、《辟卫新编》、斥邪论、海防论、西学中国源流说

      • SCIE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의 벽관(壁觀) 개념에 대한 재검토

        김호성(KIM, Ho-sung)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1 No.-

        보리달마의 저서로 전해지는 『이입사행론』에는 벽관(壁觀)이라는 수행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벽관이라는 수행법이 어떠한 성격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다. 그런 중에 일본의 스즈키 가쿠젠(鈴木格禪)과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가 가장 깊은 사색을 전개하였다. 스즈키는 ‘벽’을 인도 석굴사원의 그림이 그려진 벽으로 이해하였고, 이에 촉발되어서 이시이는 그 벽의 그림이 객체가 아니라 주체라고 하였다. 즉 벽은 마음이라는 관점이다. 마음이 온갖 현상을 다 만들어내는 것과 같다고 보는 것이다. 이는 화엄적 관점에서의 벽관 해석이라 볼 수도 있고, 새로운 하나의 관법을 제시한 것이라 볼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해석은 벽관이 설해지는 『이입사행론』의 문맥으로부터 벗어난 것이라는 점에 있다. 『이입사행론』에서 벽관이 설해지는 문맥은 인간에게는 본래 청정한 마음이 있지만 번뇌망상으로 덮여 있다고 보면서, 다시금 망상을 버리고서 참다운 진성(眞性)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벽관을 닦으라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입사행론』의 문맥에서 보는 한, 벽관은 화엄적 관법이 아니라 유식적인 수행법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스즈키와 이시이는 벽관 이해를 함에 있어서 유식적 관점을 지적해내지 못했던 것일까? 본각문(本覺門)의 입장에서 이루어진 이입(理入)의 정의를 통해서 벽관을 이해했기 때문이다. 또한 ‘약야사망귀진(若也捨妄歸眞)’이라는 말을 삭제하고 ‘벽관’을 ‘각관(覺觀)’으로 아예 개변(改變)해버렸던 『금강삼매경』과 ‘달마의 법은 허종(虛宗)’이라 평가했던 도선(道宣)의 『이입사행론』 이해에 입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정작 벽관을 시각문(始覺門)이라 할 수 있는 유식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는 종밀(宗密)의 해석에 대해서는 진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입사행론』에서 벽관이 설해지는 바로 그 문맥―사망귀진(捨妄歸眞)을 위한 수행법―에서 볼 때, 종밀의 벽관 이해야 말로 타당한 해석이었던 것으로 나는 본다. 물론, 그것은 최고의 선법이라는 것이 아니라 기초적인 선법이라는 것이었지만 말이다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二入四行論, said to be the work of Bodhidharma, expounds a method of practice called wall-gazing 壁觀 (bìguā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so far on what exactly the nature of this practice is, nor how to understand and interpret it. However, two Japanese scholars, Suzuki Kakuzen 鈴木格禪 and Ishii Kosei 石井公成, have demonstrated the deepest contemplation on the matter. In this paper, I critically reconsider their research and briefly summarize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as follows. Suzuki literally interprets the wall in wall-gazing as the walls adorned with paintings found in the cave-temples of India. To this, Ishii argues that the wall is not a physical site or mere drawn objects, but rather the subject itself. In other words, the wall is the mind - the source of all kinds of phenomena. This kind of wall-gazing can be interpre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Huayen school, or even a new method of observation itself. However the problem with this is that this interpretation deviates from the text of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The context in which the wall-gazing concept appears in this text is the premise that although people posses an originally clean mind, it is covered with defilements and delusions. Thus in order to shed these delusions and return to the true nature of the self one must practice wall-gazing. Under this context, wall-gazing has to be viewed as a Yogācāra practice rather than a Huayan practice. Then why did Suzuki and Ishii both fail to point out this Yogācāran perspective in their interpretations? It is because the two understood wall-gazing through the two entrances 二入 based on the path of fundamental awakening 本覺門 as noted in the Sutra of Diamond Samadhi 金剛三昧經. However, the notion of wall-gazing in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path of inceptive awakening 始覺門 for abandoning delusions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truth 捨妄歸眞. Thus, it is contradictory. Suzuki’s logical starting point is therefore mistaken. For instance, he rejects Zongmi’s 宗密 (780-841) Yogācāran interpretation of inceptive awakening 始覺門, but accepts the Dao Xuan’s 道宣 (596~667) perspective that simply renamed wall-gazing to coarse apprehension and fine analysis 覺觀, judging that Bodhidharma’s teachings were false. As Zongmi’s understanding demonstrates, wall-gazing is basically a method of meditation which can be generally applied to all schools of Chan. However, because of its generality, Suzuki cannot accept this theory. I agree with Zongmi’s interpretation of wall-gazing as a basic method of Chan meditation in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It is reasonable that the technique of meditation taught for the initial step is a beginning one, not a complicated and advanced one. Therefore, Zhiyan 智儼 (602~668) evaluates wall-gazing as the first gate of practice.

      • KCI등재

        1920년대 중반 벽신문(壁新聞)의 등장과 의미

        최보민 역사학연구소 2023 역사연구 Vol.- No.4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ncipal entity of publishing the wall newspaper in the mid-1920s, and to clarify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the “wall newspaper movement”. The wall newspaper was first published in February 1926 by youth groups and ideological groups in Seoul. At that time, all publication organizations of the wall newspaper were closely related to socialist secret societies that operated in illegal areas. In other words, the publication of the wall newspaper in 1926 was led by socialists who were active in Korea. At the time, those who led the publication of the wall newspaper insisted on publishing the wall newspaper as a form of media for the proletarian classes, such as workers and farmers who had difficulty accessing newspapers or magazine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They published a wall newspaper as a means to directly propagate their opinions to the general public hardly accessible to the mass media and to provide them with general knowledge on basic social issues. In addition, socialists at the time were struggling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face of the censorship system of the Japanese colonial power, so they chose to publish a wall newspaper as a means to overcome the difficulty. As such, the publication of the wall newspaper began in the Seoul area, and gradually spread to the provinces. This phenomenon, which is the so-called “wall newspaper movement”, emerged in most provinces all over the country, and was most active around April-July 1926 and April-July 1927. The development of this national “wall newspaper movement” was linked to the movement of socialists who exercised popular influenc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formation of the Singanhoe branches. Meanwhile, when the “wall newspaper movement” appeared nationwide and public response was confirmed, Japanese colonial power began to suppress the wall newspaper. The suppression of the wall newspaper by Japanese colonial power was generally found to be a method of confiscating the wall newspaper itself or punishing those involved. In response to the suppression of colonial power, socialist forces responded by introducing a form such as a ‘Living newspaper’ centered on oral rather than text. 이 논문의 목적은 1920년대 중반 벽신문의 발행 주체를 확인하고, ‘벽신문 운동’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벽신문은 1926년 2월 서울의 청년단체와 사상단체에서 처음 발행했다. 당시 벽신문 발행을 시작한 단체들은 모두 비합법 영역에서 활동했던 사회주의 비밀결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1926년 벽신문 발행은 국내에서 활동했던 사회주의 세력에서 주도한 것이다. 당시 벽신문을 발행을 주도한 주체들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신문이나 잡지 등을 접하기 힘든 노동자·농민 같은 무산계급을 위한 매체로써 벽신문을 발행한다고 주장했다. 대중 매체를 접하기 힘든 대중에게 직접 자신들의 주장을 선전하고, 기본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교양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신문을 발행했다. 또 당시 사회주의 세력은 일제 식민권력의 검열제도에 막혀 대중과 소통 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이것을 돌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신문 발행을 선택한 것이기도 했다. 이처럼 서울 지역에서 시작된 벽신문 발행은 이후 점차 지방으로 확산했다. 이른바 ‘벽신문 운동’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 현상은 전국 대부분의 지방에서 나타났으며, 시기적으로 볼 때 1926년 4~7월과 1927년 4~7월 무렵에 가장 활발 하게 전개됐다. 이러한 전국적인 ‘벽신문 운동’의 전개는 신간회 지회 결성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대중적 영향력을 발휘했던 사회주의 세력의 움직임과 연결되어 있었다. 한편 전국적으로 ‘벽신문 운동’이 나타나고 대중의 호응도 확인되자 일제 식 민권력은 벽신문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일제 식민권력의 벽신문 탄압은 대체로 벽신문 자체를 압수하거나 관련자를 처벌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민 권력의 탄압에 맞서 사회주의 세력은 문자가 아닌 구술이 중심이 된 생신문과 같은 형식을 도입해 대응했다.

      • KCI등재

        아지프로 텍스트 ’벽소설’ 연구

        박정희(朴?熙)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본고에서는 년대 초반 1930 계급문학의 볼셰비키대중화론의 실천 방법으로 모색된 ‘벽소설’의 창작 배경과 작품의 성격에 대해 고찰했다. ‘벽소설’은 ‘벽’ 매체의특성을공유한당시활발하게제작및열람되고있었던 ‘벽신문’의미디어적경험속에자연스럽게도입될수있었으며, 무엇보다조선계급문학진영은 일본 프로예맹의 ‘벽소설’ 형식을 참조하는 동시에 조선 문단에 존재하는 부르주아양식인‘掌篇小說(콩트)’ 등과의구별짓기를통해‘벽소설’ 운동을실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술대중화론의 전략으로 제작된 ‘벽소설’은 ‘벽’이라는 미디어의 장소성과 시간성(짧은 분량) 그리고 낭독이라는 구술성을 바탕으로 짧은분량안에 시사-보고적내용을다루는아지프로텍스트에부합하는 ‘새로운 양식’임을 확인했다. 본고에서는 을밀대 를 중심으로 ‘벽소설’의 아지프로 텍스트로서의 특징을 규명하는데머물렀다. 이후더다양한작품들에대한발굴을바탕으로‘벽소설’ 텍스트전반에대한분석과그성격을밝히는연구, 한중일‘벽소설’ 작품에대한 비교문학적 연구를 통해 조선 프로문학의 특수성을 밝히는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벽소설’ 운동은‘벽소설’ 창작에국한되지않고독자참여글쓰기운동을 촉발하였다는 점도 규명할 과제이다. 이 점은 이른바 ‘소설(문학)’의 범주에 포착되지않는수기, 르포, 보고문등에대한‘통신문학’ 텍스트로서의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벽소설’ 연구의후속과제수행을통해근대노동문학에대한 새로운 시각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조 문인들의 벽 연구 ― 18세기를 중심으로 ―

        서지원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5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Obsession’ pursued by the literary persons in the 18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also summarized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the Obsession and its meaning. Obsession is a phenomenon of being immersed in or obsessed with a specific object or natural object, etc., which was popular among literary persons in the 18th century. We can see that the perception of the Obsession by literary intellectuals at the time was complex, unlikely as the one being classified as taste or hobby by modern people. As the people who revealed their views on the Obsession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Yoon Haeng-eom(尹行儼), Yoon Ki(尹愭), and Park Je-ga(朴齊家).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social status such as a scholar-gentry(sajok), a fallen aristocrat and a concubines son, they had one thing in common in that they enjoyed the Obsession as literary men. In the case of Yun Haeng-eom, he insisted on being vigilant against the Obsession from the viewpoint of Wanmulsangji (meaning losing one's heart by falling into external things) and Yun, Ki recognized Obsession by dividing it into the universal Obsession and the Obsession leading to the shame of the family. Pak, Je-ga paid attention to the value of the Obsession, which is immersed in or obsessed with a specific thing, and actively defended it.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Obsession pursued by literary men in the 18th century was universally appreciated, it was also enjoyed discrimina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s inclination and economic power. Some expressed their opinions by pointing out social contradictions and recording them, while others formed friendships and solidarity by transcending nationality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royal orders and performing duties. There are also noteworthy cases where a group shared the Obsession for a specific object, producing a result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terms of culture, while the pursuit of the Obsession led to the importation of foreign cultures and fostered a luxurious atmosphere, it also played a positive role in discovering indigenous cultures. Therefore, the pursuit of the Obsession by the literary intellectuals at the time wa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broke away from the rigid atmosphere that was not free from Confucian thoughts and spread diverse culture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diversity. 본고에서는 18세기 조선조 문인들이 추구했던 ‘벽(癖)’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벽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그 의미를 정리해 보았다. 벽이란 특정 사물이나 자연물 등에 몰입하거나 집착하는 현상으로 18세기 문인들 사이에서도 유행하였다. 당시 문인 지식인들의 벽에 대한 인식은 현대인이 기호나 취미 등으로 구분하는 것과 달리 복합적이다. 이 시기 벽에 대한 관점을 밝힌 인물로 윤행엄(尹行儼)⋅윤기(尹愭)⋅박제가(朴齊家)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사족(士族), 몰락양반(沒落兩班), 서얼(庶孽)이라는 신분상의 차이가 있지만, 문인으로서 벽을 향유하였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윤행엄의 경우 완물상지(玩物喪志)의 관점에서 벽을 경계할 것을 주장하였고, 윤기의 경우 보편적인 벽과 패가망신에 이르는 벽으로 구분하여 인식하였다. 박제가는 특정한 것에 몰입하거나 집착하는 벽의 가치에 주목하고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18세기 문인들이 추구했던 벽은 보편성을 띠면서도 인물의 성향과 경제력 등에 따라 차별적으로 향유되었다. 개인적으로 사회의 모순을 지적하며 기록을 통해 의견을 표명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왕명을 띠고 연행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국적을 초월하여 우정을 나누고 연대하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물에 대한 벽을 집단적으로 공유하며 집단 지성의 결과물을 만들어낸 사례도 주목된다. 아울러 문화적으로는 벽을 향유하는 과정에서 외래문화를 수입하는 등 사치풍조를 조장한 면도 있지만, 자생하고 있는 문화를 발견하는 긍정적인 역할도 하였다. 이처럼 당시 문인 지식인들의 벽 추구는 성리학적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경직된 분위기를 벗어나 다채로운 문화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 KCI우수등재

        일사에 직접 노출된 남측 벽의 열관류율 평가 시 일사의 영향과 열관류율 산정을 위한 수렴성의 분석

        변지연,박소민,심지수,송두삼 대한설비공학회 2023 설비공학 논문집 Vol.35 No.3

        The thermal transmittance of the building envelope greatly affects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and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ISO 9869-1. This method estimates the in situ U-value by measuring heat flux through the test wall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Thermal transmittance can be calculated from data measured over five days under s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However, i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unstable, the minimum test period may be longer than 10 days to obtain reliable results. Therefore, in this metho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all should be 10℃ or more, and the influence of solar radiation should be minimized. For a south-facing wall, the heat flux fluctuation is so large that it takes twice as long to be a convergence condition proposed by ISO 9869-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eat flow characteristics through a south-facing wall directly exposed to solar radiation and its convergence condition for thermal transmittance calculation. 본 연구에서는 열류계법(HFM)을 이용한 건물 외피의 열관류율 현장측정에서 일사의 영향이 열류, 실내외 공기온도차이, 결과적인 열관류율의 수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ISO 9869-1의 측정 데이터 평균화법(average method)과 열류계법을 이용한 북측과 남측 벽의 열관류율 수렴조건을 검토한 결과, 북측 벽은 측정 개시 후 5일 만에 열관류율 수렴 조건에 도달하여 정상 상태의 열관류율을 산출할 수 있었으나 남측 벽은 측정 개시 후 10일이 소요되어서야 열관류율의 수렴 조건에 도달하였다. (2)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열관류율 측정 요소인 실내외 공기온도 차이는 북측 벽과 남측 벽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남측 벽의 낮 시간의 많은 일사량의 영향으로 하루 중 남측 벽을 통한 열류가 크게 변동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아울러 일사의 영향으로 인한 벽 표면의 온도 상승으로 남측 벽의 경우 주/야간의 열류 방향이 변동하는 결과를 보였다. (3) 남측 벽의 일사의 영향으로 인한 열류량의 불안정성이 남측 벽의 열관류율 산정을 위한 수렴조건을 만족시키는데 북측 벽에 비해 약 2배의 시간이 소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4) 추후 연구로는 이러한 불안정한 열류 양상을 띠는 남측 벽의 열관류율 측정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데이터 필터링 방법에 대해 검토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