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법화 천태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지혜경 ( Lucy Hyekyung Jee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0 한국불교사연구 Vol.18 No.-

        법화 천태사상은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여 천태지의가 세운 불교사상이다. 한국에서는 단일교단으로 오래도록 융성하지 못하였으나, 동아시아 불교의 교학적 뿌리를 제공한 중요한 사상이다. 때문에 법화 천태 사상의 중요성에 비해 한국에서의 연구는 미미한 편이며, 출판된 연구서나 입문서도 적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교재들과 현재 출판된 책들은 새로운 교재의 방향과 내용을 모색하는데 충분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입문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법화 천태사상의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법화 천태사상에 대한 입문서들은 크게 천태사상, 법화사상, 두 사상을 응용한 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교재를 만드는 데 있어서 법화사상보다는 천태사상에 초점을 맞춘 책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낫다. 법화 천태사상의 핵심은 천태사사에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교재들의 검토를 통해 법화 천태사상에 들어가야할 큰 주제를 정리해보면, 법화 천태사상의 형성, 천태사상의 체계, 천태사상의 전개, 세가지라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일승사상, 불성과 수기, 천태사상에서는 오시교판, 성구설, 십승관법, 25방편, 삼제삼관이 있다. 법화 천태사상의 전개에 있어서는 지역적으로는 인도부터 일본까지, 시대적으로는 법화경의 형성시대부터 현재까지가 그 범위가 될 수 있다. 이 세 가지 주제를 다룸에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것은 독자이다. 독자가 비전공 학부생인지, 아니면 전공대학원생인지에 따라 목차와 내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주제에서 다룰 내용들의 범위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천태사상의 체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교판론. 수행론과 함께 실상론의 범주를 사용하는 것이 전체 구성을 유기적이고 정합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그동안 소홀히 되어온 일본 천태와 현대적 관점에서 법화 천태사상의 서술이 보완된다면 법화 천태사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existing introductory books of Fahua-Tientai teaching for making a textbook of it. Based on reviewing existing books, a textbook for Fahua-Tientai teaching should contain three subjects; the formation, th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Fahua-Tientai teaching. In detail, the textbook would include One vehicle-three vehicle, doctrinal classification of five periods and eight teachings, threefold truth, and three contemplations, Ten contemplations, Buddha-nature, etc. In addition, it should cover Fahua-Tientai teaching from India to Japan, from its beginning to present. Reader and systematical org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writing the textbook. Depending on the reader, the textbook will cover only basic information or go more in-depth. To explain Fahua-Tientai philosophy more systematically, I suggest using Tientai Zhiyi’s three categories; classif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the theory of practice, and metaphysical discourse.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조선 초기 법화사상과 불교의례

        김인묵,심일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2

        『법화경』의 사상적 내용은 일불승(一佛乘)한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정신을 바탕으로 청문(聽聞)과 수지(受持)가 기본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신라와 고려의 통일 과정에서 사상적 밑받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통일신라시대 비록 정토불교가 성행하였고, 고려시대에 선불교가 유행하였지만, 대중들로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고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경전은 『법화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한국인들의 내면에 문화적 DNA로 새겨져 있는 법화사상에 대해 굳이 언급할 필요는 적겠지만, 조선 유교사회에 들어서는 『법화경』과 법화사상에 대해 주목하는 일은 아직은 필요해 보인다. 그것은 조선사회가 20세기와 21세기 민주주의 사회에서 법화사상 나아가 한국불교가 걸어 나가야 하는 방향과도 직결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조선초기 불교의례의 존립에 대해 『법화경』과 법화사상의 맥락에서 소화하려고 하였다. 우리는 『법화경』이 지니고 있는 대승불교의 논리, 즉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혁신적인 사유에 매료되어 있다. 또한 『법화경』은 인간은 누구나 내면적인 가치를 존중받아야 하며 인격적인 차원에서 평등하다고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불교의례의 차원에서 조선초기에도 여전히 불교경전은 그러한 역할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태조와 태종대는 물론이고 세종과 문종대에도 여전히 불교의 힘에 의지하여 자신들의 선왕과 선후의 극락왕생을 빌고 있는 모습은 이 땅에 불교가 들어왔을 때의 모습을 닮아있다고 할 것이다. 조선초기 『법화경』과 법화사상이 이전 시대에서부터 전승되었다는 점과 새로운 시대적 이데올로기를 만났을 때 보여주었던 법화사상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때 조선 초기 불교의례라는 문화요소에 법화경이 어떻게 사용되고, 왕실과 사대부 및 일반 대중들에게 무엇을 의미하게 되었는지를 효용과 가치의 측면에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The ideological content of The Lotus Sutra is based on the spirit of Cheongmun [聽聞] and Suji[受持], which is based on the spirit of Ilseung[一乘]. Thus, it can be said that in Korea, it was an ideological foundation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between Silla and Goryeo. In addition, although Jeongto Buddhism was prevalent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Seonjegyo was popular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utra that were constantly loved and studied by the public can be said to be The Lotus Sutra. As such, it is not necessary to mention the idea of Buddhist painting engraved with cultural DNA inside Koreans, but it seem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he Lotus Sutra and the idea of Buddhist painting in the Joseon Confucian society. This is because Joseon society believes that it has a problem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galization ideology and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Buddhism should walk in a democratic society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In the text, the existence of Buddhist ritu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tried to be digested in the context of 『The Lotus Sutra』 and The Lotus Sutra Thought. We are fascinated by the logic of Mahayana Buddhism in The Lotus Sutra, that is, the innovative thinking that anyone can become a Buddha. In addition, The Lotus Sutra teaches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be respected for their inner values and are equal at a personal level. And in terms of Buddhist rituals, it can be seen that Buddhist scriptures still played such a role ev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Not only Taejo and Taejongdae, but also Sejong and Munjongdae still rely on the power of Buddhism to pray for the paradise of their predecessors and ancestors, resembling the appearance of Buddhism entering this la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otus Sutra and The Lotus Sutra Thought were handed down from the previous era, and the aspects of 『The Lotus Sutra』 that were shown when meeting new ideologies of the times were examined. At this time, I would like to deal with how The Lotus Sutra was used in the cultural element of Buddhist ritu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hat they meant to the royal family, the high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in terms of utility and value.

      • KCI등재

        사이초(最澄)의 법화사상-그가 평생 추구하고자 한 것-

        원영상 ( Won¸ Yong-sang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8

        일본 고대 후반에 유입된 천태종은 중세 신불교 탄생의 요람이 된다. 천태종의 역할은 사실상 근현대 다양한 불교계 신종교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일본불교의 저변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종합불교로서 신앙과 수행의 폭넓은 세계를 갖고 있음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본 천태종은 사이초(最澄, 766~822)에 의해 확립되었다. 그는 중국에 유학하여 원ㆍ선ㆍ계ㆍ밀(圓禪戒密)의 4종(宗)을 계승했다. 귀국해서는 밀교를 도입하여 완전한 종합불교를 만들고자 했다. 또한 국가로부터 독립된 독자적 대승교단 구축을 위해 평생을 노력했다. 천태종을 일본에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사이초는 많은 난관에 봉착했다. 대표적인 사건이 나라(奈良)를 중심으로 한 남도불교(南都佛敎)의 대표주자인 도쿠이츠(德一)와의 논쟁이다. 불성론(佛性論)을 둘러싼 논쟁에서 사이초는 심혈을 기울여『법화경』의 정신에 의거한 일승(一乘)사상을 주장했다. 말년에 나온 많은 저술은 이러한 법화사상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다. 핵심은 모두가 성불할 수 있다는 개성불도(皆成佛道) 사상이다. 일본 불교의 역사를 놓고 본다면, 결국 사이초가 주장한 법화사상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사후이기는 하지만, 기성불교계와 국가불교로부터 독립을 성취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밀교와 더불어 종합불교의 양축을 건설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사이초는 법화사상에 기반한 수행체계를 통해 대승불교의 정신을 확산시키고자 했다. 그가 「산가학생식(山家學生式)」에서 “나라의 보물을 무엇인가. 그 보물은 도심(道心)이다. 도심 있는 사람을 국보라고 한다”라고 한 것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도심은 바로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드러내고 있다. 이를 위해 비예산(比叡山)에 학당(學堂)을 세우고 대승의 계율을 확립했다. 후대에 사이초의 법화종단은 그가 대립했던 기성불교계와 마찬가지로 왕권과 밀착하고 마침내 분열되기는 했지만, 여러 조사들에 의해 시대를 따라 늘 새롭게 해석되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일본 불교의 사상적 저수지 역할을 해내고 있다. The Tientai Sect introduced to Japan in the latter half of the ancient Japanese times became the cradle of the medieval New Buddhism. In fact, the role of the Tientai Sect has been very strong in the base of Japanese Buddhism until various new religions of the Buddhist world have appeared in recent and modern times. It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m because it has the wide world of religious belief and asceticism as organized Buddhism. This Japanese Tientai Sect was established by Saichō (最澄). He studied in China and inherited 4 religions (宗) of Won, Seon, Gye, and Mil (圓禪戒密). After returning to Japan, he tried to create complete organized Buddhism by introducing Esoteric Buddhism. He also made efforts to build an independent religious body from the state during life. Saichō was up against many brick walls in the process to settle the Tientai Sect in Japan. A representative event is a dispute with Dokuits (德一) who was a leader of Namdo Buddhism (南都佛敎) which focused on Nara (奈良). In the dispute surrounding the Buddha-nature Treatise in four volumes (佛性論), Saichō was devoted to argue thought of One-Vehicle (一乘) based on the spirit of 『Lotus Sutra』. A lot of writing published in his later years advocated this thought of lotus blossom. The key point is thought of Gaeseongbuldo (皆成佛道) that everybody can attain the Buddhahood. Considering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it can eventually be thought to be a victory of thought of lotus blossom argued by Saichō. In the end, he could achieved independence from the existing Buddhist world and the state and formed both axes of organized Buddhism with Esoteric Buddhism even though they were done after his death. Above all, Saichō tried to spread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through the discipline system based on thought of lotus blossom. This is well expressed through 「Sangahaksaengsik (山家學生式)」 that he said, "What is a treasure of the state? The treasure is mind of the way (道心). The person with mind of the way are called the treasure." This mind of the way well shows the spirit of Mahayana Bodhisattva. For this, he found a school (學堂) in Mount Hiei (比叡山) and established Mahayana precepts. Saichō's religious body of lotus blossom was later close to royal authority like the existing Buddhist world that he had opposed and was eventually divided. However, it has played a role of a reservoir of Japanese Buddhism until today as it was always and newly interpreted by several investigations according to the times.

      • KCI등재

        원효(元曉)의 일승관(一乘觀)과 사상사적 의미 -『법화종요(法華宗要)』를 중심으로-

        박광연 ( Kwang Youn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5

        본고에서는 『法華宗要』의 분석을 통해 元曉의 一乘觀이 지니는 특징을 찾아보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생각해보았다. 이는 원효의 법화사상이 왜 삼국 통일의 논리이며, 정치 통합의 논리가 되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원효가 『법화종요』를 통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원효 일승관의 가장 큰 특징은 一乘理(法界, 法身, 如來藏)의 설정을 통해 一乘因(佛性, 善根)과 一乘果(法佛菩提, 報佛菩提, 應化佛菩提)가 非一非二한 관계임을 말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과거의 선근, 현재의 불성, 미래세의 佛果力을 하나의 고리 속에 놓음으로써 누구나의 성불 가능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원효의 일승관은 『법화경』의 一乘을 자세히 설명한 義寂과의 비교를 통해 그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할 수 있다. 원효는 논의의 바탕에 불성을 두고 있지만 의적은 선근의 축적만을 말하고 있다. 원효는 佛果의 교화를 강조함으로써 自力과 他力의 同體를 말하고 있지만, 의적은 노력(多聞薰習, 止觀行 등)에 의한 佛果에의 도달을 중요시하였다. 한편 원효의 일승 해석은 義相의 사고와도 교섭되어 신라 불교의 특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원효는 一乘과 三乘의 관계를 會三歸一 등으로 설명하였다. 원효가 회삼귀일의 개념을 통해 말하고자 하였던 것은 佛性, 善根, 佛에 대한 믿음과 자각이었다. 그러므로 원효의 법화사상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정치적 측면보다는 대중 교화나 신앙의 측면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元曉) view of the One Vehicle (一乘)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his Beobhwajongyo (法華宗要). First, I go over the previous thesis that his Beophwa thought (法華思想) was conductive t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political harmonization. By criticizing the thesis, I aim at revealing Wonhyo`s ultimate intention to compose the Beobhwajongyo. The Most salient feature of his view of the One Vehicle is that the cause of the One Vehicle (一乘因) and the effect of the One Vehicle (一乘果) are interrel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ormer i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latter. Wonhyo bases the interrelatedness of the two on the principle of the One Vehicle (一乘理). He thus emphasizes the universal attainability of Buddhahood by placing the good faculty (善根) of the past, Buddha nature (佛性) of the present, and the power of Buddhahood (佛果力) of the future under the same category of the principle of the One vehicle. The nature of his view of the One Vehicle can be clarified by comparing his view with Uijeok`s (義寂) idea which emphasizes the Lotus Sutra (法華經). Wonhyo bases his argument on Buddha nature, whereas Uijeok just stresses the accumulation of good faculty. Wonhyo asserts the equality between self-power (自力) and other-power (他力)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edification of the effect of Buddhahood inherent oneself, whereas Uijeok stresses attaining Buddhahood through one`s arduous efforts. Later on Wonhyo`s understanding of the One Vehicle comes to characterize the Silla Buddhism through interplay with Uisang`s (義相) thought. Wonhyo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 Vehicle and the Three Vehicles by referring to the principle of subsuming three into one (會三歸一). Through the logic of subsumption of three into one, he tri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elieving and realizing Buddha nature, good faculty, and the Buddha. Therefore, I think that the significance Wonhyo`s Beophwa thought had on Silla society should b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ification or faith of the populace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s of the time.

      • KCI등재

        법화사상과 밀교, 그 교류의 가능성1)

        차차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3 불교문예연구 Vol.2 No.-

        이 논문의 주제는 법화사상과 밀교는 상통의 가능성이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상통의 가능성이 있다면 그것은 어떠한 점 인가를 시론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법화경』과 밀교의 회통 가능성을 다라니와 연계해 탐색해 보았다. 순수하게『법화경』자체 속에 내재되어 있는 밀교와의 소통 가능성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가능할까에 주목했다. 둘째, 불타론을 중심으로 밀교와『법화경』의 소통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차이점이라면 밀교는 유가유식이나 여래장 사상의 영향을 받아 매우 정교한 불타론이 확립되어 있지만『법화경』은 三身사상이 나오기 이전의, 소박한 이신설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수행론을 중심으로 법화사상과 밀교의 소통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밀교와 소통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大悲 를 수행의 조건으로 제시하는 것은 홍법의 삼궤와 상통하며, 밀교에 서 중시하는 삼밀의 수행방법은 법화의 萬善成佛論이나 五種修行論 과 지향점이 상통한다고 말할 수 있다. 넷째, 다만 밀교와『법화경』에서 일률적으로 유사성이나 공통점을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여러 가지 점에서 두 사상의 차이점을 만 들었다. 그러나 불구하고 대승불교의 사상적 지평이라는 공통분모 속에서 두 사상의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some interrelation between Beopwha Thought and Esoteric Buddhism. Of course, it is not so easy to find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m because of 100 years gap between them and because of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Indian Buddhist Order. Hence, here I'd like to pay attention to three points as following. First, I tried to trace some commonness between the Lotus Sutra and Esoteric Buddhism connected with Dharani. Historically, ‘Taemil’, the convergence of Cheontae and Esoteric Buddhism, already began to emerge in China, and then this movement flourished in Japanese Buddhism. Except this, I paid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Esoteric Buddhism inherent in the Lotus Sutra. : the possibility of their commonness through a common denominator, Dharani Second, I attemp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Lotus Sutra and Esoteric Buddhism. While there are no words of Dharmakaya or Trikaya thought in the Lotus Sutra, at least the idea of Dharmakaya and Nirmanakaya is found and the relation of Dharmakaya and Nirmanakaya is set up based on saving sentient beings. Buddha theory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substance and function, which is also one of commonness between them. Then, I traced Nirmannakaya, the incarnation of Buddha, in two aspect: a practitioner of Idea and Bodhisattva of saving all living beings who appeared as incarnation body. Only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Esoteric Buddhism set up a very sophisticated Buddha theory influenced by Consciousness-only thought or by Thathagatagarbha thought, the Lotus Sutra shows the theory of two bodies proir to Trikaya thought. Third, I groped for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Beopwha Thought and Esoteric Buddhism focusing on the theory of practice. In particular, I stressed three points among practice theory of the Lotus Sutra. That is, the enlightenment or the practice of the Lotus Sutra is very daily and practical. It tends to make its own theory of practice, relating to Hongyeong or to achieve a high religious ethic like 'Hongbeop Samgwoe.' However, it seems to have a certain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Esoteric Buddhism. To present a great mercy on condition of practice chimes in with 'Samwoe of Hongbeop', and the practice method of 'Samil' has also some commonness in aiming at 'Manseonseongbulron' or 'Ojongsuhaengron' of the Lotus Sutra. Fourth, to find some similarity or commonness between the Lotus Sutra and Esoteric Buddhism is not so east. In fact, it seems that the formation of the Sutra, the development of the Order history, and the rise background of Esoteric Buddhism produced the difference of two thought in the diverse ways. In spite of that, it is possible to find some common elements between two thought in the wide perspective of Mahaya Buddhism thought.

      • KCI등재

        南楊州 奉先寺 三身佛掛佛圖 圖像 硏究

        고승희 ( Seung Hee Koh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임진왜란 이후 불교는 법화사상이 크게 유행하여 석가불이 중점적으로 많이 조성되었으나, 17세기 이후에는 화엄사상이 주축이 되면서 비로자나불중심의 삼신불 도상이 많이 조성되는 변화가생긴다. 이러한 삼신불은 대승불교와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며, 조선 17-18세기에 이르면 후불도와 괘불도로서의 불화가 크게 유행하게 된다. 이 중 괘불도는 전형적인 군집도 형식과 독존도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봉선사 괘불도는 수타사 괘불도 이후의 전형적인 군집도 형식의 불화로 『화엄경』중심의 ``毘盧舍那三身佛``의 화엄설법장면을 표현한 그림으로서 서울·경기지역 삼신불괘불도 도상을 선도한다는데 학술적·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남양주 봉선사 삼신불괘불도는 19세기 이후 삼신불괘불도의 도상적 시원이 되고 있음은 물론,불·보살과 군상들의 배치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매우 특이한 형식으로 새로운 2단 구도를 창출해내고 있다. 또 화기 중의 내용으로 보아 尙宮 이씨가 왕비(寧嬪 김씨)의 영가천도를 위해 조성한 왕실발원불화이면서도 기존의 괘불도와 차별화된 도상과 형식을 갖고 있다. 채색은 황토색과 난색 계열의 색채와 호분이 많이 가미된 중간색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전반적으로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도편안한 느낌을 주며, 담채기법의 적용과 거친 듯 유연한 필선의 구사 등의 표현기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불교회화사적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이처럼 봉선사 삼신불괘불도는 기존의 괘불도와 차별화된 독창성을 발휘하고 있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lthough Sakyamuni statutes were the main trend based on the Lotus ideolog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year of Imjin (1592), Trykaya especially Vairocana came to be popular after the 17th century with the introduction of Hwaeom. Such Trykaya are closely related to Mahayana Buddhism and became very popular from the 9th century. By the 17th to 18th century, Buddhist paintings such as Rear paintings and Banner paintings became very popular. Among them, Banner paintings can be classified as group type and single statue type.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s a typical Buddhist painting following that in Suta-sa Temple. It shows Hwaeom sermon scenes of Vairocana Trykaya in the Avatamska Sutra and is meaningful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y and materials in that it leads the iconography of Trikaya banner paintings in Seoul and Gyeonggi. Trikaya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n Namyangju is the origin of the iconography of Trikaya banner paintings after the 19th century and it creates a new two-ayer placing Buddha, Bodhisattva and people in unique positions. From the commentary of the painting,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is the Buddhist painting sponsored by royal family that Sanggung(尙宮) Lee prayed for the spirit of Queen 〔Youngbin(寧賓) Kim〕to go to heaven. It has different iconography and forms from existing Banner paintings. It uses warm colors including the earth color and mid-one colors with frequent use of aleuron, giving warm, gentle and comfortable feelings. It is very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 as it shows rough but flexible brush touch and thin coloring technique. As such, Trikaya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s very uniqu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Banner paintings. It is judged to be meaningful and worthwhile this painting because of such uniqueness.

      • KCI등재후보

        한중일 다보탑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 다보탑의 특색

        김승일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문화 Vol.0 No.12

        While studies on Dabotaps in Korea have focused on formative and external features necessary for protecting cultural properties, studies on ideological features of these pagodas have been generally neglected. As a result, comparative studies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Dabotaps in Korea, China, and Japan cannot have been done that establish a standard to understand those features. This study seeks both to search the differences among the attitudes that formed Dabotaps and to compare the efforts and pursuits to settle down Mahayana Buddhism in the three countries. The differences are:First, there were the difference in the ideological background. While Bulguksa in Gyǎngju is a temple organized from Hwaǎm-faith(華嚴思想) with Buddhist esoterism, the central ideological background was Bǎbhwa-faith(法華思想). As the name Bulguksa proclaimed, Dabotap was necessary to show that Shilla Dynasty was a Buddhist land. Chinese Dabotaps were formed from Bbhwa-faith(法華信仰) which represented Mahayana Buddhism because Chinese cultural tradition could adopt the doctrines of Mahayana Buddhism more easily than those of Hinayana Buddhism. Japanese Dabotaps were built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ect while their fundamental basis, Bǎbhw-faith accommodated the doctrines of each sect.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positions of two paralleled statue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botaps. While the three countries shared the positioning of two paralleled statu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ositioning. In China, statues of Sakyamuni and Dabo followed the formation of the two paralleled statues in a three-tiered pagoda at the rock caves such as Yungang, Longmen, Dunhuang, and Maijisan. In later cases, those two statues joined that of Maitreya to set on the position of main Buddha(主尊) at right wall(正壁) like Samsebul(三世佛). In Japan, two paralleled statues emerged from the Nara period to represent the Japanese faith in Dabotaps. Only Ilyen Society developed a distinctive style which positioned Namumyobǎbyǎnhwakyǎng(南無妙法蓮華經) in the center and the statues of Dabo(多寶) and Sakyamuni at each side. Meanwhile, two paralleled statues formation has not been found at Dabotaps in Korea. Third, a comparison can be made with the presence of twin pagodas. Twin pagodas originated from the 5-6th century Northern Wei era and were widely adopted until Tang era. The emergence of twin pagodas in China resulted from: 1) Chinese special preference for symmetry; 2) the effort to reinforce the use of pagodas in order to deal with the statue-centered worship; 3) add the sublimity of the temple; 4) express the GyenBodabpum(「見寶塔品」) of Bǎbhwakyǎng(『法華經』). Similar viewpoints with those of China have been found in Korea. However, while they represented the universality of Bbhwa-faith in China, they focused on the particularity of Bbhwa-faith(法華信仰) necessary to show that Shilla was a Buddhist land through its unity and harmony from the unification of Shilla. In contrast, twin towers have not been found in Japan. It might be resulted from the view that regarded Dabotaps as Daeilyǎrae(大日如來) itself since the 11th century. Apparently, the view resulted in the single form of Japanese Dabotaps and a great quantity of Dabotaps were produced in the same style. Fourth, the number of Dabotaps differs among the countries. While documents show that China built a good number of Dabotaps, Chinese Dabotaps do not exist. Bulguksa Dabotap is the only Dabotap that exists today. Japan has 69 existing Dabotaps while one hundred of Dabotaps were built as different sects built different numbers of Dabotaps; Jǎngto Society(淨土宗) 3, Zen Society(禪宗) 4, Ilyen Society(日蓮宗) 10, Chǎntae Society(天台宗) 15, and Jinǎn Society(眞言宗) 68. In Japan, Jinǎn Society was the major sect for Dabotap building partly because Jinǎn Society laid greater... 한국에서의 다보탑 연구는 주로 문화재 보호 차원에서 필요한 조형적․외형적 측면에서의 연구만이 주류를 이루어 왔을 뿐, 이 탑이 지니고 있는 사상적․이념적 측면과 연계된 분야에서의 연구는 적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한중일 삼국불교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는, 삼국에서의 다보탑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교연구가 이루어질 수가 없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상황에 대한 반성과 향후 연구를 위한 계기를 구축하겠다는 차원에서 먼저 한중일 삼국이 다보탑을 조성하는 의식에 있어서의 상이점을 찾아보고 대승불교의 정착화를 위한 삼국 각자의 노력과 그 추구하는 바가 어디에 있었는지를 비교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다보탑의 원형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거의 비슷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고, 다만 자국의 특징적 요소를 가미하여 독창적인 다보탑을 만들었으며, 특히 한국의 다보탑은 국가통치이념인 불국토화를 다보탑의 조성으로써 확인시키려 했고, 일본의 경우는 각 종파별 신앙특징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일본적인 다보탑의 양식이 출현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백제 五岳 제사와 佛敎寺院 - 北岳 烏含寺(烏會寺 ・ 烏合寺)와 南岳 지역을 중심으로 -

        이장웅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7 百濟硏究 Vol.66 No.-

        Around the time of the transferring capital city to Sabi(泗沘) in the reign of King Sŏng(聖王), Paekje reorganized state rituals into Confucius style rituals with the influence of Jiangliboshi(講禮博士; A doctor of etiquette lecture) Luxu(陸詡) and others, and as a result, performed rituals for Heaven(天) and Five Emperors(五帝) in every month of the season(四仲月;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With these rituals, the system of the rituals for Three Great Mountains and Five Sacred Mountains(五岳), which worships mountain spirits protecting the capital and each local areas, was established, fortifying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controling the every local regions within their boundary. As Baekje has a ritual for Heaven in the captial, ritual for Five Emperors in the ouskirts of the capital, and Five Sacred Mountains in every month of the season(四仲月), which implies ruling over the regions through royal tours; this phenomenon shows that Baekje realized a unified domain of rituals that the captial, outskirts, and regions’ rituals we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the reing of King Widŏk,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as a site for nation rituals, Buddhism in Baekje attempted to bring harmony between the capital and the locals with the idea of the Lotus Sutra(法華思想) by 發正(Paljŏng) Hyŏn'gwang(玄光) and Hyehyŏn(慧顯) as a central ideology. For specific aspects of this phenomenon, Chapter 2 reviewed Baekje’s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rituals for Five Sacred Mountains, as well as Chiri Mountain(智異山), which is known as Namak(南岳) Muo Mountain(霧五山; or Kungnam Mountain 國南山). In Chapter 3, this paper analyzed the Buddhist temples established during the reing of in these Five Sacred Mountains, focusing on the Pugak(北岳) and Namak areas. For Ohamsa(烏含寺) in Pugak, the paper concluded that the temple was present Sŏngjusa(聖住寺), after examining and criticizing the previous arguments that insist Sŏngjusa, or other temples with historical texts and archaeological evidence. Although there is no known Buddhist temple of Baekje in the Namak area, this paper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ts existence through analyzing the Stone Buddha statue(石佛立像) in Namwŏn(南原) Chidang-li(池塘里), Chijŏk Bodhisattva in Hwaŏmsa(華嚴寺) Kakhwangjŏn(覺皇殿), a tale of erecting Avalokitesvara statue from West Jin(西晉) in Kwanŭmsa(觀音寺) in Koksŏng Sŏngdŏk Mountain(聖德山). 백제의 國家祭祀는 聖王의 사비 천도를 전후한 시기에 梁의 講禮博士 陸詡 등의 영향으로 유교식 國家祭祀 체계로 재정비되면서, 天과 五帝에 대한 제사가 매년 四仲月에 거행되었다. 이와 함께 수도와 각 지방을 진호하는 山神을 숭배하는 三山 五岳의 제사체계가 마련되어 국토 내 모든 지방을 통치할 정신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백제에서는 도성 중앙에서 이루어진 天 제사, 도성 외곽에서 이루어진 五帝 제사와 함께 巡守를 통한 지방통치의 의미를 지닌 五岳 제사도 四仲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므로, 중앙과 주변, 지방의 제사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면서 통합된 의례의 공간을 구현하였다. 이후 威德王 시기부터는 國家祭祀의 祭場에 佛敎寺院이 건립되기 시작하는데, 특히 백제 불교는 發正, 玄光, 慧顯으로 이어진 法華思想을 중심으로 중앙과 지방의 융화를 꾀하게 된다. 法王을 전후한 시기에는 隋 文帝가 五岳의 아래에 각각 僧寺를 하나씩 창건하라는 조칙을 내린 사실에 영향을 받아 五岳 지역에도 불교사원을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그 구체적인 모습에 대하여 2장에서는 백제 五岳 祭祀의 사상적 배경과 함께 北岳 烏山과 南岳 霧五山(國南山)인 智異山에 대해 살폈고, 3장에서는 法王 시기 五岳 지역에 건립된 불교사원에 대하여 北岳과 南岳 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北岳 烏含寺(烏會寺, 烏合寺)에 대해서는 현재의 聖住寺 지역으로 보는 견해와 그렇지 않은 견해들을 사료와 고고학 자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聖住寺 지역으로 확정하였고, 南岳 지역에는 확실한 백제 불교사원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백제 계통의 南原 池塘里 石佛立像과 華嚴寺 覺皇殿의 智積菩薩, 곡성 聖德山 觀音寺에 西晉으로부터 온 觀音像을 모셨다는 설화 등을 통해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