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傳 尙州出土 韓國式銅劍期 靑銅遺物의 性格

        홍지윤(Hong Ji Youn)(洪志潤) 중앙문화재연구원 2005 중앙고고연구 Vol.0 No.1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출토되는 청동유물은 서북한지역의 정치·사회적 변동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상주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청동유물도 한국식동검문화의 획기 변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상주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은 1922년도 고적조사보고에 수록된 동령류 등의 의기류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낙동리 출토 청동일괄품 등이 있다. 이들 유물은 각각 한국식동검문화 I기와 II기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적 조사에서 확인된 병성동의 초기철기시대 수혈유구와 금흔리의 주머니호 등과 각각 통한다. II장에서 유물의 특징을 보고된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교차편년을 통해 이들 유물이 갖는 대체적인 편년적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 유물의 출현배경과 상주에 이들 유물의 등장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IV장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상주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중 고적조사보고서에 기록된 동모·동검·동령류 세트는 기원전 200~100년 사이의 연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청동유물은 기원전후한 시기를 중심 년대로 설정할 수 있었다. 동령류 등 의기류는 한국식동검문화 I기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 금강유역권과 밀접한 관련하에 등장하였고, 상주가 제정일치 사회의 군장이 거주하였던 핵심지역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청동유물은 한국식동겸문화 II기의 특징을 나타내며, 영남 남부지방과의 교류에 의해 그 문화를 수용하였으며 낙동강을 통한 대외 교류의 단면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bronze remams excav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ppears in the process of the change in politics and economics of west-northern region of Korea and the bronze remains reported to be excavated in Sang-ju has the same way of epocal change in korean sword culture. For the bronze remams excavated in Sang-ju, there are 의기류 including 동령류 recorded in the paper of 『historical remains research』 in 1992 and the bronze bundle remains excavated in Nakdong-ri in the possession of museum in Ewha-woman's university. These remain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1st period and 2nd period of bronze sword culture in korea and there are the hole remains of the early Iron age in Byeongseong-dong identified in the remains-examination and the pocket knife remains in Geumheun-ri, etc .. In the chapter II , we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ams centering the recorded materials and in the chapter III, through the way of crossing recording we chase the summary place of these remams chronologically. And standing on these things, we try to look into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it and the meaning of that. We can set up the chronological place of bronze lance, bronze sword and 동령 recorded in the report of historical remains research ,between AD. 200 and AD. 100 and the bronze remains of museum in Ewa woman's university, before and after an apoch. 의기류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period of bronze sword culture and that appears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culture of Geum river and we can presume that Sang-ju is the core region where the military funeral of community in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age lives. The bronze remains of museum in Ewa woman's universit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nd period of bronze sword culture and it is presumed to accept that culture and maintain the system of political organization through the exchange with Youngnam, southern province.

      • KCI우수등재

        문화유물론: 관념론적 문화론의 해체와 예술과 일상의 화해

        김기정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4

        Cultural materialism still provides important conceptual re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cultural landscapes. It is a concept created by Raymond Williams, who is regarded as the founder of cultural studies, to build a framework for materialistic understanding of culture. Williams sought to overcome both idealistic cultural theory and vulgar Marxism, which nearly means economic reductionism, while attempting to establish a materialistic concept of culture based on tradi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by accepting theoretical achievement of post-structuralism.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some of the core contents of cultural materialism, together with recent works on Williams and cultural materialism. Cultural materialism has exposed the hidden partisans surrounding culture under Marx's humanistic tradition of the public. In addition, it broke the vertical structure of power relations in the cultural domain, while at the same time giving priority to the rationale of delving into everyday life, to which a new ontology was given. Raising problems and providing solutions may still be evaluated experimental and radical at this point. However, it is as ever valid and important to us in terms of having the potential and power to solve various difficulties that conventional culture theory has not solved. 현재의 문화적 지평을 이해하기 위해 여전히 중요한 개념적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문화유물론은 문화연구의 정초자로 평가받는 레이몬드 윌리엄스가 문화에 대한 유물론적 이해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만든 개념이다. 윌리엄스는 관념론적 문화 이론과 경제 환원주의에 가까운 속류 마르크스주의 양자를 극복하면서 후기구조주의의 이론적 성과를 받아들여 사적 유물론의 전통에 입각한 문화에 대한 유물론적 개념 수립을 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물론의 핵심적 내용 일부를 윌리엄스와 문화유물론에 대한 최근까지 이루어진 연구들과 함께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문화유물론은 대중에 대한 마르크스의 휴머니즘적인 전통 아래 문화를 둘러싼 숨겨진 당파성을 폭로하고, 문화적 영역에서의 수직적인 권력관계를 파기함과 동시에 일상에 새로운 존재론을 부여함으로써 일상에 천착할 당위성을 누구보다도 우선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문제 제기 방식과 해법은 현재 시점에서도 여전히 실험적이며 급진적이라 평가될 수 있겠지만, 종래의 문화론들이 해결하지 못한 여러 어려움들을 해결하는 잠재성과 파급력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하고 중요하다.

      • KCI등재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이주강(Lee, Joo-gang)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7

        본 논문은 유교문화 전공자가 세계유교문화박물관의 디지털 아카이브에 탑재될 디지털 유물 수집을 담당하는 한국국학진흥원 팀에 속해 사업 초기에 과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상으로 적합한 아이디어와 유관 사업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라키비움[Larchiveum]은 도서관[Library]·기록관[Archives]·박물관[Museum]의 합성어로서, 과거에 별도로 존재하던 세 기관의 기능을 융합하여 이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자원을 제공하는 통합형 수집기관이다. 세계유교문화박물관은 처음부터 라키비움의 형태를 지향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장고가 없는 디지털 박물관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이럴 경우 박물관과 아카이브 등 서로 다른 영역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고, 유물 수집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아카이브에는 크게 순수 아카이브와 박물관형 아카이브가 있는데, 순수 아카이브가 ‘유일성’을 강조한다면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복제 가능성’의 경우도 중요시한다. 세계유교문화박물관의 아카이브는 박물관형 디지털 아카이브에 해당하며, 디지털 유물을 ‘배타적으로 획득’하는 대신, ‘민주적으로 공유’하는데 초점을 둔다. 다시 말해서 세계유교문화박물관 아카이브에 탑재된 디지털 유물은 다른 아카이브에서도 동일하게 볼 수 있으며, 디지털 유물 수집 또한 타 기관 소유 디지털 유물의 적극적 공유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아카이브의 독자성은 어떤 유물을 소장하고 있느냐가 아니라, 소장하고 있는 유물을 어떤 방식으로 분류하고 체계화하며 나아가서 end-user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끔 도울 수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본 연구물은 향후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가 장기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서 크게 두 가지를 다루었다. 첫째, 세계유교문화박물관은 보편적인 유교문화를 다루지만, 동시에 지역 박물관에 해당한다. 장기적으로 박물관과 아카이브가 세계의 여타 유교 박물관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자기만의 고유한 정체성과 브랜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세계유교문화를 광범위하게 다루되 출발점이자 중심점을 안동으로 두는 방안을 제안했다. 둘째, 아카이브의 이용자가 수동적 고객에서 적극적 참여자로 변화하는 21세기의 트렌드에 맞춰, 세계유교문화박물관의 아카이브 또한 이용자의 ‘민주적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편이 장기적으로 볼 때 바람직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를 통해 세계유교문화박물관은 보편을 다루면서도 특수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실물로는 지역 박물관이지만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세계의 이용자들을 참여시킬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firstly aims to find practical ideas on how to build the digital archive which belongs to the digital lachiveum in the early stage. Larchiveum is a compound word of library archives and museum. It is an integrated cultural information centers unifying function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This cultural complex also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nd resources.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was designed with the concept of lachiveum from the beginning, and it is a virtual museum without the real artifacts. In this vein,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has at least two advantages: first,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different sections such as museums and archives. Second, it can save time and cost for collecting artifacts which are digitalized. Meanwhile, there are two types of archive in a broad sense: pure type archive and museum type archive. The former emphasizes ‘originality’ while the latter embraces the importance of “replicability.” The digital archive of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corresponds to the museum type archive, and it focuses on ‘democratic sharing’ instead of ‘exclusive acquisition.’ That is to say, digital artifacts which are on the archives of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can be shown to the other archives. At the same time, the way to collect digital artifacts is done by active sharing them with other organizations. And the identity of this archive is achieved not by possessing rare relics, but by categorize and systematize the shared data in its own way. This paper deals with two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the good of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in the long term. First, although this lachiveum deals with universal issues about Confucian culture, it is actually a local museum. That is, without cooperation with local society and local government, it can hardly survive. At the same time,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should have its own identity and brand to compete other Confucian museum worldwide. Henceforth, we offered the solution that the structure of the lachiveum should start from the Confucian legacy of An-dong city and then extend its boundary to the world Confucian culture. Second, users of archives nowadays change from the passive guests to the active participants. Following this trend,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archives should evolve to widen the possibility of user‘s democratic participation. With these two achieved, the World Confucian Cultural Museum can be both local and universal. And it also let users from all around the world participate in the archive in spite of its locality.

      • KCI등재

        의성 지역 역사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제안 : 조문국 금동관과 토기를 중심으로

        이은주,김미경,김영선 한국지역문화학회 2019 지역과 문화 Vol.6 No.3

        삼한시대 조문국(召文國)이 존재하였던 의성지역의 금성산 고분군에서는 금속제 장신구, 의성양식 토기 등 다수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나 출토된 유물을 문화상품 개발에 활용한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성 금성산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 중 조문국 문화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대표 유물을 선정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디자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상징 유물을 선정하기 위하여 탑리리 고분군과 대리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속제 유물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고찰 결과, 탑리리 고분 출토 금동관을 의성 조문국의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유물로 선정하여 기본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기본디자인은 세움 장식 가장자리의 새 깃털 형상과 봉의 서식지인 봉대(鳳臺) 기록을 근거로 새 모습으로 표현하였으며 새의 얼굴 표정에 변화를 준 응용디자인을 제시하여 일례로책갈피 도안에 적용해 보았다. 한편 의성지역 출토 토기는 토분으로 활용하여 실내 공기를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에 적용하였으며 금동관에서 도출한 디자인을 토분 팻말에 적용하여 식물 이름과 식물의 공기정화 효과, 그리고 식물의 관리법 등을 적는 용도로 활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해석하고 재구성한본 연구의 결과는 조문국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연구의 결과는 의성지역에 소재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상품을 위한 기초적 디자인을 제시하고 접목한 사례에 불과하지만 의성지역 문화재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추후 의성지역 문화상품개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 관련 법제의 변천과 내용분석

        남보라(Nam Bo Ra),서순복(Seo Sun Bo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3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관리정책은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09년 수정보충된 '문화유물보호법'과 이 법을 기초하여 2012년에 제정된 '문화유산보호법'은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와 관련된 법제는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되며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비물질문화유산'(남한의 '무형문화재'와 유사한 개념)의 법제를 통한 관리는 '문화유산의 개념'부터 '발굴과 수집', '평가와 등록'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남한과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장 큰 차이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였다. 최근 이런 변화는 201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으로 '개성역 사유적지구(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가 등재되기에 앞서 제시된 유네스코의 권고사항과 현재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서 처해 있는 북한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치판단이 개입되고 있으며, 따라서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원상대로 보존'은 남한의 '원형유지'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의 문화유산을 직접 접촉하여 향유하고 보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요원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법제나 연구자료 등과 같은 다양한 자료들을 통한 체계적인 연구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apid changes started to happen to the policies to protect and manage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2000s. North Korea's interest in its cultural heritage was reflected in ≪The Law on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revised and complemented in 2009 and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enacted in 2012 based on it. The North Korean law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are changing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systemicity, segmentation,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e management of 'Immaterial Cultural Heritage'(similar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South Korea) through those laws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from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o 'excavation and collection' and 'evaluation and registration' and resolved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ose recent changes are the results of reflecting the recommendations by UNESCO before the registration of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as 'UNESCO World Heritage' in 2013 and the reality of curr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in North Korea. However, value judgments are included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which means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o their preservation in original state' in North Korea and 'to preserve them in their original state' in South Korea. It is an unrealistic wish to make first-hand contact with, enjoy, and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of North Korea in South Korea, whose systematic researches based on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concerned laws and research findings will be able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of North Korea.

      • KCI등재

        민속박물관과 현대생활자료

        천진기(Cheon Jin-Gi)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우리들은 물건(things)과 역사(history)에 둘러싸여 있으나, 주변을 구성하고 있는 물건을 과거를 이해하기 위해 활용하지 않는다. 물건을 창안했고, 사용했고, 버렸던 사람과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책을 읽는 노력만큼 물건을 읽으려고 하지 않는다. 이것은 물건으로부터 역사를 읽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물건은 단지 문헌자료만을 읽을 줄 아는 사람들에게는 읽혀지지 않는다. 물건은 과거로부터의 판결만을 들으려는 사람들에게는 침묵한다. 그러나 물건은 말하며, 읽혀 질 수 있다. 물건이 문화라기보다는 물건은 문화적 산물이다. 보고 만질 수 있는 물건을 만들어낸 디자인 구상과 제작방법, 그 이유 등 인간의 지식이 물건에 포함되어 있다. 물질문화연구는 바로 그 물건을 만들어낸 문화 속에서 그 물건의 의미하는 바를 찾아야 한다. 물질문화는 그 물질적인 생산물을 통한 문화의 명시(明示, Manifestations)라고 말할 수 있다. 물질문화에 대한 연구는 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물건의 연구이며, 일정기간 내의 특정한 공동체나 사회의 관념체계-가치, 사상, 태도와 가설-를 밝히는것이다. 사람들이 만든 물건에는 그것을 주문하거나, 조립하거나, 구입하고나 사용한각 개인들의 관념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반영되어 있으며 더나아가 이들 각 개인들이 속한 좀더 큰 사회의 관념체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민속은 과거시제가 아니라 현재시제이며, 아니 미래시제로도 연결되는 것이다. 과거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것은 그것이 후대(後代)에 대한 우리의 의무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미래는 과거에서 만들어진다. 20세기의 생활자료를 '문화유산(文化遺産)'이라 하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 그러나 옛날 사람들도 청자나 백자, 그리고 목가구나 옷가지가 유물이 되리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지만 이것들은 오늘날 문화재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 주변에 있는 생활자료들이 지금은 효용가치가 끝나 창고나 쓰레기통에 버려지고 있지만 앞으로 21세기의 삶을 이야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이자 역사(歷史)가 될 것이다. 우리가 조각난 퍼즐로 역사를 복원해야 했듯이 후손들이 난지도의 쓰레기를 발굴하여 어색한 21세기의 문화복원 위해 헛되이 애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민속의 현재적 기술과 현재의 생활자료 연구와 수집을 정말로 시작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대량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현재의 생활방식 속에서 어떤 자료를 수집할 것인가도 중요하다. 수 천 수 만 가지의 생활자료를 모두 수집 보관할 수는 없다. 이때는 우리는 조사연구를 통한 기록화와 생활유물의 수집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기록화란 조사 연구하여 영상매체 또는 보고서로 기록해 두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을 의미한다. 현대생활에 필요한 물건의 가지 수와 종류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곳은 아마 대규모 할인매장일 것이다. 이마트, 농협하나로마트, 백화점 등에서 취급하고 거래하는 생필품의 물건의 수와 명칭을 조사한다면 현대 생활자료의 파악은거의 다 될 수 있을 것이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시대의 물질문화연구는 종래와 달리 이런 접근방법도 용이할 것이다. 박물관의 수집은 지역별로 각각의 집을 표본추출하여 그 집의 생활방식과 자료에 대한 총조사를 하고, 그것을 수집하여 연구 보존하는 것이다. 생활문화 관련 유물 수집은 역사성 → 현재성, 희귀성 예술성 → 생활문화적 맥락, 구입을 통한 수집 → 생활문화적 맥락에서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한 기록화와 수집 보존 등으로 일단 요약할 수 있다. We have been actually surrounded by miscellaneous things and their history but they have been virtually no use in understanding the pa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ople who invented, used, and disposed the things, we would read books rather than utilize the things composing our surroundings.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read history through the things. To whom can only read literatures, things are unreachable. They have kept silent to whom seeks the judgement from the past. Things do speak and read history. Things can be expressed as cultural products rather than culture itself. It includes human knowledge in designing and making process of visual and touchable things. Accordingly, material culture studies aims to find the meaning of things in relation to its background culture. Material culture is a kind of Cultural Manifestation by means of material product. Research in the material culture aims to understand certain culture by investigating things and to reveal conceptual schemes(values, ideologies, aspects and hypotheses) of particular communities or societies in a certain period. Every man made material reflects various ideas of individuals who ordered or assembled or purchased or used, in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and direct or indirect ways. Moreover it also reflects further expanded ideas of the society as a whole which includes each individual. Folklore exists not in the past tense but the present tense and also links to the future tense. The reason why we preserve and transmit culturally significant things is not because that is our ethical mission to our descendants. Future is caused by the past. It might be premature to say living materials in the 20th century are cultural heritage. Ancient peopel, however, would have never expected that their celadon, white porcelain or wooden crafts and garments could be cultural heritage but they have become so. Accordingly, modern living (ethnographic) materials with no more use dumped into the rubbish bins might be important resources and history to tell our 21st Century lives. It is time to make a sincere start in acquiring modern folk and ethnographic materials so that our ancestors won’t make any vain efforts to restore the 21C culture by excavating wastes as we have restored our history with broken evidences. In modern times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is important that to decide which material should be collected. We can not manage to collect and store thousand and hundreds liv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take two simultaneous activities: documentation and acquisition of living materials filtered by academic research. When it comes to documentation, people easily come across visual and written recordings through investigation and research. It may be huge supermarkets to be able to find how many and which kinds of living essentials there are. Investigation on the quantity and kinds of living essentials in E-mark, Nonghyup Hanaro mart, and other department stores can explain the overall situation of modern living (ethnographic) materials. It is interesting that the era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s brought this methodology of material culture research. Museum acquisition is to carry out regional sampling by selecting sample houses, to investigate the living style and materials in each house in a comprehensive way, and to acquire them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preservation. Finally, I would conclude this page by mentioning the procedure of ethnographic collecting activities: historic value→contemporary value, rarity and esthetical value→ethnographic context, acquisition through purchasing→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based on research in conterxt of ethnography.

      • KCI등재

        지역 출토 유물을 모티브로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2

        The paradigm of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ment which symbolizes and expresses culture is changing. We often see cases that products are transformed into more meaningful value-added product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such as storytelling rather than pursuing only economic benefits. It can be possible to positioned as a creative and unique cultural product, if the relics have the characteristics which introduces the special cultural value of the area. Regardless of the long history, the Naju province is very insubstantial in the design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develop visual design elements by using artifacts that symbolizing traditional culture inherent to very unique. We focused on developing cultural product designs with living accessories and personal ornaments that can be utilized much in real life and anyone can feel free to buy. We have been observed specialty of brand identity of relics which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such as bracelets, necklace and rings and we used as a jewelry design motif. We also considered an implicit meaning of expression that can double the effect of learning applied to cultural products by museum education and outdoor activities. We designed six basic design prototypes and applied to the design of application design and proposed 10 prototype cultural products. In this research, it can be applied not only development of local specialized cultural products but also applied to programs mainly focusing on museum education and experiences targeting to local residents as various cultural programs by motifs of excavated relics. Eventually, it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in the Naju area even though it is limited due to lack of representing cultural product for now. 문화를 상징하고 표현하는 문화상품 개발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상품의 속성만을 추구하기보다는 역사문화적인 요소들에 스토리텔링 등이 더해지면서 보다 의미 있는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변모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특히 지역적 특성을 지니거나 지역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의 이야기나 형태들이 주인공이 되어 상품에 도입하게 된다면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독창적이면서도 차별화되는 문화상품으로의 자리매김이 가능하다고 본다. 나주지역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나주지역의 아주 오래된 지역 고유의 전통 문화를 상징하는 유물들을 활용하여 시각 디자인적인 요소를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실생활에서 많이 활용될 수 있는 생활 소품이나 액세서리 중심으로 개발함으로서 누구나 가볍게 구매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문화상품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의 특징을 고려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주목하고자 하여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 자체의 디자인이나 컬러 및 발굴 상태 등을 고려하여 목걸이나 팔찌 또는 반지 등 몸에 두르는 장신구들의 특징을 잘 관찰하여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특히 박물관 교육이나 체험 활동에 접목시켜 활용할 수 있는 문화상품에도 적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함축적 의미 표현을 고려하였다. 기본디자인(Basic Design) 6개안 제작 후 응용디자인(Application Design)에 적용하여 10개의 문화상품의 시제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출토 유물을 모티브로 한 지역 특화 문화상품 개발은 물론, 박물관의 교육과 체험 위주로 프로그램에 응용할 수 있으며 지역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의 소재로 확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궁극적으로 열악한 지역을 상징하는 문화상품이 부족한 상황에서 다소 한계가 있으나 나주지역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문화관광상품개발을 위한 3D콘텐츠연구: 신라유물을 중심으로

        이창진 한국문화산업학회 2023 문화산업연구 Vol.23 No.2

        최근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적 특성으로 지역경제와 문화의 활성을 계획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늘고 있다. 저출산 및 고령화라는 사회적 문제로 인해 지방의 소도시들은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로 인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정체성 재확립과 지역의 홍보효과를 증대하고자 지역적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의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차별화된 문화관광상품은 지역의 경쟁력 강화 및 이미지 향상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경상북도 경주시는 신라의 역사, 문화가 현재까지 지역의 곳곳에 살아 숨 쉬는 국내의 대표적 관광지다. 많은 지자체에서 관광콘텐츠의 개발을 위한 지역적 원천소스(source) 연구와 고부가가치 문화관광상품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많은 이유로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지역 내 문화관광상품개발에 접목이 가능한 문화재의 선정과 그 문화재의 콘텐츠화 및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관광상품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주제와 대상으로는 경주국립박물관의 유물을 시범연구과제로 삼고 이 범위를 확대하여 다양한 문화관광상품에 접목할 계획이다. 이 연구에서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경주지역의 주요 관광지별 문화재의 현황과 문화관광상품에 접목할 수 있는 유물을 선행사례연구를 통해 모색한다. 둘째, 현재 3D데이터 형태의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국내 문화재의 현황을 분석하고 활용사례를 연구한다. 셋째, 3D스캔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그 중 사진을 기반으로 하는 3D스캔을 통한 원천소스개발 및 콘텐츠화를 통해 많은 디자이너와 관광객들이 해당 3D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결과물은 3D스캐닝을 통해 수집된 3D데이터의 문화관광상품에 대한 적용이며, 3D프린트를 이용한 시제품(prototype-model)제작까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박물관교육에서 유물 리터러시 학습 방안 모색

        류재만(Jaeman Ryu) 한국박물관학회 2019 博物館學報 Vol.- No.36

        유물은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에 의해 제작되어 남겨진 물건이며, 그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문화가 담겨있는 타임캡슐이기 때문에,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문화를 추론하는 근거가 된다. 박물관에 탈맥락적으로 전시된 유물을 보고 유물의 용도나 가치를 유추하기란 쉽지 않다. 유물학습은 단편적인 정보를 전달받아 암기하는 위주의 학습이 아니라 유물과 관련된 문화를 이해하는 학습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유물 리터러시를 통한 유물학습이 요구된다. 유물 리터러시는 유물도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읽고, 유물에 대해 추론하고, 이야기하고 쓰는(표현하는) 능력이다. 유물읽기는 해석 전략, 학습자 질문생성전략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해석전략은 기호학적 관점, 미학적 관점,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 가능하다. 학습자 질문생생전략은 학습자가 모르는 것을 묻는 질문을 생성하고 스스로 답을 찾는 것으로, 메타인지 학습 전략의 하나이다. 유물쓰기(표현)는 유물 해석과 질문생성전략으로 학습자가 알게 된 지식을 활용하여 내러티브를 만들거나 만든 내러티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유물 리터러시를 통해 유물학습이 유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맥락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유물과 관련된 내러티브를 탐구하고 만드는 과정에서 역사적 사고력이나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 Artifacts are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refers to objects produced by the people of the past throughout their lives. They enable us to understand past cultures because they contain traces of lives in the era.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time is difficult if the artifacts are exhibited in a decontextualized manner. In order to understand a culture, an educational approach based on the concept of “artifact literacy” is better than rote learning. Artifact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regard an artifact as a text, which can be read, inferred, talked, and written about. Strategies for reading artifacts include interpretation and learner-generated questioning. Interpretation strategy includes semiotic, aesthetic, historical perspectives. A learner-generated questioning strategy is designed for learners to question and answer themselves. Understanding the materials, inference, and synthesizing allow learners to elaborate on the materials. Writing artifacts is creating narratives by utilizing knowledge that learners acquired through interpretation and questioning strategy.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contextualize the artifacts through artifact literacy. Contextualizing artifacts means introducing narratives during the processes of reading, writing, and expressing artifacts. Cultural education is realized during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creating narratives related to artifacts that are the product of culture. Reproducing artifacts is required as well as reading and writing artifacts. In order for artifacts to be not merely products produced in the past but living artifacts, interpretation, re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artifact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reproducing new creative products are required. This is creating a new culture.

      • 다섯 가지 특징으로 문화 읽기

        김응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한국어와 문화 Vol.7 No.-

        문화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필자는 문화인류학자인 마빈 해리스(Marvin Harris)가 취한 이른바 ‘문화 유물론’(Cultural Materialism)의 입장을 취했다. 이를 위해 1920년대 마르크스주의의 문화론, 1930년대 프랑크프르트 학파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 특히 아도르노(T.W. Adorno, 1903-1969)가 대중문화(massculture)의 비판적 개념으로 쓴 ‘문회산업’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1970년대 사상가 알튀 세르(Louis Althusser)의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Ideologκal State Apparatuses : ISA, Appareils ideologiques d'Etat)와 ‘억압적 국가기구’(Repressive State Apparatuses : RSA)를 설명하면서, 결국 개인이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에 의해 훈련되어, 결국 기존질서에의 복종을 재생산한다는 문화이론을 설명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마빈 해리스(Marvin Harris)는 저서 『문화유물론: 문화과학을 위한 투쟁 (Cultural Materialism : The Struggle for a Science of Culture)』(1979)에서 문화 유물론의 주요 분석틀을 제시한다 이러한 태도로 마빈 해리스는 중동의 돼지고기 금기, 인도의 소 숭배,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화물숭배 등 언뜻 보기엔 단순한 종교현상으로생각되는여러 문화가사실은자연환경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화의 다섯 가지 요소를 살펴 보았다. 첫째, 문화의 인위성이다. 인간은 자연을 인간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다. 둘째, 문화의 집합성이다. 문화는 특정사회의 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지식, 태도 및 습관적 행위 유형이다. 셋째, 문화의 변회정이다. 문화는 끊임없이 변하고, 영향받고, 다시 변한다. 넷째, 문화의 이데올로기 우열주의다. 문화는 타문화를 무시하고, 자신의 문화적 우월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다섯째, 문화의 소비성이다.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 문화의 소비성 그 자체가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숭엄하게 존경받는 시대가 되었다. This article is a report when I give a lecture in the class of Korean culture studies for the first time.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culture, I want to use the concept of Cultural Materialism by cultural anthropologist, Marvin Harris. First of all, We had better see the history of Culture Theory briefly. We can imagin the Culture Theory by Marxism in the 1920s. In the 1930s, Frankfurt School of critical theory is important. Particularly T. W Adorno(1903~1969) explained the Cultural Industries instead of the mass culture. After the 1970s, philosopher Louis Althusser focused on the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ISA, Appareils ideologiques d'Etat) and the Repressive State Apparatuses(RSA). In this background, Marvin Harrison in his book Cultural Materialism: The Struggle for a Science of Culture(l979) explained the pork taboo in the Middle East, India, cow worship, Australian Aboriginal religious cargo cult phenomenon etc. We can think Five elements of the culture. First is the Artificial nature of the culture. The Cultural made by human, made for human. Human create the culture artificially. Second is the collectivity. Culture means the attitudes,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certain society. Third is the chinging of the culture. Culture is constantly changing, influenced, re-change. Fourth is the feature of cultural ideology. Fourth is the feature of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