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한국 사회의 동시대 민속음악 – 민속음악의 현대적 재생산과 그 변화의 구조 -

        최리(Ri Choi) 한국민속학회 2023 韓國民俗學 Vol.77 No.-

        현대사회에서의 ‘민속’이라는 것은 한 민족 또는 국가에 과거로부터 존재해온 ‘보통 사람들’의 풍속이지만 그 용어의 대두와 개념에 대한 정의, 그 존재에 대한 가치평가는 근대적이고 학술적이고 또 정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예술은 민중이 삶 속에서의 예술로 음악, 춤, 미술, 문학 등을 아우르는 용어로 비전문자 즉 아마추어 예술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학자들(학과) 따라서는 그들에 의해서 소비되었던 전문가의 예술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로부터 유래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거나 사라진 전통예술 중 특히 민속예술은 현대사회에 이를수록 사람들의 공적/법적인 사회적 계층이 사라지고 삶의 방식이 전지구화됨에 따라 그 개념의 정의와 포함영역이 불분명하거나 혼돈이 일어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먼저 민속학에서 정의하는 ‘민속’을 간단히 살펴보고 나아가 그 안에서 이루어진 민속예술에 대한 논의를 고찰한다. 바우징어의 민속주의 개념을 되짚어보고 현대 한국상회에서의 동시대 민속음악과 그 연구영역을 재점검한다. 이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민속음악은 일상성보다는 오히려 일탈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으며 또 ‘이벤트적 상황’의 음악이 되었으며, 현대의 민속학적 음악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포착하고 민속음악의 음악적 내용과 행위자의 실천, 변화하는 흐름을 사회적 역동과 연결 짓는 작업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 전통음악 중 특히 민속음악은 과거의 민요가 생활 속에서 그대로 전승되는 경우, 국가기관에 의하여 획일화된 교육을 통해 배워지는 경우, 전문 음악인들에 의해 새롭게 발표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승 및 재생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홉스밤이 주창한 “창조된 전통invented tradition”으로서 사물놀이나 창극, 창작국악과 같은 새로운 전통 민속 음악 장르들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은 민속음악의 유지 및 전승에 대한 불안감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고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대중화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한편, 학술적으로는 민속음악의 정의가 확장되어 모호해지거나 민속학에서 전통적으로 정의하는 민속음악의 특징인 구비전승, 일반 민중의 일상화된 민속음악 실천 등이 현대 민속음악을 논의하기에 주요 관찰 지점이 아니라는 시각을 제공한다. 따라서 그간 이루어진 민속음악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을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사회에서의 민속음악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의 민속예술은 과거의 것으로 정형화된 것이 아니라 그 본디의 성질인 즉흥성과 가변성을 토대로 민간에서 실천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조를 가진, 시대상을 집약적으로 반영하는 예술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In Contemporary, folk music is transmitted and reproduced through diverse ways, First, folk music is continued to be practiced in people’s daily lives as live folk music through oral transmission, Second, it is systematically institutionalized by the government and conservation associations, and thus, educated to the general public. Third, folk music, both recreated and newly-created, is reproduced by professional musicians who are trained in universities and art schools. In this process, not only traditional folk music have continued but new folk music genres such as samulnori and changjak gugak(newly-created traditional music), which are in fact “invented tradition”, have emerged. On one hand the positive side of such contemporary production of folk music is that it partially removes concerns about the decline of traditional music transmission and pursues the popularization of the traditional folk music field. On the other hand, however, academically speaking the definition of folk music becomes more ambiguous and flexible. As a result, anonymity, oral transmission, and daily practices within people’s daily lives of which formerly often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are no longer subjects to highlight in folk music research. Thus in this article, I revisit studies focusing on folk music in folklore studies and discuss the scope if contemporary folk music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In the current society contemporary folk music should not be standardized and narrowed down as common people’s music from the past. Rather, based on its crit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rovisational, transformative, and flexible in terms of its structure, folk music should be understood as music that reflects the society and the time period. Folk music in contemporary society is a rather temporal and deviational event than regular and daily practice. Thus, I argue that the study in contemporary folk music ought to highligh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relate the contents, practice, tendency to change to the social dynamics.

      • KCI등재

        한국 민속음악에 대한 만당의 시선과 논의

        임혜정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만당 이혜구 선생님의 한국음악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민속음악의 장단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되었 다. 선생님에게 장단은 한국음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이에 관한 이해를 통해 그 음악의 구조를 살피고자 했다. 특히 민속음악 장단의 학습을 통해 한국음악의 구조를 파악한 경험과 긴장과 이완의 표출로 정의되는 한국음악의 미를 발견한 경험은 이후 한국음악과 관련된 선생님의 논의에 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950년대에 발표된 선생님의 민속음악 연구는 주로 우리의 토속음악을 규명해내는 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과 관련해서는 당시 음악인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궁금증도 그 동기 가 되었겠지만, 양주동, 송석하 등 국문학자 또는 민속학자의 연구 결과에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어 보인다. 실제로 시나위, 도솔가 등의 용어를 연구해 나가는 과정은 양주동의 견해를 가져오거나, 또는 반박하며 진행된다. 즉, 1930년대 이후 선생님은 당시 국문학자, 또는 민속학자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 중에서 우리음 악과 관련된 부분에 흥미를 가졌으며, 1950년대에 민속음악 관련 저술을 집필하는 과정에서는 이에 관한 보충 또는 반론 등을 진행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이후에는 음악학자의 입장에서 음악 용어의 개념을 정립해서 이를 이론적으로 사용해 보고자 시도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장단”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선생님의 논의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러한 장단과 관련된 논의 전개에서 고려해 볼 점은 이미 선생님에게 서구적 사고의 틀에서 비롯된 “음악학”이 각인된 이후, 우리 음악 이론의 체계 정립이 시도되었다는 점이다. 그 과정에서 선생님 은 서양음악이론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개념을 표현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음악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거 나, 또는 새로 만들어 내는 것을 피하려 했다. 각 나라별로, 또는 민족별로 음악과 관련해서 다른 개념을 지닐 수 있으며, 이를 표현하는 음악 용어가 존재할 수 있다. 각 나라별로 문화와 역사가 다르고 음악은 이를 반영하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이를 무시하고 그 나라의 음악에 대한 이론적인 체계를 세우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의문이다. 예를 들자면 우리 음악의 “장단”이라는 용어가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이 과연 선생님이 이를 대신해서 사용하고자 했던 서양음악의 “구(rhythmic cycle, phrase)”라는 용어의 개념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이다. 만약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 체계 속에서 성립된 장단이라는 개념이 서양음악에 없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를 굳이 서양음악에 존재하는 개념으로서 다시 정의를 내려 사용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이 부분은 이혜구 선생님께서 후학들에게 남겨두신 과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Lee Hye-ku Mandang’s interest in Korean music originated from his attempt to understand th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e tried to deeply understand the rhythm of Korean music, and through this, he wanted to know the structure of music. This musical experience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later research related to Korean music Early research, which began in the 1950s, focused on understanding folk music. This trend of research is related to folklore researchers such as Yang Judong and Song Seokha who interacted with him at the time. Since the 1930s, his research has many contents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folklore. His interest was particularly attracted by the musical content that folklore and Korean literature had not yet dealt with. His interest later led to research to establish concepts and terms related to the rhythmic system called Jangdan(장단). His discussions on Jangdan is based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Western musicology. In this process, he may have tried to avoid using traditional musical terms that express concepts that do not exist in Western music theory, or to create new one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different music systems have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each culture, the question of whether music from different cultures can be explained with the same logic arises. Nevertheless, his research achievements to establish the universal concept of Jangdan that can be applied across genres and time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based on this, left a huge legacy in future studies of Korean music.

      • KCI등재

        미국 대중음악의 수용 과정에 대한 민속예술론적 시론(試論)

        김정하(Kim, Jung-Ha)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오늘날 소위 ‘7080 음악’으로 불리는 포크 송 계열의 한국 대중음악이 있다. 이 글은 그 음악이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라는 전제 아래 그 전달과 수용, 향유 및 그 과정에 대해 고찰하려는 시도다. 여기서 다루는 미국 대중음악은 1950년대 전후 미군의 진주와 더불어 ‘미8군 무대’로부터 전달되어 1960년대 말 이후 본격적으로 한국 대중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근대화 일변도의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면서 대중음악을 사회분위기 진작의 도구로 삼으려는 정부는 금지곡 지정과 건전가요 보급 등으로 대중음악을 통제했다. 그런 상황에서 대중음악의 향유 주체인 대중은 미국 대중음악을 재해석하고 그에 자신의 의식을 투사하여 한국화하였다. 특히 1970년대 중반, 사회를 억압적으로 이끌어가는 정부에 맞선 대중은 대중음악의 향유를 통한 우회적 저항을 통해 문화적 주체성을 갖추었다. 이처럼 사회적, 국가적 틀을 뛰어넘은 ‘문화적 위치감각’을 갖게 된 대중은 서구 대중음악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향유를 통해 억압에 저항하고 문화제국주의를 극복하는 법, 즉 ‘문화적 식민 / 반식민’의 대립적 이분법을 초월하는 능동성을 갖추게 되었다. 결국 ‘미8군 무대’ 음악은 미국식 문화제국주의를 확산시키는 수단으로 도입되었으나 대중은 이를 주체적으로 재해석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찾았다. 이는 “강대국 중심의 이식성을 추구한 결과” 아니라 나름대로 당대사회를 비판해가며 문화제국주의를 극복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 글은 그런 미국 대중음악의 전달과 수용, 대중의 향유를 과정과 담당층을 추적하여 이를 민속예술로 볼 수 있음을 밝히려 한 시도이다. This treatise aims at the explaining of the origin of ‘7080 music’ which is boomed in Korean society nowadays. The Korean modern popular music had been originated and affected by the American popular music which are standard pop song, jazz, folk songs, and rock music etc from the ages of the ages of Korean Empire. From then to today, the envious feeling about American culture had been related and evoked especially at the moment to meet ‘stage of U.S. army’ in the early 1950years. Korean people accepted American popular music as the part of colonialism culture in the beginning. However, as times go by, they became to enjoy it subjectively and use it as tools to resist to the pressure of government during society has been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The Korean people’s method of resistance was not to collide against government directly, but they tried to reanalyze Americanized popular music and project their hopeful consciousness for democracy and freedom to it. So ‘the folk song movement’ in the period from late 1960s to early 1970s was resulted as ‘7080 music’ nowadays. Now, Korean people became to be the real subject of their own culture and enjoying the Americanized Korean songs subjectively.

      • KCI등재

        오용록의 현지조사와 민속음악 현장

        이용식 한국국악학회 2021 한국음악연구 Vol.69 No.-

        오용록은 현지조사를 통해 전통음악의 본질을 파악하려고 노력한 학자이다. 오용록의 현지조사 방법론 은 서구의 (음악)인류학에서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우리 학계와 민속음악 현장과 부합 하는 우리식 현지조사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현지조사를 통해 민속음악을 충실히 기록하고자 하였 다. 오용록의 현지조사 방법론과 현지조사 자료의 검토를 통해 한국적 현지조사 방법론의 가능성과 당대 민속음악 현장의 모습을 재구할 수 있다. 오용록은 20세기식 서양학문 방법론에 입각한 학계의 연구방법론을 비판했다. 그는 외부자적 관찰과 내부자적 관찰이 종합을 이루는 시각을 중요하게 여겼고, 내부자적 감수성의 회복을 위해 민속음악 현장을 중요시 했다. 오용록은 1년 이상 현지에 체류하면서 음악문화를 참여관찰하는 (음악)인류학의 현지조사 방법론보다는 장기적 지속적 관찰을 시도했다. 그는 관찰자적 입장으로 객관적 기록을 추구했다. 그리고 그의 기록에 대한 진정성은 조사자와 제보자 사이의 라포 형성에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 오용록의 자료는 20세기 후반에서 21세기 초반의 민속음악 현장과 변화양상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Oh Yong-rok is a scholar who search for the deep structure of Korean music through field-work. His method of field research did not follow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eld research in ethnomusicology. He tried to develop a new method to suit the condition of the Korean musicology and to record the folk music as deep as possible. Through the examine of his field-work method and material, we can develop a new methodology of field research and reconstruct the folk music world of the time. Oh Yong-rok criticized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and orient of Korean musicology which is heavily relied upon the Western academic trend of the 20th century. He emphasized the synthesis of views of outsider and insider and the field of folk music in order to recover the insider’s susceptibility. Oh did not follow the conventional field research methodology of ethnomusicology which needs a year’s participant observation. Rather, his research was a long-term consistent observation. He tried to record the music in objective observer’s view. His sincerity was the key to establish rapport with the informants. His field material is a valuable source to uncover the situation and change of folk music in the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 사료를 통해본 근대초기 한국전통음악의 수용방식 및 활동양상

        이태형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논집 Vol.25 No.-

        본고는 20세기초 한국전통음악의 공연장별 수용방식과 활동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한 논문이다. 먼저 2장에서는 협률사(원각사)나 광무대, 단성사 등 극장별로 전통음악이 수용되는 과정과 레파토리, 이왕직아악부의 활동내용과 레파토리 특히 아악의 전승에 대해 당시 신문기사, 사료를 비롯한 관련 자료집에 실려 있는 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전통음악이 어떻게 대중화되었으며, 이왕직아악부의 활동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근대극장이 음악인들의 다양한 레파토리를 대거 한 공간에 수용함으로써 본격적인 대중화로의 물꼬를 트게 된다. 근대극장들이 수용한 전통음악의 공연내용을 극장별로 구분하자면 협률사(원각사)는 유명한 창우들을 대폭 채용한 관계로 주로 판소리뿐만 아니라 관객들의 새로운 레파토리 요구에 부흥에 창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광무대는 궁중의식음악을 제외한 전 장르의 음악을 대폭 수용하고 있다. 단성사는 사대부와 중인층들의 애호 받았던 풍류음악인 영산회상과 가곡 등을 비롯한 궁중정재를 주요 레파토리로 삼아 상류층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한편 이왕직아악부는 “아악(雅樂)”을 공연 레파토리로 삼고 있었고, 근대극장에 합류하지 않고 독자적인 노선을 걸으며 음악활동을 펼쳤다. 또한 아악생을 모집하여 교육하거나 전통음악의 오선보화 작업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전승하여 조선아악의 전통을 이어나갔다. 게다가 나중에는 사대부의 풍류음악까지 흡수함으로써 오늘날의 정악이라는 장르로 통합되었고, 근대극장에서 수용했던 대부분의 레파토리는 민속악이라는 장르로 통합됨으로써, 오늘날 전통음악이 정악과 민속악이라는 이분구도로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essay is to trace the historical proces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korean traditonal music get the status in modern system of knowledge, especially ‘art’ and ‘music’. we can see the typical case of that process. Chang-ga and Jap-ga contributed in very similar ways to Korean modern musical history in 1910s though they had been born in different background. Chag-ga and Jap-ga were genres of music based respectively on modern education and on modern theater. Their names had been spread into the general population in 1910s with the distribution of modern publications and with the expansion of modern singing culture. which consist of detailed records written after each royal court banquet, constitute a precious source m information for modern-day historians. in case of traditional court banquets, they were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dance, song and perfomance were mostly separate. As the scope of this paper is limited to Jeongjae (court ensemble performance consisting of singing, dancing, and the playing of instruments) among the banquets held by the royal court. The Jeongjae performed included Geommu, Mugo, Hakmu, Pogurak, Seonyurak. Besides, Sajamu, jultagi, and seonsori were demonstrated. Yiwangjik Aakbu reflects certain influence of Western music, especially in the understanding of beat and ornaments of the wind instruments. Its showed the establishment and limitation of the modern civil musical culture in the progress of Korean music history. Each of the transcriptional score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contains its own problems. However, they stem from different standards and ways of expression. Today's transcriptional score of Korean music has undergone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since early 20th century to achieve its advanced form.

      • KCI등재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음악의 러시아 민속음악적 요소에 관한 연구: Scherzo a la russe, Dumka and Invitation to the Trepak을 중심으로

        정윤정 ( Yoon Jeong J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1

        본 논문은 러시아 대표 작곡가인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독주곡 중 Scherzo a la russe (Op.1 No, 1), Dumka,Op. 59, Invitation to the Trepak, Op. 72, No. 18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세 곡은 작곡가의 피아노 작품중 민속적 요소를 함유한 대표적인 작품이며, 본 논문은 세 곡에 나타난 러시아의 여러 민속 요소가 어떻게 작품에 표현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이를 바탕으로 연주자의 곡에 대한 이해와 표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악곡 분석에 앞서 그의 민속음악 작곡기법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는 유년시절과 교육 환경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그가 민속음악을 접하게 된 계기와 그에 대한 관점들을 다루었다. 악곡분석에서는 민속노래, 민속악기, 민속춤 등을 소개하고 이들이 악곡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본논문을 통해 작곡가가 작품에 표현한 민속 요소들을 연주자가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Tchaikovsky’s Russian solo piano music, Scherzo a la russe, Dumka and Invitation to the Trepak. Tchaikovsky grew up in the small town and was educated in the cosmopolitan city of St. Petersburg. From these environments, hiscompositional technique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is analysing folkelements in these three works and helping performers’ understanding and giving ideas for a deeper interpretation ultimately. This document addresses Tchaikovsky’s exposure to Russianfolk music in his early years, and his approach to folk music.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 and analyse the use of folk songs, folk dances and folk instruments in three pieces. Tchaikovsky’s piano writing as they appear in three works pianis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quality.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피아노 악곡을 활용한 신체 표현 음악지도

        이연경 ( Younkyung Lee ),진정아 ( Jeong-ah Ji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0 음악교수법연구 Vol.6 No.-

        음악 수업에서 신체 표현 활동은 기본 박과 음가에 대한 감각 및 리듬 협응 능력을 계발하고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 개념의 이해를 도모하고 학생들에게 친숙한 악곡을 소재로 민속 춤곡의 요소를 도입하여 전개될 수 있는 신체 표현 교수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신체 활동은 음악과 동작을 민속 춤곡과 연계시킨 필리스 웨이커트(Phyllis Weikart)의 리듬 동작 이론에 근거하여 구안되었다. 웨이커트의 민속 춤곡 기반 신체 표현 활동에는 음악 학습 소재로 짧은 기악곡이나 친숙한 노래 등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 표현 활동에 필요한 악곡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대별, 작곡가별로 광범위하게 피아노 소곡과 학생들에게 친숙한 명곡들을 중심으로 교재 악곡을 수집 조사하였으며 악곡 분석에 근거하여 신체 표현을 통한 음악 개념 지도에 효과적인 곡들을 선정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악곡을 소재로 악곡에 사용된 주요 음악적 개념과 특징적 요소를 동작으로 구안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한정된 지면 관계상 세 곡을 중심으로 실제 지도를 위한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교수 전략은 기존의 단편적인 신체 표현 지도 방법에서 벗어나 실제 음악 작품을 소재로 곡 전체를 신체 표현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악곡의 음악적 특징에 민감한 반응을 유도하면서 음악적 이해력과 표현력 및 연주력을 강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교수 아이디어는 악곡을 활용하여 민속 춤곡 형태로 동작을 구안하여 신체 표현 학습을 계획할 수 있는 교사들의 교수 기술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body movement in music instruction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n awareness of basic steady beat, rhythmic coordination, and timing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ideas on body movement through the use of beginning folk dance movements. The movement activities suggested in the study is based on the music teaching method through movement and dance, which was proposed by Phyllis Weikart, a specialist in music and movement education. Weikart developed the rhythm program focusing on folk dance-based movement activity using instrumental music and familiar songs. Selection of musical composition is important in planing Weikart``s movement activities. The study devised body mo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for selected musical examples and by applying Weikart``s rhythm motion theory. The study presented the instructional model to illustrate the ways of creating body movement using short musical pieces. Because of the limited pages for the paper, the study provided the sample lessons for three pieces. In order to provide teaching literature necessary for the movement activities proposed in this study, the study surveyed and collected considerable amount of easy piano pieces and familiar instrumental music. Then,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collected works to select musical pieces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in teaching bodily movement and promoting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elements of students in elementary music classroom. It is expected that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in this present study foster the musical expression through body movement and musical rhythms and reinforce the musical concepts which affect the student’s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 of musical basics. It is hoped that the teaching idea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help the teachers to develop the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 movements for musical pieces in their classroom.

      • KCI등재

        한국음악 연구 방법의 새로운 패러다임 - 오용록의 민속악론을 중심으로 -

        김인숙 한국국악학회 2021 한국음악연구 Vol.69 No.-

        오용록이 수행한 민속음악의 연구 분야와 성과를 통하여 오용록이 보여준 민속음악의 대상과 개념에 대한 통찰을 살펴보고 그가 제시한 연구방법론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오용록의 학문 구상은 음악의 갈래나 분야에 따라 구별되거나 나뉘어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주제 의식은 전통적 사고방식을 체계화함으로써 기저의 음악 심층을 파악하는 일에 있으며, 전통적 사고방식을 재확인하고 새롭게 창조하는 작업으로 요약된다. 오용록은 한국음악학이 태동한 이래 대부분의 학자들이 주력해 왔던 음악의 구조에 대한 집중에서 벗어 나 이와는 다른 차원의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그동안의 연구가 악보의 분석과 선율 비교, 악곡 비교 등을 주로 논하는 음계와 선율, 악곡의 구조, 악곡간의 관련성 등에 주목했다면 오용록은 그러한 결과를 있게 한 동인(動因)의 파악에 더 주목한다. 그의 연구에서 제시한 바 구체적인 선율의 모체로서 숨어있는 ‘구조선 율’에 대한 개념이나, 정적 음계론을 극복하고 선율적 움직임이 내재된 동적 음계론으로 파악하려는 구상 등은 이와 같은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오용록에게 전통음악이란 기층과 상층의 구도로 나뉘며 이들이 각각 상부의미체계 또는 하부의미체계와 상호 작용하여 생성하는 ‘이야기’를 의미한다. 이 이야기들은 고정적이거나 확정적인 대상이 아닌 변화하고 창조되는 실체이므로 입체적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오용록의 연구는 대상의 속성에 방법이 내재 해 있다는 통찰에서 출발한다. 그 내재적 속성에 대한 성찰과 발견을 통해 전통적 사고체계를 계승하고자 한 점에서 한국음악학의 질적 연구를 개척한 학자로 평가할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Oh Yong-rok's insights into the objects and concepts of folk music through the fields and achievements of his research, and considers the research methodology presented by him. Oh Yong-rok's academic ideas do not exist as distinct or divided by the branches or fields of music. His theme is to systematize traditional thinking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usical depth. At the same time, it implies the task of reaffirming and creating a new way of thinking by identifying the changes in the deep layers. Oh Yong-rok suggests a different level of research, away from the focus on the structure of music that most scholars have focused on since the birth of Korean musicology. There’s been a lot of research on the connection between scales, melodies, structure of musical pieces, and the music itself , which mainly discuss the analysis of sheet music, melody comparison, and music comparison, Oh Yong-rok pays more atten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primary cause which made these results. The concept of "structural melody" hidden as the musical matrix of his research, or the idea of overcoming static scale theory that presents the melody as a compositional sound and identifying it as a dynamic scale theory with embedded melodic movements, came from this consciousness. For Oh Yong-rok, traditional music is divided into two levels of composition : the base, the top. It means a "story" that they create by interacting with the upper aesthetic system or the lower aesthetic system, respectively. These are stories that should be understood in three dimensions as changing and creating entities, not fixed or definitive objects. Oh Yong-rok's work starts with the insight that the method is inherent in the object itself. In conclusion he is regarded as a scholar who pursued the qualitative study of music in that he sought to inherit the traditional thinking system through reflection and discovery of its inherent attributes.

      • KCI등재

        Musical Nationalism in Russians’ View: Based on Vladimir Stasov’s and Arthur Lourie’s Writings

        LyudmilaGauk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이화음악논집 Vol.21 No.3

        Nationalism in music is often association with Russian composers, such as Mikhail Glinka, Alexander Borodin, Modest Mussorgsky, Peter Tchaikovsky. But how national is their music? The concept of‘nationalism in music’ according to western musicology, means a conscious use of actual folklore or/and local heritage recognized as belonging to one’s own nation. However in Russia, such definition has been frequently changed. To be exact, the music composition using folkloric tunes yet employing western musical forms, can be hardly considered as true national one. This article analyzes three writings by Russian music critics. They are “Our Music”(Нашамузыка, 1883) by Vladimir Stasov, “At the Crossroads: The Culture and Music”(Нараспутье: Культураимузыка, 1922) and “The Ways of the Russian Music”(Путирусскоймузыки, 1933) by Arthur Lourie. In these writings, first I explore what the term “nationalism in music” is meant in the view of Western and Russian musicology. The second, how differently the national identity in music was seen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of the twentieth century. Finally I will examine what caused changes on the view of national identity in Russian music. 미하일 글린카, 알렉산드르 보로딘,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 표트르 차이코프스키. 이들은 모두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과 관련된 작곡가들이다. 과연 우리는 그들의 음악을 민족주의 음악이라 말할 수 있는가? 서유럽 전반에 걸쳐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음악에서도 민족주의라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음악에서의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서구 음악학에서 나온 것으로, 그 나라 고유의 것으로 인정받은 민속 문화 혹은 순수 전래 문화 유산을 음악에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러시아의 경우에는 그러한 정의가 변화되어 왔다. 정확히 말하자면, 민속음악 선율을 사용하고 유럽음악의 형식으로 민속 음악을 포장한 음악들이 진정한 러시아 국가의 음악으로서 평가 받기는 어려웠다. 본 논문은 러시아 음악 비평가들이 저술한 3개의 비평서 -블라디미르 스타소프 (Vladimir Stasov)의 “우리의 음악”(Our Music, 1883)과 아르투르루리에(Arthur Lourie)의 “문화와 음악의 갈림길”(At the Crossroad: The Culture and Music, 1922), “러시아 음악의 방향”(The Ways of the Russian Music, 1933)을 분석 연구한 것으로, ‘음악의 민족주의’라는 개념이 유럽과 러시아 음악학에서 어떤 관점과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이 논문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음악에서의 민족적 정체성이 어떻게 다르게 변해 왔는지, 무엇이 음악에 있어서 민족적 정체성의 관점을 바꾼 것인지에 대한 비평적인 접근이다.

      • KCI등재

        무형문화재의 명칭 및 미지정 종목의 검토와 보존을 위한 박물관의 역할

        서한범(Suh Han-Beom)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본고에서는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중 〈음악〉 분야에 지정되어 있는 명칭들의 검토와 추가 지정이 필요한 종목들의 추천, 그리고 복수보유자 제도에 대해 검토해 본 글이며, 아울러 이러한 전통음악과 관련하여 박물관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논의해 본 글이다. 그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지정되어 있는 음악종목 중, 그 명칭을 검토해 보아야 할 종목들은 다음과 같다. 1. 선소리 산타령(제 19호). 2. 피리정악 및 대취타(제 46호). 3. 남도들노래(제51호) 4. 대금정악(제20호) 5. 가야금산조 및 병창(제23호) 6. 경기민요(제57호) 7. 서도소리(제29호) 8. 가곡(제 30호) 둘째, 현재 지정되어 있는 음악분야의 종목이외에 역사적, 또는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고 인정되어 추가지정을 검토해야 할 종목들은 아래와 같다. 1. 거문고 〈가진회상〉. 2. 가야금 〈가진회상〉. 3. 해금 〈가진회상〉. 4. 아쟁산조. 5. 시나위합주. 셋째, 음악종목의 예능보유자는 단체나 개인종목에 따라 그 수(數)가 다르겠지만, 다음의 이유로 복수 보유자제도를 권한다. 1. 변형을 방지하고 원형을 정통성 있게 계승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보유자의 단수제보다는 복수제가 바람직하다. 이미 일부 종목은 복수제를 실시하고 있다. 보유자가 신체의 연로(年老)나 병약(病弱)을 이유로 전수 조교가 아닌 주위사람들에게 전수활동을 위임 한다면 이는 무형문화재의 전승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보유자의 복수제도는 이를 방지할 기능을 갖게 될 것이다. 2. 과거와는 달리 능력자가 분야마다 늘고 있는 실정인데, 보유자 자리가 소수 특정인을 위한 자리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복수보유자의 인정 제도는 이를 불식시키게 될 것이다. 3. 경쟁과 견제의 기능으로 활발한 전승구조를 유지하려면, 국가가 지정한 무형문화재의 계승은 2인 이상의 복수제도가 보완책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넷째, 전통음악과 관련하여 박물관의 역할을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립민속박물관의 〈토요상설공연〉과 〈일요열린민속부대〉는 어린이, 청소년, 소외계층,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리기 위한 성공적인 공연 활동으로 평가된다. 차제에 보다 다양한 종목이 공연될 수 있도록 문호를 넓혀 나가야 할 것이며, 형식적이고 명목상의 지원이 아닌 실질적인 지원체저가 마련되어 공연의 수준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2. 〈박물관은 = 평생 교육의 장〉이라는 인식을 일반 국민들에게 확고히 심어 주어야 한다. 3. 전통음악과 관련한 영구 자료실의 신설이나 확충은 시급하다. 국가가 할 일을 개인들이 소규모로 운영하기도 한다. 옛 악기와 악보, 연주복색, 연행형태, 음반자료, 악인들의 초상화, 등 귀중한 자료들이 더 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수집하고 보존을 서둘러야 한다. 4 박물관에서 전통음악의 실연(實演)기회를 확대해 나가는 길은 곧 박물관이 무형문화재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증거이다. 유형 중심에서 무형문화재를 포괄하는 변화된 박물관의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aper aims to review designated names of music area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Korea, and to recommend necessary items, and to discuss multiple processor system. The paper examined traditional music related roles of museums as follows: Firstly, current music items below were demanded to make correction and change: 1. Seonsori Santaryeong (No. 19). 2. Pirijeongak and Daechita (No. 46). 3. Namdodeulnorae (No. 51) 4. Daegeumjeongak (No. 20) 5. Kayakeumsanjo and Byeongchang (No. 23) 6. Gyeonggi Minyo (No. 57) 7. Seodosori (No. 29) 8. Kagok (No. 30) Secondly, in addition to several items of current music areas, the items below were demanded to appoint them additionally considering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1. Keomunko 〈Kajinhoisang〉. 2. Kayakeum 〈Kajinhoisang〉. 3. Haekeum 〈Kajinhoisang〉. 4. Ajaengsanjo. 5. Sinawi Habju. Thirdly, artistic accomplishments processor of music item had different number depending upon group and individual item: A multiple processor system was recommended because of the reasons below. 1. To prevent deformation and inherit and preserve original forms, a multiple processor system was better than single processor system Some items had already adopted a multiple processor system. If a processor was forced to entrust transmitting activities not to transmitting experts but to acquaintances because of age and weakness, transmission of intangible assets might have serious problems. Therefore, a multiple processor system could have a preventative function. 2. Being different from the past, the number of eligible persons increased at each area: The position of an artistic accomplishment processor was thought to be made for small number of special persons. A certification system of multiple processor system could overcome the problem. 3. To keep active transmission system by competition and restraint, a multiple processor system having two or more processors would be a complementary way to inherit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minated by the Government. Fourthly, traditional music related roles of museum were discussed as follows: 1. Both “Saturday permanent performance” and “Sunday open folk stage”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ere thought to be successful to inform children, the youth, minority and foreigners, etc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taking this opportunity, doors should be opened to perform various kinds of items not by formal and nominal support but by substantial one to elevate levels of performance. 2. The thought of “A museum being a place of lifetime education” should prevail firmly among common people. 3. Traditional music related library was urgently demanded to open and expand. Individuals managed in small scale what the Government had to do. The library had to collect and preserve valuable material in good conditions, such as old musical instrument and musical note, musical performance dress, types of performance, phonograph record material, portraits of musicians and others. 4. Expanded performance opportunities at museum evidenced that the museum was interested 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museum was demanded to accommodate not only tangible cultural assets but also intangible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