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김현승의 문학 - ‘이신론(理神論)’적 특징에 대한 고찰 -

        김윤정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29 No.-

        김현승은 우리 문단에 본격적인 기독교 문학을 선보인 주목할 만한 시인이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에 보인 기독교에 대한 회의 및 고독론의 전개는 그의 정체성이 과연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자들의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본 연구는 김현승에게 기독교 세계관은 분리되지 않는 사상 체계임을 전제하고 그 안에서 보인 김현승의 문제의식과 고민들이 어떤 의미망 속에 놓이는가를 살피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이 김현승의 정체성을 확인시켜줄 것이라는 판단에 의해서이다. 이를 위해 여러 다양한 신학을 다루는 해석학적 도구, 즉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의 역학 관계를 바탕으로 김현승의 고유한 세계관을 드러내 줄 핵심적 해석학적 지점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신관’, ‘인간관’, ‘죄와 구원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지점들은 그 견해에 따라 신학의 다양한 갈래들을 양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의 역학 구도에 의하면 김현승이 해석학적 지점들에서 보인 특이성에 따라 그의 고유한 의미상 좌표를 부여받을 것이다. 김현승의 경우 ‘신’은 창조주이자 초월적 지위를 지니는 절대적 존재이다. 반면‘인간’은 ‘신’에 의한 피조물이다. 김현승은 이 둘 사이에 합치될 수 없는 거리가 존재하고 이로부터 소외와 고독이 생겨난다고 생각했다. 이와 함께 그리스도의 존재 및 그의 구원론에 대한 신념은 매우 희박하였다. 이러한 관계망 속에서 김현승은 인간 이성의 실천적 활동을 강조하기에 이른다. 신은 초월적 존재인 만큼 인간 현실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 여기에 가로놓여 있다. 즉 김현승은 신의 내재성을 배제한 초월성을 강조하면서 신이 부재한 자리에 인간의 내재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여긴 것이다. 이것이 김현승으로 하여금 ‘구원의 포기인 고독’을 받아들이게 하였고, 또 사회 참여적 시의 창작을 이끌어냈다. 김현승의 문학에서 이러한 해석학적 지점들을 살펴볼 때 그것이 근대 초기 영국에서 등장했던 이신론의 세계관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신론 역시 인간 이성의 자율성과 신의 극단적 초월성을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여러 신학적 갈래 가운데 특징적인 하나의 좌표를 점하고 있다는 사실의 확인은 단순한 지적 작업을 넘어서는 일이라 생각된다. 그것은 김현승이 기독교 문학에 대한 깊이 있고 세밀한 성찰을 전개시켰음을 말해주는 동시에 기독교 문화를 보다 성숙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features of nature senses of Kim Hyun-Seung and analyzes the modern poetry world of Kim Hyun-Seung. It is times pointed out that nature and transcendence senses of Kim Hyun-Seung was features of modern korean poetry. His nature and the point of devine of Kim Hyun-Seung has been involved features the first stage modern korean poetry. That is the point of human, original sin, redemption and deism in all period. Especially it restarted experience of analitics, transcendence, immanence, culture with that period. And that was resisted the redemption of culture. The poetical investigation of Kim Hyun-Seung, as we pointed out in his text, embodies redemption of modern korean poetry, especially in the idea. That is to say, his analitics and transcendence,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in his first poetry. The Christ, united world and recover is the important concept the first stage modern korean poetry. This work is the first stage departing from the point of human and original sin. That is the theme of poetry of Kim Hyun-Seung.

      • KCI등재

        김현승 시의 공간 구조와 시 의식 연구

        신윤희 ( Shin Yunh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1 No.-

        이 논문의 목적은 김현승 시인의 시 세계를 공간을 통해 새롭게 읽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주로 시인과 관련한 전기적 배경들이 김현승 시 세계에 대한 연구와 비평 작업에 녹아들어 텍스트 내적 구조와 특질에 대한 탐구가 충분히 조명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고는 김현승의 시 작품을 공간이라는 코드를 통해 읽어봄으로써 시 세계 전체를 관통하는 시적 원리를 구명하고 아직 조명되지 못한 시 의식의 새로운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현승 시의 시적 공간을 상/하의 이항 대립적 대극 공간으로 분절하고 상/하의 각 공간에 배치된 이미지나 사물 역시 공간적 자질로 변환하여, 이를 대립과 차이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상방과 하방의 이항 대립적 구조는 하방성을 부정하고 상방으로 향해가려는 김현승 시인의 의식의 지향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러한 상방과 하방의 이원적 대립구조는 점차 균열을 일으키며 변이태를 만들어내면서 상/하의 공간은 질적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부정적 <하>공간에 상방의 가치와 질서가 도래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드러나는데 이로써 하방의 공간에서 상방의 가치를 찾아가는 방향으로 상/하의 공간은 통합을 이루어 나간다. 이러한 상-하 간의 통합은 궁극적으로 시(노래)를 쓰는 일을 통해 이루어진다. 결국 김현승 시인에게서 시를 쓰는 일은, 이웃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김현승 시인의 대사회적 책무와 시인으로서의 심미적 이상이 시인으로서의 소명 의식으로 구체화되어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on new aspects of the poetic consciousness, which has not yet been illuminated, by examining the poetic principles that penetrate his poetry through space. To this end, the space of Kim Hyeon-seung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and images or objects arranged in each space were also converted into spatial codes, and these codes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confrontation and difference. In the upper and lower confrontation structures, the poet's inner consciousness reveals his tendency to deny the space below while trying to fly to the upper space. However, this adversarial structure gradually cracks and is deformed, and the properties of the upper and lower spaces also change qualitatively. In particular, the change in the lower space is remarkable, and the lower space comes to the sacred space where negative attributes have been removed. As a result, the lower space comes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space, and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are gradually integrated. And this integrated space has significance as a new polysemantic space with both upper and low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계량적 통계로 본 김현승의 시세계(詩世界) 전개

        대배운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3

        본 논문은 다형 김현승(1913~1975)의 시어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찾아내고, 각 시기 시어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김현승의 작품을 목록화하고 시어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계량적 방법으로 시어 통계를 진행했다. 새로운 연구법을 통해 학계의 연구 성과를 검증하고 보완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김현승 현재 발간된 작품들을 목록화하여 총 257편 작품을 통계 대상으로 삼고 기존 연구에 따라 1기(해방 전), 2기(1954~1963), 3기(1964~1970), 4기(1971~1974)로 나눠 시어 빈도를 얻고 분석하였다. 형식적 특징으로 김현승은 짤막한 문장을 선호하여 단시(短詩)를 많이 창작했다. 그리고 내용적 특징으로 김현승은 행동보다 사물 자체에 대한 묘사를 더 집중함을 알 수 있고 '신'에 대한 집착을 확인할 수 있다. 어휘 빈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 김현승의 시세계는 1기가 ‘희망’, 2기가 ‘신앙’, 3기가 ‘고독’, 4기가 ‘사랑’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 결과는 조태일, 김병선 등 김현승의 연구자들이 텍스트 분석으로 밝힌 시세계 양상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계량적 방법은 시를 연구할 때 한 연구법으로 전통 시어 분석법의 보조로 되어 새로운 연구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thesis will list the works he created and apply a new method called the measurement method to verify and supple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cademic world through poetic statistics on Kim Hyun-seung's poetry. In this thesis, a total of 257 works were statistically targeted by listing the currently published works and organizing overlapping and vocabulary problems. Mainly, the work of Kim Hyun-seung was analyzed in both aspects of form and content. As a characteristic of the form, Kim Hyun-seung created a lot of short poems by preferring short sentences. In addition, Kim focuses more on the description of the object itself than actions. These statistical results are similar to the aspects of the poetry world that researchers of Kim Hyun-seung, such as Cho Tae-il and Kim Byung-sun, revealed through research. Therefore, I think that the quantitative method can provide a new research perspective as an aid to the traditional poetry analysis method as a research method when studying poetry.

      • KCI등재

        김현승의 고독과 시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ㅡ시 「절대고독」을 중심으로

        박경자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9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d the true solitude that forms Hyŏn-sŭng Kim’s internal emotion as well as its factors and background and analyzed the poetic imagery of solitude in Absolute Solitude, which is the peak of solitude.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how paradoxical oxymorons function in poetic imagery through his poem “Absolute Solitude.” Most papers on Hyŏn-sŭng Kim’s Solitude have focused on the period of Absolute Solitude and made various arguments on his solitude as well as poems on it, but have barely mentioned the factors and background of solitude formation. By focusing on this fact, the paper probed into the factors and background of solitude in the formative years of his personality from a psychological viewpoint. Using paradox and oxymoron in his poems, Hyŏn-sŭng Kim develops a panorama of meaning by arranging facts and contradictions and creating tension. Paradoxical oxymorons which go beyond general misunderstandings and demand diverse interpretations also form the majority of the narrative of his poem “Absolute Solitude.” Kim experiences a new world when he reaches the peak of solitude, and such stage has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be expressed and described in words. To effectively embody this, Kim used advanced symbols, metaphors, paradoxical expression, and oxymoron. As one can agree with the methodological value of paradoxical oxymoron by comprehending the situation of the Absolute Solitude period, interpreting a paradoxical oxymoron which shares close reciprocity with solitude can be effective to discern the truth of Absolute Solitude. If the internalization of poem that started from an interest in external nature or object into meta-physical questio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sent-day poetry, Hyŏn-sŭng Kim is the pioneer of Korean present-day poetry. For Kim, poetry was also an inner means to pursue the infinite, mystery world beyond the finiteness and an internal imagery. Based on a metaphysical introspection on poetry of modernism tendency, Hyŏn-sŭng Kim achieves the essence of ideal, spiritual poetry. A question on how the recognition of a pantheistic, finite world is possible in a metaphysical introspection leads to more various and wider follow-up research. Keywords: Hyŏn-sŭng Kim, Absolute Solitude, Paradox, Oxymoron, Pantheistic, Autonomous self 본고는 김현승의 내면적 정서를 이루는 고독의 실체와 그 요인 및 배경을 집중 분석한 다음, 이를 토대로 고독의 절정기인 절대고독 시기 고독의 시적 형상화에 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시적 형상화에 역설적 모순어법이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그의 시「절대고독」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김현승의 고독에 대한 논고는 대부분 절대고독 시기에 집중되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고독, 이를 주제로 쓴 시에 관해 다양한 논지를 펼치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고독의 생성 요인과 배경에 대해서는 별 언급이 없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해 그의 성격형성기를 기점으로 심리적 시각에서 고독의 요인 및 배경을 살펴보았다. 김현승은 시에서 역설과 모순어법을 활용해 사실과 모순을 배치시켜 긴장을 조성하며 의미를 전경화한다. 그의 시「절대고독」에서도 일반적 오해를 뛰어넘어 다의적 해석을 요구하는 역설적 모순어법이 주조를 이룬다. 그는 고독의 극점에 이르러 새로운 세계를 체험하는데 그 경지는 언어로는 형용하기 어려운 표현상의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그는 고도의 상징, 은유, 역설적 표현, 모순어법 등을 사용했다. 따라서 절대고독 시기의 정황을 헤아려야 역설적 모순어법의 방법론적 가치에 대해 수긍할 수 있듯이 고독과 긴밀한 상호성을 공유하는 역설적 모순어법을 해독하는 것이 절대고독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효과적 일 수 있었다. 외부의 자연이나 사물에 대한 관심에서 부터 출발한 시가 형이상학적 물음으로 내면화된 것이 현대시의 특징 중 하나라면 김현승은 한국 현대시의 선구자에 속한다. 그에게 시는 유한 너머 무한한 신비의 세계와 내면의 형상화를 추구하는 내밀한 수단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김현승은 모더니즘 경향의 시에 형이상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정신주의적 시의 진수를 이룬다. 여기에서 형이상학적 성찰에 범신론적 무한의 세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기능하는가 하는 질문은 다양하고 폭넓은 후속 연구를 주문한다. 주제어 : 김현승·절대고독·역설·모순어법·범신론·주체적 자아

      • KCI등재

        김현승 시에 나타난 후각 이미지와 감정의 유기성 연구

        윤선희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8 No.-

        This study would further liven up the width of his understanding of poetry by investigating the olfactory images that convey the orientation towards sublimity sensuously in Kim Hyeon-seung's poetry and emotions accompanied by them. The scent emitted by natural objects in his poetry plays a role in reducing and healing pain by covering the subject that feels the pain. The poetic subject gains the strength to relieve the pain of exhaustion through breathing and feels relief. In addition, the emotion of ‘sublimity’ shown by his poetry is expressed as a scent conveyed from a condensed object. At this time, the object that causes fear appears as a scent that has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This shows the awe of the absolute being he has.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ntoxication felt by the poetic speaker while internalizing a scent generat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cent that evokes the emotion of ‘sublimity’ is combined with liquids such as tea and alcohol, and the elated mood associated with this are revealed. The speaker who would reach the “deeply felt but not mawkish” stage reach a higher stag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he places himself to a non-daily space, empties and refills himself with the scent. Kim Hyeon-seung shows the emotions a man should experience to reach the sublimity with olfactory images, along with the image of the man pursuing the sublimit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retraced the orientation towards sublime things like absoluteness and eternity pursued by Kim Hyeong-seung in terms of senses and emotions, to which attention has hardly been paid until now. 본고는 김현승의 시에 나타난 숭고에의 지향을 감각적으로 전달하는 후각적 이미지들과 그에 동반되는 감정이 무엇인가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보다 넓히고자 했다. 김현승 시의 자연물들이 내뿜는 ‘향기’는 고통을 느끼는 대상을 덮어줌으로써 고통을 줄여주고 치유해 주는 역할을 한다. 시적 주체는 호흡을 통해 소진의 고통을 타개할 수 있는 힘을 얻고 안도감을 느낀다. 또한 김현승의 시가 보여주는 ‘숭고’의 감정은 응축되어 있는 대상으로부터 전해지는 향기로 표현된다. 이때 두려움을 주는 대상은 구원의 가능성을 품은 향기로 나타난다. 이는 김현승이 가지고 있는 절대적 존재에 대한 경외의 감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는 ‘숭고’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향기를 차와 술과 같은 액체와 융합시키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향을 시적 화자가 내재화하면서 느끼는 도취와 이에 결부되어 있는 고양감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화자는 스스로를 비일상의 공간에 놓고 자신을 비우고 다시 향으로 채우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더욱 높은 경지에 도달하고자 한다. 김현승은 숭고를 추구하는 인간의 모습과 함께 숭고에 다다르기 위해 인간이 겪어야 하는 감정들을 후각 이미지와 함께 보여준다. 이 연구는 김현승이 추구했던 절대성·영원성과 같은 숭고한 것들에 대한 지향을 그 동안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감각과 감정의 측면에서 되짚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김현승의 자기반영적 시에 내포된 정념 연구 -시세계 변모 과정 속 긍지와 소심의 교차 양상-

        윤선희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80 No.-

        Studies on the Poetic Esprit of Kim Hyun-Seung have been made mainly focusing on faith and ontological consideration. In this tendency of the studies, there is lack of consideration on passions connoted in the poetry of Kim Hyun-Seung. In turn,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change in Kim’s Poetic Esprit through examining the passions represented in his self-reflective poems by period. To perform this study, based on the cognition that passions have interrelation with impression and ideas, consideration on ‘pride’ and ‘humility’, which are emotions connected closely to Ego among David Hume‘s Passions of the Soul that analysed various emotions, has been taken as its methodology. Looking into Kim‘s self-reflective poems, especially in the period of which language noticeably used as the object of passions, he gives special value on language of his own as a poet. It verifies that he has the emotions of humility from awareness that he cannot recreate the world perfectly through language, though he has high pride on writing poems. Later, in the period of deepening conflicts between the realm of abstract ideas and the inner world of the poet, the subjects of passions such as Beauty and Deformity, Pleasure and Displeasure are contrasted through metaphor like ‘jewel’ and ‘lead’ in his self-reflective poems. At the moment, poet takes a stand for overcoming the emotions of humility such as dejection and helplessness by element of pride like strength. Moreover, he admits his limitations and tries to change the emotions of humility into the virtue of modest. This change shows that he tries to keep pride by controlling it not to be downgraded to vanity, as well as transcending humility into virtue. In conclusion, Kim Hyun-Seung’s passions are presented differently by period even on the identical object as Poetry. It means that the change of his Poetic Esprit has to be considered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of intellectual agony and vicissitudes of sentiment. 김현승의 시세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신앙과 존재론적 고찰 등 관념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 속에서 김현승의 시에 내포된 정념의 변모에 대한 고찰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는 김현승의 자기반영적 시편들에 나타난 정념을 시기에 따라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그의 시세계 변화를 이해하는 지평을 보다 넓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정념이 인상, 관념과 상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념을 분석한 데이비드 흄의 정념론 중 자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감정인 ‘긍지’와 ‘소심’에 대한 고찰을 방법론으로 삼았다. 김현승의 자기반영적 시에서 언어가 정념의 대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기의 시들을 살펴보면 그가 시인으로서 자신이 소유한 언어에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시를 쓴다는 데에 높은 긍지를 지니면서도 언어를 통해 세계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는 없다는 인식으로부터 소심의 정념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추상적인 관념의 세계와 자기 내면세계의 충돌이 더욱 심화되는 시기의 자기반영적 시들은 ‘아름다움’과 ‘흉’, ‘쾌’와 ‘불쾌’라는 정념의 원인들이 ‘보석’, ‘납덩이’와 같은 은유를 통해 대비된다. 이때 시인은 상실감이나 무력감과 같은 소심의 정념을 강인함이라는 긍지의 요소로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소심의 정념으로부터 겸허의 덕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긍지가 허영으로 격하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소심을 덕으로 승화시킴으로써 긍지를 지켜내고자 하는 모습으로 이어진다. 김현승이 ‘시’라는 동일한 대상에 대해 느끼는 정념이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그의 시세계의 변화가 지성적 고뇌와 감정의 곡절이라는 다층적인 측면에서 고찰되어야 함을 보여 준다.

      • KCI등재

        김현승의 시의 서지오류와 발굴작품 연구

        이동순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70

        This paper reviewed bibliographies published by Kim Hyeonseungbased on Kim Hyeon-seung Poetry Collection and DahyeongKim Hyeon-seungg Literature Collection and the publication datesand corrected errors from 39 works. Among them 12 works wereidentified as ‘unknown authorship'. And both published bibliographyerrors and errors in publication dates were found in 8 works. Also3 works had published bibliography errors and 16 works had errorsin publication dates. The reason for the errors was it was hard toget an access to data sources like the Dong-A Daily News orChosun JoongAng Il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otherreasons could be that we didn’t even know if there were works ornot, because works in the 1950s were published on literarymagazines in Gwangju or Mokpo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These errors were made from limits in data research. I hope moreunknown data could be found in the future. Based on correction,Chronological Listing of the Author ' s Works should be revised. During the arrangement work of bibliographies, I also foundworks unpublished in 2 the literature collections. It means 9 workswhich haven’t published in collection were found. 2 serial poetriesby Kim Hyeon-seung were identified. Especially, in that poetries, hecaptured distinct features sensuously and imaged them in shortpoetries, which is unprecedented and shows his experimental spirits. The purpose of poem made during the wartime is troop informationand education reflecting the ideology of northern unification. In thepoem celebrating independence of the country, he showed ‘nativelanguage’ is on a par with his native country. This is the samewith his strong showing when he gave up writing instead ofsubmitting to the Japanese imperialism. What we newly discoveredfrom the founded works by Kim Hyeon-seung is the smallachievements. 본고에서는 『김현승시전집』과 『다형김현승문학전집』을 토대로 김현승이 발표했던 서지와 발표일을 검토하여 39편의 오류를 확인하여 바로 잡았다. 밝혀 적은39편중에서 출처를 확인하지 못해 ‘미상’으로 처리하였던 작품은 12편, 발표 서지와 발표일의 오류는 8편, 발표 서지의 오류는 3편, 발표일의 오류는 16편이었다. 이런 오류 발생의 원인은 일제 강점기의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등 자료에접근하기 어려웠고, 1950년대의 작품들은 한국전쟁기 광주와 목포에서 발행된 문예지였기 때문에 자료의 존재여부를 몰랐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모두 자료 찾기의 한계로 인한 것이니 만큼 앞으로도 알려지지 않은 자료들이 발굴되기 바란다. 바로잡은 것을 토대로 「작품연보」 등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서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2권의 전집에 실리지 않았던 작품들을 새로확인하였다. 전집에 수록되지 않은 9편을 새로 작품을 발굴한 것이다. 작품 중에는김현승의 시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연작시 2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상으로삼은 자연물의 가장 큰 특징만을 감각적으로 포착하여 짧은 시형에 이미지화했다는 점은 김현승의 다른 시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시적 실험을 엿볼수 있는 작품이다. 정훈을 목적으로 한 전쟁기의 작품은 북진통일 주장하는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있고, 광복을 기념한 시에서 ‘모국어’가 ‘조국’과 동일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일제하에 굴복하지 않고 절필하였던 강한 면모와 일치하였다. 여기 발굴한 작품을 통해 그동안 알지 못했던 김현승 시의 한 자락을 확인한것은 작은 성과라고 하겠다.

      • KCI등재

        자유주제 : 김현승 시의 변모 양상 -기독교 예정론을 중심으로-

        이상옥 ( Sang Ok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김현승은 50대 이후에 ‘고독’ 테마의 시편으로 시적 개성을 드러내면서 기독교적인 형이상학적 시인으로 한국시사에 매우 특이한 개성으로 자리한다. 우리 시단에서는 드물게 기독교를 본격적으로 자기화하여 기독교가 그에게는 곧 생리이자 사고방식이 되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독교에 대해 회의한 50대 전과 후, 그리고 고혈압으로 쓰러진 이후 3기로 나누어 그의 종교적 굴곡에 초점을 맞추어 기독교 예정론을 중심으로 김현승 시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인 김현승은 50대에 평생 믿고 따르던 신을 부정하고서 표현론의 관점으로 시를 고스란히 남긴바,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평생 신과 갈등(절대주권과 자유의지)의 파노라마를 보여주었는데, 이런 갈등국면 속에는 기독교 예정론, 즉 기독교 2천 년 역사 속에서 현재 진행형인 신의 절대주권과 자유의지론의 논쟁이 고스란히 드러나면서 그의 시의 변모 양상은 다음과 같다. 제1기는 신의 절대주권과 자신의 자유의지 사이에 충돌을 경험하며 신의 세계를 인정은 하면서도 시인으로서의 자의식이 강하게 드러나 신의 절대주권을 전적으로 수긍하기 힘든 국면을 노래하였다. 신의 절대주권과 자유의지의 충돌로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자화상自畵像」,「푸라타나스」,「사랑을 말함」,「나무와 먼길」,「그냥 살아야지」 등이 있다. 제2기는 신의 절대주권을 벗어나 자신의 의지로 나아가 스스로가 주체가 되고 주인이 되어 실존적 고독을 드러낸다. 대표 작품으로는 「제목題目」,「병病」,「시詩의 맛」,「견고堅固한 고독」, 「절대絶對 고독」,「고독의 끝」등이 있다. 제3기는 신과 결별하고 자유의지를 한껏 추구하며 승승장구하는 듯했으나 고혈압으로 쓰러지고 난 이후 신의 절대주권을 수용하며 절대 신앙의 고백을 드러낸다. 대표작으로 「마지막 지상地上에서」,「촌村 예배당禮拜堂」,「무기武器의 노래」,「나무」,「부활절에」등이 있다. 김현승 시는 절대주권과 자신의 자유의지와의 대결에서 갈등 양상을 보이다가 신의 절대주권에서 자유의지의 세계로 독립하였으나, 결국 신의 절대주권의 세계로 회귀함으로써 신의 절대주권 앞에 복종하는 인간상을 구현해 보이고 있다. 김현승은 기독교 2천년의 가장 큰 이슈인 예정론의 논쟁을 자신의 온 몸으로 수렴하여 시로 표현해 냄으로써, 신앙의 육화(肉化)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시 세계를 구현해 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시단에서 그의 자리는 드러나는 바가 뚜렷하다. 아울러 예정론과 자유의지론의 논쟁은 기독교 2천 년 역사 속에서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존재하고 있는바, 그 대결 양상을 생래화하여 문학으로 재현해 보이는 그의 시는 교리적 측면에서도 살펴볼 만한 가치가 분명하다 하겠다. Kim Hyun Sung`s poems in his fifties show the thematic characteristic of solitude. As a poet of Christian metaphysics, he locates himself in a very unique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ms. He individualizes Christianity and that is an ecology and a way of thinking in his poems. This study deals with his skepticism on Christianity before and after his fifties. The varying patterns of his poems are studied based on the Christian supralapsarianism in the category of three periods after the high blood pressure struck him,Kim Hyun Sung denies God in his fifties whom he believed in his entire life until then. His poems express that well. Born to a church minister, he shows panorama of conflicts with God. The conflict between absolutism and indeterminism is still going on in the two thousand history of Christianity. The varying patterns of his poems are as follows. The first period shows that he accepts God`s absolutism in the conflict with his free will as a poet. He finds it hard to acknowledge God`s absolutism in his strong self-consciousness as a poet. Poems showing such characteristics are “Portrait,” “Platanus,” “Talking about Love,” “Tree and a Long Way,” and “I Will Just Live.”The second period shows that he gets away from God`s absolutism and finds his own way of free will. He becomes a master of himself in the existential solitude. Poems of such characteristics are “Title,” “Disease,” “The Taste of Poems,” “The Solid Solitude,” “The Absolute Solitude,” and “The End of Solitude.”The third period shows that he seems to be victorious in his pursuit of free will after his separation with God. However, the high blood pressure attacked him and made him confess his faith in God in the acceptance of God`s absolutism. Poems of such characteristics are “The Last Day on the Earth,” “In a Country Church,” “The Songs of Weapon,” “The Tree,” and “On the Easter Day.”Likewise, he shows denial and acceptance of God in his poems. His direct experience of supralapsarianism helped him incarnate his belief in God well in his poems. His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ms is distinct in this respect. It is worthwhile to look into his poems in the light of theology. He made it an ecology in his poems to deal with ongoing conflict between absolutism and indeterminism.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시간 - 김수영 시에 대한 김현승 해설 비판

        이영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5

        This paper examines the source of standard interpretation, which has been the basis for reading Kim Su­young’s poems for five decades. In the book, Modern Korean Poetry Manual, published in 1972, Km Hyun­seung interpreted the grass in “Grass” as suppressed people and the wind as suppressing force, and in “Snow”, snow is a symbol of pure life and the phlegm and cough are described as symbols of an impure daily life. This interpretation of binary opposition has enjoyed unrivaled authority in various reference books for the past 50 years, representing the zeitgeist of the cold war period and Korea’s national division. In my view, Kim Su­young sees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change and the world is on the path of change and rebirth over time. Poetry and revolution stand at the same level of perception in that they exercise poetic freedom in which the world that has never been before unfolds through a new birth that passed through death.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textbook interpretation that has been following Kim Hyun­seung’s reading for the past 50 years may have had its own significance at the time, but it is no longer valid. 김수영 시인의 작고 후 반세기가 흐르는 동안 많은 연구가 축적되었지만 그의 작품에 대한 교과서적 해석은 거의 변하지 않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눈>과 <풀>에 대한 해석이다. 특히 <풀>은 민중을 억압하는 세력에게 저항하는 작품으로 읽어온 것이 참고서의 지배적인 독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그러한 해석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가를 조사하고 1972년에 발간된 김현승의 현대시 해설서 『한국현대시해설』에 그 출발점이 있다고 판단한다. 김현승은 <풀>에서 풀은 민중이고 바람은 민중을 억압하는 세력으로 읽는다. 그리고 <눈>에서 눈은 순수한 생명의 상징이고 가래와 기침은 불순한 일상의 상징으로 해설한다. 이러한 해석은 당시의 냉전적 대치 상태를 내면화하여 세계를 이항대립 구조로 파악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김현승의 해설은 분단 상황이 지속된 지난 50년간 각종 참고서에서 독보적인 권위를 누려왔다. 본고는 문제가 된 작품의 상세한 재분석을 통해 김현승의 해설에 나타난 이항대립적 해석이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김수영 시에서 가장 특징적인 시간 변화의 관점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모든 사물은 내적 동기에 따라 변화와 재탄생의 도상에 있는 시간적 존재다. 기존 세계가 소멸하고 다시 재탄생하는 시간적 변화 과정을 통해 전에 없었던 세계가 펼쳐지는 자유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는 혁명과 동일한 인식 지평에 놓인다. 본고는 지난 50년간 김현승의 독해를 추종해온 교과서적 해석이 나름의 시대적 의미가 있었겠지만 더이상은 유효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 KCI등재

        김현승 시의 표기변화와 개작양상 고찰

        김인섭(Kim In-seop)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2

        김현승은 기독교 사상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고뇌를 보여준 시인이다. 그래서 문학사적 의의가 남다른 사람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의 시집은 쉽게 구해 볼 수 없는 형편이었다. 2005년 서거 30주기를 맞이하여 새롭게 그의 전 작품을 모은 전집이 발간되었다. 필자는 작품을 모으고 편집하는 일을 맡았었다. 그러는 동안 시집이 출간될 때마다 표기상의 변화가 있었고, 일부 시인이 개작한 양상을 자세하게 살펴볼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본고는 일차적으로 그 양상을 정리, 고찰하는 보고 서적인 성격을 띤다. 그의 시들은 또다른 시집으로 옮기거나, 전집에 재수록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일부를 고치거나 전체를 개작(改作)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개작은 시인 자신에 의한 것과, 출판편집 관련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맞춤법에 따라 고친다거나 현대적인 표기로 바꾸는 것이 후자에 의한 것이라면, 조사 하나를 고치는 사소한 경우나 구절을 바꾸는 것, 행과 연을 조절하는 것, 시 전체를 고쳐 쓰는 것 등은 시인에 의해 이루진 것이다. 김현승 시인은 빈번하게 작품을 고치는 편은 아니다. 그러나 일부 고쳐진 부분들을 보면, 시를 고치면서 조사 하나의 효과까지 고려하는 섬세한 언어감각과 그의 시의식에서 비롯되는 의도적인 개작의 몇 가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첫 시집에서는 맞춤법에 구애받지 않은 채 시인 특유의 어법과 어감을 살린 표현들이 많았으나, 대부분 출판과정에서 어법 위주로 고쳐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뒷 시기에 나온 시집에서는 작자 고유의 언어적 감각과 시적 체취를 크게 상실하고 말았다. 앞으로 시집을 재출간하는 경우 특히 유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본다. Poet Kim Hyun-seong expressed strong agony in the process of accepting Christianity, so he also has distinguishe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his work was not easy to get. Last year, in memory of 30 years of his death, a complete collection of his entire works was published. I was in charge of collecting his works and editing. During that time, I could look closely the aspect of adaptation of his works. Especially, works in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were moved to his second collection and then went into the complete collection again. In this process, I could see his works were adapted partially or wholly. Adapt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one done by the poet himself and the other done by publishers. The latter is usually correcting grammar or changing words according to modern usage. Meanwhile, the poet changes auxiliary words, switches phrases, adjusts lines and paragraphs or rewrite the entire poem. Kim Hyun-seong didn't often change or retouch his poems. However, looking at the parts he retouched, we can find out his exquisite linguistic sense considering even the effect of each auxiliary word, and sometimes he only expands the theme while keeping the idea intact. In his first collection, there were a lot of expressions showing the poet's unique wording and feel for words that don't necessarily follow the grammar, but most of them were fixed before publishment. Therefore, in the later collections, the poet's characteristic sense for language and poetical sentiment were lost to great extent. I believe publishers must pay careful attention to such matters from now on when they republish collection of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