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에 관한 연구

        손혜경,이상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n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The teachers were chosen for purposive sampling work for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45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mong 500 questionnair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Their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area were measured through 27 questions(9 items for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area, respectively) with 6 demographic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of the variables that makes up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n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through t test, F distribution and Scheffe test through SPSS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area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had a high level on knowledge area for the ‘definition of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and value of life’ subarea, but low level on the knowledge for ‘endangered species relevant conventions’ subarea. And, they had a high level on awareness and attitude area for ‘justification for the conservation biology and ‘willingness to live along with living things’ subarea,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area between gender and type of housing. Average of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area became higher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career,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attitude. As for teachers' birthplace, the teachers' who spent his early life in the country were higher level than those who spent his early life in the city with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attitude area.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t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had higher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area than the others who didn`t have. The teachers who had trai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wed the best average in three area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and attitude area.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초등교사들의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수준을 조사하여 알아봄으로써 초등교원 양성대학 및 초등교사 연수교육에 있어 환경교육의 방향 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초등교사 4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지식에 관한 하위 영역 중 멸종위기종 보전의 의의 및 생물의 가치에 관한 지식수준이 높으나, 멸종위기종 관련 협약에 관한 지식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하위 영역은 생물보전의 당위성과 생물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의지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성별과 주거형태에 따른 지식, 인식, 태도영역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과 교육경력이 높아질수록 지식, 인식, 태도 영역의 평균이 높았으며, 지식(p<.05)과 태도(p<.001)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촌락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낸 초등교사는 도시 출신 교사보다 모든 영역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p<.01)과 태도(p<.05)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환경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는 없는 교사보다 지식과 인식(p<.05) 및 태도(p<.001)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경교육 관련 연수를 받은 교사의 세 영역 평균이 모두 가장 높았고, 인식(p<.01)과 태도(p<.001)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교사는 거의 모든 교과를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때문에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현직교사 연수 과정에서 멸종위기종 교육 강화를 통해 멸종위기종 보전과 관련된 지식수준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초등교사의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물종이 멸종되는 다양한 원인과 생물종을 보전하는 올바른 방법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국내 멸종위기양서·파충류의 공간적 분포형태와 주요 분포지역 예측에 대한 연구

        도민석,이진원,장환진,김대인,박진우,유정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4

        생물 종의 분포를 파악하는 것은 진화생물학 뿐만 아니라 보전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최근에는 직접적인 관찰 위주 결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종 분포 모델을 적용한 멸종위기종의 보전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한 분류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체들이 관찰된 좌표 자료와 종 분포 모델링 기법을 바탕으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멸종위기양서·파충류 종들의 주요 분포지역을 예측하고 이들의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에 이용 된 멸종위기양서·파충류는 이끼도롱뇽(Karsenia koreana)과 수원청개구리(Hyla suweonensis),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 맹꽁이(Kaloula borealis), 구렁이(Elaphe schrenckii), 표범장지뱀(Eremias argus), 남생이(Mauremys reevesii), 자라(Pelodiscus sinensis)를 포함하며,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과 비바리뱀(Sibynophis chinensis)은 표 본수가 적어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그 결과 고도가 멸종위기종들의 분포에 가장 중요한 환경변수로 나타났으며, 그들이 분포한 고도는 그 지역의 기후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종분포 모델링에서 예측된 분포지역은 본 연구의 관찰 결과 뿐만 아니라 다른 선행 조사의 관찰결과를 충분히 포함하고 있었다. 8종의 AUC 값은 평균 0.845±0.08로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고, 오류 값은 0.087±0.01로 비교적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생성된 멸종위기종들의 종 분포 모델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다고 판단된다. 멸종위기양서·파충류들의 주요 분포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분포 모델들을 중첩한 결과, 5 종은 한반도의 서쪽 지역인 경기도와 충청남도의 해안지역 주변에서 공통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 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역들을 우선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결과들은 멸종위기양서·파충류의 보호지역을 지정함에 있어 보호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Understanding species distrib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ervation as well as evolutionary biology. In this study, we applied a species distribution model to predict hotspot area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for endangered herpetofauna species in South Korea: the Korean Crevice Salamander (Karsenia koreana), Suweon-tree frog (Hyla suweonensis), Gold-spotted pond frog (Pelophylax chosenicus),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Korean ratsnake (Elaphe schrenckii), Mongolian racerunner (Eremias argus),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and Soft-shelled turtle (Pelodiscus sinensis). The Kori salamander (Hynobius yangi) and Black-headed snake (Sibynophis chinensi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insufficient sample siz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l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variable for their distribution, and the altitude at which these species were distributed correlated with the climate of that region. The predicted distribution area derived from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adequately reflected the observation site used in this study as well as those reported in preceding studies. The average AUC value of the eigh species was relatively high (0.845±0.08), while the average omission rate value was relatively low (0.087±0.01). Therefore, the species overlaying model created for the endangered species is considered successful. When merging the distribution models, it was shown that five species shared their habitats in the coastal areas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which are the west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we suggest that protection should be a high priority in these area, and our overall results may serve as essential and fundamental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endangered amphibian and reptiles in Korea.

      • KCI등재

        한국의멸종위기종복원인식척도(K-ESRAS) 개발및타당화연구

        정영인(Chung Youngin),현지연(Hyun Jee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는 한국의 멸종위기종 복원 인식 척도(K-ESRAS: Korea s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wareness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척도의 개발은 예비문항 개발, 예비검사, 본 검사, 최종척도개발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멸종위기종 중 대형 식육목 복원 가능지역인 강원도 지역주민과 수도권지역주민으로, 해당 지역에 3년 이상 거주한 만 19세 이상으로 예비검사는 148명, 본 검사는 307명이다. 연구절차는 먼저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문항을 개발하였고, 2단계에 걸쳐 질적 내용타당도 검증과 양적 내용타당도 검증 절차를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은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멸종위기 동물과 인간생활의 연관성,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인식, 멸종위기 동물 복원에 관한 인식, 지역사회와의 문제 인식, 멸종위기 동물 복원에 관한 태도,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 태도 등 6개의 하위요인과 24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멸종위기종 복원인식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Korea s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wareness Scale(K-ESRAS). The whole process include the development of preliminary questions, preliminary test, main test and final scale. The study subjects were residents of Gangwon-do, an area where endangered large carnivore species can be restored, and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19 years of age or older who had lived in the area for 3 years or more. The 148 were included in the preliminary test however in the main test, 307 people were included.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for preliminary question development,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quantitativ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ocedures in two stag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was tes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ndangered animals and human life, awareness of endangered animals, awareness of restoration of endangered animals, and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ix sub-factors and a 24-item scale were developed, including problem perception, attitudes toward endangered animals restoration, and attitudes toward endangered anima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development of Korea’s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wareness scale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국의 멸종위기종 보호법에 대한 검토와 개선책

        박은옥,최상덕,전홍일,서연정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dangered species laws and systems in China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biodiversity and to propose suggestions for existing wildlife protection laws in China to improve efficacy. Sinc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ildlife Protection Act was promulgated and enforced in 1988, China has found that urgent amendm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neglected management of the act. The content of the Wildlife Protection Act of China is not only monotonous and unsystematic, but also need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because it is pre-modern and does not meet current demands.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China’s legislation, supervision system, scope of protec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system differ. China’s Wildlife Protection Act is also hindered by confusion in the legislative protection system, lack of an administrative compensation system,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deterioration of legal efficiency, lack of content and operations, and lack of a list of species that should be is protected. This paper proposes measures for improvement to solve this confusion in the legislative system for the endangered species protection law to establish a legal system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in China. 본 연구는 생물 다양성에 대한 중요성과 보호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멸종위기종에 대한 법률과 관련된 제도를 분석하고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효율적인 보호를 위해 중국의 현행 야생동물 보호 법률에 대하여 요구되는 몇가지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야생동물 보호법>이 1988년에 공포되고 시행된 이래 관리소홀로 인하여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중국의 야생동물 보호법은 단조롭고 체계적이지 못해, 전근대적으로 현 시대의 수요에 부합하지 않기에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입법취지와 감독체제, 보호범위 및 공중 참여제도, 입법 보호 체계의 혼란, 행정 보상제도의 미비와 실행의 난항, 법률 효율 저하, 내용의 공허성과 운용성의 부족, 생물 종 보호 명부가 법률 체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문제점을 중국의 현 실정에 적합한 법률체계로 확립하기 위해 멸종위기종 보호 법률 법규의 체계상 혼란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지역사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김동훈(Dong-Hoon Kim),심규원(Kyu-Won Sim),권헌교(Heon-Gyo Kwon),한상열(Sang-Yoel Han)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철저하게 지역사회 측면에서 멸종위기종 여우 복원사업이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이 복원사업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생물종다양성 증진과 국가생태축 회복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있는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원사업 대상지 인근 지역주민들과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멸종위기종 보호 교육 및 홍보와 같은 전제 요건이 복원사업 목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적인 경로로는 복원사업의 전제 요건이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역경제효과는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 발전이 복원사업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이 단순히 생물학적인 복원의 의미를 넘어, 지역으로 유입되는 관광객 증가와 함께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등 지역경제와 지역의 인지도 및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d how the endangered fox restoration project affects the community, and how much this effect contributes to improving of biodiversity and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ecological axis, which is the final goal of the restoration proj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rerequisites such as education and promotion for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o the national park directly affect the restoration project goal. In addition, as an indirect route, the prerequisites for the restoration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ocal economy, an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community development contributed to achieving the goal of the restoration proj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i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by improving the local economy and local awareness and social valu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ourists.

      • KCI등재

        야생생물 보호의 관점에서 CITES 규제의 한계와 대안

        윤익준(Yoon, Ick-June)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환경법과 정책 Vol.17 No.-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은 그 부속서에 기재한 생물종의 국제거래를 금지하거나 제한함으로써 특정 생물종의 멸종을 방지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협약에 따른 규제방식은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다르게 규제하고 있고, 희소성으로 인한 경제성, 여가의 대상 등으로 인해 불법거래를 금지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더욱이 CITES 부속서 Ⅰ에 기재된 멸종위기종의 경우에는 자연상태에서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시점이 지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협약이 근본적으로 멸종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국내의 경우, CITES 부속서에 속한 생물종의 규제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루어진다. 특히, 수출・입 및 반출・입의 허가, 용도 제한이나 양도・양수나 인공증식의 허가 등 거래에 관한 규제 외에도 사육시설의 등록 및 설치 및 관리기준을 준수토록 하고, 운영중지 및 폐쇄 등의 신고, 특정시설에 대한 검사 및 개선명령 등 관리에 대한 규제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CITES 자체는 목록에 기재된 멸종위기종의 수출・입을 규제할 뿐이고, 국내법상 보관이나 양도・양수 등에 대해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나 불법유통 자체를 근절하는 데에는 미흡하다. 더욱이 소규모 동물원의 난립에 따른 규제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인공증식의 허가제나 사 육시설 설치기준 등의 경우 규제의 적정성이 문제시 된다. 무엇보다도 관리부처의 다원화, 관련 규제의 다양성 등으로 인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규제 위반에 대해서도 몰수한 동물의 관리 규정의 부재나 벌칙에 있어 불법거래에 따른 이득의 박탈을 위한 양벌규정 등에 있어서도 미흡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ITES종의 불법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수입・반입 시 허가 규정을 강화하고, 인공증식 허가의 위임의 근거를 명확히 하며, 사유시설 등록 등과 관련한 중복 규제를 해소하는 한편, CITES종의 불법거래로 인한 경제적 이득을 박탈하기 위해 규제 위반에 대한 벌칙을 강 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 is a multilateral treaty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certain species by prohibiting or limiting the international trade in species listed in its Annex. But regulatory approach under the Convention has also limitations, as countries have different regulations depending on their own interests. It is not easy to ban illegal trade because wildlife is an asset to be cherished from many perspectives–economic, recreational, etc. Moreover, CITES is criticized for being fundamentally unable to protect the endangered species listed in CITES Appendix Ⅰ, because it is too late for most of them to be protected from extinction in the natural state. In South Korea, the control of species belonging to the CITES Annexes are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In particular, Those who intend to export, import, take out, bring in, modify the use of, transfer or acquire, artificially reproduce those globally endangered species shall obtain permission. Breeding facilities are also regulated according to standards for registration and installation, operation suspension and closure, or inspection and improvement orders. Nevertheless, CITES itself regulates only the import and export of endangered species in the list. Although in principle it prohibits the storage, transfer, acquisition of the species, there is insufficient to ban the illegal distribution itself. Moreover, the loophole of regulation exists according to the scrambling of small zoos, and an adequacy issue is raised for such regulations as governing artificial reproduction or installation of breeding facilities. Above all,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regulation is lacking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ministries, the diversity of the relevant regulations. Provisions for how to manage confiscated animals are missing and joint penal provisions on depriving of benefits from illegal trade are also insufficient. This paper suggests strengthening the permit regulations on imports and bringing in of CITES species to prevent their illegal trade, clarifying the basis of the mandate of artificial propagation permits, eliminating redundant regulations related to such procedures as breeding facility registration, and strengthening penalties for violating regulations by depriving the economic benefits resulting from illegal trade of CITES species.

      • 무미목 양서류 법정보호종 포획․이주 가이드라인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고찰

        민병하,최정환,오상혁,장명성,이주원,이종은 한국양서ㆍ파충류학회 2023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7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포획, 채취 등과 관련된 활동에 대한 법적 규제는 생물의 보호와 지 속 가능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환경부, 국립생태원 등 관련기관에서는 국가의 법률과 규정을 기반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호와 관련된 안내서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포획 및 이주에 대한 규칙과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의 다양한 환경에서 실시되 는 포획․이주에 관한 행위는 기존의 지침과 허가절차에 준해서 실행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실제 지침을 준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하더라도 현장 상황이 매우 상이할 경우, 조 사방법에 대한 신뢰성이 결여되고 이로인한 대다수 시민들의 공감을 얻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14조는 “공익사업의 시행 또 는 다른 법령에 따른 인가․허가 등을 받은 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이동 시키거나 이식하여 보호하는 것이 불가피한 경우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멸종위기 야생생 물을 포획․이주 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개발사업은 위 법률에 의거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포획․이주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 허가신청 절차 안내서, 국립생태원, 2021」, 「맹꽁이 대체서식지 조성 가이드북, 국립생태 원, 2021」,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조성 가이드북, 국립생태원, 2018」에 제시된 가이드라인 을 근거로, 위 법률에 의거하여 포획․이주를 실시하는 개발사업 중 실제 산업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지 않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개선 방 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환경부 등 국가기관에서 제작 및 제시된 가이 드라인이 산업계의 이익 및 편의에 의한 해석, 일부 항목의 미이행, 부적절한 절차 진행으로 인해 오남용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결과적으로 전문가와 국가기관의 신뢰도 하락으로 직결된다. 또한 포획․이주 사업의 본래 목적과는 다르게 유전자 다양성이 매 우 결여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및 개체군 크기 감소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생물다양 성 보전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기관의 포획․이주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산업계에 의해 진행된 실제 사례와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파 악하였고, 이를 토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포획․이주에 대한 개선방법 등 현장 상황에 적합 한 활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내 포유류 복원사업의 성과

        이배근,정동혁,정우진,김정진,김선두,정대호,장경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생물다양성 및 생물주권이 국가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21세기를 맞이하여 과학 적인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기술 개발과 이를 통한 복원사업의 실현은 생물다양 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필요한 서식실태, 서식지 환경 분석 및 멸종위기종 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본적인 조사・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멸종위기 동물(지리산 : 반달가슴곰; 설악산, 월악산 : 산양; 소백산 : 여우)에 대한 복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의 시초로써 이를 통 해 반달가슴곰을 비롯한 모든 야생동물들이 이 땅에서 멸종되지 않도록 첫 걸음을 내딛는데 의의가 있다. 2004년부터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3년 현재 27개체가 지리산에 서식하고 있으며, 이중 9마리는 방사 개체들 사이에서 출생한 2세대로 2009년 이후 매년 꾸준히 출산 개체들이 늘 고 있다. 멸종위기종의 복원 및 보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는 서식 분포 및 개체수를 파악하는 것인데 산양의 경우 국지적 절멸위기종으로 국내 4개 지역에 주로 서식 하고 있으나 2002년 산양 개체수를 파악한 이후 변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없었다. 이에 2010년 1월~2012년 12월까지 주요 서식지의 하나인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카 메라트랩 및 분변크기 분석 등 정밀 조사를 통해 최소 155개체~232개체의 산양이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우복원은 2010년 먹이자원, 경쟁종, 위협요인 등 서식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서식지로 적합한 소백산국립공원을 선정하였고, 2012년부터 본격적인 여우복원 을 위한 시험방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2013년 9월 6마리의 여우를 방사하였다.

      • KCI등재

        멸종위기종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실내 증식을 위한 산란 특성 연구

        고경훈,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4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인공 증식을 위한 산란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화 후 3개월이 지난 두점박이사슴 벌레 성충은 암수 비율이 1: 1 일 때 3주 이상의 교미 기간이 필요하다. 실험 처리온도 16, 20, 24, 28, 및 32°C 중에서 산란전기간은 16℃에서 우화 후 109일로 가장 길었으며, 32°C에서 우화 후 평균 59.4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수는 24°C에서 암컷 한마리당 평균 40.6개로 가장 많았다. 성충의 평균 수명은 16°C에서 수컷 208.8일, 암컷 263.9일로 가장 길었으며, 32°C에서 수컷 96.1일, 암컷 130.3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 용기 크기에 따른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산란수는 용기가 클수록 많았다. 사육 시 산란목 설치가 산란수와 산란기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멸종위기종 두점박이사슴벌레의 복원과 대량 증식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pecies Prosopocoilus astacoides blanchardi was investigated for indoor mass-rearing. This insect required 3 weeks or more for mating after emergence when introduced at the 1:1 ratio of male to female. Among temperatures studied at 16, 20, 24, 28, and 32°C, the pre-ovipositional period of P. astacoides blanchardi was longest at 16°C with an average of 109 days after emergence, while it was shortest at 32°C with an average of 59.4 days. The number of eggs laid at 24°C was highest with an average of 40.6 per female. The average lifespan of adults at 16°C was 208.8 days for males and 263.9 days for females, while at 32°C 96.1 days for males and 130.3 days for females. The number of laid eggs was dependent on insect rearing chamber size. The oviposition-trees did not significantly (P > 0.05) affect the number of laid eggs and ovipositional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rearing data for the restoration and mass propag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P. astacoides blanchardi.

      • KCI등재

        개발영향과 멸종위기종의 서식적합성을 고려한 보전 우선순위 선정

        모용원 ( Yongwon M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인간의 개발로 점차 멸종위기 생물종이 증가하고 있어, 충분한 보호지역의 선제적 확보가 중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개발영향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보호지역 선정 시 고려해야 할 보전 우선순위지역을 확인하였다. 보전 우선순위 도출은 보전계획 의사결정 지원 소프트웨어인 MARXAN을 이용하여 기존 보호지역 포함 여부와 개발영향 반영여부를 기준으로 총 네 가지의 시나리오로 분석하였다. 개발영향은 개발면적 비율, 인구밀도, 도로망 체계, 교통량을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생물종 보전 대상 지역은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조류, 포유류, 양서파충류의 출현자료를 이용하여 도출한 서식적합지역을 이용하였다. 이 두 가지 요인을 입력 자료로 기계학습 기반 최적화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전 우선순위 지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멸종위기 생물종을 보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 기존 보호지역과 떨어진 지역에서 다수 나타났으며, 개발영향을 고려했을 때는 보전우선순위 지역이 파편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개발영향과 기존보호지역을 모두 고려했을 때에도 기존 보호지역 주변으로 이미 도로개발이 많이 이뤄져 기존 보호지역과는 떨어진 지역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영향을 고려하여 멸종위기종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보호지역 주변 이외의 지역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으며, 파편화되어 나타나는 보전 우선순위지역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s endangered species are gradually increasing due to land development by humans, it is essential to secure sufficient protected areas (PAs) proactively. Therefore, this study checked priority conservation areas to select candidate PAs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land development. We determined the conservation priorities by analyzing four scenarios based on existing conservation areas and reflecting the development impact using MARXAN, the decision-making support software for the conservation plan. The development impact was derived using the developed area ratio, population density, road network system, and traffic volume. The conservation areas of endangered species were derived using the data of the appearance points of birds, mammals, and herptiles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These two factors were used as input data to map conservation priority areas with the machine learning-based optimization methodology. The result identified many non-PAs areas that we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conserving endangered species. When considering the land development impact, it was found that the areas with priority for conservation were fragmented. Even when both the development impact and existing PAs were considered, the priority was higher in areas from the current PAs because many road developments had already been completed around the current P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reas other than the current PAs to protect endangered species and seek alternative measures to fragmented conservation priority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