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조의 재평가: 덕육과 희열을 중심으로

        김옥태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3

        This research considered 'gymnastics' that had been introduced using important teaching material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type of gymnastics had new insight into essential respects because of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especially focus on moral education and delight. First, I mentioned that the idea of gymnastics has changed through the times. It was first implemented with the intention of being for physical training and health promotion in a rational base, but it has turned aside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However, our discovery is that gymnastics has a desirable function as a moral education tool which helps students develop stronger personalities and self-esteems, and promotes well-being through delight and amusement. We must understand this well, and make healthy persons in both mind and body through the order and structural values emphasized in gymnastics as a form of moral education. Gymnastics teaches youth order and discipline which are valuable moral lessons for survival in today's chaotic world. Moreover, gymnastics also includes delight and amusement. It is possible see this euphoria in the movement itself, in the movement result, and in the method. That is, delight can be felt through the imagery evoked by the movements of gymnastics, and there is pleasure felt when a gymnastic maneuver is accomplished correctly and its difficultly is triumphed over. It is an activity in which there is an important affective element, musical element, and play or sports element. Moreover, feelings of delight, enjoyment, and amusement are completely psychological.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make such feelings compulsorily. It is important to motivate students to succeed at gymnastics. Especially, it is demanded that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include gymnastics in physical activity and guide individuals to become interested in it. A good environment is important and necessary, also. 본 연구는 학교체육에서 중요한 교재단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체조’에 대하여 관련문헌을 통하여, 특히 덕육과 희열을 중심으로, 본질적인 면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체조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천해왔지만, 체력육성과 건강 증진을 위해 합리적인 바탕에 근거하여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오늘날 우리 학교체육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외면당하는 형편을 지적했다. 그러나 체조에는 인격을 완성시키고 인간형성을 지향하는 등의 덕육으로서의 바람직한 기능이 있고, 또 희열과 재미가 있다는 것을 탐색했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잘 이해하고 오늘날 무질서한 사회 속에서 심약한 청소년들에게 덕육으로서의 체조를 통하여 질서를 존중하고 심신이 강건한 사람을 만들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체조도 희열과 재미가 없으면 안 되는데, 체조에도 그 희열이나 재미가 없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운동 자체에서도, 운동결과에서도 그리고 방법에서도 찾을 수 있음을 밝혔다. 즉 체조의 運動像을 통하여 희열을 느낄 수 있고, 어려움을 극복했을 때 느끼는 쾌감도 있다. 정동적인 요소나 음악적인 요소, 그리고 놀이나 스포츠적인 요소를 도입하는 것도 중요한 방법이 된다. 그러나 희열의 감정은 전적으로 심리적인 것으로서 강제적으로 이러한 감정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지도자는 이를 잘 활용하여 재미있게 지도하는 것이 요구되고, 좋은 환경도 중요하고 필요하다.

      • KCI등재

        영남대 소장본 『夙惠記略』 고찰

        정은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8 No.-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the publishing intension, time, characteristics of "Sukhyegiryak", and the uniqueness of Yeungnam University's. Sukhyegiryak is the start of modern textbook after "Gapohgaehyeok", 1894. Sukhyegiryak could be called the anecdote about very smart people from childhood. In education chart published in 1895, the building of morality comes first before sports and knowledge. In this period, the textbooks focused on morality were planned heavily. But the direction of morality building was not clearly set up because it was very early stage. So Sukhyegiryak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contains various kind of contents such as Buddhism, ability of writing a poem, memory, knowledge, paintings, astronomy, and history. Also not by themes, this book is consisted by ages like from 7 month, 8 month, 1 year, 3 year, 4 year to 20 year old, and utilized famous Chinese people's episode. There are two kinds of Sukhyegiryak in Yeungnam University. One is the wooden type and the other is the hand writing copy. The wooden type is same with other university's bu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hand writing evidence of using as textbook to 1905 in the cover page. The hand writing copy is the only thing and it was written in 1921 around half of the wooden type. The error could be found in hand-writing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we could find the real Korean languag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본고는 영남대학교에 소장된 『夙記略』의 편찬의도, 간행 시기 및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고, 영남대 소장본의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學部가 설치되고, 학부 내에는 編輯局이 신설되어 근대식 교육에 부응할 수 있는 교과서가 발간되었다. 『숙혜기략』은 학부편집국 출발과 함께 가장 일찍 발간된 교과서이다. 夙惠는 夙慧와 같은 의미인 바, 『숙혜기략』은 어린 시절부터 총명했던 인물들의 일화를 기록한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1895년에 발표된 교육조서에는 ‘德育’이 ‘體育’이나 ‘智育’ 보다 강조되고 있듯이, 갑오개혁 당시 덕육을 기를 수 있는 수신 교과서들이 비중 있게 기획되었다. 하지만 개혁 초기라 수신의 방향이라든가 교과서의 체계가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숙혜기략』은 전통적인 유교의 틀을 토대로 하되, 그 외의 시문 능력[시・산문]・기억력・지혜・그림・천문・효성・역사’ 등의 다방면에 걸친 내용들을 담았다. 그리고 구성은 출생당시・7개월・8개월・돌・3세・4세에서 20세까지 구체적 연령별로 배치하였고, 주로 중국 인물의 고사를 활용하였다. 영남대학교에는 2종의 『숙혜기략』이 소장되어 있다. 1종은 목활자본[貴012, 211]이며, 나머지 1종은 필사본[古南 991.2]이다. 목활자본은 다른 대학교나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과 같은 판본이지만, ‘學部編輯局印’이라는 인장이 찍혀있고, 첫 장에 1905년까지 교과서로 널리 사용하였음을 시사하는 필사기록이 있어 주목을 요한다. 또한 필사본은 국내 유일본으로, 1921년에 목활자본을 반 정도 필사한 것이다. 필사 도중의 오류도 보이지만 목활자본의 오류를 정정하려했던 점과 일제강점기의 국어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브라질 상파울루 레지스트로의 일계 이민과 아이덴티티 인식

        센스이 히데카즈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Resistro, a regional cit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tate of São Paulo, Brazil, was develop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y a settlement project of the Kaigai Kogyo Kabushiki Kaisha and is now filled with historical monuments and annual events that have Japanese themes and elements. However, a Christian cathedral was built, with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 Kaigai Kogyo, much before a Buddhist temple, the construction of which was delayed until the late 1950s. As long as settlers maintained an intention of returning to Japan,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only a temporary guest and were less resistant to the culture of their host country Brazi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ettlers developed a strong sense of themselves as Japanese through their daily contact with Brazilians. The category of Japanese became more salient than any other categories. The Japanese as a category was well represented by the emperor, who was supposed to transcend regional bounds and blood relations. In Japanese settlements in Brazil, emperor worship was an expression of ethnicity and performed by the settlers community, with a portrait of the imperial couple as the focal point. What makes Registro exceptional is that similar worship continues to be held in a local community center in the settlement to this day. The settlement underwent an exodus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those people who gather at the community center are mostly former residents and their children who live elsewhere. This paper explores the reasons for the continued active existence of the community center. A particular focus is placed on an alumni association who hold a regular reunion in this community center. The reunion is an occasion to honor a particular teacher of an abolished local Japanese school, known as a moral educator. However, all his ex-students have already passed away, and the present “reunions” are made by his ex-students’ children and his grandchildren. When the Japanese settlers gave up returning home due to the Second World War, they cut off their belonging to their ie (house), dozoku (lineage) and mura (hamlet) which they had left behind in their homeland Japan. When the teacher and his students became permanent residents of Brazil, they created a new ie as its founding ancestor in Brazil. Today, when people living elsewhere gather in the community center in the settlement for reunions, it is an act similar to visiting the place of one’s ancestor on the festive day of the ancestor’s homeland. 브라질 상파울루 주 서남의 지방도시 레지스트로는 20세기 초에 해외흥업주식회사의 입식 사업에 의해 개발되어 현재는 일본인 입식자의 역사적 기념물이나 유구, 혹은 일본적 요소를 포함한 연중행사 등이 넘치고 있다. 그러나 해외흥업의 자금원조에 의해 입식지(入植地)의 입구에 우선 건립된 것은 가톨릭 교회당이었으며, 불교 사원의 건립은 1950년대 말에 들어서야 세워졌다. 많은 입식자들은 귀국을 전제로 브라질에 체재하였다. 일시적으로 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손님’에 지나지 않는다는 자기 인식이 역설적으로 호스트 나라의 문화에 저항감을 느끼지 않는 소지(素地)가 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입식자들에게는 일본인이라는 강력한 자기인식이 생기게 되었다. 브라질인과의 일상적인 접촉 속에서 일본인이라는 카테고리가 다른 여러 카테고리를 압도하는 중요성을 띠었기 때문이었다. 카테고리로서의 일본인은 지연이나 혈연을 넘는 존재였던 일왕에 의해 표현되었다. 예전의 일본인 입식지에서는 에스니시티의 표현으로서의 일왕숭배 의식이 일어학교의 어진(御眞)을 중심으로 지역 주민들이 총 동원되어 행해지고 있었다. 레지스트로가 예외적인 것은 입식지의 주민 집회소에서 현재에도 그것과 유사한 의식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입식지는 전쟁 이후에 인구 유출현상이 나타나면서 주민 집회소에 모이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다른 곳에 거주하는 이전의 주민이나 그 아이들이다. 본론에서는 같은 주민집회소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동창회에 주목하여 주민집회소의 활동이 존속하고 있는 이유를 탐구한다. 현재의 동창회는 한때의 일어학교의 학생들이 어느 한 명의 교원을 현창하기 위해 시작한 것이었다. 이 교원은 유일하게 덕육자로 알려져 있지만, 덕육에 의한 정신성은 일계 이민의 자기인식의 주주(主柱)였다. 다만 그의 학생들은 이미 타계하였고, 현재의 동창회에 모이고 있는 사람들은 그의 학생들의 아이들과 그의 손자들이다. 일본에서 이주한 이 교원도 그의 학생들도 브라질의 영주자가 되었다. 일계 이민은 전쟁으로 귀국을 단념하였을 때 일본의 고향에 남겨 둔 집과 동족, 마을로의 귀속을 끊고, 브라질의 조상으로서 새로운 집의 창출로 이어졌다. 현재의 동창회에 다른 곳으로부터 사람들이 입식지의 집회장에 모이는 것은 조상 고지(故地)의 제삿날에 그곳을 방문하는 행위이다.

      • KCI등재

        메이지 전기 일본의 도덕교육 논쟁에 관한 연구

        이명실(Lee, Myungsil) 교육사학회 2016 교육사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1870-80년대 일본의 교육사상(敎育史像)을 ‘도덕교육 논쟁’이라는 관점에서 재구성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이 시기 일본에서 도덕교육에 관한 논의가 나타나게 된 사회·정치적 배경에 관한 고찰한다. 둘째, 1879년 ‘교육령’ 발포와 1880년 ‘개정교육령’ 발포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서구식 교육 지향의 집단과 유교적 교육 지향의 집단이 어떻게 대립·갈등해 갔는가의 양상을 분명히 한다. 셋째, 1880년대 ‘도덕교육의 표준을 무엇으로 삼아야 하는가’를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지식인들의 주장에 관해 살펴본다. 결과적으로 1870년대의 논쟁이 지육인가 덕육인가를 둘러싸고 전개된 진보와 보수 사이의 대립이었다고 한다면, 1880년대의 논쟁은 도덕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둘러싼 지식인들 사이의 활발한 의견 개진의 과정이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1872년 ‘학제’, 1879년 ‘교육령’, 1880년 ‘개정교육령’, 1890년 ‘교육칙어’로 이어지는 일본 교육정책의 변화 과정과 더불어 우리의 역사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었던 교육칙어의 제정 배경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 근대교육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났던 다양한 집단의 의견 개진과 그 집단의 갈등·대립, 그리고 이를 통해 국가와 사회의 교육이념이 통합되는 방식을 탐구함으로써 일본적 근대의 특징을 단적으로 드러낼 수 있었다. This paper focuses on reconstructing the images about Japanese modern education in the 1870-1880’s from the viewpoint of ‘the quarreling about moral education’. I will discuss the followings: (a) the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of the quarreling about moral education at that time; (b) the characteristics of ’the 1879 Education Order’ and ’the 1880 Education Order’ which led to a confrontation between the Itō group (the Grand Council of Stat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otoda group (the Department of the Imperial Household and Emperor Meiji who was a devotee of the teaching); (c) the thoughts of intellectuals who led to a vigorous discussion about “what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moral education in 1880’s?”. Through examining these three topics,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discussion held throughout 1870’s w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gressive and the conservative, but that the discussion throughout 1880’s was the process of proposing intellectuals’ various opinions about the standard of moral education. We could also consider the process of the educational policy from the Education System Order(1872) to the 1879 Education Order, to the 1880 Education Orde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in 1890.

      • KCI등재

        유가미육(儒家美育)과 서예의 품격(品格) 고찰(考察)

        金應鶴 ( Kim Eung-hak )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9 No.-

        유가미육은 공자의 仁學에 기초한다. 유가는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며 善한 마음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이 되는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유가미육은 예술을 통하여 개인과 군중의 정서에 호소하며, 어진사람이 되는 정감교육을 강조한다. 이는 유가가 하고자하는 교화의 수단이다. 유가는 예술을 중요한 수단으로 삼으며, 仁에 부합하는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려 한다. 서예작품은 점·획으로 구성된 추상예술이지만, 서예가의 사상과 감정이 깊이 스며들어 있다. 옛사람은 그것을 통하여 자신의 이상과 인품을 표현하였다. ‘글씨를 쓰려거든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품제작의 필요조건을 말한다. 본고는 유가 심미교육의 근본취지 중 하나로 첫째는 盡善·盡美의 德育과 서예의 윤리, 둘째는 ‘天人合一’의 情育과 서예의 유비적 사유, 셋째는 서예는 그 사람의 인품으로 인하여 귀중해지는 심미교육과 서예의 品格을 탐구하여, 유학정신과 서예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서예는 하나의 技藝에 불과하지만, 오히려 풍부한 예술경계, 인생경계, 도덕경계를 投射할 수 있다. 이는 유가미육으로 생명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고 본다. 유가미육은 수신하여 인품을 세우고, 독서를 하여 지혜를 밝히며, 심성을 함양하여 재능을 넓히고, 너그럽고 쾌활한 淸氣가 서예의 品格美로 흘러 나오게 교육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가미육의 사명감은 바로 여기에 있다.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fucian benevolence. Confucianism has considered that people should love each other and practice good heart. To do this, it requires education to be a person.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education of emotion that is appealing to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 and the crowd through the arts, makes a benevolent person. This is means of edification and an important subject that Confucianism intends to do. Confucianism is trying to build an ideal society that meets the humanity using the arts as an important means. Although calligraphic works are abstract art which is composed of dots and strokes,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calligrapher has deeply penetrated in there. Old man was expressing his ideals and personality through it. In order to write the text, the first thing to the requirement of luxury production is to be a person. This paper is trying to clarify what there i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mind and calligraphy as one of the fundamental purposes of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those are through things that the first is virtue education of fulfilling the goodness and beauty, and calligraphy of ethics, the second is emotional education of unity of Heaven and man , and analogical reasons of calligraphy, the third is calligraphy does research on aesthetic education and grace that become valuable due to the personality of the man. Eventually, calligraphy is just one of the accomplishments, but can project rather abundant artistic boundaries, boundaries of life, moral boundaries. It looks that can reveal the meaning of life through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has to educate in order to establish the personality by self-cultivation, clarify wisdom by reading, develop talent by cultivating the mentality, flow out for generous and cheerful clear energy into th graceful beauty. Therefore, the mission of the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right here.

      • KCI등재

        儒家美育과 서예의 品格 考察

        김응학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fucian benevolence. Confucianism has considered that people should love each other and practice good heart. To do this, it requires education to be a person.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education of emotion that is appealing to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 and the crowd through the arts, makes a benevolent person. This is means of edification and an important subject that Confucianism intends to do. Confucianism is trying to build an ideal society that meets the humanity using the arts as an important means. Although calligraphic works are abstract art which is composed of dots and strokes,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calligrapher has deeply penetrated in there. Old man was expressing his ideals and personality through it. In order to write the text, the first thing to the requirement of luxury production is to be a person. This paper is trying to clarify what there i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mind and calligraphy as one of the fundamental purposes of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those are through things that the first is virtue education of fulfilling the goodness and beauty, and calligraphy of ethics, the second is emotional education of unity of Heaven and man , and analogical reasons of calligraphy, the third is calligraphy does research on aesthetic education and grace that become valuable due to the personality of the man. Eventually, calligraphy is just one of the accomplishments, but can project rather abundant artistic boundaries, boundaries of life, moral boundaries. It looks that can reveal the meaning of life through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has to educate in order to establish the personality by self-cultivation, clarify wisdom by reading, develop talent by cultivating the mentality, flow out for generous and cheerful clear energy into th graceful beauty. Therefore, the mission of the Confucian aesthetic education is right here. 유가미육은 공자의 仁學에 기초한다. 유가는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며 善한 마음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이 되는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유가미육은 예술을 통하여 개인과 군중의 정서에 호소하며, 어진사람이 되는 정감교육을 강조한다. 이는 유가가 하고자하는 교화의 수단이다. 유가는 예술을 중요한 수단으로 삼으며, 仁에 부합하는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려 한다. 서예작품은 점·획으로 구성된 추상예술이지만, 서예가의 사상과 감정이 깊이 스며들어 있다. 옛사람은 그것을 통하여 자신의 이상과 인품을 표현하였다. ‘글씨를 쓰려거든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품제작의 필요조건을 말한다. 본고는 유가 심미교육의 근본취지 중 하나로 첫째는 盡善·盡美의 德育과 서예의 윤리, 둘째는 ‘天人合一’의 情育과 서예의 유비적 사유, 셋째는 서예는 그 사람의 인품으로 인하여 귀중해지는 심미교육과 서예의 品格을 탐구하여, 유학정신과 서예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서예는 하나의 技藝에 불과하지만, 오히려 풍부한 예술경계, 인생경계, 도덕경계를 投射할 수 있다. 이는 유가미육으로 생명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고 본다. 유가미육은 수신하여 인품을 세우고, 독서를 하여 지혜를 밝히며, 심성을 함양하여 재능을 넓히고, 너그럽고 쾌활한 淸氣가 서예의 品格美로 흘러나오게 교육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가미육의 사명감은 바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 교훈의 덕육(德育) 기능 연구 : 길림성을 중심으로

        리문철(Li, Wenzhe),안병삼(An, Byungsam)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1 국제문화연구 Vol.1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al education function and practice of the school motto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in Jilin Province. Of the 80 school mottos to be studied in this paper, eight Chinese-Korean schools directly used “moral(德)”. What is the educational purpose that the Chinese-Korean schools tried to realize through the moral education? First, Chinese-Korean schools tried to cultivate “true and upright” students through the moral education. Second, Chinese-Korean schools tried to maintain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moral education. Third, Chinese-Korean schools tried to encourage students to live progressive lives through moral education. Fourth, Chinese-Korean schools attempted to inform students of the ‘moderation’ of their actions and hearts through the moral education of school motto. This thesis attempted to find out how to practice morality of the school motto of Chinese-Korean schools. First, it is the establishment of school motto suitable for moral education. Second, it is the reinforcement of instruction for moral education. Third, Chinese-Korean schools should conduct moral education by carrying out didactic activ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spirit of school motto by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 KCI등재

        19세기 영국에서의 "삼육" 개념의 형성과 전개

        김자중 ( Ja Joong Kim ),한용진 ( Yong Jin Hahn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1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에서 ‘삼육’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독일의 역사학자 라인하르트 코젤렉 등이 제창한 ‘개념사’라는 역사연구방법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육개념은 19세기 초에 페스탈로치 ‘삼육’ 사상의 조셉 니프에 의한 영역(英譯)과 영국의 란트 카펜터에 의한 ‘때 이른 수용’에 의해 형성됐다. 이때 카펜터는 ‘지육’ 개념에서 ‘형식도야이론’에 기초한 ‘오성의 연습’을, ‘체육’ 개념에서 ‘아이의 건강에 대한 임상의학적 관심’에 기초한 ‘단련주의’를 설명했다. 둘째, 카펜터 이후 스펜서의 『교육론』(1860)이 간행되기까지 ‘삼육’ 개념을 중심으로 목차를 구성한 교육서 중 6종을 분석한 결과, 이들 책에서 ‘지육’ 개념에는 점차 구체적인 ‘교수방법’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체육’ 개념에는 자연과학의 성과가 조금씩 적용되고 있었다. 셋째, 스펜서는 『교육론』에서, ‘지육’ 개념으로 ‘과학’ 교육과정의 강조와 페스탈로치 교수방법의 보완을 주장했으며, ‘덕육’ 개념으로 ‘습관의 형성’과 ‘자연의 반작용’이라는 원리를 주장했고, ‘체육’ 개념으로 단련주의를 비판했으며, 특히 체조를 비판하고 아이의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운동을 강조했다. 19세기 초에 영국에서 형성된 ‘삼육’ 개념은 영국의 현실과 관계를 맺으면서 끊임없이 변화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in Britain in the 19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was formed by Joseph Neef`s translation and Lant Carpenter`s acceptance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estalozzi in Britain in the earlier years of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concept of ``intellectual education`` meant the training of understanding by ``formal discipline theory`` and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meant ``physical hardening`` which is based on ``clinical medical interest on children``. Second, until Spencer`s On Education was published, only six books had been published featuring content o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books we found that the concept of ``intellectual education`` meant some kind of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meant something related to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Third, Spencer stated that the concept of ``intellectual education`` meant ``science`` learned through Pestalozzi`s teaching methods, the concept of ``moral education`` meant habit formation by principle of ``natural selection``, and ``physical education`` meant spontaneous, natural exercise which is contrary to artificial exercise(especially gymnastics in his book).

      • KCI등재

        哲學 : 近代中國美育思潮和現代意義

        한성구 ( Sung Gu Han ) 한국중국학회 2010 國際中國學硏究 Vol.13 No.-

        美育是對美感敎育的簡稱, 타是東西洋社會從封建社會過渡到近代社會的過程中,人間和社會爲了克服危機, 幷且培養符合近代社會的全面發展的人而烘托出的一個敎育領域。一般敎育分爲德育、智育、體育和美育。在傳統社會裏只看重德育, 這種敎育忠於封建社會符合封建體制。近代時期中國興起美育思潮的緣故在於, 先揚棄這種傳統社會的狹義的敎育方式, 通過德、智、體、美育的協調來實行人的全面發展的敎育。重視美育的目的是爲了深究知性和理性, 有限和無限, 自然和道德, 必然和自由, 理論和實踐間的疏通。本論文的目的是以美育思潮爲中心, 探索近代時期中國社會遭遇傳統修養論和敎育論的危機和西學東漸引起的西方學術的流行帶來的偏重知識敎育的雙重危機中, 中國的知識人如何培養新的人材。自古以來敎育的根本目的是育才, 是培養出國家所需要的人才。但是隨著時間的流逝人才需求和敎育內容的變化是理所當然的事情。古代封建時期是實行著經史(四書和五經)爲主的敎育。這種傳統敎育的主要內容是修身和德性涵養。修身和德性涵養敎育的主要目的是把社會禮敎和規範灌輸到人的道德人格裏, 讓人們具備著符合統治集團所需的官僚資質。雖說在這種敎育制度下存在著詩敎或者樂敎, 但實際上敎育的範圍限定在道德領域, 一切都流於德性敎育的附庸品, 失去了獨立的價値。産生這種結果是傳統意識形態"道器論", "重道輕藝"思想, 傳統華夷論的影響흔大。在這種觀念的影響下, 形而下學在現實領域흔容易被輕視, 在器物性或者技術性的領域被無視, 只能疏外在敎育領域。此類的傾向使敎育往狹義的方面發展, 給進行適應於近代社會的全人敎育帶來了相當的障애。但是在近代時期, 隨著西方學術和思想的注入, 這種敎育觀念開始受到沖擊。脫離中華主義, 學習富强的西方是先進知識人的理想, 而且是國家和民族要追求的現實模式。同時在敎育觀念上也自然澎湃起學習西方模式的意識。敎育本身應該可以培養出新的國民, 幷且有了新的國民才可能有新的國家和民族。傳統的敎育方法不僅沒有打開現實問題的能力, 而且不能培養出全面性的人才, 所以傳統敎育不是近代敎育。美育的槪念來源於西方。美育觀念是從亞裏士多德以來的西方哲學, 到康德和許勒的認識論或本體論作爲理論基礎。康德在《純粹理性批判》和《實踐理性批判》裏, 把世界分爲沒有相連貫的現象界和本體界(物自體)。現象界是自然的、有限的、必然的而且可以掌握的現實世界。對應於這裏的主體認識能力的是知性和悟性。本體界是흔道德的、無限的、自由的世界, 這是一個不可以僅用知性可達到的世界, 是要通過實踐才可以達到的信仰的彼岸世界。對應的主體認識能力是理性。這兩個世界之間存在흔大的鴻溝。爲了連接這兩個世界, 縫合知性和理性、有限和無限、自然和道德、必然和自由、理論和實踐間的分裂。康德通過寫《判斷力批判》這一本書, 把可以借助知性和理性的判斷力相關聯的審美活動作爲連接這兩世界的橋梁。就是說康德以知情意爲根據, 通過知識和道德的相關情感來實現審美活動。中國的思想家也借助現象界和本體界的合一, 致力於以超功利性爲特征的審美活動, 實現全人敎育。中國現代知識人重視幷烘托出美育是起因於美育可以鼓吹人們的啓蒙意識的想法,卽西學東漸和西歐列强的侵略下, 把西歐的智力和東方的德育相結合成美育, 克服傳統的弊端, 同時給予涵蓋西歐理性主義優點的作用。美育的現實意義如下: 一、敎育的宗旨, 或者敎育的理想是把人培養成"完整的人"。爲了這個需要而産生了現代的完整的敎育, 現代意義上的完整的敎育是指: 智、德、體、美育四個必備的。二、現代敎育的發展方向是在人與自然、人與社會、人與自我三個方面上確立和諧的關系。科學精神, 自由和民主意識和審美的觀點是現代人應該具備的人格要素。美育不僅可以融洽的維持這마多領域, 而且在培養人格方面起到了重要的作用,同時這是不可替代的東西。三、美育在涵養人間的綜合素質, 幷培養人的創造精神和能力方面占重要的地位。四、美育在現代社會裏克服多樣的人性和人生方面的弊端作出了重要的作用。尤其是資本主義經濟體制的擴張和消費文化的泛濫導致了現在社會裏人生的單調和生命價値的輕視, 美育使人們用審美的態度關注自然和社會以及人生, 妥善處理道德理性的漫延, 幷且還可以做理性和感性的調節作用和媒介作用。因此在現代敎育的實行過程中, 旣系統的又全面的考察美育, 幷且建立理論是一個當今緊迫的問題。這不可以限定在藝術相關的領域裏探索。而是應該在藝術, 美學和哲學等多領域裏, 進行廣泛的交流和對話才可以實際的確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