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 : 아프리카 문화권의 이해> ; 프랑스 내 "베르베르인"의 이민 과정과 그 위상에 관한 연구

        임기대 ( Gi Dae L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2 No.-

        프랑스에서 이민자 문제는 늘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마그레브 지역 이민자 문제는 다문화 국가 프랑스에서 늘 대립과 갈등의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문제의 소지를 주는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마그레브 이민자 문제가 서구와 적대적 혹은 대립적 의미의 ‘아랍-이슬람’ 영역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지역 출신자를 ‘아랍-마그레브인’으로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그런데 적어도 마그레브 지역을 알고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명명 방식에 적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알수 있다. 마그레브와 마찬가지로 프랑스에는 마그레브 토착민인 베르베르인이 많기때문이다. 여러 베르베르인 중에서도 카빌인이 많은데, 이들은 언어와 문화, 사고방식등에 있어 아랍인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삶의 방식 등에서 여러 가지 다른 점이있지만, 무엇보다 수백 년 동안 아랍의 지배를 받으면서 저항으로 상징되는 반아랍적정서가 이들의 내면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이런 정서는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으면서 식민분할정책의 도구로도 활용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카빌인의 특징을 주목하면서 이들이 프랑스 내에서 정착해가는 과정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카빌인의 프랑스 내 이주는 마그레브 지역 출신으로는 첫 이민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들의 이민 과정과 정체성 찾기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이를 통해 카빌인이 어떻게 공동체를 형성해 가며 문화운동의 주체로 거듭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마그레브는 아랍 이슬람이다’라는 등식의 허구성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프랑스와 알제리 내에서 베르베르어 사용이 빈번해지고 그 위상이 높아진 데는 우연한 현상이 아닌 오랜 기간프랑스 내 이민자의 정착 과정이나 문화운동과 전혀 무관치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자했다. The issue of migrants has always been a social problem in France. Particularly, migration issues from the Maghreb region to multicultural France are recognized as topics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One of the many reasons would be that the Maghreb migrant issue is interpreted with a hostile or conflicting ‘Arab-Islam’ meaning in the West. Therefore, the naming of natives from this region as ‘Arab-Maghrebis’ has become a common phenomenon. However,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aghreb region will explain that such naming could produce a number of problems. This is because the native Maghrebis, not only in the Maghreb region but also in France, are Berbers. Among the various Berbers, the Kabyles are in many ways different from the Arabs in their language, culture, and way of thinking. Apart from the difference in their lifestyle, there is a deep anti-Arab sentiment within them that represents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hundreds-of-years Arab domination. This feature has also been used as France’s tool of colonial division policy during the colonization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Kabyles in France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features. The Kabyles were the first to migrate to France among the natives of the Maghreb reg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ir migration and search for identity, as well as how they continued to form community and the Berber’s cultural movement. Through these series of processes, it is possible to point out the fictitious claim in France and in Korea that Maghrebis are Arab-Muslims. Lastly, the current use of Berber language in France and Algeria is not a coincidental phenomenon, rather it has a connection with the prolonged cultural movement and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migrants in France.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알-마그립 선교 방향

        장훈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2 복음과 선교 Vol.57 No.-

        The Maghreb( ) is a region called Al-Maghrib in Arabic. On the narrow side it includes countries such as Morocco, Algeria and Tunisia, and on the broad side it embraces countries such as Libya, Mauritania and Western Sahara. Although the Al-Maghrib region seems to have many historical, religious and cultural homogeneity, if you look inside you can see that there is a cultural gap due to the diverse ethnic organization. The main ethnic group living in the al-Maghrib region are the Berbers. They are living with their own identity and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even though they contain cross-cultural and mixed languages in their inner life due to invasion and colonial rule of foreign peoples. We can get a glimpse of their spirit, values and worldview by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local Christian culture, Islam and indigenous religions. Recently there seems to be no concern that the culture of these regions will change easily. However COVID-19 is expected to have some impact on the Al-Maghrib region either negatively or posi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ission plan accordingly. This thesis intends t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Al-Maghrib region and the mission plans of the Berbers, Berbers and Islam and Al-Maghrib in North Africa. Those who want to do missionary work in the time of COVID-19 should see it as a period of training for the church and missionary for the post-corona era, and have to face various changes and unpredictable scenarios by randomly changing different technologi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methods that the missionary should carry out with a more specific method. Mission is one of God’s almighty acts and it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ho makes this work and brings results. I hope that Maghrip missions in this post-corona era will have the powerful presence and guidance of the Holy Spirit. I also hope to renew the land of Maghrip by being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life of the church. 마그레브( )는 아랍어로는 알-마그립(Al-Magh- rib)이라 부르는 지역으로, 좁은 의미로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등의 국가를 포함하고, 넓은 측면에서는 리비아, 모리타니아, 서사하라까지를 의미한다. 알-마그립 지역은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부분이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다양한 인종 구성으로 인한 문화적 격차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알-마 그립 지역에 사는 주요 민족은 베르베르인으로, 이들은 이민족의 침략과 식민지배를 받음으로 인해 내면적 삶에는 교차문화와 혼성 언어를 담았음에도 자신들만의 정체성과 고유한 언어 및 문화를 간직한 채 살고 있다. 이 지역의 기독교 문화와 이슬람교, 토착종교를 동시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을 통해 그들의 정신과 가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이들 지역의 문화는 쉽게 변화될 우려는 없어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 19는 알-마그립 지역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맞춰 선교방안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알-마그립 지역의 의미와 북아프리카 지역의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과 이슬람교, 알-마그립의 선교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선교를 하고자 하는 이들은 코로나 19의 시기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교회, 선교사의 훈련의 기간이라 여기고 무작위로 서로 다른 기술들을 바꿔가면서 다양한 변화와 예측할 수 없는 시나리오들을 갖고 부딪쳐야 한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사명자가 실행해야 할 방법들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선교는 하나님의 전능하신 행위 중 하나이며, 이 일을 이루고 결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분은 성령의 사역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마그립 선교가 성령의 강력한 임재와 인도하심과 교회의 공동체적 삶과 연결 되어 마그립 땅을 새롭게 하길 소망한다.

      • KCI등재

        모로코 베르베르계 유대인의 정체성 고찰: 다큐멘터리 영화 <팅히르-예루살렘, 멜라흐의 메아리>를 중심으로

        박규현 ( Kyou-hyun Park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모로코의 유대문화유산 창조의 주체였지 이제는 이스라엘로 이주한 유대인들의 정체성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모로코의 역사에서 유대인 공동체의 흔적을 되짚고 그곳을 떠나 이스라엘로 이주한 이들에게 그들의 정체성을 묻는 다큐멘터리 영화 < 팅히르 - 예루살렘, 멜라흐의 메아리Tinghir-Jérusalem: Les Échos du mellah >(2011, 카말 하츠카르Kamal Hachkar 감독)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큐멘터리 형식의 이 영화는 실제 인물들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직접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들려주는 것을 그대로 담아내는 구술 채록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문헌 자료로는 구하기 힘든 팅히르 유대인 공동체의 역사를 알려주는 이 영화는 모로코 굴곡의 역사를 증언하는 역사 영화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우선 영화 속에 나타나는 화자의 장소 이동과 그와 관련된 질문과 주요 내용을 따라가며 모로코의 베르베르인, 유대인 공동체 ‘멜라흐(Mellah)’, 모로코 유대인의 이스라엘 이주에 관련된 역사를 고찰하였으며, 다음으로 영화 속의 대사를 중심으로 이스라엘로 이주한 자들과 모로코에 남겨진 자들의 기억과 향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로코 작은 마을의 유대인 공동체 역사를 고찰한 본 연구는 현재 모로코-이스라엘 외교 관계 진전의 밑거름 중 하나가 무엇인지 짐작하게 해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dentity of Jews who were once the creators of the Jewish cultural heritage in Morocco and now immigrated to Israel. The research analyzes the documentary film < Tinghir-Jérusalem: Les Échos du mellah > (2011, director Kamal Hachkar), which follows the traces of the history of the Jewish community in Morocco and asks about the identity of Moroccan Jews living in Israel. This movie is an oral narrative that captures what people have experienced in their lives. The film, which shows the history of the Tinghir Jewish community, therefore functions as a historical testimony that tells Morocco’s troubled history.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the Moroccan Berbers, Jewish community ‘Mellah’, and Moroccan Jews’ migration to Israel by tracing the narrator’s move. And then it elaborates the memories of Moroccan Jews living in Israel and those left behind in Morocco through the film. Also, this study, examining the history of a small Jewish community in Morocco, implies what the basis for the current Moroccan-Israel diplomatic relations is.

      • KCI등재

        모로코의 민속복식에 관한연구

        이순홍(Soon Hong Lee) 한국복식학회 1999 服飾 Vol.43 No.-

        Morocco is a country located in the northwest of Africa. Its offcial name is Al Mamlata al Maghrebia. This country abounds in natural resources from fishery, forestry, mining industry and manufacturing industry. However, due to insufficient irrigation canals harvests are highly unstable at the mercy of precipitation. State religion is islam and few are Jewish or Christian. 1. Clothing: Muslim Arabians` clothes are simple and the clothes of the Berber who have primitive belief are splendid. Those are good examples of religious influence on clothes. There are various colors and patterns in the clothes, however, solid color and stripes are the most commonly worn. Higher officials and the upper class wear in their representative color white including turburns and shoes. Representative clothes in Morocco are jellaba, kaftan, and chalwar which are one-piece style dresses cut out in a straight line and worn by both men and women, Selham, ksa with which men cover their shoulders and drape, and haik which is draped by women. Arabian women wear veils to hide their body, face and hairs and are in simple silhouette, on the other hand, the Berber are splendid with various ornaments. 2. Festivals and clothing: Traditional festivals in Morocco are customary events, art exhibitions, agricultural exhibitions, traveling business, events from religious origin, birthday or deathday of the saints, and so on, which delight the dwellers on the road and they are called by various names. Costumes for the festival have no special mode. They add various ornaments and gorgeous scarves to their ordinary traditional dress and they wear heavy makeups and tattoos. 3. Ornaments and accessories: People in Morocco think their ornaments as the symbol of their wealth. Therfore, they hang huge chains of gold or silver attached with gold and silver ornaments such as coins, nielle, and other jewels such as pearl, coral, amber, seven treasures. Ornaments they bring along when they marry are regarded as a dowry. Moreover, ornaments played a role as the mark of the tribe. Traditional shoes are yellow sleepers that have narrowed front, no hills and opened in the behind.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shoes with many decorations. As for colors, there are yellow, red, white and colorful ones.

      • KCI등재

        잊혀진 고대문자 티피나그의 궤적을 찾아서: 앗시아 제바르의 『감옥은 넓다Vaste est la prison』를 중심으로

        김미성 ( Mi Sung Kim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5 유럽사회문화 Vol.0 No.15

        Ecrivaine et cineaste algerienne, membre de l`Academie francaise, professeur d`universite, Assia Djebar est une grande voix de la litterature maghrebine de langue francaise. Comme auteure algerienne de la langue francaise qui n`a pas d`autres possibilites que d`ecrire dans la langue d`ancien colonisateur, Djebar ne quitta jamais un etat d`entre-deux - entre deux pays, entre deux langues. En fait, chez Djebar, c`est au sein de ce partage entre deux langues que s`accomplissent les retrouvailles avec une identite perdue. Dans la presente etude, l`analyse se concentre sur Vaste est la Prison (1995), qui fait partie d`un quatuor autobiographique (inacheve jusqu`a sa mort), que Djebar elle-meme denomme le Quatuor Algerien. Surtout, nous concernons la deuxieme partie intitulee ‘l`effacement sur la pierre’. Elle relate les traces de la stele bilingue de Dougga (Tunisie) elevee en l`honneur du roi Masinissa par son fils Misipsa. La stele etait inscrite en punique et en l`alphabet lybique antique. L`alphabet lybique est un systeme d`ecriture berbere qui a perdure en Afrique du Nord au moins jusqu`a la fin du monde antique. La stele bilingue de Dougga, decouverte premierement par le provencal Thomas d`Arcos, est aujourd`hui au British Museum. A Dougga, comme a Rosette, l`ecriture a besoin d`autre ecriture. Si la traduction est possible, c`est parce que la stele est bilingue. Elle devient un symbole pour l`histoire de l`Afrique du Nord, une histoire qui ne se definit pas par un monolinguisme arabe. Ainsi, l`existence d`une ecriture, symbole de l`identite d`un peuple, met accent sur la relation entre l`ecriture et la recherche de l`identite. Comme ecrivaine, Djebar superpose ainsi l`histoire autobiographique a celle de la recherche de l`ecriture libyque presque oubliee. Et elle montre bien comment l`identite feminine s`accompli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