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묘제에 보이는 백제와 왜 사이 교류의 몇 가지 특질

        우재병(Woo, Jae-Pyoung)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5세기 후엽경과 6세기 전엽경, 이 두 시기에 걸쳐 백제서남부지역 일부 수장묘에서는 서로 다른 양상의 왜 양식 묘제가 각각 채용된다. 예를 들어, 5세기 후엽경 왜 양식 원통형토기 묘제 채용의 경우, 백제 중앙 양식 방분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가 장식되는 양상이 주류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6세기 전엽경이 되면 왜 양식 전방후원분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로 장식되는 사례가 등장하게 된다. 6세기 전엽경에 나타난 이러한 왜양식 묘제 채용 강화 양상은 무령왕 정권기에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 시기 백제의 친왜정책이 전 단계보다 일층 강화되었음을 시사하는 고고학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백제 서남부지역에서의 왜 양식 묘제 채용 과정에는 두 시기 사이에 차이점이 명료하게 관찰된다. 이들 두 시기에 걸친 고고학적 자료의 변화는 백제와 왜 사이 교류에 특별한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5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의 교류는 고구려에 의한 서울지역 수도 함락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려는 백제에 의해 주도된 측면이 강하였다. 금관가야를 축으로 형성되었던 기존 광역교역시스템이 재편된 이후, 백제와의 교류 교역을 강화하려던 왜에게도 백제의 수도 함락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중국남조 백제와의 교류 강화를 통한 선진지식 전략물자의 안정적 수입을 위해서, 이 시기 왜는 위기상황 속의 백제와의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는 전략적 선택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 서남부지역 유력 수장묘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 묘제를 채용한 것은 백제와 왜와의 정치적 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묘제를 이용한 외교전략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6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 사이 교류의 고고학적 특질은 백제 무령왕정권과 왜 繼體정권의 등장과 더불어 양국에서 강화된 친왜정책 친백제정책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양국에서 거의 동시에 출현한 상대국 묘제 채용 강화 현상의 배경에는 양 왕권 사이의 개인적 친분이 작용한 측면도 있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시기 무령왕은 친왜정책 뿐만 아니라 친중국남조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이점을 고려하면 무령왕정권에 의한 이러한 정책 추진 배경에는 개인적 친분보다는 정책적 판단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 시기 왜 繼體정권에 의한 문화적인 친백제정책의 시행은 왜와 중국남조 백제와의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여 권력 내부의 안정을 추구하려는 신정권의 전략적 선택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百濟의 건국과 仇台

        김성한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中國史書에 의하면 百濟는 3세기 초에 東明의 후예인 仇台가 遼東에 웅거한 公孫度의 宗女와 혼인하면서 강성해지기 시작하여 그 후손이 帶方 땅에 처음으로 건국하였다고 한다. 이는 『三國史記』 百濟本紀 溫祚王紀에 백제가 ‘浿水―帶水―漢水’로 이어지는 지역을 강역으로 한 사실, 百濟王이 公孫氏인 帶方太守의 딸과 혼인한 사실을 통해 확인된다. 仇台는 시기상 百濟의 제6대 仇首王(재위 214~234)에 비정될 수 있는데, ‘仇台’는 ‘仇首’와 ‘仇’자가 동일하고 비류전승상의 시조인 ‘優台’와는 ‘台’자가 일치한다. 백제의 王系에서 仇首王의 아들이 比流王인 사실과 비류설화에서 優台의 아들이 沸流인 사실을 감안하면, 仇台, 優台, 仇首가 동일 인물인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優’가 簡字로 ‘优’로 표기하여 ‘仇’와 자형상 유사한 사실은 이를 더욱 뒷받침한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백제의 시조와 건국주의 관계는 ‘始祖=建國主의 父’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이에 따르면 비류전승상에서 시조는 優台이지만 建國主는 沸流가 되는데, 이는 중국사서에 ‘百濟’라는 국호가 沸流와 동일인으로 여겨지는 比流王의 재위기간(304~344) 중인 344년 이전에 등장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백제의 시조는 仇台(=優台=仇首)이고 建國主는 沸流(=比流王)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삼국사기』는 온조전승이 백제의 정식 시조전승으로 인정되면서 시조가 東明이고 건국주가 溫祚로 되어 있어, 중국사서에 전하는 것과 다른 내용을 전한다. 이는 백제의 정식 시조전승이 비류전승에서 온조전승으로 바뀌었기 때문인데, 그 시기는 백제가 자신의 出自를 ‘夫餘의 別種’에서 ‘夫餘의 正宗’으로 바꾼 사실과 관련이 있다. 泗沘 천도와 함께 국호를 南扶餘로 개칭한 聖王 때 出自觀 변화에 따라 시조전승의 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東城王―武寧王―聖王―威德王’으로 이어지는 東城王系는 近蓋婁王으로도 불린 蓋鹵王의 傍系로서 백제의 왕통에 편입되는데, 이는 ‘古爾王-責稽王-汾西王-契王’으로 이어지는 古爾系가 蓋婁王의 傍系로서 백제의 왕통에 편입되는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傍系로서 왕통에 편입된 古爾王의 治績을 개국 군주에 걸맞게 미화함으로써 傍系의 의한 王統 장악을 정당화한 것이라 하겠다. 東城王系인 聖王 때 出自觀이 ‘夫餘의 別種’에서 ‘夫餘의 正宗’으로 바뀌면서 國號도 南扶餘로 바꾸고 시조전승도 비류전승에서 온조전승으로 교체한 것이라 하겠다. 시조전승의 교체에 의해 백제 국내 기록에서는 沸流의 親父를 시조로 하는 優台廟가 東明廟로 개서되었지만, 국외 기록에서는 개서되지 못하여 仇台廟(=優台廟)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되었던 것이다. According to the Chinese history book, Baekje(百濟) became powerful in the early 3rd century as Gutae(仇台), a descendant of Dongmyeong, married a daughter of Gongsun Duo(公孫度) who betook himself to Liao-dong, and his descendants founded a country in Daebang(帶方) for the first time. It is confirmed by 『Samguksagi(三國史記)』, Baekjebonki(百濟本紀) and Onjowangki(溫祚王紀) through the fact that the areas of 'Paesu(浿水)―Daesu(帶水)-Hansu(漢水)’ were designated as river areas and the King of Baekje married a daughter of Daebang governor-general of Gongson Family. 'Gutae(仇台)' whose period can be compared to the 6th king, Gusu of Baekje(King Gusu, the period of reign : 214~234) has the same Gu(仇) with 'Gusu(仇首)' and tae(台) with the second word of Utae(優台)' who is the founder of the Biryu folktale. Considered the facts that the son of King Gusu(仇首王) is King Biryu(比流王) in the Baekje king genealogy, and Biryu(沸流) is the son of Utae(優台) in the Biryu folktale, the possibility that Gutae(仇台), Utae(優台) and Gusu(仇首) are the same person is high. In addition, that fact that 'U(優)' is similar to 'Gu(仇)' in the letter type when it is expressed to 'U(优)' in simplified Chinese more supports the above.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the relationship of the originator and the builder of Baekje has an equality of 'Originator(始祖)' = the father of 'Builder(建國主).' Accordingly, in Biryu folktale, the originator is Utae but the builder is Biryu, and in the Chinese history book, the country name of 'Baekje' is related to its appearance in the year 344 before the reign of King Biryu(比流王)(304~344)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person with Biryu(沸流).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originator of Baekje is Gutae(仇台)(=Utae(優台)=Gusu(仇首)) and the builder Biryu(沸流)(=King Biryu(比流王)). But as Onjo folktale is recognized as the formal originator folktale of Baekje, and its originator is Dongmyeong (東明) and the builder is Onjo(溫祚), 『Samguksagi(三國史記)』 tells a different story from the Chinese history book. This is because the formal originator folktale of Baekje was changed from Biryu folktale to Onjo folktale, and i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in the period, Baekje changed its origin from 'another kind of Buyeo(夫餘)' to 'legitimate kind of Buyeo(夫餘).' It seems that the originator folktale was changed from the change of the origin viewpoint by King Seong that changed the name of the country to Nambuyeo(南扶餘) along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泗沘). The King Dongseong Genealogy that transfers from 'King Dongseong(東城王), King Muryung(武寧王), King Seong(聖王) to King Uideok(威德王) is included in the king genealogy of Baekje as a collateral line of King Gaero, also called 'King Geungaeru(近蓋婁王)' and this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fact that Goi genealogy that links 'King Goi(古爾系), King Chaekgye(責稽王), King Bunseo(汾西王) and King Gye(契王) is included in the king genealogy of Baekje as a direct line of King Gaeru(蓋婁王). It is consider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King Goi that was included in the Royal line as a direct line was beautified in compliance with the meritorious founder of a country and holding the king genealogy was justified. As the origin viewpoint was changed from 'another kind of Buyeo(夫餘)' to 'legitimate kind of Buyeo(夫餘).' by King Seong who belonged to the King Dongsong Genealogy, so was the name of the country to Nambuyeo and the origin folktale was changed from Biryu folktale to Onjo folktale. By the change of the origin folktale, the Uate grave that regarded the real father of Biryu as the originaotr was rewritten as the Dongmyeong grave in the national records of Baekje, but overseas records did not rewrite it and the Gutae grave(仇台廟)(= Utae grave) still remains as it is.

      • KCI등재후보

        백제와 중국왕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박윤선 ( Youn Sun Par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0 No.45

        본고는 백제의 국제관계 전반적 흐름 속에서 백제와 중국왕조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백제의 국제관계상의 시기구분을 시도하여 그 시기구분에 따라서 양국관계를 서술하고자 한다. 백제의 국제관계의 핵심인 고구려·신라와의 관계 변화를 기준으로 총괄한다면, 기본적으로 고구려와는 대립관계가 지속되었다. 그리고 잠시나마 함께 회복한 한강유역의 땅을 신라에게 빼앗긴 6세기 중반이후에는 고구려뿐 아니라 신라와도 대치하게 되었다. 즉 백제의 국제관계는 신라와 함께 손을 잡고 고구려에 대적하던 6세기 전반까지의 시기, 그리고 고구려·신라 모두와 대립하여 삼국이 정립하는 6세기 후반이후의 시기로 양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백제의 국제관계 전체 구도하에 중국왕조와의 관계만을 정리하자면, 백제는 고구려만 상대하면 되었던 6세기 전반까지는 중국왕조들, 주로 남조왕조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 관계는 당시 백제의 대외관계 중심축, 즉 백제와 고구려관계에 영향받지 않으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와 상관없이 지속되었다. 그에 반해 6세기 후반이후는 고구려 견제라는 대전제가 중국과의 관계의 기저를 이루고 그 기초 위에서 양국관계가 형성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양국관계의 주체를 국가로 이해하는 경향이 주류이므로 국가주체의 교류관련 연구를 주요 검토대상으로 하면서,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문물교류 양상을 포함하였다. 따라서 대상 시기는 자연스럽게 백제 국가의 형성에서 멸망까지가 되었다.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로는 국가적·공적 주체 외에 이미 개별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개인적·사적 주체에 의한 교류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백제 국제관계사의 체계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문물 양상의 비교를 통한 해석과 상대국가 역사상을 근거로 한 추정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상기해 보았다. This article attempts the period division of the history of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based on it ; narrate the relationship of Baekje and the Chinese dynasties, in which their relationship is understood in the overall atmosphere of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hip. Generally speaking based on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of Baekje and Koguryeo, there was always a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when Baekje lost its territory in the Han River basin to Shilla, which was obtained in union with Shilla, it maintained a hostile relationship with both Koguryeo and Shilla. So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hip can be divided into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when Baekje formed an alliance with Shilla and fought against Koguryeo, and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when Baekje, Shilla, and Koguryeo opposed each other. If we organize the relationship with Chinese dynasties alone in this perspective of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hip, Baekj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nese dynasti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at relationship was unaffected by Baekje and Koguryeo`s relationship, which was the base of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hip.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the need of holding Koguryeo in check was the basis on which the lationship of Baekje and China was made. In past researches, the tendency of understanding the main agent of the relationship as the country is evident, so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is mainly reviewed in this article, while also containing the exchange of civilization which is being considered frequently these days. Therefore, the period naturally became from the establishment of Baekje to its fall. For the prospect and task of the future, the systematization of the history of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hips containing not only the national, public agent but also personal, private agent of relationships is needed. Als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history, the fact that one must be cautious when one`s assuming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parison of civilization and the history of the other country is recalled.

      • KCI등재

        미호천(美湖川) 중상류(中上流)의 백제토성(百濟土城) 현황(現況)과 특징(特徵)

        김호준 백제학회 2013 백제학보 Vol.0 No.10

        본고는 충청북도에서 발굴조사된 백제성곽 중 미호천 중상류 일대의 土城 입지 및 형태, 축조기법 등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호천 중상류 유역에서 조사된 백제성곽은 淸州 井北洞土城·父母山城, 曾坪 二城山城 3개소이다. 이들 성곽은 기존에 연구된 백제성곽의 입지여건과 큰 차이가 없었다. 즉 수륙교통의 요충지와 조망권 확보를 위한 입지선정이 적용되었다. 특히 이성산성의 경우 4~5세기로 편년되는 남성과 북성이 모두 내외 이중의 형태인 점과 토축산성(남성)에 작은 보루(북성)를 동반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더불어 부모산성은 이성산성과 인근 괴산 서부리토성의 본성+보루의 배치와는 구별되는 본성+복수의 작은 성과 보루의 배치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산성의 배치는 또 하나의 백제산성의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토축성벽 축조방식에서 이성산성 성벽을 바탕으로 기저암반의 地釘 방식과 토루의 축조순서, 중심토루의 재료가 다양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세분화하여 충청북도 백제 토축성곽의 축조기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토축재료와 관련하여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토성 축조기법 중 새롭게 밝혀진 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표토블럭(turf block)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충청북도 백제 토축성곽은 無基壇式 版築 및 盛土다짐 성벽을 갖고 있으며, 영정주 간격이 2m가 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미호천 중상류 유역의 百濟土城에 대한 현재까지의 고고학 조사 성과 및 축성 기술적 특징을 도출해 냈다고 할 수 있다. 미호천 중상류 유역은 백제시대 분묘 및 생활유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연관하여 미호천 중상류 유역의 백제성곽에 대한 연구는 백제의 영역 확대과정이나 지방통치 문제를 좀 더 명확히 규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5~6世紀 百濟 住居 · 煖房 · 墓制文化의 倭國 傳播와 그 背景

        우재병(Woo Jae-pyoung)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3

        이 글에서는 먼저 부뚜막과 시루를 이용한 효율성 높은 취사 · 난방문화, 대벽건물이라는 공간 활용도 높은 건물양식, 追加葬이 용이한 횡혈식석실을 매장시설로 채택하는 묘제문화 등 새로운 백제계 문화가 5~6세기경 일본열도에서 급격하게 보급 · 확산되는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그리고 이들 백제계 주거, 취사 · 난방, 묘제문화의 확산 배경에는 5~6세기경 일본열도에 정착한 백제계 사람들의 활발한 역할과 이들에 의한 선진적인 생활양식,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사상 전파 등의 요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이 시기 일본열도 내 주거, 취사 · 난방, 묘제문화 변혁에는 백제계 사람들의 역할 이외에 또 다른 정치적 배경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5~6세기경 고구려의 압박에 의한 백제의 漢城陷落과 熊津遷都, 加耶의 쇠퇴 등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급격한 변동은 백제와 왜에 정치 · 경제적 위기상황을 초래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고구려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에서는 中國南朝와 더불어 왜와의 외교관계도 더욱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을 것이고, 왜 역시 기존 對韓半島 교역창구였던 가야의 쇠퇴에 대처하기 위해서도 지속적인 선진문물 도입을 위한 백제로의 교역루트 다원화 필요성이 절실하였을 것이다. 이렇게 이 시기에는 百濟와 倭가 相互 政治 · 經濟的 필요성에 의해 倭重視政策, 百濟重視政策과 같은 새로운 외교전략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은 5~6세기경 백제계 주거, 취사 · 난방, 묘제문화가 일본열도 주요부에서 급격히 보급 · 확산되는 또 다른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Paekche-style culture were spreading across the Japanese islands during the 5th and 6th centuries A.D.. By the 5th and 6th centuries A.D.. the primitive floor-heating devices, the big mud-wall houses, and the corridor-style burial chambers of Korean Peninsula's descent became widespread throughout the Japanese islands. I look at some noticeable backgrounds of how Paekche-style cultural products became spread across the Japanese islands during the 5th and 6th centuries A.D.. There are two findings in this paper. First, it is surmised that Paekche emigrants are accredited with playing a vital role in introducing and spreading the aforementioned Paekche-style cultural products. Second, it is surmised that the adopion of the aforementioned Paekche-style cultural products was probably made by the Wa central government seeking an alliance with Paekche as a way of getting out the political crisis at that time. These two main features were probably due to diplomatic tensions among East Asian countries, for example, Koguryo's attack on Paekche around 475 A.D..

      • KCI등재

        百濟의 醫藥과 道敎文化

        장인성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0 百濟硏究 Vol.52 No.-

        The medicine in the Baekje kingdom is deeply interrelated with Daoist culture. Generally speaking, Baekje Daoist culture is equated with the idea of immortals(神仙思想). For example King Mu(武) built a pond with willows and , in its midst, a group of islands were fashioned resembling the Fangzhang(方丈) isles of the immortals. But scholars who studied the Daoist culture of Baekje didn’t concerned about how to pursue immortality. Recent archaeological evidence, especially mica(雲母) and Japanese apricot(梅實) which were excavated in the Pungnab earthen wall site(風納土城) reveals that pharmacology(本草學) in Baekje was developed. The entry on the Baekje ginseng in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Pharmaceutical Canon(本草經集注) written by the famous Daoist Tao Hongjing(陶弘景) of Liang dynasty in 500 AD. also indicated that Baekje Pharmacology was developed before the 6th century. After the demise of Baekje, large number of Baekje immigrants immigrated to Japanese archipelago, over 70 people are high ranking bureaucrats of Baekje. Due to the their ability and ranking, Wa(倭) government gave them the bureaucratic posts in Wa. Wa govern ent classified the ability of Baekje immigrants in 4 types; 1. military training, 2. medicine, 3. five classics, 4. yin and yang. Four physicians who included Gil Daesang(吉大尙) were classified in medicine. Gil eui(吉宜), a son of Gil Daesang had the special knowledge on medicine. During the Shomu(聖武) reign(724-748), Gil eui was the most famous physician who was also called Magical Practitioner(方士) in the Biography of Fuchiwarano Muchimaro(藤原武智麻呂傳).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Fuchiwarano Muchimaro, Muchimaro liked to eat the medicine of immortals(服餌). Baekje immigrant physicians would help Fuchiwarano Muchimaro make the medicine of immortals. Physicians knew that the medicine of immortals was made from the medicine substances based on pharmacology. Baekje immigrant physicians would use the superior medicines in pharmacology to make the medicine of immortals, so they were called Magical Practitioner. 백제 유민 출신이 주금박사로서 일본 조정에 기여한 점을 기록한 일본 고대 문헌사료를 검토하여 백제의 약부에도 주금박사가 설치되어 있었음을 추론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발굴된 支藥兒食米記 목간에 쓰여진 藥兒는 약부 소속으로 수당대의약동 또는 일본의 약생과 같은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고대 일본에서 백제계 의약전문가가 크게 활약하였는데, 승려와 백제 유민 출신의 의약전문가가 두드러진다. 승려의 의술로서 선약의 제조가 확인되었고, 백제 유민 출신의 의약전문가도 선약의 제조와 복용법으로 일본 조정에 중용되었음을 밝혔다. 의술이 특수전문직으로 세습을 중시하였던 점을 감안하면 백제의 의술도 이러한 경향이 있다고 여겨진다. 일찍부터 본초학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던 백제에서는 중국의 본초학을 참고하여 「백제신집방」을 만들기도 하였다.『신농본초경』에서 상약은 생명을 연장시키는 약이다. 백제에서도 그것을 알고 추구했을 것인데, 그 고고학적인 유물로 풍납토성 경당지구에서 발굴된 운모가 주목된다. 그리고 2010년 4월에 五石(玉石?)이 묵서된 목간이 부여에서 발굴되어 각종 매체에서 선약의 존재를 알리는 물증으로 부각되었으나 오석 묵서 목간에 대한 꼼꼼한 검증이 필요하다. 그러나 백제계의약전문가들이 선약의 제조로 일본 조정에서 중용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백제의 선약 관련 자료는 언제든지 발굴된 여지가 있다.

      • KCI등재

        4~6세기 百濟와 倭의 관계

        洪性和(Hong, Sung-Hwa)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6 No.-

        本考는 『日本書紀』에 기록되어 있는 倭의 한반도 파병의 기사와 百濟에서 일본열도로 건너간 인적 교류의 기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4~6세기에 이르는 百濟와 倭의 관계를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6세기 중엽 가야 패망 전까지 『日本書紀』내에 기록되어 있는 倭의 한반도 군사 파견기록을 분석하면, 모두 倭가 주체가 되어 활동한 것이 아니라 百濟가 주체가 되어 수행한 전쟁에 지원군의 형태로 왔던 것을 알 수 있다. 즉,『日本書紀』神功?應神紀의 한반도 출병 기사는 4세기말~5세기초 廣開土王碑文의 시기에 고구려와 백제의 전투 중에 百濟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되었던 것이며,6세기의 기록은 百濟가 伴破를 직접 지배하기 위한 전쟁,百濟가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해 신라, 왜와 공동전선을 폈던 전쟁,그리고 百濟가 신라와 벌였던 전쟁에 百濟의 지원군 형태로 倭軍의 파병이 이루어졌던 것을 알려주고 있다. 한편 같은 기간 내에 있었던 百濟에서 일본열도로 간 인적 교류의 현황을 고찰하면 4세기말 이래 지속적으로 百濟의 王族과 貴族의 파견이 이루어진 정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倭의 군원이 파견될 때마다 百濟에서는 반대급부로 博士 및 僧侶 등 전문지식인의 파견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당시 百濟와 야마토 倭의 관계가 ?支?昆支?斯我君 등의 왜국 파견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국의 왕족 간 혼인에 의해 화친 및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百濟가 선진문물을 전해주고 일본의 군사력 제공이라는 용병관계가 성립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이는 6세기만이 아니라 아직기와 왕인을 통한 4세기말부터 지속된 百濟와 倭의 교류방식 이었다. 이상과 같이 『日本書紀』를 분석하여 보면 4~6세기에 있었던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관계는 백제와 야마토 정권의 인적 교류에 의해 실행되었던 것이며,神功에 의한 삼한정벌의 기사 및 4세기말 이래 한반도에 등장하는 倭人의 활동은 백제가 수행하는 전쟁에 따르는 지원군 형태였던 것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Baekje(百濟) and Wa(倭) in the 4~6th century by a study on documents which described the dispatch of ancient Japanese(倭人) troops and the exchanges of personnel which moved to the Japanese archipelago from Baekje written in Ilbonseogi(日本書紀). First of all, as we analyzed documents that described the dispatch of ancient Japanese(倭人) troops in the 4~6th century written in Ilbonseogi(曰本書紀), we could understand that Japan backed up military aid to Baekje(百濟) instead of the Japan’s leading role under the battles which was performed by Baekje(百濟). In other words, we could find out that the dispatch of ancient Japanese(倭人) troops written in Jinku-ki(神功紀) and Oojin-ki(應神紀) of Ilbonseogi(曰本書紀) as well as written about the 6th century in Ilbonseogi(日本書紀) was support of the Japanese army for Baekje (百濟) during the war between Baekje (百濟) and Koguryo (局句麗) and in the 6th century. Meanwhile, as we analyzed documents on the exchanges of personnel which moved to the Japanese archipelago from Baekje at the same time,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royal family and nobles were dispatched continuously to Japan since the end of 4th century and that during Japanese military aids professional intellectuals including doctors and Buddhist monks etc. were dispatched from Baekje. Therefore, we could observ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Yamato Wa was their cultural exchanges by marriage between the two royal families and that the transmission of advanced civilization from Baekje to Yamato Wa corresponds to support of Japanese military power to Baekje in the 4~6th century. As the above-mentioned study on the Ilbonseogi(曰本書紀), we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n 4-6th century was their cultural and military exchanges between Baekje(百濟) and Yamato Wa, and the dispatch of the Japanesearmy to Baekje(百濟) was distorted by the argument such as the Japan’s conques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三轉征伐) written in Jinku-ki(神功紀) of Ilbonseogi(曰本書紀) and theory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ruled by Yamato government.

      • KCI등재

        경부자은(輕部慈恩)의 백제 성곽 연구

        서정석 ( Jeong Seog Seo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1

        경부자은(輕部慈恩)만큼 백제 고고학 연구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도 드물다. 그는 1927년부터 1945년에 이르기까지 약 19년 동안 공주와 그 인근지역에 거주하면서 근대적인 방법으로 백제 고고학을 연구한 전문 연구자였다. 그의 연구는 고분, 성곽, 사찰, 그리고 유물에 이르기까지 백제 고고학 전 분야에 걸친 것이었다. 그 중 여기에서는 성곽 분야의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경부자은(輕部慈恩)이 백제의 성곽을 주목한 것은 백제 부흥운동기에 등장하는 전적지(戰迹地)의 올바른 위치 비정을 하는 것이야말로 백제와 왜의 관계를 해명하고, 당시의 역사적 사실(史實)을 제대로 해석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웅진성(熊津城), 사비성(泗比城), 주류성(周留城)과 같은 백제 성곽에 주목하였다. 백제 성곽에 대해서 이렇다 할 연구가 없었던 시절, 성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고고학적 연구 대상의 하나로 지목한 것은 큰 업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공산성의 경우, 그것이 백제 성곽인지조차 명확히 알 수 없었던 시절임에도 왕궁이 그 안에 있었을 가능성을 타진한 것은 그가 남다른 안목의 소유자임을 입증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러나 성곽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백제 성곽 자체의 특징이나 변천에 주목한 것이 아니라 사료상에 등장하는 성곽의 위치 비정에 머물렀다는 아쉬움이 있다. 방법 또한 사료상에 등장하는 地名과 지도상(地圖上)의 地名의 유사성을 통해 위치비정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지도상의 지명에 의존하지 않고 현지답사나 다른 유적과의 관계, 교통로, 유적의 특징, 성곽 안에서의 수습 유물 등을 감안한 위치 비정을 시도했다고는 하지만 중심을 이루는 것은 역시 음운학적인 접근이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듯하다. 물론 일제강점기 때에는 백제 성곽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전무했던 만큼 이 모든 책임을 輕部慈恩 개인에게 돌릴 수는 없겠지만, 이미 일본내에서는 神籠石式山城에 대한 성격 논쟁이 일고 있었고, 한국 고대산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神籠石의 성격을 해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감안해 볼 때 백제 성곽을 연구하면서도 고고학적인 방법이 결여된 채 위치 비정에 머문 것은 아쉬움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There are few figures who influenced the study on archaeology of Baekje Dynasty as Karube Jion. He lived in Gongju and its nearby area for approximately 19 years, from 1927 to 1945, and was an expert who studied on the archaeology of Baekje Dynasty using a modern method. He researched all over the whole field of archaeology such as ancient tombs, fortresses, temples, and artifacts. Of these,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tress. The reason why Karube Jion pays attention to the fortresses of Baekje Dynasty is that determining the exact location of battlefield in the reconstruction movement period can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Baekje Dynasty and Japan and can exactly interpret the contemporary historical facts. Therefore, he took note of the fortresses of Baekje Dynasty such as Woongjinseong Castle, Sabiseong Castle,, and Juryuseong Castle, Selecting an object of archaeological study on fortress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is his remarkable achievement when there are no noticeable studies on the fortress of Baekje Dynasty. In particular, examining the possibility that the royal palace may be located in Gongsanseong Castle, confirms that he has extraordinary discernment although nobody know that Gongsanseong Castle, is the fortress of Baekje Dynasty. However, from another point of view, he only ended up selecting the location of fortress, and there is a limit in trying to select the location through the name of the palace appearing in historical records and the similarity of the name of the palace on the map. In particular, arguments about characters of Baekje style fortress in Japan occur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is regretable that the remaining location selection lacked archaeological methods when the characters of Baekje style fortress was expla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cient fortresses.

      • KCI등재

        웅진시대(熊津時代) 백제(百濟)의 왕위계승(王位繼承)과 대왜관계(對倭關係)

        홍성화 ( Sung Hwa Ho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0 No.45

        本考는 사료상에 혼선을 보이고 있는 百濟 웅진시대의 왕위계승 관계를 밝힘으로써 백제사 이면에 나타난 역사적 사실과 백제의 對倭관계에 대해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461년(462년) 昆支는 蓋鹵王의 倭國과의 화친 정책에 따라 倭國의 여인과 婚姻을 맺기 위해 파견되고 이 과정에서 庶子인 武寧王이 태어나게 된다. 475년 고구려의 침입으로 蓋鹵王이 피살되는 상황에서 百濟는 도읍을 웅진으로 옮기고 文周王이 즉위하게 된다. 文周王은 蓋鹵王의 母弟(어머니의 동생)로서 당시 왕위계승권자인 昆支가 왜국에 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구려와 대치하는 위급한 상황에서 즉위하게 된다. 따라서 文周王과 三斤王(文斤王)을 거치는 동안 일시적으로 백제왕계에 변화를 보이지만, 三斤王의 사망으로 문주의 계통도 단절되는 상황에 처한다. 이때 倭國에 있던 東城王이 즉위하는데, 東城王은 昆支가 倭國과 혼인을 위한 화친으로 파견되었을 때 倭國왕실의 여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백제왕계의 적통계열인 昆支의 아들 중에서도 嫡子였기에 즉위할 수 있었다. 그러나 東城王은 말년 신하들과의 갈등 및 민심 이반이 일어나 왕 23년 피살당하고 武寧王이 등극하게 된다. 武寧王은 昆支의 庶子로서 왕위계승권자의 위치에 있지 못했지만, 東城王 23년의 정변에 개입함으로써 왕으로 등극하게 된다. 이처럼 웅진시대 백제왕에 대한 왕통보가 각 사료마다 차이를 보여 혼란한 상황이 전개되었던 것은 기본적으로 百濟 왕계의 단절과 百濟, 倭 왕실간에 있었던 婚姻에 의한 화친 정책의 결과 촉발되었던 것이다. 특히 웅진시대에 나타나는 왕위계승의 상황은 5세기초 아신왕 이후에 나타나는 百濟의 왕위계승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establish succession to the throne of Baekje(百濟) in Woongjin(熊津) period and external of the Baekje(百濟) history. In 461 or 462, Konji(昆支) had been dispatched to Japan by King of Kaero(蓋鹵王) for peace treaty and at that moment King of Muryeong(武寧王) was born. In 475, The capital of Baekje(百濟) was invaded by Goguryeo(高句麗) and also King of Kaero(蓋鹵王) was murdered. That`s the reason King of Munju(文周王) ascended the throne following the passing of the king. At this time, King of Munju(文周王), who was a younger brother of Kaero(蓋鹵王)`s mother ascended in this case of emergency because Baekje(百濟) was standing face to face with Goguryeo(高句麗). Baekje(百濟) royal system was continued differently with former lineal descent of royalty temporarily during King of Munju(文周王) and King of Samgeon(三斤王) period. After King of Samgeon died, the family of Munju(文周) has become extinct. King of Dongsung(東城王) could come to throne at this moment because he was legitimate child among Konji(昆支)`s sons. And King of Dongsung(東城王) was the main line of descent between princess of Yamato Wa(倭) and Konji(昆支) who had been dispatched to Japan. King of Dongsung(東城王) was killed by conflict with his men and alienation from the public, and King of Muryung(武寧王) was made king after this incident. King of Muryung(武寧王) couldn`t be successor to the throne because he was the child of a concubine. Nevertheless, he came into political power by overthrowing the existing government in the 23rd year of Dongsung(東城王)`s reign. Historical records show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king of Baekje(百濟) in Woongjin(熊津) period, because of rupture with royal family and political marriage for peace treaty between Baekje(百濟) and Japan. Particularly,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during this Woongjin(熊津) period is very similar to Baekje(百濟)`s one after King of Asin(阿莘王) in the early fifth century.

      • KCI등재

        한성기(漢城期) 백제의 장군호(將軍號) 활용 배경과 정치적 의미

        박찬우 ( Chanu Par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한성기 말 백제왕은 신하들에게 장군호를 假授하고 이를 劉宋에 알려 정식으로 승인받았다. 이러한 假授 및 除正 요청은 백제왕이 책봉을 통해 장군호를 지니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것은 중국에서 장군호를 수여받은 인물들이 開府하여 府官을 두고 그들을 장군으로 加官하거나 郡縣 장관직에 보임시킨 것과 흡사하다. 물론 백제에서 軍府가 실제로 설치된 것은 아니었다. 다만 백제왕은 ‘장군’이라는 대내외적으로 공인된 지위를 능동적으로 활용하였을 뿐이다. 이 같은 假授·除正을 통한 장군호 활용은 당시 중국 주변국 중에서 백제와 倭에서만 확인되며, 백제의 장군호 활용이 倭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백제는 중국 왕조의 책봉을 계기로 장군호를 활용했지만 그것은 백제가 중국 왕조의 제후국이기 때문은 아니었다. 백제에는 이미 고유의 관제가 있었기 때문에 北魏의 ‘承制假授’權 부여 사례와 같이 책봉을 계기로 중국의 관직을 설치한 것은 아니었다. 백제왕은 자신의 ‘장군’ 책봉을 계기로 내부적 필요에 의해 장군호를 활용했다. 백제에서 장군호는 한성기 말에 활용되기 시작했다고 판단된다. 왕권이 약화되었거나 혹은 정국이 불안정했던 시점에 국왕의 위상을 높이고 그 지지세력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이유 등 주로 왕권강화와 관련하여 장군호가 활용되었다. 백제에서 중국의 장군호를 정치적으로 활용한 것은 백제사회 전반에 중국제 물품 및 중국 관작에 대한 우호적 인식이 있었던 점과 관련되며, 또한 중국 관작이 정치적으로 효용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King of Baekje temporarily appointed his courtier as general(將軍), which is chinese public office, and received formal approval from the Liu-Song(劉宋) after reporting of the appointment of his courtier to the Chinese dynasty during the last stage of Hanseong Period(漢城期). The temporary appointment of courtier(假授) and the formal approval(除正) by the Chinese dynasty was related to general-title(將軍號) of king of Baekje. King of Baekje got the title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with the chinese dynasty.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was very similar to the appointing general(將軍) and Taishou(太守) of subordinates(府官) by the lord(high ranking general) who``s the chief of general division(軍府). Of course, the general division did not exist in Baekje. Merely, king of Baekje utilized general-title in the capacity of his general-title that was recognized officially by the chinese dynasty.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through the temporary appointment of courtier and the formal approval appears only in Baekje and ancient Japan(倭), and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Baekje’s influence to ancinet Japan in utilizing general-title. Although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was possible thorough the Tributary System, it doesn’t mean that Baekje was royal class nation of Chinese dynasty. There was a unique public office system in Baekje. Because of that, there’s no need to accept chinese public office system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King of Baekje utilized general-title only under the internal necessity. In Baekje, general-title was utilized from the last stage of Hanseong Period. General-title was mainly utilized in connection with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in a very difficult time that royal authority was weaken or political situation was unstable. In that hard times, general-title was utilized with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status and of supporters group of the kingship. The political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had a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al sense of closeness about chinese goods and public office system in Baekje society at large, and it was possible under existence of the political usefulness of the chinese public office in Baekj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