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독서교육관련 자격증 현황

        정옥년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3 No.1

        이 논문은 미국에서의 독서교육 전문가 활동의 역사와 역할 범주, 독서교육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질과 자격요건, 독서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예를 살펴본 것이다. 미국의 독서교육 전문가 양성 현황은 국가나 전문 학회보다는 민간 사설 기관에서 독서교육 지도자들을 양성하고 있는 국내 상황과는 좋은 대비가 된다. 무엇보다 독서교육을 하는 사람들을 교사 혹은 교육자의 범주로 보고 이에 걸맞는 자질과 역할, 그리고 윤리의식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학교 독서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은하(Lee Eun Ha)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교육연구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of school reading education that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currently school reading education and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task of school reading education; focus on practical operative program. Their school reading education program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areas, and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hapter Ⅱ, as for reading education, meaning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significant of reading education, principal of reading education, method of reading education. chapter Ⅲ, as for actual condition of foreign school reading education. chapter Ⅳ, as for actual condition of our country school reading education. chapter Ⅴ, as for the direction and task of school reading education. chapter Ⅵ, as for practical operative program of school reading educa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each school establishing the plan which hits to the school actual condi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only practicing continuously effect a school reading education maximum. 본 연구는 현 학교 독서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학교독서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실제적 운영방안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연구로 학교 독서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독서교육의 의미와 독서의 원리 및 방법에 대한 정의적인 부분을 살펴보고, 외국의 경우 학교에서 독서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외국의 독서교육 현장과 현재 우리나라 학교 독서교육의 실태를 비교하면서 지금 우리의 독서교육 현주소를 알아보았다. 학교 교육에 있어서 독서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어떻게 독서교육을 진행하여야 할 것인지를 방향을 제시하면서 우리의 독서교육이 선진국의 독서교육을 이상의 발전을 위한 과제와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독서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전라북도교육청 독서교육 담당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성준,서진원,Kim, Sung-Jun,Suh, Jin-W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이 연구는 전라북도교육청의 효과적인 독서교육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단위학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주요 조사내용은 그동안의 독서교육 사업평가, 단위학교 독서교육 현황, 독서교육 정책개발의 고려요소이며, 전라북도교육청 소속 전체 학교의 31%에 해당하는 239개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와 효과성은 비교적 높고, 단위학교는 연간 4개 정도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독서교육 수준이 중 고등학교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독서교육 정책수립시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로는 사서교사와 같은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충원과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장서와 같은 독서환경의 개선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의 기조유지와 개선, 학교도서관 환경개선 사업의 지속추진, 초등학생 대상의 전문화된 정책개발,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배치와 전문성 신장, 독서교육 정보의 공유체계 마련을 독서교육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제안하였다. This survey is perform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on reading education for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To do this, this survey asked 239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ach school's reading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support projects from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current level of schools' reading education and priorities of policy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are contented with current support projects. Each school provides an average of 4 reading programs per year. Elementary schools'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level. And more employment of full time reading experts as teacher librarian and the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are revealed to be more important priorities on the policy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maintenance of current support projects,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development of specialized policies for elementary schools, enhancement of reading teachers' expertise and preparation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as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대학에서 학제적 독서 교육의 실제와 전망

        한금윤 ( Keum Youn Han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본 논문은 현재 대학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서 교육의 특징 및 전망을 고찰한 것이다. 대학에서 독서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활동이다. 대학에서 독서 활동은 사회적 자아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며, 지적인 성찰을 통하여 사회 문제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사회 변화의 주체가 되기 위한 활동으로써 중요하다. 그런데 최근 한국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를 보면, 독서를 기피하거나 흥미 위주의 독서에 치우친 경향이 강하다. 그리하여 대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낳고있다. 더욱이 21세기는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폭발적으로 제공되는 사회로, 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학생들에게는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안목과 새로운 정보를 만들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즉, 문제를 다각적이고도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대학생들에게 필요하다. 이러한 안목은 개별 전공의 사유 방식을 넘어서서 보편적이고 종합적인 사유 방식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많은 대학에서 교양 학부를 개설하여 기초 교양 교육의 일환으로 독서 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다. 현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제적 독서 교육은 기존의 국문과 중심의 독서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공의 교수가 공동으로 교양 필수 과목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철학과 교수들의 진입으로‘비판적 사고’중심의 독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비판적 사고중심의 독서 교육은 문제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를 배양하는 데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지닌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독서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비판적 사고 중심의 독서 활동은 자유롭고 창의적인 독서 활동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비판적 사고가 복잡한 현실에 대한 명확하고 올바른 판단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도 독서에 대한 거부가 강한 대학생들의 독서 기피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부분을 통해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다른 사람과 공감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제 학제적 구성을 넘어서는 통합적 독서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것은 특정 전공의 영역을 넘어서는 기초 교양 교육을 다시 정립하는 제3의 교육 영역의 개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중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 교육과도 의사소통하여 고등 독서 교육의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and to suggest new goal of reading in liberal education. Recentl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is regarded as a new, developing,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 in lib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complicated and various problem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professors consist doctors of diverse department. This is effective to teach the freshman who ha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creatively. But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as the goal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which the philosophy doctors are emphasizing the point of. It is not easy for freshman to read difficult books for developing of critical thinking. To read for critical thinking makes student`s feel difficult. It is hard for them to read the classic books, and also they can`t enjoy reading books in their classes. Also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and flexible thinking through learning of reading for critical thinking, which is more inclined toward logical than creative thinking. The reading education has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books, because Korean university students don`t read even once a good books. Most importantly, it is necessary for freshman to be interested in and enjoy reading books which are regarded as academic classics. So the new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is beyond the developing of critical thinking. It should be the creative and liberal reading. That is not only logical but also various thinking. For that,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e the divers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lso the liberal education professors have to communicate the primary educ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The reading education has to go forward developing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come the world citizen beyond the local interest. This is the liberal education suited to the new century.

      • KCI등재

        문화역사 활동이론에 근거한 독서교육전문가 활동 사례

        김효숙 ( Hyo Sook Kim ),이경화 ( Kyung Hwa Lee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39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혁신교육지구 초ㆍ중ㆍ고등학교에 파견된 독서교육전문가 가운데 중등 독서교육전문가의 활동을 문화역사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학교 밖 독서교육전문가가 학교 현장에 들어가서 5년 동안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를 밝힘으로서 앞으로 학교 독서교육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실질적인 방안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처음에는 학교 독서교육전문가라는 낯선 역할로 많은 어려움과 갈등을 겪었으나, 학습공동체의 운영과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교사와 독서교육전문가와의 협력수업은 다양한 모형의 교과연계 독서수업을 창의적으로 탄생시켰다.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태도와 독서능력이 향상되면서 독서교육전문가로서의 역할 확립과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었다. 학교 독서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 교사의 독서교육역량 강화와 함께 학교 밖 독서교육전문가들의 축적된 역량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모색과 정책이 뒷받침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school reading specialists among all other reading specialist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first assigned in Korean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on a basi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etical perspective’ theory. It seeks to assist in the field of the development in policies and practical plans of activation of school reading instruction by exploring which role outside reading specialists have played in schools. At first, school reading specialists faced many challenges as it being an uncommon occupation. However, they overcame those obstacles by managing learning community and communicating actively. Also, collaborative instruction of teachers and reading specialists gave rise to creation of a wide variety of new subject-related reading instruction models. It helped improve student``s attitudes toward reading a book and their reading proficiency, and form the identity of reading specialists and their roles. In order to activate reading instruction at school, teachers are encouraged to enhance their reading competence. Also, we should explore and adopt policies that support the work of reading specialists, and build an environment where reading specialists can make the best of their capabilities.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독서 교육 활동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전제응(Jeon Je 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 활동을 강조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현재 초 등학교에서 실천되고 있는 독서 교육 활동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 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정한 독서 연구학교의 연구 보고서와, J도에 위치 한 30개 초등학교의 독서 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현재 독서 교육 활동의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독서의 외재적 동 기만을 강조함으로써 창의적 사고 ‘성향’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 둘째, 책 내용에 대 한 심층적인 의미 구성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학생의 창의적 이해 과정을 소홀히 다 루고 있다. 셋째, 독서 교육 활동에서 상향식 접근 방식만을 강조함으로써 분절적인 활동이 단순하게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독서 교육 활동에 서 내재적 읽기 동기 강화하기, 둘째, 독서 교육 활동과 읽기 교육 간의 연계 강화하 기, 셋째, 독서 교육 활동에서 하향식 접근 강화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blems of reading instruction activity for developing student s creativity, and to propose a few of solutions. I analyzed the reading program reports and plans which is to be recoded how to govern reading instruction for developing student s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The problems of reading programs to improve creativity is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external reading motivation is emphasized, we are indifferent to the inclination of creativity. Second, we are not concerned of the creative meaning construction when students read a book. Third, students repeat simple learning activities after reading a book. To solve theses problems, initially,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internal reading motivation. Second, it is need that between reading activity and reading instruction activity are connected closely. Third, it is need to approach the top-down reading activity instruction.

      • KCI등재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

        정지은 ( Ji Eun Jung ),강기수 ( Gi Su K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2

        Rousseau는 아동 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에밀』을 통해 주장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Rousseau의『에밀』에 나타난 독서교육론을 고찰하고 그 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독서교육에 있어서 Rousseau는 언어는 사고에 영향을 미치며 12세 이전의 아동은 관념을 비교할 능력을 갖지 못하고 편견에 쉽게 물들며 감각적인 능력을 통해 사물과 관계를 맺는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12세 전의 독서교육에 반대하고, 12세 이후에는 『로빈슨 크루소』를, 15세 이후에는 역사서, 인물전기, 우화, 고전 읽기를 그 내용으로 하였다. 독서교육의 과정은 독서 전에는 동기와 흥미를, 독서 중에는 능동적인 태도를, 그리고 독서 후에는 대화와 적용의 독서 태도를 중시하고 있다. 논의에 근거하여『에밀』에 나타난 Rousseau의 독서교육론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면 우선 Rousseau는 독서를 통해 지적발달을 재촉하는 현대의 부모에게 독서교육의 준비가 중요함을 깨닫게 하고, 정보를 쉽게 접하는 현대의 아동에게 능동적인 독서 태도를 일깨운다. 또한 삶과 연관된 독후 활동을 강조하였고, 아동의 심신의 발달을 배려하며 독서교육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가는 독서지도자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Rousseau의 독서교육론은 독서 준비를 지나치게 강조한 반면 책 속의 언어가 줄 수 있는 아동의 지적발달을 간과하고 있으며, 소통이 중요시되는 현대 사회에서 사실 중심의 텍스트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study Rousseau`s reading education in "Emile". For this purpose, by means of Rousseau`s reading education, the study attempted to explore education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reading education. He was opposed to teaching literary character to young children and argued for teaching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In the infant period, he focused on the environment where infants could understand language sufficiently and express. In particular he was opposed to fable education in the childhood period. He only let children read "Robinson Crusoe." And then he allowed the adolescents to read history books, biographies, fables and classics. In this sense, Rousseau focused on reading not for intellectual development but, intellectual development for reading in the decision of reading period. Before reading, he sufficiently motivated and sought active reading to reach one`s own conclusion. And,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viewing books with other people and applying it to one`s own life. Evalua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ading education of Rousseau suggests that preparation for reading education is important, contrary to contemporary parents who focus on intellectual development. Rousseau argued for the significance of thinking reading and reflection of reading for contemporary children who have easy access to information. Finally, he stresses the significance of the reading instructor`s attitude in the consideration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ding reading education systematically. Based on the above argument, the limitations of reading education of Rousseau are as follows. He stressed too much on the preparation for reading. Then, he overlooked the children`s development which can be contributed to by the language of books. Finally, there are limits to applying the reading education of Rousseau to the contemporary point of view.

      • KCI등재

        독서 교육 연구사: 학교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허재영 ( Jae Young Heo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이 글은 국어과의 독서 교육 연구사를 시대별로 정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글이다. 독서 현상과 독서 교육 현상은 구별하여 연구해야 할 과제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구별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더욱이 전통적인 언어 교육은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가 구분되지 않았으며, 문자 해득 단계를 독서 교육 현상으로 보아야 할지 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독서 교육의 바탕이 되는 독서관, 문자 교육 등을 포함하여 독서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모두 포함하여 기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우리나라에서의 독서 교육 연구는 근대계몽기‘독서론’을 기점으로, 일제강점기의 오락으로서의 독서관과 독서 교육을 거쳐, 건국 과도기 이후의 경험?기술적인 독서 교육으로 이어진다. 특히 교육과정기에는 구조주의 언어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독서 교육과 구성주의 언어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독서 교육 사이에 상당한 차이점이 발견되며, 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이 확립된 이후에는 독서 교육도 학문적 위상을 확립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scribe the stream of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from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to the present day in relation to schooling. As mentioned prior to this description,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dealing with this subject. It is because there exists the specificity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a close distinction between the phenomenon of reading and the phenomenon of reading education and to describe the phenomenon of reading education by period by the given standard. This study focused on describing the stream of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with due regards for the view of reading or curriculum for reading education. It attempted to make the following summary of the above discussion: First, the reading educatio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as provided based on the view of reading as the compass at the level of emphasizing the need for ‘knowledge acquisition’. Second, the phenomenon of reading in the period of Japanese domin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howe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character us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language dissemination policy. The characteristic is that those sufficiently equipped with literacy(Chinese character or Japanese language) had the view of reading as the pastime revolving around novels. Third, the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national foundation showed that the task of having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phase of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ame to a forefront as appeared in the imminent probl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rocess, the instruction of the department of linguistic arts is divided into the dimensions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nd shows the stream of laying stress on literature at the level of its content. In this stream,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reading method at the level of experiences and skills. Fourth,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in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showed that theories on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experiences and skills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3rd curriculum became central and new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progressed under the influence of theories on functionalist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4th curriculum.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독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방길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4 시각장애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학교 독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교육의 인식에 대한 분석에서 교사들은 독서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독서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독서를 해야하는 이유로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다. 독서교육의 충실도에서는 초등교사보다 중등교사들이 독서교육이 충실히 이행되지 못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둘째, 독서환경에 대한 분석에서 전체적으로도 1일 평균 30분 미만의 독서시간을 확보해 주는 것으로, 월평균 독서량이 2권 정도가 되게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문고에는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는 도서가 매우 부족하며, 학년별 권장도서 목록이 없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독서교육의 저해요인으로 잡무로 인한 시간 부족이 가장 컸으며, 독서교육을 위한 지원이 활발히 이뤄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개선방안에 대한 분석에서 학교도서실의 시급한 보완점으로 5년 이하와 1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는 양서확보를, 6-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는 전담사서 확보라는 응답을 했다. 독서의 생활화 요건으로는 장애정도에 맞는 다양한 매체의 자료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교육의 활성화 방법으로 독서 전․후의 활동, 다독, 독서시간 확보, 정독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바람직한 독서교육을 위해 사서교사가 필요하며, 학교의 독서여건 조성을 가장 시급한 것으로 인식했다. 독서교육의 연계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경우 재량활동 시간을 통한 독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중등교사는 여가시간을 통한 독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안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의 독서교육 비교 분석

        이세나(Lee, Sena)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대안학교가 추구하는 교육의 주요 방법으로 독서교육이 이용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일반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과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와 문법」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내의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학교의 중점 과제로서 진행되는 독서교육을 중심으로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독서교육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독서와 문법」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으로서의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에서는 일반고등학교와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중 학교 교육 목표나 중점 과제로 독서교육을 제시한 학교들의 경우, 인문학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주요 방법으로 독서교육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학생들의 일상적인 독서활동을 점검 확인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독서교육의 목표를 인문학적 사유 능력의 성장으로 잡는다면, 이것에 대해 전체 교사가 합의, 동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책을 읽고 그 결과를 기록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교사가 확인, 점검해주는 체계가 필요하다. 앞으로는 이러한 독서교육과 정규 교육과정 상의 교과목 수업을 어떻게 통합, 연계하여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이러한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을 일반학교에 어떻게 적용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alternative school would use reading education as a method of self-derected learning to pursue them. The reading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general high school and alternative schools were analyzed. For this analysis, colledt the reading curriculcum, Ministry of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policy, research reports, academic papers, alternative schools’ reading curriculum, education plan, and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eral school and alternative school 「reading and grammar curriculum」 around subjects as reading education, reading programs of school library, Some of alternative school suggested reading training school to focus on task. That schools suggested reading education as the main method for teaching humanistic thinking. For this purpose, they equipped with a system to check the students’ daily reading activities. If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with humanistic thinking, the procedure for the entire teachers agree were necessary. And reading a book with students routinely record the results, and it requires a system that continuously checks the teacher. For the more how to integrate read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is required for the study it will be operating. Also the study of the possible application of these reading education in general school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