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설영역 분석을 이용한 배관 증기누설 위치 추정 방법

        김세오(Se-Oh Kim),전형섭(Hyeong-Seop Jeon),손기성(Ki-Sung Son),박종원(Jong Won Park)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6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6 No.5

        플랜트 배관의 누설감시 시스템은 누설 유무 판단뿐만 아니라 누설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플랜트 배관의 누설 검출 방법에는 주로 AE(acoustic emission)센서, 마이크로폰어레이 그리고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방법들이 있다. 최근 광역감시 및 원거리감시의 이점이 있는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방법들은 누설 유무와 대략적인 누설의 위치를 판단하고 있으나 누설이 시작되는 정확한 위치 추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한 누설 검출 방법을 이용해 누설영역을 산출하고 누설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누설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It is important to have a pipeline leak-detection system that determines the presence of a leak and quickly identifies its location. Current leak detection methods use a acoustic emission sensors, microphone arrays, and camera images.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been focusing on using cameras for detecting leaks.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it can survey a wide area and monitor a pipeline over a long distance.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using camera monitoring are unable to target an exact leak lo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detecting leak locations using leak-detection results combined with multi-frame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experiment.

      • KCI등재

        누설 확산 및 누설 위치 변화율 분석을 이용한 플랜트 배관 증기누설 검출 방법

        김세오(Se-Oh Kim),전형섭(Hyeong-Seop Jeon),손기성(Ki-Sung Son),박종원(Jong Won Park)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0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0 No.2

        최근 증기누설 감시 방법으로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한 누설 검출 및 누설 위치 추정방법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연구된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한 증기누설 검출 방법들은 차영상 기법을 기반에 두고 있어서 모든 움직이는 물체가 누설로 검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카메라를 이용한 누설 검출 및 누설 위치 추정방법을 통해 취득한 누설 영역 및 추정된 누설 위치를 기반으로 누설 확산 및 누설 위치 변화율 분석 방법을 추가로 수행하여 누설 검출 시 이미지에 검출된 움직이는 물체중 실제 누설만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Recently, leakage detection and leakage location estimation methods using camera images have been studied as a method or monitoring steam leakage. However, the conventional leakage detection methods employing camera images are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captured images. These methods incorrectly detect all moving objects are detected as leakag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leakage detection method that utilizes both the leakage area and the estimated leakage location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leakage diffusion and leakage location rate of change analysis, thereby identifying only the actual leakage. Finally,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experimentally.

      • KCI등재

        원전 격납건물 국부누설률시험에서의 압력감소법을 이용한 과다누설 측정 방법

        이원규(Won Kyu Lee),김창수(Chang Soo Kim),김왕배(Wang Bae Kim)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6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6 No.3

        원자력발전소에서 격납건물 국부누설률시험(LLRT)에 사용되는 누설률 측정 방법에는 유량보충법과 압력감소법이 있으며, 대부분의 발전소에서는 유량보충법을 우선 적용하고 있다. 유량보충법은 누설되는 양만큼 보충되는 유량을 측정하여 누설률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과도한 누설이 발생하여 시험압력 유지가 어려울 경우 압력감소법이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압력감소법은 시험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적용하여 누설률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 격납건물 국부누설률시험에서 압력감소법을 이용한 과다누설 측정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의 누설시험 조건과 유사하게 실험장치를 구성하여 실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압력감소법에서의 누설률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여러조건에서 측정된 누설량을 바탕으로 실제 누설률 계산에 필요한 보상비를 산출하였다. There are two methods for conducting the containment local leakage rate test (LLRT) in nuclear power plants: the make-up flow rate method and the pressure decay method. The make-up flow rate method is applied first in most power plants. In this method, the leakage rate is measured by checking the flow rate of the make-up flow. However, whe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test pressure because of excessive leakage, the pressure decay method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method, as the leakage rates at pressures lower than normal can be measured using this method. We studied the method of measuring over leakage using the pressure decay method for conducting the LLRT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at a nuclear power plant. We performed experiments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ose during an LLRT conducted on-site. We measu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kage rate under varies pressure decay conditions, and calculated the compensation ratio based on these data.

      • KCI등재

        제습로터의 공기누설모델 개발 및 성능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강병하(Byung Ha Kang),피창헌(Chang Hun Pi),장영수(Young Soo Chang)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6 No.1

        제습로터에서 발생하는 공기누설은 로터와 브러쉬 형태의 누설방지모 틈새의 양단 사이 차압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누설이 지배적이며, 실험을 통해 압력누설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로, 압력누설량을 로터와 누설방지모의 틈새면적과 차압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위의 상관식을 바탕으로 제습로터의 공기누설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측정된 값과 위 모델을 바탕으로 계산된 값을 비교함으로써 공기누설모델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풍량에 따른 제습로터의 성능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공기누설모델을 적용한 성능 분석을 통하여 실질적인 제습량과 공기누설량을 확인 하였다. 또한 동일한 제습로터가 적용된 제습냉방시스템을 고려하여 차압변화에 따른 공기누설의 영향을 공기누설모델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sure leakage characteristics of a desiccant rotor with a brush-type air seal. Through a pressure leakage experiment, a correlation equation for the leakage air flow rate is obtained as a function of the air seal area and pressure difference. Using this equation, an air leakage model for the desiccant rotor is developed. By comparing simulation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desiccant rotor, the accuracy of the air leakage model is demonstrated. A performance test of a desiccant rotor with various air flow rates is carried out. Using the air leakage model, the effective mass flow rate and air leakage rate are foun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 leakage are analyzed for a desiccant cooling system using the developed air leakage model.

      • KCI등재

        공무상비밀누설죄와 편면적 대향범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3642 판결을 중심으로-

        김민이 ( Min Ee Kim ),민만기 ( Man Kee Mi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1

        필요적 공범으로서 대향범은 하나의 범죄완성을 위하여 반드시 대향되는 2인 이상의 범죄행위자들 각각의 가담행위가 있어야 한다. 이 중 일방만을 처벌하는 경우를 별도로 편면적 대향범이라고 하는 것이다. 각칙상 1인만을 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다수의 조문들이 대향적 구조를 갖추기만 하면 편면적 대향범이라고 하여 총칙상 공범으로도 처벌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범죄가담자를 처벌하지 않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본 [대상판결]에서도 공무상비밀누설죄가 형법 제127조에서 누설한 자만을 주체로 하였지만, 이에 대향하는 누설받은 자가 존재하여야 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편면적 대향범이라고 한 것 같다. 그러나 편면적 대향범은 필요적 공범으로서 대향범의 일종이므로, 대향되는 행위자가 존재하는 것만으로 부족하고 이 행위자의 범죄실현을 위한 기여행위가 없다면 당해 범죄가 성립되지 않아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공무상비밀누설죄는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자가 법령에 의한 직무상 비밀을 누설하기만 하면 성립되는 범죄이기 때문에, 본 [대상판결]에서 누설한 자(피고인 1)를 적극적으로 교사한 피고인 2는 1심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공범론에 따라 공무상비밀누설죄의 교사범으로 처벌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Supreme Court Decision 2009Do3642 decided April 28, 2011 seems to apply the principle of “Das Begegnungsdelikt” judging two-way criminality between a public official who divulged official secrets and a taker who instigated the official to reveal the secrets. “Das Begegnungsdelikt” requires more than two individuals who participate in committing a crime in two opposite ways; a performer and a taker. It, meanwhile, is occasionally found that only the performer is punished for committing the crime, which can be called unilateral “Begegnungsdelikt”, It would be unreasonable to punish the performer alone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 circumstances of the complicity seem to be categorized into “Das Begegnungsdelikt”. In the above-mentioned 2009Do3642 cas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the public official (the leaker) who divulged the official secrets is the only criminal and the other part (the taker) who instigated him to divulged the secrets is free from the crime as a result of “unilateral” Begegnungsdelikt. Judging this case, in conclusion, Supreme Court of Korea seemed to mistakenly interpret the Article 127 of the Criminal Act (Divulgence of Official Secrets) which regulates only the leaker of secrets as a criminal on charges of revealing official secrets. This case, however, has nothing to do with “Das Begegnungsdelikt” even if it seems the taker who instigated the leaker to divulge the official secrets should be also punished as an instigator on charges of revealing them.

      • KCI등재

        방사선 누설선량 조사를 통한 방어시설과 누설선량 평가방법에 대한 문제점 연구

        양원석(Won Seok Yang),최준혁(Jun-Hyeok Choi),신운재(Woon-Jae Shin),민병인(Byung-In Mi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이 연구는 CT(computed tomography)검사 중 발생하는 방사선 누설선량(radiation leakage)으로부터 종사자 및 일반인의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부산, 경남에 위치한 대학병원 7곳과 종합전문요양병원 4곳의 CT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누설선량 측정 장소로는 1) 조정실 내 감시창 벽면의 지면으로부터 3m 높이 2) 조정실 내 특정 지점 3) 조정실 내 종사자 출입문 4) 환자 출입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M병원의 종사자 출입문에서 가장 높은 누설선량이 나타났다. 각각의 측정값은 고전적 방법에 의한 주당 최대 누설선량으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1) 5.97 ± 0.23, 2) 0.50 ± 0.02, 3) 10.00 ± 0.11, 4) 2.37 ± 0.47 mR/week 로 주당 최대 누설선량 허용치(<100 mR/week)이하였다. 하지만 측정 최대 누설선량을 기록한 M병원의 조정실 내 종사자 출입문을 실험적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 118.31 ± 17.72 mR/week(>100 mR/week)로 나타났다. 조정실 지면으로부터 3 m 이상의 높이에서의 누설선량은 조정실내부에 영향을 끼쳤다(p<0.05). 따라서, 누설선량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주당 최대 누설선량 산출 방법에 대한 개선과, 조정실 차폐벽의 차폐체를 3 m 이상으로 할 것을 제안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to the workers and public members during CT examination. The objects are seven of the CT rooms in university hospitals and four of the CT rooms in clinics located in Busan and Gyung-nam area. The places of measurement for radiation leakage are 1) 3 m above the ground of shielding wall in the control room 2) particular space in the control room 3) workers gate in the control room 4) the patient gate. Its values were calculated maximum leakage radiation per week(MLRW). As a result, the workers gate of M clinic displayed the highest dose. When it was calculated by MLRW in classic method, it showed 1) 5.97 ± 0.23, 2) 0.50 ± 0.02, 3) 10.00 ± 0.11, 4) 2.37 ± 0.47 mR/week. All of them did not exceed limit for maximum permissible dose per week(MPDW). However, When MLRW of M clinic was calculated by empirical method, its value displayed 118.31 ± 17.72 mR/week.(MPDW>100 mR/week). Radiation leakage influenced in the control room(p<0.05). Therefore, The way of calculating MLRW must be developed and shielding wall in control room is designed 3 m above the ground for reducing dangerous of leakage radiation.

      • KCI등재

        적외선열화상에 의한 발전용 밸브 누설명가 연구

        이상국(Sang-Guk Lee)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0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0 No.2

        발전용 밸브 내부의 누설은 냉각 기능 상실 및 방사선물질 방출 동 안전계통의 성능 저하와 수많은 에너지 손실 등 발전소 운전에 막대한 손상 및 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은 신뢰성 높은 진단 방법 개발을 위하여 국내 원자력발전소 2차계통의 누설 발생 또는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밸브를 대상으로 현장시험 및 모의누설실험시의 적외선열화상 측정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단일계측방식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향후 누설진단에 대한 확대 적용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발전소 현장시험 및 밸브 모의누설시험시의 밸브 누설 상태에 따른 적외선열화상 이미지 측정 실험을 통하여, 적외선열화상 측정 방법은 밸브 누설 상태의 과정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측정 가능하며 향후 많은 종류의 밸브 누설진단에 활용함으로써 누설에 따른 막대한 에너지 손실 및 사고 예방의 유용한 기법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feasibility using thermal image measurement that is applicable to internal leak diagnosis for the power plant valve. Abnormal heating of valve surface associated with high temperature steam f10w toward valve outlet side in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is a primary indicator of leakage problems i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valves. Thermal imaging enables to see the invisible thermal radiation that may portend impending damage before their condition becomes critical. When steam flow in valve outlet side in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is converted into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valve body due to the internal leakage in valve. The existence of abnormally increasable leakage rate in the valve will result in abnormally high levels of heat to be generated that can be quickly identified with a thermal image avoiding energy loss or damage of valve componen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thermal image measurement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precisely diagnose and evaluate internal leak situation of valve.

      • KCI등재후보

        16비트 신호처리 프로세서 기반 유효성분 누설전류 감지 알고리즘 구현

        한영오(Young Oh Ha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6

        누전차단기는 전기재해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누전차단기는 15mA∼30mA의 차단범위에서 합성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저항성 누설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및 인체감전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용량성 누설전류에 의한 오동작으로 인한 생산성 감소 및 신뢰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누전차단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상차를 측정을 통하여 유효성분(저항성)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감지된 누설전류를 기술표준규격에서 규정하는 0.03초 이내에 차단을 할 수 있도록 16 bit 신호처리 프로세서인 MSP430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유효성분 누설전류 감지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The ELCB(: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s the only way being used to prevent accidents from happening caused by electrical disaster. However, the existing ELCB has a limit to prevent damages to life and property due to a electric fire and a human body electric shock caused by the resistive leakage current, because of detecting the total leakage current in the block range of 15mA∼30mA. It also has problems such as reduced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due to malfunctions by capacitive leakage currents. In this study, we have implemented the algorithm for the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ion technique and developed the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ion module based on a MSP430 processor, 16bit signal processor and this module can be operated in a desired block threshold within 0.03 seconds as specified in KS C 4613.

      • KCI등재

        이동건강검진차량에서 외부의 누설선량 측정

        한범희(Beom-Hee Han),한상현(Sang-Hyun Han),모은희(Eun-Hee Mo),김종일(Chong-Yea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이동건강 검진차량에서 검진을 받는 환자나 종사자들에 대한 피폭선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차량 외부의 누설방사선량에 대한 조사는 아직도 미비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실험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누설선량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출입문에서는 우측으로 1.14±1.75 mR/h, X선 발생기가 근접한 측면에서는 상부로 0.65±1.25 mR/h, X선 발생기와 떨어진 측면에서는 하부로 0.91±1.25 mR/h, 검출기가 인접한 후면에서는 상부가 96.98±158.88 mR/h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누설선량이 나타났다. 측정 위치별로는 검출기가 인접한 후면에서 67.48±97.03 mR/h으로 누설선량이 가장 높았다.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에는 주당 최대누설선량이 모두 만족하였지만 후면에서의 누설선량은 시간당으로 표시될 때는 무시 못 할 누설선량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이동건강검진차량에서 외부의 누설선량은 우리가 간과해서 아니 되며 관심을 가지고 방사선 방어시설의 방어벽 누설선량 기준을 다시 평가하는 기회가 필요하며, 이동건강검진차량을 이용한 X선 촬영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당 선량으로 적절한 기준을 정하기 위한 방안과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Checked out by the moving vehicle health checks for patients, practitioners, and the increase in radiation dose outside the vehicle, but an investigation into the leakage of radiation can still be negligible. In this study,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were as follows: Dose that occurs most often where the leak in the right door 1.14±1.75 mR/h, X-ray generator in terms of proximity to the top 0.65±1.25 mR/h, X-ray generator and away to the bottom in terms 0.91±1.25 mR/h, the adjacent rear detector in the upper part 96.98±158.88 mR/h dose of the leak appeared in various locations. By measuring position from the rear of the adjacent detector 67.48±97.03 mR/h dose had the highest leakage into. Generating device for diagnosis of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regarding the maximum leakage dose per week, but all met back when it is displayed in the leakage dose Hourly rates do not ignore the leakage radiation dose were measured. Therefore, a mobile health screening in a vehicle outside of the leakage radiation dose to the liver and move on we are not interested twelve barrier leakage radiation dose of defense has a chance to re-evaluate the standards required, and move the vehicle health check using the X-ray increases as the dose per hour, depending on the criteria for choosing the appropriate measures that will require effort.

      • KCI등재

        초저온 버터플라이 밸브용 탄성 메탈실의 누설방지에 관한 연구

        안준태(Jun Tae Ahn),이경철(Kyung Chul Lee),이용범(Yong Bum Lee),한승호(Seung Ho Han)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5 No.6

        LNG 선박에 사용되는 초저온용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발에 있어, 누설검증은 가장 중요한 설계공정 중 하나이다. 초저온에서 누설방지가 가능한 실로서 인코넬 스프링과 같은 탄성지지체가 포함된 O-링 형태의 메탈실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제작비가 고가인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부가적인 탄성지지체 없이도 누설조건을 만족시키며, 제작비가 저렴한 탄성 메탈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성 메탈실의 누설방지를 위한 설계조건을 정립하여, 초저온 및 고압환경에서 누설방지가 가능한 탄성 메탈실의 형상을 수치해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를 기반으로 시제품을 개발하고, 상온 및 초저온 상태에서 BS6755 및 BS6364 에 준하는 누설시험을 실시하여 누설여부를 확인하였다. For the development of butterfly valves used in liquefied natural gas (LNG) vessels, the seat tightnes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valve-design process. An O-ring-type metal seal with a retaining ring showing good seat tightness at cryogenic temperatures has been widely used, despite the high manufacturing costs involved. As an alternative, a flexible solid metal seal offers not only sufficient tightness of the butterfly valve, meeting specification requirements, but also relatively low manufacturing costs. In this study, a design criterion to ensure the seat tightness of the butterfly valve using the flexible solid metal seal is proposed. The contact pressure can be calculated by the simulation of the frictional contact behavior between the surface of the metal seal and the valve disc. The geometry of the flexible solid metal seal is determined so that it satisfies the design criterion for sufficient seat tightness, and is verified by experiments according to BS6755 and BS636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