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도윤리의 출발점과 방향모색

        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4

        This paper aims to find the critical answer about standing point of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at would decide the direction of it,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it. But several established discussions relating it requisite the priority of reasonable judgment. Those views do not start directly in the experience of martial arts itself. Rather they keep seeing the perspective of third person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is viewpoint considers it as abstractive goals to be get transcendently. But to expla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we have to consider diverse elements of involving the unconscious behavior, habit, and emotion and so on except reason judgment. To understand exactly those elements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s of embodiment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e ethics of martial arts relating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expose and explain the subject of behavior obviously. The subject of experience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is proper body with which we mention when we should learn the martial arts as body itself. Proper body is not different from the unseparated body of oriental perspective. The directions of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rough the proper body would explain as follows: First, proper body has its sensorimotor. Second, behavior of proper body is underlying in being situated the environment. Third, depending on innate conditions having proper body, the ethical power of proper body decides. Fourth, proper body could take the practical ability of ethical behavior. Of course, above-mentioned their roles do not separate respectively. They should establish the theoretical system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under one unified relation each other. 본 연구는 무도윤리의 출발점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찾는데 있다. 무도윤리의 출발점은 무도윤리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스포츠윤리와는 다른 무도윤리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무도윤리의 출발점과 관련된 논의는 이성적 우위의 판단을 전제로 한다. 자신의 무도 경험에서 시작하기 보다는 윤리에 대한 3자적 태도의 관점을 보여준다. 즉 무도윤리를 객관적으로 달성해야 할 추상적인 대상으로 파악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무도윤리를 설명하는데 있어 이성적 판단 이외에도 자신의 무의식적 행위나 습관 그리고 감정(emotion)의 요소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무도윤리에서 몸의 체화(embodiment)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몸의 체화와 관련된 무도윤리는 자신의 무도경험에서 시작해야 하고 그 행동의 주체가 명확하게 드러날 때 가능하다. 무도윤리에서 경험의 주체는 몸 자신(proper body)이며, 몸 자신은 우리가 무도를 배울 때 몸으로 배워야 한다고 말할 때 그 몸을 말한다. 이는 이분법적으로 나누기 이전의 동양적인 의미의 몸과 다름이 아니다. 몸 자신을 통한 무도윤리의 출발점과 방향은 4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몸 자신은 자신의 운동감각(sensorimotor)을 갖는다. 둘째, 몸 자신의 행동은 근원적으로 외적 환경에 놓여진 존재이다. 셋째, 몸 자신은 몸이 갖는 내적상황의 조건에 따라 윤리적 힘의 정도는 다르다. 넷째, 몸 자신은 윤리적 행위의 실천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4가지 몸 자신의 역할은 서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통일된 관계 속에서 무도윤리를 체계적으로 완성해야 한다.

      • KCI등재

        경호직 직업윤리정립을 위한 경호무도교육 방안 연구

        권태일(Kwon, Tae Il),최기종(Choi, Ki Jo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8 No.-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precedent studies on professional ethics and security marital arts, analyze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situation security marital arts education situation of the department related to guard and suggest the measures of security marital arts education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 ethics of bodyguard by dividing into studying and teaching aspect, systematic aspect and political aspect as follows. The first, security marital arts education must secure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from the studying and teaching aspect. The current classes of security marital arts focus on physical training of security marital arts. And, there is no theoretical class or it is progressed formally. Also, although students got marital arts training, all of them neither be excellent for the ability of marital arts nor have ideal spirit of marital arts mentally. So, when considering both mental aspect of marital arts and its physical training from monistic aspect which is the basic of marital arts, they can be professional bodyguards who have literary and martial arts. For that, the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learner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by considering conditions of teaching method, limitations, effectiveness, etc. In most of departments related to guard, there are classes of security marital arts every semester from freshmen to seniors, so long-term educational methods must be studied so as to play an important role of majors by raising the rate of credits. The second, qualifications and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in charge of the subject of professional ethics of the guard must be considered from the systematic aspect. It's necessary to train professors who can suggest the solutions of professional ethics of the guard concretely based on the knowledge of understanding for bodyguard's ethical conflicts occurred in actual working place, sense of duty and general ethical philosophy and theory and teach them how to study. In the curren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e subdivision of majors such as professional ethics, security marital arts, etc. is not achieved. In the training course of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etc, they must complete subject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and security marital art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profession and professional world as well as obtain the knowledge of security marital arts' spirit and physical training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 ethics of the guard sufficiently. In addition, marital arts training for the measures of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of the guard must be fulfilled not only schools but also general company lives after their graduation, so academic fundamental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security marital arts spirit's cultivation for the solution of ethical problems bodyguards are experienc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etc. must be conducted continuously. The third, the opportunities of periodical training or seminar for establishing ethics of the guard in all kinds of societies and associations related to the guard must be provided from the political aspect. In addition, the opportunity developing level test for physical training of security marital arts and education which cultivates the guard's own professional ethics for mental training must be prepared in the qualifying examination related to the guard. 본 연구에서는 직업윤리와 경호무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경호 관련학과의 직업윤리 교육 현황과 경호무도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경호직 종사자의 직업윤리정립을 위한 경호무도 교육 방안을 학습 및 교수 측면, 제도적 측면, 정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및 교수 측면에서 경호무도교육은 교육방법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현행 경호무도 수업은 경호무도의 육체적 수련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론수업이 없거나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무도수련을 했다고 하여 모두 무도 능력이 탁월한 것이 아니며 정신적으로 무도의 이상적인 정신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무도의 기본인 일원론적인 측면에서 무도의 정신적인 면과 육체적 수련이 함께 할 때 비로소 문무를 겸비한 전문 경호직 종사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수업 방법의 조건, 제한점, 효과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는 교육방법을 개발, 활용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호 관련학과에서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 매 학기 경호무도 수업이 있으므로 학점의 비율을 높여 전공과목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교육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둘째, 제도적 측면에서 경호직 직업윤리 과목 담당 교수의 자질과 전문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실제 직장에서 발생하는 경호직 종사자의 윤리적 갈등 상황에 대한 이해력, 사명감, 전반적 윤리철학과 이론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경호직 직업윤리문제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교수의 양성과 연구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대학, 대학원에서는 직업윤리, 경호무도 등 전공의 세분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대학과 대학원 등의 양성과정에서 직업윤리 경호무도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여 직업과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경호직 직업윤리정립을 위한 경호무도의 정신성과 육체적 수련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호직 직업윤리교육 방안을 위한 무도수련이 학교에서만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졸업 후 직장 생활 전반에 걸쳐 실시되어야 하므로 대학과 대학원 등 교육기관에서 경호직 종사자가 겪고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위한 경호무도정신을 함양의 중요성에 관한 학문적 기초 연구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정책적 측면에서 경호직과 관련한 각종 학회 및 협회에서 경호직 윤리정립을 위한 정기적인 연수 또는 세미나의 기회도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경호직 관련 자격시험에 경호무도의 육체적 수련을 위한 승단시험과 정신적 수련을 위한 경호직 특수 직업윤리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무도윤리학의 형성 근거에 대한 고찰

        이상호,황옥철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is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building of the ethics of martial arts. If one of ultimate purposes in the martial arts is on completion of character, its ethical approaches and explanations are different from them of Western sport So, this paper is introductory study about how to be explained the ethical approach in martial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ethics of martial arts is to overcome the deontological and ontological approach. Whenever we have to only practice the martial arts, we directly do not get in completion of the character. Practical behavior learned from martial arts promptly and immediately should apply on life-world. This behaviors have to come out in its Mom(bodymind) unconsciously and naturally in the state of embodiment. The completion of character through martial arts do not reduce to the normative explanation. The meaning of subjective body in practicing the martial arts is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of Cartesian dualism. That needs the ethical understanding of proper body. Ethics of martial arts needs to explain the spontaneous movement of Mom, as the immediate coping, in the real world. When ethical behaviors emerge from Mom unconsciously, it may be better ethical attitude. Considering ethical attitudes and behaviors engendered from state of embodiment, we need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science and phenomenology related Mom. These viewpoints should be suggested as the type of theoretical system and simulation later. But, all of spontaneous, of course, behaviors do not guarantee ethical validity, so we need to suggest the logical foundation to support the justification of spontaneous movement. One of this answers is that process of reflection should carry in the practitioners’behavior itself. In conclusion, the formative foundation of martial arts needs to be built the theoretical system including both of spontaneous behavior and their reflective aspect originated from Mom. Both of relations should be circulated each other. There are many future’s research assignments to set the ethics of martial arts to us. 본 연구는 무도윤리학의 형성 근거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도가 인격완성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면 그 윤리적 접근과 설명은 서구의 스포츠와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논제가 타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인격완성을 위한 무도윤리학의 형성근거는 무엇인지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먼저 무도윤리학은 규범적 당위적 접근법을 넘어서야 한다. 무도를 계속하기만 하면 저절로 인격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인격완성은 자신이 무도에서 배웠던 실천적 행위가 일상생활에 즉각적으로 수반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이는 자신의 몸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나옴으로써 가능하다. 즉 윤리적 행위는 당위적 접근보다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 더 나은 윤리적 태도이다. 이것이 무도에서 인격완성이 드러나는 형태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격완성의 주체인 몸을 몸과 마음이라는 이분법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몸 자신에 대한 윤리적 설명이 필요하다. 즉 무도윤리학은 몸의 즉각적이고 자발적인 움직임과 관련한 몸 자신(proper body)의 관계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윤리적 무의식 행위는 자신의 몸의 체화(embodiment)된 상태에서 나온다는 점에서 몸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와 현상학적 관점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도윤리학을 설명해야 하는 숙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또한 자발적이고 즉각적인 행위가 전부 윤리적 타당성을 획득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 행위에 대한 정당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리를 갖추어야 한다. 그 해답의 하나는 자신의 행위에 일어나는 것에 대한 반성의 과정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무도윤리학의 형성근거는 무도수행의 과정 속에서 자신의 몸에서 일어나는 즉각적인 행위와 자신의 반성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이론적 체계를 형성해야 한다.

      • KCI등재

        무도윤리의 인지과학적 적용가능성

        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is on the applicant possibility of cognitive science in ethics of martial arts. Previous approaches of its ethics show the meta-viewpoint of reasonable superiority by which what martial arts is and how it ought to be. But these approaches have truly limited in construing the emotion, implicit knowledge, and unconscious habit related with ethical behavior that radical consciousness operates. One of this solution should be understood of cognition operating in process of consciousness. The cognitive approach, in ethics of martial arts, not to grasp and judge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after seeing the ethical behavior but to provide the cause why people has such a judgement and thinking before embarking ethical behavior. It would provide explication of radical and immanent mental state. And lots of results of the scientific experiment showing in cognitive science make clear the facts of diverse changes of conscious structure we do not know the before. Although cognitive science is of not being accomplished, we would not think as hasty judgement in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cognition in ethics of martial arts. In fact, scientific explications provide new viewpoint to understand the ethics of martial arts. Especially, to get the validity of practical process do not exclude the cognitive translation. 본 연구는 무도윤리의 인지과학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무도윤리의 접근은 윤리적 철학적 관점에서 무도윤리가 무엇이고 어떻게 되어야 한다는 이성우위의 관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은 무도윤리를 고려하는데 있어 자신이 갖는 감정, 암묵적 지식, 무의식적 습관과 행동에 대한 근원적인 의식작용을 설명하는데 일정부분 한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해결책의 하나로 윤리문제에 의식작용의 과정에 대한 인지적 접근이 필요하다. 무도윤리에서 인지적 관점은 윤리적 행동을 보고 우리는 그 행동의 옳음과 틀림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 행동으로 옮기지 전에 왜 그러한 판단과 생각을 갖게 되었는가에 관심을 둔다. 즉 인지적 관점은 심적 상태의 근원적이고 내재적인 원인에 대한 해명을 제공한다. 특히 인지과학에서 보여준 과학적 실험의 결과는 우리가 이전에 알지 못했던 의식구조의 심층적인 변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비록 인지과학이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도윤리에 적용가능성에 대한 논의한다는 것이 성급하다고 할지라도, 인지과학에서 보여준 과학적 해명은 윤리적 이해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무도윤리의 궁극적 목적이 인격완성에 있다면 그것에 대한 실천적 과정의 타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라도 인지과학적 해석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

      • KCI등재

        학(學)으로서 무도철학의 이론전개방향

        황옥철,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is follow-up paper of being the practical implication and understanding of martial arts. Philosophy of martial arts should explain not only the aspects of phenomena but also the meaning of practice. And then, we should propose the new theoretical directions. But these discussions are to keep the attributes of having the objective, logical, and scientific directions. Of course, there are existed many methodologies according to researcher's view and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is of delineating the discoursive contents about the theoretical directions on philosophy of martial a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focus the re-invention of concept of martial arts of logically elucidating the practical cultivation. Second, we should need the conversion of epistemology in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It is to show the meanings of self-cultivation under prerequisite of their reflections. Third, it should realize the practical knowledge in life world that discipliant's attitude and behavior could help the others through the self-perfection. Fourth, we should know the aesthetics of martial arts in detail from the perspective of East's thought. It makes it possible to represent as the De(德) rather than beauty(美). Fifth, we should the exp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ethics of martial arts. We are to establish what the ethical problems are in our martial arts, and then we should try to get their answer. But we will consider the precedent discussions may be differently described by many critically views. Therefore, we need the more review and discussion. After acknowledged the review of the diverse contents, we will strengthen the basis on philosophy of martial arts as science different from the philosophy of sports in Western. 본 연구는 무도철학이 갖는 실천적 함의와 이해의 후속 논문이다. 무도철학은 무도의 현상적인 측면이외에도 실천적인 의미까지도 설명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무도철학은 새로운 이론적 전개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논의의 전개는 객관적, 논리적, 체계적인 특성을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무도철학은 연구자의 관점과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도철학의 이론적 전개방향에 대한 하나의 시론적 시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개념의 재창조가 필요하다. 무도개념은 무도의 실천적 수행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무도개념의 창조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둘째, 무도철학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 무도철학은 무도의 깨달음이나 도의 의미를 고정된 도달해야 하는 인식의 대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지금 주어진 현실에서 수행하는 과정 그 자체에서 자신의 반성을 전제한 자기 수행의 의미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무도철학은 실천적 앎을 넘어선 실천적 삶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실천적 앎은 자신이 실천적 수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며, 실천적 삶은 자기완성을 통해 현실에서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행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넷째, 무도미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서구 미학이 감각에서 출발하였지만 동양의 미학은 감정에서 시작하였다. 이는 무도미학이 서구적인 아름다움, 즉 미라는 측면보다 수행의 과정 속에서 덕이라는 내용으로 표출되어야 한다. 다섯째, 무도윤리에 대한 동양적 사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야 한다. 무도에서 가장 중요한 윤리적 문제가 무엇인지를 설정하고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든 무도철학의 이론적 구성과 내용의 전개방향은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서술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많은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이 검토되고 인정받을 때 서구스포츠와 다른 학으로서 무도철학의 단초를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스포츠 윤리성의 정책 패러다임 모색: 태권도를 중심으로

        임승엽 ( Lim Seung-yup ),임태성 ( Lim Tae-sung ) 대한무도학회 2017 대한무도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스포츠 현장의 윤리적 변화에 발맞추어, 정부의 스포츠윤리성 확립을 위한 정책추진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태권도 경기의 스포츠윤리성 확립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정부의 스포츠 윤리성 회복을 위한 정책의 경우 1) `스포츠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발표, 2) `스포츠비전 2018`의 추진, 3) `스포츠공정위원회` 출범, 4) `스포츠 4대 악 신고센터` 및 `스포츠 4대 악 합동 수사반` 발족, 5) 대한체육회, 심판위원회 규정 제정 및 상임 심판제 운영, 6) `태권도 심판제도 종합대책` 마련, 7) 대한체육회 선수위원회 규정 개정, 8)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 개정 `2급 스포츠지도사 시험에 스포츠 윤리` 신설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어 태권도계의 윤리성 회복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을 모색한 결과 첫째, 비윤리적 행위자에 대한 처벌 강화 및 원칙주의의 확립, 둘째, 심판 처우개선 및 윤리교육 강화, 셋째, 국기원 및 대한태권도협회 내 경기윤리부서 신설 및 상임 윤리위원회 설치, 넷째, 스포츠 윤리에 대한 사회 전반적 인식 전화 유도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Responding the current changes in ethicality within Korean sports, this study was to seek a policy paradigm of Korean sports ethicality, by exploring the policies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during the last couple of years. As results, we found that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following policies 1) establishment of system improvement alternative to secure sport fairness, 2) promotion of Sport Vision 2018, 3) establishment of Sport Fairness Committee, 4) establishment of `Four major violations in sport report center`, 5) making referee committee regulation and maintaining full-time referee system by KOC, 6) preparation for comprehensive alternatives of referee system of Taekwondo, 7) revision of KOC athletes` committee regulations, and 8) adding sport ethic course in sport instructors training program. Continuously, we suggested the following paradigms as to increase ethicality of Korean sports: 1) reinforcement of the punishment for sport ethic violators and adherence on the principle of no-reciprocity, 2)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referee and reinforcement of ethic education, 3) establishing ethicality department and ethicality standing committee at Kukkiwon and Korea Taekwondo association, 4) leading social recognition changes toward sport ethics. Eventually, we concluded that practice will is the key of the changes to make our sport world ethical.

      • KCI등재

        무도윤리의 예(禮)와 윤리적 노하우(know-how)

        이상호,황옥철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4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new approach on understanding of Li(禮) of martial arts. The established studies of it focus on what it is and why it needs as Eastern philosophical view. But what we know it is different from how we practice. It’s true meaning is all not as Li(禮) for country, it for teacher, and it for each other. It accomplishes when Li(禮) should be applied as normal behaviors and it has unconsciously capability to couple the moral situations. For which, we need to analyze the Li(禮) of martial arts as approach of how-know. Rather, the view of know-what is knowing what Li(禮) is and should follow the Li(禮). This does not supply the concrete solution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Li(禮) to ourselves. To turn the immediate realization of Li(禮), we need the conscious turn to action itself from first-personal approach. This connects the know-how of Li(禮). Li(禮) should do as everyday occurrence of which we take immediate practice like eating, walking, and sleeping and so. It really means the authentic realization of Li(禮). For which ethical know-how of Li(禮) gets theoretical validity when we reflect the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본 연구에서는 무도의 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기존 무도의 예와 관련된 연구는 예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를 다양한 동양적인 사상의 관점에서 설명해 왔다. 하지만 예를 안다는 것이 직접 예를 실천하는 것과는 다르다. 무도의 예는 국가에 대한 예, 상호간의 예, 스승에 대한 예가 모든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로 자신에게 적용되고 무의식적으로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때 완성된다. 예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노왓(know-what)의 관점이다. 하지만 예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그것만으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어떻게 예를 실천할 수 있을까? 문제는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예의 즉각적인 실천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일인칭의 관점에서 행위 그 자체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의 노하우(know-how)에 관심을 돌려야 한다. 예의 노하우는 자신이 자연스럽게 즉각적으로 예를 실천하는 것이다. 예라는 것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밥 먹고 살아가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즉각적으로 실행될 때, 진정한 무도의 예가 완성된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의 윤리적 노하우의 이론적 근거는 인지과학의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고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 KCI등재

        유도경기에서 체급 구분의 공정성 문제

        이승훈 ( Lee Seung-hoon ),이상태 ( Lee Sang-tea ),권태동 ( Kwon Tea-dong ) 대한무도학회 2016 대한무도학회지 Vol.18 No.4

        유도, 태권도, 씨름 등으로 대변되는 무도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는 공정성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종 스포츠의 규정들도 공정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정들이 모든 선수들에게 공정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특히 유도를 포함한 투기 종목, 즉 무도종목에서는 체급을 구분함으로써 모든 선수들 간의 경기를 규제하고 있다. 이는 체급차이에서 나타나는 경기력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맥락이다. 투기종목 이외에도 각종 신체적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종목은 상당수 있다. 농구나 배구 종목에서는 키가 큰 선수가 유리할 수밖에 없으며, 육상 트랙종목은 흑인, 수영은 백인 선수들에게서 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종목별 유리한 신체조건 등이 어느 정도 구분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투기종목에서는 체급을 구분하여 그러한 경기력의 문제를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체급의 구분은 오히려 그 종목의 특성을 배제하는 역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간과하고 있으며, 이는 무체급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도라는 종목은 부드러운 것이 강함을 제압한다는 것을 기본 명제로 삼고 있으며, 그러한 것을 극복하고 상대를 제압하는 묘리를 담고 있다. 이는 유도의 본질이기도 하며, 나아가 무도의 본질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유도 종목에 한해서는 체급 규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논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유도의 본질에 기초한 접근이며, 유도에서의 공정성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All sports as well as the martial arts represented by Judo, Taekwondo, and Ssireum are based on the fairness. And all the provisions of the various sports are also based on the fairness. However, a question may be raised whether these provisions are fairly applied to all the players. In particular, all players of the combat sports, or martial arts, including Judo, are regulated by the weight class competitions, which means there being a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class. In addition to the combat sports, there are so many events in which various physical differences are revealed. Tall players must have a decided advantage in basketball and volleyball and black athletes are strong in the athletic tracks while swimming remains dominated to a remarkable degree by white athletes, which implies that the physical conditions more favorable for a specific event are ,to some extent, divided. Weight classes in the combat sports are divided by these factors, which is to supplement the performance issue. However, what`s been lost sight of here is that the divided weight classes could create the dysfunctionality which elimin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The elementary proposition of Judo is that something mild overpowers and overcomes something strong, which is the exquisite principle of Judo. This may be called the essence of Judo. And furthermore, it may be the essence of the martial arts. Thus, new approach to the provisions of the weight classes in Judo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which is based on the essence of Judo and helps to strengthen the fairness in Judo games.

      • KCI우수등재

        Schiller meets “Grand Theft Auto”: Perspectives of Video Game Ethics

        Ralf Beuthan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8

        ‘비디오게임 하는 것’은 어떤 윤리적 모델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게임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고전적인 윤리학적 모델 (덕 윤리, 의무론, 공리주의)은 궁극적으로 오직 ‘현실적 행위’에만 적용되고, 비디오 게임의 ‘가상적 행위’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논증은 “놀이 무도덕주의” (Ostritsch 2018) 테제로 귀결된다. 이는 특히 노골적인 ‘폭력의 행위’의 경우의 게임 행위가 도덕적으로 판단될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는 공적 토론의 크게 우세한 직감(直感)에 의해 반박되어 왔다. 이러한 양자의 논의 속에 프리드리히 실러 (Friedrich Schiller)의 고전적 놀이 이론에 따른 중간적 입장이 있다. 이 입장은 실러의 ‘놀이의 전-도덕성’ (pre-morality) 개념과 ‘놀이와 놀이가 아닌것’, ‘현실적인 것과 도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행위’를 잇는 개념적-전체적 연관짓기에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비록 맥락을 떠나서 도덕적 판단의 주제가 될 순 없을지라도, 다른 행위와의 연관성으로 인해, 게임 행위는 반드시 최소한의 규범적 요구사항을 충족해야만 한다는 주장이 개진될 것이다. 주요하게 논의되고 스캔들화 되는 예시인 ‘Grand Theft Auto’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범위 및 한계를 보여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비디오 게임 윤리학의 적절한 이론적 모델과 관련한 질문에 있어, 상황윤리에 대한 지지와 도덕률에 도입에 대한 반대가 강조될 것이다. The playing of video games has made the question of which ethical model gamic actions can be judged urgent in a new way. The argument that classic ethical models (virtue ethics,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ultimately only apply to ‘real actions’ but not to ‘virtual actions’ in a video game has led to the thesis of “ludic amoralism” (Ostritsch, 2018). This is countered by the largely dominant intuition in the public discussion that gamic actions, especially in cases of blatant ‘acts of violence’, can and should be judged morally. The contribution attempts to develop a mediating position following Friedrich Schiller’s classical play theory. The starting point is Schiller’s idea of a premorality of play and a conceptual-holistic connection between play and non-play, real and morally assessable actions. Following on from this, it is argued that, due to their connection with other actions (incl. directly morally assessable actions), gamic actions must meet minimal normative requirements, even if they are not allowed to become the subject of context-free moral judgments. A much discussed and often scandalized example, the video game “Grand Theft Auto”, illustrates the scope and limits of this approach. Concerning the question of an adequate theoretical model of video game ethics it is argued as a consequence of these considerations in favor of a situational ethics and therefore fundamentally against the introduction of a moral c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