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개발공정의 기술능력이 R&D 매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장단계별 정부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영,배국진,박상문,최윤정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4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개발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한 문제로써 급변하는 경영환 경과 심화하는 경쟁 속에서 성과 창출과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 업은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비해 규모와 보유자원 등의 한계를 가지므로 국가에서 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한다. 조직수명주기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성장단계별로 기업 의 한계와 애로사항이 다르므로 차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011년 중소기업기술통계’에 응답한 2,575개 기업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개발공정의 기술 능력 수준과 편차가 R&D 매출성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능 력 수준은 R&D 매출성과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 또한, 기술능력의 편차와 R&D 매출성과 간에 관계를 정부지원이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지원이 기술수준이 R&D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성장단계별로 다르게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실증 분석 결 과 성장단계별로 조절효과가 유의적으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의 이론적인 시사점은 성장단계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역학관계를 떠나 좀 더 실제 로 복잡한 중소기업 환경을 직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인과 모형을 제시하였고, 따라서 다양 성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연구변수로 활용해야하는 당위성을 마련하였다. 또한 실 무적 시사점은 성장단계별 정부지원에 대한 정책을 차별적으로 수립할 수 있고, 각자 다른 성장단계에 있는 중소기업으로 하여금 맞춤식의 정책을 순응하도록 하여 정부지원금의 효과 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New product or new technology developments are directly linked to a firm’s survival and thus their performance and improvement are gaining attention in the midst of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aggravating competition. However, despite SMEs’ significance in the national economy, they are limited in terms of size and resources in possession, so the government provides a variety of supports as a policy. According to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life cycle, a firm’s limits and difficulties differ by growth stage, so the supports need to be tailored. Based on the data from 2,575 firms that responded to the “2011 SMEs Technological Statistics,” how technological capability level and deviation in the R&D process affect the R&D sales performance was studied.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D sales performance. It was also lear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eviation in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R&D sales performance was moderated by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the government support would have a different moderating effect by growth stage for the impact the technology level has on the R&D sales performance,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a different meaningful moderating effect for each growth stag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nstead of a simple relation of dynamics that does not take the growth stages into account, it suggested a more realistic causal relationship model that reflects the complex environment the SMEs are in and that the need for measuring and using the deviation in technological capability as a research variable has been justifi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the government policy for supports can be tailored to a growth stage and that the guidelines have been suggested to effectively use the government funding by encouraging the SMEs in a different growth stage to adapt to the customized policy

      • KCI등재후보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 연구

        최혜승,박진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kinds of knowledge and skills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acquire to use the support plan based on the life span of students with ASD. Method: El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2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5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FGI was followed by 5 pre-prepared open-ended question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coded and analyzed in 3 stages, and inter-researcher agreements were sought through a preliminary analyses. Results: The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ASD diagnosis․evaluations had been conducted in the hospital during the early childhood and additional evaluations were needed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Second, the lower grades of students with ASD were, the more appropriate students with ASD were placed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educational placemen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degree of students’ disabilities. Third, the focus of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re were more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urth, it wa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ferred to evaluate their students using observations and portfolio; further, these teachers reported difficulties in developing evaluation plans in regards to the learning objectives. Fifth, other than the field of education, other fields such as communication, sociality and behavior, were also in need of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ASD. Las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expert knowledge in the areas of diagnosis․evaluations, subjects, and supporting the everyday liv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he support plan based on the life span of students with ASD and develop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use the support pla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과 이에 따른 특수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총 11명의 특수교사(유아특수교사 2명, 초등특수교사 5명, 중등특수교사 4명)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에 참여하였으며, FGI는 사전에 준비된 5개의 개방형 질문에 따라 진행되었다. FGI 내용은 전사되어 3단계에 걸쳐 코딩하고 분석하였으며, 예비 분석을 통하여 연구자간 합의사항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로는 첫째, 자폐성장애 진단․평가는 대부분 유아기에 전문기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장애학생의 학년이 낮을수록 통합환경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고, 보호자의 요구보다 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라 배치환경이 결정되어야 한다고 토로하였다. 셋째, 학교급별로 자폐성장애학생의 중점 교육영역에 차이가 있고, 장애정도가 심한 경우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서의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자폐성장애학생을 평가하기 위해 관찰, 포트폴리오 등의 평가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목표와 연계된 평가계획 수립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다섯째, 자폐성장애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의사소통, 사회성, 행동 등 교과지원 이외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가 진단․평가, 교과 및 다양한 생활지원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 및 그에 따른 특수교사의 역량을 도출하는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김애화,김은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life stag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El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ing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discussions. The data were The three-step coding system was utilized to code the data.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hardly any screening and diagnosi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past several years. In order to normalize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 was recommended. The focus should be on ‘educational support’ that students will receive rater than ‘disability’, the specialist for diagnosi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needs to be placed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because the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rarely diagnosed, it is not easy for the special teachers to teach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Also, the present special education class is not equipped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us, a flexible educ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needed. Third, the special education competency required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cludes expertise in subject areas, curriculum, and teaching of social skills. These results can be used basic data for practicing customiz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t the time of implementing the 5th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토론을 실시하여 국내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을 실시 한 후, 3차에 걸친 코딩 작업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학습장애학생의 선별․진단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며, 학습장애 진단 정상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 보다는 학생이 받게 될 ‘교육지원’에 초점을 맞추는 방안, 특수교육지원센터에 학습장애 진단 전문가 배치, 일반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습장애 인식 개선 등이 언급되었다. 둘째, 현재 특수교사가 학습장애학생을 만날 수가 없는 상황이고, 현 특수학급의 상황 상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이 쉽지 않음을 언급하였다.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전문적 지원을 위해 다양하고 유연한 지원 체제(예, 리소스룸, 거점학교 등)가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셋째, 학습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으로는 교과 전문성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교육과정 전문성, 사회적 기술 교수 역량 등도 언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5차 특수교육발전계획을 실천하는 시점에서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 I

        김은지,김동식,최인희,선보영,황경란,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한부모가 겪은 성교육, 피임, 임신중절, 출산·입양 후 임파워먼트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원하지 않는 청소년 한부모됨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대응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한부모를 대상으로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한부모들은 학교 성교육의 교육적 효과가 크지 않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최근으로 올수록 학교 성교육에서 구체적인 피임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실제 피임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젠더역학 및 출산·양육 책임에 대한 설명은 이루어지지 않고 피상적 지식수준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청소년 한부모의 피임실천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많은 청소년들은 임신, 출산, 부모됨과 같은 사회적 책임에 민감하지 않았다. 또한 남성의 성행위와 달리 여성의 성행위는 부도덕하고 수치스러운 행위로 인식하는 등 성에 대해 차별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낮은 성의식 수준은 여성 청소년들이 피임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거나, 상대방이 거절할 경우 그 상황을 그대로 수용하는 등 수동적 대응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 한부모들은 임신을 확인했을 때 큰 혼란을 경험하며, 임신중절과 출산 사이에서 고민을 하게 된다. 양적조사에서 임신중절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청소년 한부모는 1/5 수준이었다. 출산을 선택한 청소년 한부모들은 임신중절을 계획했지만 아이의 존재를 실감하게 되면서 출산을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출산, 입양, 양육과정에서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부분이다. 청소년 한부모들은 출산과 함께 입양과 양육이라는 중대한 선택에 직면하여 매우 복합적인 감정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고 관계적 측면에서 상당히 고립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교육 시수보장 및 성별분리 성교육 도입, 젠더역학과 남학생에 대한 양육책임성 교육, 소비자 중심의 응급 피임약 재분류 추진, 임파워먼트 지원체계 강화 및 사회적 인식개선을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major issues regarding the process of becoming youth single parents, and to provide new policy perspectives and suggest specific policy measures to prevent youth from becoming unwanted single par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youth single parents in the following order: sex education programs that youth single parents were provided, their experiences of contraception and artificial abortion, and empowerment programs after childbirth and adoption. To fully understand their needs and issues, this study conduct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urveys. The results of the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youth single parents reported that the sex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school was not informative or effective. Even though schools have started to offer sex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instructing specific contraception methods such as how to use condoms, there is still lack of clear explanation on the gender dynamics during the situation when youths are in need of birth control and on the responsibility for child-bearing and -rearing; that is such sex education programs skimmed the surface of the reality with providing superficial knowledge. Second, the percentage of youth single parents who actually practiced the contraceptive methods appeared to be very small.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not found to be sensitive to social responsibilities in term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hood. Indeed, they showed discrimin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women by regarding the sexual acts of women as immoral and ashamed conducts while having no regard for men?s sexual activities. Such a low level of sexual consciousness was highly associated with girls? passive demeanor; for instance, not strongly asking for taking birthcontrol methods, reluctantly accepting the partners refusals of the request, and so on. Third, youth single mothers experienced an extreme confusion with the fact that they were pregnant and contemplated between artificial abortion and childbearing. Most of the youth single mothers decided to give births as they realized and felt the existence of a life even if they used to consider having an abor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an abortion, only one-fifths made their own decisions while the rest were obliged to follow the decisions made by their partners (one-thirds) and by their or partners? parents (two-fifths). Lastly, it was highly likely that youth single parents experienced mixed feelings and stress facing with the weighty matters and choices between adoption and childrearing. Nevertheless, it was very rare that they shared such feelings and worries with someone and received emotional support; rather, they became highly isolated in relationships.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phased practice and policy measures for potential and existing youth single parents. First is the guarantee for required hours of sex education programs and adoption of single-gender sex education. Second,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programs need to actually help youth understand the gender dynamics and improve male youths responsibilities for the upbringing of their children. Third, the consumer-centered reclassification of emergency birth control pills is to be promoted. Fourth, the empowerment systems for youth single parents need to be developed and strengthened, along with the betterment of social recognition.

      • KCI등재

        환경공간정보를 활용한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및 활용 방안

        이명진 ( Moung Jin Lee ),김경희 ( Kyeong Hui Kim ),박진형 ( Jin Hyung Park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4

        환경문제는 단순히 개별적 원인 및 단일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 원인과 영향으로 발현된다. 기존의 환경정보는 개별 구축 목적에 맞도록 수치 위주(통계)로 생산되었으며 더욱이 개별 시스템(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등 17개)에 관련 인자들이 산재되어 있어 다양한 원인 및 피해를 고려해야 하는 환경문제 해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허비되어 즉각적·적시적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한계점과 문제점을 인식하여, 환경공간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및 정책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국내 산재되어 있는 환경공간정보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환경부 실·국, 산하 및 유관기관의 시스템 및 환경공간정보 담당 부서의 총 2,701개 업무 자료를 분석하여 총 275개(비점오염원 관리 확대를 위한 환경정보 구축 등)의 환경정보와 관련된 업무 및 정보현황 자료를 선별하였다. 둘째, 환경정책 수립 및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환경정보 관련 업무 현황을 분석하여 총 64건(백두대간, 정맥 및 기맥 현황 및 보전지역 등)의 국가환경지도시스템 세부 업무지원 주제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업무지원 주제도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셋째, 업무지원 주제도 구축을 위한 정보 연계를 위해서 환경부 및 산하·유관기관의 전체 17개 시스템 및 환경 주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 총 1,314개 및 세부 항목 총 39,331개의 공간정보 기반의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선별하고 표준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넷째,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의 실질적 구축을 위한 단계별 이행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구축되면 산재된 환경정보를 공간정보 기반의 공동 활용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고 또한 환경정책 수립에서 위치 기반의 정량적 정책 수립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nlike tradi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due to by complex reasons. These complexit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ecise spatial based analysis and expeditive u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when an environmental problem arises. However, the tra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has many problems because they are mainly numerical based and scattered in various systems. To overcome these problems, providing integrate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important. Thus, a research was conducted on establishing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Firstly, this study selects 275 out of 2,701 materials and inform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Secondly, total 64 thematic maps specific business support are Produced to support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addition, the produced thematic maps are privatized. Thirdly, the study analyzes total 17 systems an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of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connect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support thematic maps. As a result, 1,314 applicable spatial information and 39,331 applicable database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based are selected, and a standardization plan is established. Fourthly, the study suggests a stepwise implementation plan for developing a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will help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policy based on more relevant and accurale information.

      • KCI등재

        비핵화 전제 남북경제교류의 전략적 접근방안: 독일 통일의 교훈을 고려

        김익성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3

        Unles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political and military confidence levels are premised, economic sanctions are unlikely to be cleared immediately. As a result,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are at a standstill. Nevertheless,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needs to be studied in advance as an essential preparatory process in the prerequisite perspective for the political opening of Nor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regardless of diplomatic logic. The economic sanctions may be suspended or phased off as a result of the summit. Accordingly,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should be prepared to respond promptly and proactivel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vocation of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key direction and the stages exchange plan for economic exchange with North Korea. The preliminary economic exchange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tudies. In particular, this study planns the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identifi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raised from German u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esents ways of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rganizations to minimize the risk of investment and continuation of the economic exchanges. The fundamental direction and strategy of inter-Korean exchange focuses on enhancing North Korea’s independence economy and convenience by simply moving away from the economic view of using North Korea’s labor force and resources. It also proposes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정치군사적 신뢰수준이 전제되지 않는 한 대북한 경제제재는 바로 해제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로 인해 남북 간 경제교류도 현재 교착상태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경제교류는 북한의 개방과 미래 남북통일을 위한 필수적 사전 준비과정이란 관점에서 즉 정치 외교적 논리와는 별개로 사전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대북경제제재는 중단되거나 단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북 경제교류는 대북조치의 해제수준에 따라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북경제제재 해제조치와 그 수준에 따라 단계별 및 전략적 경제교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단계별 경제교류방안은 기존의 남북 경제교류선행연구와는 다른 차별화된 연구 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는 독일 통일로 부터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정치경제 및 사회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이를 교훈삼아 남북 간 경제교류방안을 기획하였다. 동시에 남북경제교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자 및 지속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 즉 국제사회와 조직의 협력을 통한 남북경제교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남북교류의 기본 방향과 전략은 단순이 북한의 노동력과 자원만을 이용하기 위한 경제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북한의 경제적 발전과 편의성 제고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남북 경제교류를 위한 남북 경제교류자금의 확대와 활용방안 등과 대북경제교류를 위한 연구조직과 해외 남북교류를 위한 지원네트워크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핵화 전제 남북경제교류의 전략적 접근방안: 독일 통일의 교훈을 고려

        김익성 ( Ik-seung Kim )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4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정치군사적 신뢰수준이 전제되지 않는 한 대북한 경제제재는 바로 해제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로 인해 남북 간 경제교류도 현재 교착상태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경제교류는 북한의 개방과 미래 남북통일을 위한 필수적 사전 준비과정이란 관점에서 즉 정치 외교적 논리와는 별개로 사전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대북경제제재는 중단되거나 단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북 경제교류는 대북조치의 해제수준에 따라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북경제제재 해제조치와 그 수준에 따라 단계별 및 전략적 경제교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단계별 경제교류방안은 기존의 남북 경제교류선행연구와는 다른 차별화된 연구 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는 독일 통일로부터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정치경제 및 사회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이를 교훈삼아 남북 간 경제교류방안을 기획하였다. 동시에 남북경제교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자 및 지속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 즉 국제사회와 조직의 협력을 통한 남북경제교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남북교류의 기본 방향과 전략은 단순이 북한의 노동력과 자원만을 이용하기 위한 경제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북한의 경제적 발전과 편의성 제고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남북 경제교류를 위한 남북 경제교류자금의 확대와 활용방안 등과 대북경제교류를 위한 연구조직과 해외 남북교류를 위한 지원네트워크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Unles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political and military confidence levels are premised, economic sanctions are unlikely to be cleared immediately. As a result,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are at a standstill. Nevertheless,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needs to be studied in advance as an essential preparatory process in the prerequisite perspective for the political opening of Nor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regardless of diplomatic logic. The economic sanctions may be suspended or phased off as a result of the summit. Accordingly,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should be prepared to respond promptly and proactivel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vocation of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key direction and the stages exchange plan for economic exchange with North Korea. The preliminary economic exchange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tudies. In particular, this study planns the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identifi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raised from German u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esents ways of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rganizations to minimize the risk of investment and continuation of the economic exchanges. The fundamental direction and strategy of inter-Korean exchange focuses on enhancing North Korea’s independence economy and convenience by simply moving away from the economic view of using North Korea’s labor force and resources. It also proposes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

      • KCI등재

        베트남의 제1외국어 과목으로서 한국어 채택의 정책적 함의

        김가람 ( Kim Garam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2

        이 연구는 베트남의 초·중·고 외국어 교육과정에서 제1외국어로 채택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검토하고, 채택 배경과 채택 과정을 탐구하여 국외 한국어 보급 사업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교육훈련부의 외국어 교육 정책과 외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제1 외국어로 한국어가 채택된 과정을 고찰하여 타 국가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해당 국가별 한국어의 위상과 교육 단계에 적합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국내의 한국인 전문가 외에 현지인 한국어 전문가와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지 대학의 한국어과를 중심으로 한 성인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을 활성화한 후에 초·중등 교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순차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it was adopted as a first language in Vietnam’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eign language curricula. Further, it explores its background and adoption process to identify policy implications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distribution projects. To this end,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of Vietnam’s Ministry of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other countries were derived by considering the. First, phased support is needed for the status of in each country, as well as the educational stage. Second, in addition to native Korean experts in Korea, cooperation with local Korean language experts should be strengthened. Finally, a sequential approach is needed to promot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centered on local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departments, before being sprea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전생애 단계별 특수교육지원체제 확립을 위한 국립특수교육원의 기능 강화

        이효자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국립특수교육원의 아산 신청사 개청과 안산청사의 「장애인 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로의 활용을 통해 국가의 책무성을 강화하고 장애인의 전생애 단계별 교육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여건을 마련하였다. 향후 국립특수교육원은 아산 신청사에서 특수교육 정책 개발과 기초연구 수행, 특수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특수교육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학술·정보 활동을 강화하고, 「장애인 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에서는 그동안 수행하지 못했던 사업 중심으로 특수교육 정보 및 보조공학 지원 사업 강화, 교원 이외 장애인 및 관련인을 위한 연수, 진로·직업교육 및 평생교육 사업 수행, 대국민 장애인식 개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국립특수교육원은 장애인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생애 단계별 교육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

        문학 창의도시 운영과 이야기 창작자 교육 - 부천스토리텔링아카데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최배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1

        이 연구는 지속 가능한 문학 창의도시 운영을 위해 이야기 창작자 교육 기관의 설립 및 운영을 제안하고, 국내 최초의 문학 창의도시인 부천시가 설립한 ‘부천스토리텔링아카데미’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야기 창작자 교육기관의 바람직한 모형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문학 창의도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려면 ‘문학 자산’을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바라보며 이야기를 창작, 기획, 교육, 연구하는 전문가가 필요하고, 그 발판을 이야기 창작자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마련할 수 있다. 그 기관은 1년 이상의 장기 교육 과정이어야 하고,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의 단계별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또 멀티미디어 이야기 콘텐츠의 창작에 필요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융합적, 실용적 교육 과정을 갖춰야 한다. 소수 정예 교육이 바람직하며 뛰어난 졸업 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을 지닌 학생을 선발하고, 교육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강사로 섭외해야 한다. 이론과 창작 수업을 병행하며 능력 중심, 실습 중심의 교육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전국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홍보 방안이 필요하고, 교육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장기적인 지원 대책이 보장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가 대부분 문학 창의도시 가입을 위한 전략 연구인 데 반해, 이 논문은 가입 이후 그 운영 방안에 대한 논의라는 점에서 새롭다. 또 스토리텔링 교육의 측면에서도 이야기 창작자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무 경험을 토대로 바람직한 모형을 체계화한 논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pos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story­creator education institution to operate a sustainable literary creative city, and analyzed the case of the Bucheon Storytelling Academy established by Bucheon City, the first literary creative city in Korea, to present a desirable model and task for the story­creator education institution. To successfully operate a literary creative city, experts who create, plan, educate, and study stories by thinking “literary assets” in terms of “story” and “storytelling” are needed, and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story-creators should serve as a steppingstone. The institution should prepare for a long-term curriculum of at least one year, and a step-by-step curriculum of basic and advanced cour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vergent and practical curriculum that can develop actual capabilities based on the theories necessary for the creation of multimedia story contents. The elite education is desirable and students with the basic ability to create outstanding graduation works should be selected, and experts with extensive educational experience should be recruited as instructors. Educational methods centered on competence and practice should be used in parallel with theory and creative writing classes. More effective publicity is needed to discover creative talent across the country, and long-term support measure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guaranteed. Whil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are strategic ones for joining the literary creative city, this thesis is new in that it is a discussion on how to operate it after joining. In addition, in terms of storytelling educ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discussion for systematizing a desirable model based on theory and practical experience in story-creato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