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아기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육아부담이 문화예술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층의 조절 효과

        김두이,김상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문화정책논총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inequality of cultural consumption in Korea among women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6.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cultural consumption among women with the burden of childcare. Cultural consumption is measured in two dimensions – the quantity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her, quantity is the ‘frequency’ of each cultural consumption activity. Diversity consists of three metrics - ‘number of types’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equality’ indicating the uniformness in the distribution over the frequency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and ‘hybridity’ indicating the heterogeneity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across cultural boundaries. We use the data of 2016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for our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childcar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quantity and the number of the types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y. Further analysis also discovered two moderators between cultural consumption with the children burden as the size of resident city and level of income. Specifically, when the childcare burden increases, the lower income group has a significantly less number of type of cultural consumption than the higher income group. Moreover, when the childcare burden increases, the smaller resident city group has a significant low quantity, number of types, and equality of cultural consumption than larger resident city group. A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presen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cultural consumption among women with the burden of childcare. We also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 to resolving the cultural inequalities among women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문화예술향유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 요인, 즉, 소득과 학력, 지역규모의 조절 효과를 검토했다. 이때 문화예술향유는 관람하는 문화예술의 양과 다양성을 통해 관찰했다. 여기서 ‘양’은 향유한 모든 문화예술관람 빈도의 총합을 뜻한다. 다양성은 관람한 문화예술 장르의 수를 나타내는 ‘가짓수’, 각장르를 얼마나 균등한 분포로 향유했는지 나타내는 ‘균등성’, 그리고 관람한 문화예술장르들이 속한 위계의 수를 나타내는 ‘혼종성’을 통해 관찰했다. 이를 위해 2016년 문화향수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를 감소시켰다. 또한 계층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검토한 결과, 육아부담이 가중되는 조건에서는 소득과 거주지역의 규모에 따라 문화예술관람의 격차가 뚜렷이 나타났다. 즉, 소득수준이 낮은 여성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 가짓수가 현격히 감소했다. 반면 소득수준이 높은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증가해도 문화예술관람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규모가 작은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이 감소했으나, 규모가 큰지역에 사는 이들은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문제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의 역할을 관찰했다는 점에 의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 KCI등재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질 관리 연구

        안지언(Ji-un An),이송하(Song-ha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라는 장(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창작-유통-향유가 이루어진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기본방향을 탐구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담론연구와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활동을 10년 이상 지속한 문화예술 기획자, 예술강사, 관리자와의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 논의를 정리하고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모형을 도출하여 ‘요소, 체계, 역할’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교육의 질 관리 영역은 ‘수요자, 역량, 기반’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제도적 시스템, 과정적 시스템)를 도출하였다.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가 선순환구조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대안을 통해 지역의 자율성, 역량강화 시스템, 협력 및 네트워크 형성 등이 담보되어야 한다. 끝으로 연구한계와 의의를 밝혔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gional culture of arts education ecosystem based on the evidence that the creation-distribution-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arena(field) of the loc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lternatives to revitalize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ecosystem in order to explore the basic direction for quality manage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a discourse study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a focal group interview (FGI) with culture and arts planners, art instructors, and managers who have continued cultural arts education activities for more than 10 years, centered on the Daejeon region. Through this, the discussion on quality manage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organized, and elements, systems, and roles were presented by deriving a model of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eco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quality management area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consumers, capabilities, and foundations , and based on this, a regional cultural arts education ecosystem (institutional system, procedural system) was derived. In order for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ecosystem to be activated in a virtuous cycle, local autonomy, capacity building systems, cooperation and network formation must be guaranteed through policy alternative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were revealed.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외국의 사례 고찰을 통한 역량 제고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2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와 예술의 교육을 의미하는 용어로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을 합한 복합명사이다. 우리나라가 문화예술교육에 관하여 학문적으로 심도 있게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이후이다. 이같이 역사가 짧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그간 정부가 추진해 온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글로벌시대에 창의 인성을 갖춘 문화국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한가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진정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와 사회가 독립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상호 긴밀한 유기적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국면에서 이 연구는 자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진흥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많은 투자와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는 여러 선진국들의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우수사례들을 살피고 논의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이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발전의 척도로서 핵심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가 문화예술교육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에 예술이 생활이라는 개념을 수용하고,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다. 또한 시민의 입장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 일상생활과 괴리된, 즉 자신과 관계없는 것이라는 인식을 버리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와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시민 모두가 문화예술교육이 우리 사회의 일상적 양상이고, 문화예술교육의 환경이 우리 주변의 일상생활이라는 인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a compound noun for art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s a term that refers to education on arts and cultures. Korea began to stud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d pth in the 19905. With such hort history of related studies, this study starts with the issue that the government policy o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o far i inadequate to cultivate the copetencies of cultural citizens with creative characters in today`s globalized world. ldeal arts and culhtral education requires establishment of a closely-knit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schools and society, rather tian independent approaches. Thus, this tudy will examin and discus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exc lent practices of advanced countries that implemented ubstantial investment and p Licy upport to improv thei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Ba d on the results, this study i intended to explore tile implications for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t will help all citizens use their cor competencies at their best, while the education serves a a yard tick of social d veJopment that can boost th happines and quality of all citizens. To develop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government should accept arts as a part of life through projects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development and create r lated demand. In addition, citizens should eliminate the notion that arts and cultural duca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day-ta-day lives and themselves. In conclusion, th govemm nt, local government, and all citizen hould perceive art and cultural education as a day-ta-day aspect of our society 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as Cl part of our daily live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적개발원조(ODA)의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황규홍,이병준,이유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3

        그동안 우리나라는 국제적 위상제고와 경제개발의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해 교육분야와 문화분야에서의 ODA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최근에는 문화예술을 통한 국제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ODA가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ODA는 주로 단발적인 프로젝트로 진행되면서 장기적인 전략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ODA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분야 ODA와 문화분야 ODA에서의 현황과 쟁점들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 ODA의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분야와 문화분야 ODA의 현황이나 쟁점들을 다루고 있는 기존의 연구들과 관련 기관들의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분야와 문화분야 ODA의 경우 직업교육 위주, 프로젝트식 단기 운영, 자국 문화의 일방적 홍보라는 내용적 문제와 함께 추진체계의 미흡, 국가정책변화에 따른 일관성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참고로 문화예술교육 ODA가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려면 기능위주의 예술교육이 아닌, 창조적 역량 개발과 시민성 함양 그리고 창조도시, 학습도시 조성 전략과의 연계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예술강사 파견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과의 결합과 현지국가별 문화와 사회에 대한 토대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So far South Korea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ODA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ulture in order to share the know-how of the improve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xp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culture and ar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ency has been starte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However through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has been proceeding mainly in a one-off projects the problem is represented that long-term strategy is not enough. It Is a time to be considered in the direction of thi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ODA.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in the field of education ODA and culture ODA we intend discuss about the propulsiv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articles in the existing research and related organizations that are deal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issue of education and cultural fields of ODA. As the results we found some problems that short-term operation as project-type, one-sided public promotions of our country's culture, shortage of consistent i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ODA. There is a necessary that cooperation with the construction strategy of creative city making and learning city making rather than the artistic education of the function oriented to mak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to a sustainable project. And it is needed to complete the problems of the art lecturer dispatch system and combination of experts of various region. And there is necessary to basic research for another country's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전문성 중심 문화예술분야전문인력 양성과정 개선 방안: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보연,김세훈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7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publicly-supported cultural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in the Korean arts and cultural sector. Those included a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pecialist’, ‘Local Culture and Arts Specialist’, as provided by law(respectively,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 and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s well as ‘Cultural Welfare Specialist’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pecialist’ established under the policy demand. This reflects not only the increasing tendency that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has become gradually segmented by profession; but also the heightened expectation for the enhanced performance and specialized skills of arts and cultural workforce. Comparatively,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what would serve as a criteria to evaluate the expertise with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how each program understands or differently specifies the expertise in the respective areas of arts education, cultural welfare,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ystematic analyses have hardly been tried to examine how each program can enhance the expertise in its respective areas. Given that these programs are initiated by the government so as to develop arts and cultural workforce at the professional level, it is essential to promote more in-depth scholarly discussions of the expertise criteria for those working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explore what specific professional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them and exactly how they can be further developed by workforce training programs. Since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s not only diverse but also highly departmentalized, it would be unreasonable to examine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workforce in the sector as a whole. Therefore, drawing on the case analysis of “Next Professional Training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managed by Korean Arts Management Service(KAM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It also offer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 systemiza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workforce training programs. 최근 공공영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양성과정은 문화예술교육사나 지역문화전문인력과 같이문화예술교육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등 근거법령에 기초하여 운영되는 경우도 있고, 문화복지 전문인력이나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과 같이 행정적, 정책적 필요성에 기반을 두고 추진되는 경우도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의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된 이와 같은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은 그만큼 문화예술분야가 세분화되어 가고 있다는 측면을 반영함과 동시에 문화예술분야 종사인력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 또한증가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전문인력 양성과정이 다루고 있는 전문성의 내용이나 기준, 또한 전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 양성과정에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전문성의 기준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들이 중점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공공분야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예술분야는 그 성격과 특성이 매우 다양하여 문화예술분야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성의 내용을 검토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 중에서도 국제문화교류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을전문성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함으로써,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하여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과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Teaching Artist)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차은주(Cha E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범위는 교수행동 관련 문헌 및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이후의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문헌으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예술교육사는 국가자격제도를 통해 양성되며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기획, 문화예술교육 연구의 실행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수업전문성 증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이 필요하며, 교수단서의 제공, 의사소통 역량 강화, 학생관찰 체크리스트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 개발을 위해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수업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문적 노력, 교수효율성 훈련 프로그램 개발, 전문적인 훈련 기관의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받는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문화예술 향유와 창의력 함양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ing effectivenes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For achieving the study purpose, the understanding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definition and qualification system), job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concept of teaching effectiveness were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efficient teaching activities, which are applicable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were consider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re professional manpower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i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level-1 and level-2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re being produced through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lthough they are not teaching staff according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job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s classified in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rts and culture program management planning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research, and is focused on instru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Second, as strategies for efficient teaching activi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provision of teaching cues, strengthening of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use of student observation checklist were suggested. Third,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develop teaching effectiveness programs and found a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 These are to enable students receiving benefit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dance to enjoy effective culture and arts and to improve their crea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making a contribution to improvement in the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허경숙(Gyeong-suk Heo)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논문의 초록을 중심으로 시기별 주제어의 빈도와 주제어 간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및 연결중심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연구재단에서 구축한‘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35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들 논문의 초록과 주제어를 중심으로 오픈 소스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출현 빈도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시각화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은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용어가 정부 문서에 처음 등장한 (2003∼2012) 1시기, (2013∼2017) 2시기, (2018∼2021) 3시기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시기 각 주제어의 출현 빈도와 중심성을 살펴보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문화’, ‘창의성’,‘예술’,‘미술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2시기는 1시기와 마찬가지로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정책’,‘예술 강사’ 등이 중심이 되어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주도해 가고 있다. 셋째, 3시기 출현 빈도와 중심성 지수가 높았던 주제어는‘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교육’,‘예술’,‘문화예술’,‘참여’,‘경험’,‘정책’,‘문화’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이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될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each word in the abstracts of these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perform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 explore the trend and flow of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352 research papers list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which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by frequency of appearance and visualized the semantic network using the open-source R program focusing on the keywo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each keyword during phase 1,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culture,” “creativity,” “arts,” and “arts education” were obtained. Second, just like phase 1,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policy,” and “arts instructors” were at the center based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phase 2, lead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schools. Third, the keywords that appeared most and had the highest centrality index in phase 3 includ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arts,” “culture and arts,” “participation,” “experience,” “policy,” and “culture.”

      • KCI등재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현황 분석 및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역량의 개념화

        홍애령,임수진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raining for pre-servi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job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contents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discussion were us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urrently eight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Ⅱ-ACEI. However, each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designation period is variable. Also, the period of designation of each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 is variable, and whether or not the curriculum subjects will be opened varies depending on the art area. Second, the concept of job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ACEI are defined as “the ability to plan, implement, analyze, evaluate and instruct matters related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a culture-based facility in schools, communitie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ird, job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planning competency, managerial competency, analytical competency, evaluation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competenc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concepts and sub-components of the duties and the job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by clarifying the dutie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ACEI.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양성 현황을 파악하고, 예비 및 현직 문화예술교육사가 인식한 직무역량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내용분석, 심층면담 및 핵심집단토의(FG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 2급 문화예술교육사 지정교육기관은 8개가 운영되고 있지만, 각 지정교육기관의 지정기간이 가변적이고, 교육과정 교과목의 개설여부도 예술영역별로 다르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은 “학교 및 지역사회, 공공영역 및 민간영역의 문화기반 시설에서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은 기획역량, 운영역량, 분석역량, 평가역량, 교수역량 등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를 이론적 수준에서 규명하고 이를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와 현직 문화예술교육사의 의견을 통해 재규명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와 직무역량의 개념 및 하위요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교육지원 사업에 있어 발전적 지향점 고찰-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민병권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미술문화연구 Vol.23 No.23

        본 연구는 그동안 시행되어 왔던 경남 문화예술진흥원의 교육지원 사업의 공과를 살펴보고 향후 발전적 지향점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문화예술 진흥에 있어 지자체 및 문화예술단체들의 활동들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지역민을 위한 교육지원사업은 새로운 문화 창달의 역할을 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예술지원사업 중 아동들을 위한 꿈다락 및 노령의 어르신들을 위한 지역특성화 사업 등 경남도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발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타지역에서 이루어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줌으로써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사례의 비교를 통한 발전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와 분석을 통하여 향후 교육지원 프로그램 선정 기준을 새롭게 만들 수 있는 지향점을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교육지원 프로그램에 있어 단체의 선정부터 사업의 결과까지의 전반적 체계 및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교육지원 사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처럼 발전적 지향점 설정 및 교육지원사업의 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하여 경남문화예술진흥원 교육지원 사업의 질적 제고를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에 있어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에듀케이터로서의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연구

        김재웅(Kim, Jae-Wo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2018년 1급 문화예술교육사 시행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에게 요구되는 자격 요건은 교육 콘텐츠 기획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등 박물관의 에듀케이터 수준의 역량이다. 이는 기존의 문화예술교육에서 야기된 교육수요자의 학령에 따른 난이도 조절의 문제점과 중복된 교육 프로그램, 몇 몇 주제의 선호도에 따른 제작위주의 교과 과정 등의 문제점 해소 뿐 만 아니라,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융복합적 문화예술교육과정을 위한 역량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단순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문화예술향유자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예술강사지원사업이라는 목표를 넘어서서 좀 더 전문적인 역량을 갖춘 에듀케이터로서 문화예술교육사의 의미와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1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의 핵심요건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의 경우 애니메이션 관련 콘텐츠에 대한 기초조사에서 큐레이팅, 교육 콘텐츠의 가능성 여부, 교육대상과 교육내용의 구성, 내용의 심미적 특성과 교육적 기능, 문화향유를 위한 감상과 체험 등 종합적인 전문성과 자질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는 단순히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획자의 역할 뿐 만 아니라, 문화예술기관 이용자의 조력자이자 옹호자의 역할과 사회의 다양한 계층과의 소통과 협력, 상호간의 문화교류 등에 가치를 두는 창의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용 역량을 습득해야 한다. As the first class Teaching Artists system is about to be brought to effect, the ability required for Teaching Artists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s, develop and manage education program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a museum Educator. This system is necessary for resolving problems in exis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ch as overlapping programs and adjusting difficulty levels by age to meet the demand of educatee. It also deals with drawbacks in production-oriented curriculum originating from the preference in some subject. In addition, as progr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makes rapid changes in digital media and its subculture, increasing need for novel an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uts furthe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is system. In this study, we focus on clarify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or as a professional and proposing curriculum for the system, trying to avoid restricting our discussion to current Arts Instructor Supporting Project which are merely aimed at suppor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to grow up to enjoy culture and arts. Capacity for designing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the kernel of qualification for the first class Teaching Artists, requires a variety of comprehensive expertise and qualification such as doing preliminary research on contents related to animation, curating, determining potential of educational contents,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for appropriate educatee, understanding esthetic property and its role in education, and appreciating and enjoying cultural contents. Therefore, Teaching Artists plays roles not only in developing and running educational programs but also in supporting and cooperating with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designing and managing creative programs, combining and communicating with different social groups, and emphasizing mutual interchange i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