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대학의 창업교육 및 창업프로그램 비교분석: 미국 7개 대학 주요 기업가정신센터를 중심으로

        이성호,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6

        This study analyzed the start-up education curriculum and start-up education programs of seven universities in the U.S. to find out what courses are provided, what various programs exist,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start-up education in each university ar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Bernardino /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 Drexel University / Oklahoma State University / Florida State University / San Diego State University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where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sed on the Entrepreneurship Degree Course is being established based on the Entrepreneurship Center of seven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not well introduced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tart-up education courses and start-up support systems at seven universities in the U.S. are progressing at the undergraduate, MBA, master's and doctoral levels, and comparative level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universities presented, the primar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merican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start-up education at American universiti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universities to take the initiative in providing start-up education, they should be organized to suit the course of start-up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nd introduce support program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dependent center within domestic universities to be operated autonomously. Third, the start-up education of universities should include building university-industry partnerships, operating entrepreneurship degree courses and collaboration between departments of universities. Fourth, the independent center should lea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umni and local start-ups and start-up-related programs should be operated based on this. Fifth, Differentiated programs for each university's characteristics should be introduced and applied to universities. Although case studies have limitations that cannot be generalized, they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ystematic start-up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orrect design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본 연구는 미국 7개 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과 창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국 대학의 창업 교과과정의 특징과 프로그램의 현주소를 알아보고, 대학별 창업교육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은 미국 7개 대학의 기업가정신센터 (Entrepreneurship Center)를 기반으로 학부단위 기업가정신 학위 과정 (Entrepreneurship Degree Course)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 중 창업교육이 활성화 되어 있는 미국 드렉셀대학교,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고주립대학교, 오클라호마주립대학교, 캘리포니아샌버나디노주립대학교, 캘리포니아어바인대학교, 플로리다주립대학교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특히, 미국 7개 대학의 창업교육 과정과 창업지원제도가 학부과정, MBA과정, 석박사과정 그리고 비교과 차원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미국 대학의 창업교육 시사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이 주도적으로 창업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특성에 맞는 창업교육 교과과정을 구성하고 지원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 둘째, 대학 내 독립적인 센터를 설립하여 자체적으로 예산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자율적으로 운영이 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의 창업교육은 대학-산업의 파트너십 구축, 기업가정신 학위 과정의 운영 그리고 대학의 학과 간의 협업을 포함하여야 한다. 넷째, 독립적인 센터를 중심으로 동문, 지역 창업가들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고 이를 기반으로 창업 관련 프로그램이 운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국내 대학의 질적 성장 동력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사례연구는 일반화할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국내 대학 창업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선진화된 창업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중심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 참여 대학의 조직진단과 시사점

        김정헌(Jeong-Hun Kim),이희수(Hee-Su Le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2

        복합적인 인구구조의 변화, 사회의 변화, 기술의 변화로 인해 학습사회가 도래하였다. 학습사회에서 대학교는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학습사회에서 대학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교육부는 2008년부터 대학중심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중심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에 선정된 대학교의 조직진단을 통하여 대학중심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중심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에 선정된 47개 대학교의 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미국의 평가인증 기구인 COE의 우수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인증 지표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미션과 목적, 전략과 기획, 조직 구조, 교육프로그램, 교육결과 관리, 학습자원, 물리적 환경자원, 인적 자원, 학생서비스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대학교의 조직진단을 하였다. 조직진단 결과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들은 모든 영역에 걸쳐 긍정적인 진단을 하고 있었으며, 대학의 특성과 사업의 유형에 따라 조직진단의 점수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육결과 관리 방안의 개선, 전임 교원의 참여 증가, 성인학습자들을 위한 지원 제도 제공, 그리고 대학 특성과 사업유형에 따른 조직진단과 그에 맞는 컨설팅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Learning society is coming, reflecting the convergence of demographic change, social change, and technological change. In learning society, universities must change their function. As a function of universities in lifelong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executed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Project since 200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To this end, researchers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staff of 47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by using accreditation criteria of COE in the United State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institutional mission, educational programs, program and institutional outcomes, strategic planning, learning resources, physical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human resource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tudent services an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aff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does diagnose their organization positively in every items. Second, there is a score gap both among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nd among type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 KCI등재

        정부주도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박근혜정부를 중심으로

        이인수(Lee In Su),서경화(Seo Kyung Wha),강재혁(Kang Jae Hyeok),장아름(Jang Ah reum),윤기현(Yoon Ki hyun),이예슬(Lee Ye seul),김미란(Kim Mi r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to draw out the issues and the implications of systematic improvement based on the CK, ACE, LINC, BK, PRIME and university restructuring. In terms of evaluation objective, contents, method and utilization, The issues analysis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give the implication to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s follow. First, the objective of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lead the whole university community to work out change and innovation. Second, the minimal standard of evaluation method and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decrease the evaluation burden and a new evaluation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o consider each university characteristics. Third, th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organized with long term point of view to support enough for the university itself to prepare the evaluation. Finally, an in-depth research on the evaluation utilization are needed to manage the achie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identity and the autonomy of university.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의 대학 특성화사업(CK),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LINC), 두뇌한국 21 플러스 사업(BK21 PLUS), 산학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 및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중심으로 정부주도 대학 평가의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결과활용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목표의 수월성 의 관점 편중, 평가지표의 유사성으로 인한 수혜의 중복과 정성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관한 문제, 대학 구성원 간의 합의의 부재와 자금 위주의 정책수단의 한계점, 정부 대학평가의 효과성과 지속성 쟁점이 도출되었다. 쟁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사회 전체의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각 사업의 특성과 대학의 유형을 반영한 차별화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선택지표를 개발해야한다. 셋째, 대학구성원들에게 적합한 합리적인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정체성과 자생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결과가 활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제주방언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 대학에서의 방언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

        권미소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talize Jeju dialect based on thorough analysis on usage and perception of Jeju dialect according to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A study based on survey of 160 students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who attended all twelve years of primary school using Jeju dialect about questions o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education and policy issues regarding Jeju dialect. First, 85.5% of survey provided positive response such as “friendly” and “warm”. When the next survey asked about preservation of Jeju dialect, 93.4% agreed on the need to implement policies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Jeju dialect”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In regards to education of Jeju dialect, 92.6% provided positive response that dialect learning need to be provided through school education. Chapter three covers the current situation of Jeju dialect used in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Currently, Jeju National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al courses under the name of “Understanding Jeju Dialect,” but the number of subjects is far short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interest in taking the course. Contents covered in the dialect courses are either overused or misled which leads to misunderstanding of dialect in various ways. In chapter four provided strategies on revitalizing Jeju dialect for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such as proper education on Jeju dialect, establishment of dialect education center, Jeju dialect expert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Providing essential liberal art courses by different level is also essential however all cont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need to be verified through specialized institutions. Finally, the university needs to implement a Jeju language certification system for promotional purposes. As the official public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needs to take responsibility for preservation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After student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with prop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Jeju dialect, they will be able to properly establish policies necessary for the Jeju region to further preserve the Jeju dialect by playing a leading role in Jeju Island. 이 글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제주방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제주대학교 재학생 160명에게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제주방언 교육, 제주방언 정책 문제 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의 85.5%가 제주방언에 대해 ‘친근하다’, ‘정겹다’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제주방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2.6%가 긍정적인 시각을 가졌으며 교육의 형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되기를 바랐다. 또 전체의 93.4%가 제주방언 보존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고, ‘제주방언 관련 콘텐츠 개발’, ‘제주방언 교육’의 형태로 정책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제주대학교에서는 ‘제주방언의 이해’라는 교과목명으로 방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과목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의 수에 비해 과목의 수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제주대학교 내 방언을 활용한 콘텐츠는 대개 자주 사용되어 식상해진 어휘를 활용한 것이거나 방언을 잘못 사용해 오해를 부를 만한 것들이 확인되었다. 이에 제주대학교 재학생을 위한 방언 활성화 방안을 대학 내 방언 교육, 방언 교육원 설치, 제주방언 전문가 양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방언 교육은 단계별, 수준별 필수 교양 교과목을 설치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대학 내 제주방언과 관련되어 생산되는 콘텐츠나 교육 자료 등은 제주방언의 쓰임을 검토, 감수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을 통해 검증받아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제주대학교는 거점 국립 대학으로서 제주방언의 보전과 연구, 교육에 대한 책무를 지니고 있다. 제주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이 제주 사람의 삶과 문화를 담은 제주방언을 정확히 인지하고 활용할 때 비로소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고, 나아가 제주도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 분석을 통한 대학창업발전방안 연구: D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이성호,김정음,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tatus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which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major project of recent university policy, and to present policy tasks for promoting university start-ups by analyzing problems. A survey on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about start-up was carried out from 800 students including those on leave of absence at D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about start-up was highly positive due to various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from universities, but it was survey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till low willingness to challenge start-up. Second, the biggest reason why university students avoid the start-up is 'the risk of start-up failure' at 40.8%, followed by ‘Prioritizing getting a job' at 24.9% and 'lack of knowledge on start-up' at 13.4%. Also, difficulty from those who have already started business was mainly financing at 26.9%. The second was 14.0% for securing manpower, and the third was 11.8%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ird,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was in the order of 'starting-up' > 'preparing to start-up' > 'no intention to start-up'.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was 'motivation for various career choices' with 24.8%, followed by 'acquisition of various knowledge and skills for start-up' with 23.9%. Finally, effort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for start-up policies in universities and figure out the problems of the start-up support scheme. The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should reflect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ual policy consumers, by shifting away from the method provided by existing suppliers. 본 연구는 최근 대학정책의 주요 사업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대학 창업교육 및 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학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인 D대학 재학생 및 휴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다양한 창업교육과 지원으로 인해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대학생들이 창업에 도전하려는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기피요인으로는 ‘창업실패의 위험성’이 4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취업 우선’(24.9%), ‘창업지식 부족’(13.4%)이며, 창업 시 애로사항으로는 1순위가 자금조달 26.9%, 2순위가 인력확보 14.0%, 3순위가 기술개발 11.8%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의 필요성은 ‘창업 중’>‘창업 준비 중’>‘창업의사 없음’순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 필요이유로는 ‘다양한 진로 선택에 대한 동기부여’가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 및 기술 습득’이 23.9%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 내 창업정책에 대한 홍보의 중요성 및 창업지원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기존 공급자 측면에서 제공되던 방법에서 벗어나 정책 수요자인 대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의 변화가 요구된다.

      • KCI등재

        중국 내 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을 중심으로-

        권영은,권대혁,황미혜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n detail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s in China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Currently, in China, the first city in Henan Province, China,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 in high schools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wish to enter Korean universities,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found. The focus of this thesis i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NO.1 High School.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do a basic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NO.1 High School in Jiazuo City, Henam. 본 연구는 중국의 고등학교 한국어교육 현황을 자세히 소개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은 주로 대학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중국 내 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한국어교육 사례로 중국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의 한국어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아울러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 학생들의 진로 동기, 한국어교육 등에 관한 인터뷰 내용 결과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 내 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기초 연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 분석

        주영효,김상철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PRIME project and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of the future PRIME project and government financial aid program. To this end, this study organized a university survey consisting of three survey areas and collected self report qualitative data from 21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IME project.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y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of Struass and Corbin (2008).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department reorganiz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 the departments of engineering; second, qualitative performance such as reorganizing industry linked curriculum and operating extra curricular were shown; and lastly, qualitative performance such as securing excellent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and establishing networks with local government and industries were confirmed.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spread the success cases of the PRIME project and the win win model between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s, and local industries. In addition, we emphasized the need to spread the case of innovation in female friendly education to solve the gender imbalance problem. 본 연구는 PRIME 사업에 선정된 21개 대학의 정성적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PRIME 사업성과 확산과 성과 평가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RIME 사업 관련 학과개편⋅정원조정, 교육과정 혁신 및 진로교육 내실화, 대학의 지원 체계 등 세 개 조사 영역으로 구성되는 학교 조사지를 구안하여 PRIME 사업 참여 21개 대학으로부터 자기보고식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Strauss와 Corbin(2008)의 반복적인 비교 분석법을 준용하고 코딩 및 분석 절차를 진행하여 주제어와 주제어 빈도수를 중심으로 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학과개편⋅정원조정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산업 수요에 대비한 학과 개편과 공학입학 정원 증가/이동의 정성적 성과를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교육과정 혁신 및 진로교육 내실화 측면에서는 산업연계 교육과정 개편과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취⋅창업 지원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과 교과목 운영, 지역학 프로그램 운영 등의 정성적 성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산업체 경력 우수교원 확보, 관학협력 및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의 정성적 성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① PRIME 사업을 통해 정성적 성과가 확인된 일부 대학의 정책 및 제도의 지속가능한 착근 노력과 타대학 확산 유도 필요, ② PRIME 참여 대학 지자체 지역산업체 간 상생 모델의 지역 대학으로의 확산 필요, ③ 공학 분야 인재의 성비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여성친화적 공학교육 혁신 사례의 확산 및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과 대학 차원의 제도 및 문화 개선 노력 필요 등을 제언하였다.

      • 대학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학예연구원의 전문직 역할 - 연구전임교수제의 확립과 역할평가 방안을 모색하며-

        오일환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1 고문화 Vol.57 No.-

        1955년 8월부터 대학설치령에 의해 설립되기 시작한 대학박물관은 2000년 12월 현재 88개에 이른다. 대학박물관은 지역문화의 연구센터로서 풍부한 연구교육자료의 보유와 우수한 문화교육인력을 배양하여 왔다. 불합리한 여건 속에서도 대학박물관의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과 함께 구제 발굴의 참여와 연구인력 및 학술적 연구기능을 폭발적으로 제고시킴으로서 우리 나라의 문화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최근 들어 대학박물관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될 위기에 처하고 있다.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인력은 무엇보다도 정체성 확립과 함께 명확한 업무영역 및 역할평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박물관 학예연구원은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전시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전문적인 연구교육자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축적된 지식을 상품화하고 이를 확대, 재생산 할 수 있는 지식시스템의 구축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학박물관의 주요 구성원인 학예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인력의 업무분장과 전문직 역할평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특히 학예연구원은 자료, 시설과 함께 박물관 3대 요소의 주축이며 전문 연구능력을 보유한 교육자인 동시에 과학기술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학박물관은 지위와 대우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원직은 교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한 임시 중간기착지로 인식되어왔고 실제로 대학박물관의 연구 및 교육적 활성화에 가장 커다란 걸림돌로 되어 왔다. 따라서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원은 연구, 교육, 전시, 조사, 유물관리, 행정협력 등을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연구전임교수로 편입되어야 하며 적절한 업무분장과 엄정한 역할평가를 확립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A university museum is the institute, which plays a role as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al function. It had been tried to do best to keep encouraging its function in difficult period when its basic law was disappeared since it has founded in 1955. A university museum, which was boomed in digging and developing academic study, affected our culture development. Moreover, it plays the best role as educational institute because it gives us much information about database of research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e change of education pushes a university museum into new paradigm recently. Namely, there is lack of space for display, manpower, and fund even though it hies to find new professional researcher now. So all elements above make special researchers be difficult to work in their field. In general, the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 curator at least needs experience of background as researcher, professor, and scientific engineer. Especially, a curator is a basic part of three elements, which others are database and facility, of museum. To be a curator needs to have regular educational background, do training, and know about law of ICOM. Moreover, it needs qualification as curator to be able to teach students and as a director to collect researches about excavation and operate a museum. First of all, a university museum needs to set up the identity of curators and find the right way to distribute a specific job task for them. Curators in Museum University should develop their special experience, and then the experience, at which curators have ever worked, can be made as a product and be remodeled for establishing knowledge system. However. there is no evaluation data about a job task of between a chief director and curator in university museum. Particularly, it hasn t been still succeeded in a system of professional research faculty to improve their position. Therefore, the university museum has been known for a just tool to be a professor, and its the most obstacles to encourage educational system in university museum. A curator in university museum should define as professionalism, which he or she works research, education, and gallery. Now we are living in the time of knowledge management. So, curators try to keep their copyrights and set up new value of university museum.

      • KCI등재

        대학박물관의 전시연계교육 실태와 활성화방안 연구

        오일환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0 고문화 Vol.76 N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xhibition activities of university museums using their possessions without restricting their activities for academic exploration, research according to their traditional works for exploration and collection, and how to conduct (or manage) education programs in connection with exhib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new models of university museums for specialization as well as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exhibitions and education of university museums. University museums have been faithfully performing their roles as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 for residents as well as making significant academic contributions investigating relics in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es. However, it is required to create new paradigms of academic activities combining the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and to identify new role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social educ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university museums must specialize and manage education programs concentrating their research ability on the ba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academic research or exploration of local culture. Investigations by university museums, exhibition of data collected from such investigations, and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experience from investigations and the data results can be a new learning method. Furthermore, university museums will establish a kind of model of social education, identify the approaches to cooperate with local administrations and cultural foundations through in-depth research on local culture. Therefore, university museums are able to give a model to construct social education systems and develop approaches of cooperation with local administrations in the information network.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upport to develop and conduct museum education programs in connection with exhibitions. For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appropriate systems for evaluation plans of the exhibitions of university museums and the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exhibitions. Furthermore, university will make their efforts to foster their specialized museums by using their collections and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connect their qualified cultural contents with unique local culture. 우리나라의 대학박물관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학술적 조사기능과 함께 학생 및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성장하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급격한 과학기술의발달과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시와 교육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박물관역할의 패러다임 창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박물관의 전시와 이를 연계한 전시교육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학술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설립한 대학박물관은 조사지역의 출토자료와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결합한 연계방안으로 특성화하여야 한다. 또한 기증이나 구입으로 이루어진 대학박물관은 전시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정보네트워크로 활용하는 방안을 점진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시연계교육활동에 대한 평가방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지원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안은 대학박물관이 발굴과 수집에서 습득한 자료가 점차 국가기관으로 이관되는 현실에서 전시연계교육의 발전방향과 특성화를 위한 새로운 역할과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평가지표 분석에 기초한 고교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안정희(An J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고교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도입된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대입정책의 내용 분석을 통해 정책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써 지난 6년간 지속해온 ‘국고지원사업 시행계획’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사업이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는가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선정평가 기준’을 시계열로 분석하였다. 사업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는 크게 4가지 평가항목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첫째, 전형방법의 간소화, 둘째, 학교교육 중심의 전형 운영, 셋째, 고른기회전형 운영, 넷째, 대입전형의 공정성 확보 등으로 제시되었다. 세부적인 평가 기준을 살펴본 바, 평가 기준 및 평가 배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사업방향의 메시지가 대체로 명료하다는 점, 특정시기에 불거진 입학 이슈, 사회적 사건 등이 사업의 평가요소로 추가되기도 하는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 학교교육중심 전형 운영에 관한 평가 지표는 다른 평가 지표에 비해 구체적이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른 평가 항목이 평가 내용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는 것과 비교되는 점이었다. 이것은 학생부 위주 전형이 어떻게 평가·운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정책 메시지가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해석과 같으며. 학생부위주 전형의 평가·운영은 대학 자율로 넘겨야 한다는 대학의 주장과도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학생부위주 전형의 공정성 문제를 이유로 전형의 축소 또는 폐지를 주장하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나 이것이 곧 학교교육 활성화를 목표로 한 대입정책의 실패로 간주 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본 사업이 지금까지 추진해온 목적을 지속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교와 대학이 연계하여 학생부평가 방안을 공동으로 수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국고지원사업 평가기준 설계의 수정·보완이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university admission policy and analyzed a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document of what the national admission project is aiming for. As a result of analysis, important policy objectives were to simplify the number of university admission route and to operate university admissions based on high school curriculum. The national admission policy wa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evaluation items. First, the simplification of the university admission route, second, to operate admission system based on high school experience, third, admission increasing of the social care persons, and fourth, the fairness of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based screening are not specific about what to evaluate. Recently, there has been calling for the abolition or reduction of the school based admission system due to the unfairness of the selection process. As an alternative, it was suggested that the high school and the university jointly do the effort to establish evaluation plan about school records and to change national admission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