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加耶叛’ 기사의 재검토

        백승충(Baek, Seung-Ch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1 No.-

        본고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전하는 ‘加耶叛’ 기사에 대한 재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가야제국 가운데 멸망과정을 전하는 것은 김해 가락국(=금관국)과 고령 가라국(=대가야) 뿐인데, 멸망과정은 전혀 상이하다. 특히 후자의 경우 ‘가야반’ 기사의 성격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현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 ‘가야반’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가야’에 대한 신라본기 찬자의 인식 문제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고, 또한 ‘가야반’의 ‘반’의 의미 부여에만 집착하여 가라국의 정치 형세를 ‘반’에 맞추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에 악사 우륵과 강수의 선조 등의 ‘집단 사민’ 및 관산성 전투에서의 패배를 대가야의 실질적인 멸망으로 간주하여 이후 잔여 세력이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가야반’이 실제 반란을 일으킨 것이 아니라는 것은 대가야의 멸망 기사가 없는 점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절은 가야의 중심국인 금관국의 멸망을 가야 멸망의 최종 단계로 상정하여 염두에 둔 표현인데, 금관국을 결코 일개 소국으로 취급하지 않고 가야 그 자체로 인식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야반’의 ‘가야’는 대가야라는 협의의 소국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가야 전체를 나타내는 광의의 표현이다. 「가락국기」의 금관국 멸망 기사에서는 마지막 왕 구형왕의 동기로 탈지이질금 즉 대가야의 마지막 왕 도설지왕을 언급하고 있다. 금관국의 멸망 과정에 대가야의 마지막 왕을 형제관계로 서술한 것은 후대 양 국이 하나의 뿌리에서 나왔다는 인식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에 금관국의 마지막 왕 구형왕의 재위 연수를 늘여 대가야의 멸망 시기에 맞추고, 대가야의 마지막 왕 도설지왕을 동기 탈지이질금으로 둔갑시켜 보내 남겨 둔 것으로 서술했다. 다만 ‘가야반’의 해석에 있어서는 이 같은 금관국 중심의 인식적인 접근 이외에 대가야의 현실적인 측면에서도 접근해 볼 수 있다. 대가야는 백제를 도와 관산성 전투에 참여하고 신라와 대적했는데, 신라는 대가야의 이같은 태도를 자국에 ‘반’한 세력으로 간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가야의 중심국인 금관국이 투항한 상태였기 때문에 신라본기 찬자의 입장에서는 ‘가야반’에 의한 무력 병합은 당연한 서술이었던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Gaya Rebellion" articles in charge of the record of Silla on Samguksagi.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destruction of a number of countries the Gaya is the only Garakguk(or Geumgwanguk, now in Gimhae) and Garaguk(or Daegaya, now in Goryeong). But the destruction process is completely different.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for the nature of the article "Gaya Rebellion", until now the situation has been controversial.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lean up specifically to review at this time. In previous studies from the "Gaya Rebllion", generally recognized problem of the author Silla Record for "Gaya" it was not considered important. Also want to align to "Gaya Rebellion", "Rebell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 Garaguk by sticking only to give a sense of the trend is strong. This looked to be Musician Wooreuk, "Migrating groups" such as the ancestors of Gangsu, and considered the remaining forces after the defeat in the battle Gwansan castle Daegaya substantial destruction of the insurgent. But the "Gaya Rellion" is not caused a real revolt can be identified by the record that no destruction of Daegaya. This phrase is an expression in mind the assumption that the destruction of the central station of the Geumgwanguk and Daegaya go into the final stages of destruction. And Geumgwanguk never go without treatment in one small country means that recognition in itself. Therefore, a broad sense of the expression that represents the entire agreement of the go rather than representing a small country called "Gaya" in the Daegaya "Gaya Rebellion’. The article Geumgwanguk destruction of Garakgukgi, Talzi Igilgm that is to say King Doseolzi, the last king of Daegaya who is the brother of King Guhyeong, the last king of Geumgwanguk. Described the final king of the destruction Geumgwanguk, relationship between brother and brother, later it emerged from one of the two roots date means there was this perception. Therefore, the final stretches of the tenure of the King Guhyeong Geumgwanguk was set at the time of the destruction Daegaya. Then, change has come to describe King Doseolgi, the last king of Daegaya Talzi Igilgm left behind a brother sent.

      • KCI등재

        금관가야 고고학의 연구성과와 흐름

        조성원(Cho, SeongWon)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금관가야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시작되지만, 다른 가야 고지에 비해서 출토유물이 빈약하고 시기적으로 늦은 자료만이 확보되어 큰 진전을 보이지는 못했다. 고고학적으로 금관가야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부산 복천동 고분군과 김해 예안리 고분군 등의 조사에 의해서이지만, 본격적인 것은 80년대 복천동 고분군의 발굴조사와 그 성과를 토대로 한 5세기대 금관가야의 동향과 신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등에 의해서이다. 1990년대는 김해 대성동 고분군과 양동리 고분군 등 금관가야의 수장급 분묘의 조사를 통해 금관가야의 시작과 내부구조, 대외관계 등 다양한 각도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2000년을 전후해서는 중소규모의 분묘군과 함께 취락유적 · 방어 시설 · 제사유적 등 다양한 종류의 발굴조사와 연구가 진행되면서 금관가야의 전모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고고학적 연구의 대부분이 연대·북방민족과의 관계·가야의 귀속문제 등에 머물러 있고, 이에 대한 논쟁도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금관가야 고고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분묘유적 이외에 생활유적, 사회 내부 구조 등 다양한 연구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The archaeological survey of the Geumgwan Gaya star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mpared to other Gaya ancient regions, excavated artifacts were poor and only timely late relics were unearthed, it has not made significant progress. Archaeological interest began to gain attention from the survey of the tombs of Bokcheon-dong, Busan and Yean-ri, Gimhae in 1970. In fact, it has been conducted the full-scal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aya in the 5th centu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survey of the Bokcheon-dong tomb in the 1980s. In the 1990s, the research o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beginn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external relations of the Geumgwan gaya were conducted through the tomb investigation of the supreme power such as Daeseongdong tombs, Yangdong-ri tombs of Gimhae. Various kinds of excavation researches and studies such as settlement ruins, defense facilities, sacrificial ruins with small to medium sized tombs, were made accessible to the whole of Geumgwan Gaya at around the time of 2000. However, most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 was limited to dating, relations with northern powers and conquest of the Gaya. The controversy has not been resolved and parallel lines are running. For the development of archeology, it is necessary to look at diverse researches such as living remains and research on social structure in addition to ruins of grave.

      • KCI등재

        금관가야 사회의 중심과 주변

        김다빈(Kim, Da Bin)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8

        금관가야는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한 정치체로서 목곽묘, 석곽묘 등 고분축조가 중심이 되는 사회이다. 개별 고분축조집단이 모여 금관가야 고분사회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고분 사회를 구성하는 집단은 중심집단과 주변집단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중 중심지는 봉황동유적에 해당한다. 봉황동유적은 봉황토성과 봉황대 그리고 주변 일대를 포함하는데, 대성동고분군 축조집단의 거주역으로 비정된다. 봉황동유적은 생활주거지, 고상건물군, 수혈, 패총, 가마, 공방, 선착장, 대형건물지, 특수건물, 제의시설 등 복합시설이 철저한 공간배치를 통해 조성되어 있어 단순히 대성동집단의 주거역이라기 보다는 복합유적으로서 금관가야의 왕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성동집단은 철저히 의도적인 배치를 통해왕성의 경관을 조성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금관가야 사회를 구성하는 주변집단은 사회 내 각기 다른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취락의 공간 구조나 시설, 고분 출토품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생산집단에는 여래리, 하계리, 퇴래리, 우계리 등이 해당하고 물류의 유통과 운송, 사회 내 교역을 담당한 집단은 관동리집단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금관가야 사회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집단이 각각 구성원으로서 존재하며 왕성을 이루고 최고 지배층의묘역이 있는 대성동집단에 의해 통제되고 관리되었던 사회임을 알 수 있다. Geumgwan Gaya is a political structure centered on Gimhae, and is a society centered on ancient tombs such as Mokgwakmyo and Seokgwakmyo. It can be said that individual ancient tomb-building groups gather to form an ancient tomb society. The groups that make up the ancient tombs society can be divided into the central and the surrounding groups. Among them, the center is the ruins of Bonghwang-dong. The Bonghwang-dong ruins include the earthen fortifications, Bonghwangdae, and the surrounding area, which are not known as residential areas of the Daesung-dong Ancient Tombs. The Bonghwang-dong ruins can be set up as Geumgwan Gaya s royal castle rather than as a residential area of the Daesung-dong group, as complex facilities such as residential areas, ancient buildings, blood transfusion, shell guns, kilns, workshops, large buildings, special buildings, and ritual facilities are thoroughly arranged. It is believed that the Daeseong-dong group created the landscape of the royal castle through a thoroughly intentional layout. It is believed that the surrounding groups that form the Geumgwan Gaya society played different roles in society,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spatial structure, facilities, and excavated ancient tombs. The production groups include Yeorae-ri, Hagye-ri, Toegye-ri, and Ugyeri, while the groups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ation of logistics and trade in society belong to the Kwandong-ri group. As such, Geumgwan Gaya s society was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Daeseong-dong group, each of which had various roles as a member, forming a royal family, and having a graveyard of the highest ruling class.

      • KCI등재

        4세기 금관가야의 대외관계 검토

        조성원(Cho, Seong-Won) 부산고고학회 2017 고고광장 Vol.- No.21

        4세기대 금관가야에서는 다양한 외래계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외래계 유물은 그 원류지를 기준으로 크게 中國·北方系, 倭, 한반도 내 기타지역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中國·北方系 유물은 금동제 마구와 晋 式帶金具 등과 같은 威信財를 중심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4세기 2/4~3/4분기에 주로 출토되며, 금관가야 내에서도 대성동고분군에 집중된다. 倭系유물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하지키계토기가 3세기 후반부터 4세기 말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되며, 위신재로 추정되는 파형동기, 통형동기, 비취곡옥, 응회암제 석제품 등은 4세기 2/4분기부터 출현한다. 파형동기와 응회암제 석제품은 대부분 대성동고분군에 집중하고 있다. 무기류도 4세기 3/4분기부터는 대성동고분군에 집중하고 있다. 영산강 유역이나 경남 서부지역 같은 한반도 내 기타지역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 중에는 아직 위신재는 확인되지 않지만, 토기류와 같은 일상생활 관련 자료가 금관가야의 해안지역이나 대성동고분군과 복천동 고분군 등에서 다소 확인된다. 이러한 외래계 유물을 해석하기 위해서, 각 지역의 역사적 흐름과 함께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국·동북계 유물은 그 계통을 반드시 삼연이라고 하기 보다는 고구려와 중국 南朝와의 관련도 고려해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다만 왜 양 지역이 교류하였는가에 대해서는 향후 자료의 추가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 한편 왜계유물 중 비취곡옥이나 하지키계토기 등의 분포를 볼 때, 일본열도 내 다양한 지역과의 다발적인 교류관계는 물론, 위신재를 중심으로 하는 대성동세력과 畿內 主導勢力과의 교류 관계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류관계의 이면에는 이전부터 지적되어 온 철 자원이 매개일 가능성도 있지만, 금관가야에 도달한 중국·동북계 문물, 생산력 향상을 위한 철제 농기구나 철제 도구류 등의 입수를 통해 일본열도에서의 정치적 우위를 장악하려는 기내 주도세력의 활발한 움직임과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반대급부로 금관가야에서는 畿內에서 받아들인 응회암제석제품, 파형동기, 동촉 등의 무기류 위신재를 통해, 지원된 왜병의 통솔·지휘권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는 4세기 중반 이후 삼국사기에서 확인되는 왜의 군사적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It’s being excavated various artifacts with foreign style from the Geumgwan Gaya regions in the 4th century. It’s based on the origin of the artifact that have been confirmed. It can be categorized into the 4 large groups those’re Goguryeo(高句麗), Wa(倭), Three Yan(三燕) and other region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etc.. The artifacts with Goguryeo and Three Yan style have been observed mainly the identificated artifacts(威信財) those’re the gilt bronze harness(馬具), the gold belt with Jin style(晋式帶金具) etc.. These were usually found from the 2nd quarter to the 3rd quarter in 4th century. It’s concentrated in the Daeseong-dong archaeological site, even within Geumgwan Gaya. The Japan-Hajiki style pottery that it’s connected in everyday life had been consistently confirmed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nd of the 4th century. It’s emerged the identificated artifacts those’re the waveform bronze ware(波形銅器), the cylinder-shaped bronze ware(筒形銅器), the jade sapphire, the tuff stone products etc. from the 2nd quarter of the fourth century. Most of the waveform bronze ware, the tuff stone products had been concentrated in the Daeseong-dong site. The weaponry was also focused on the Daeseong-dong site from the 3rd quarter of the fourth century. It s still not confirmed the identificated artifacts in the data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region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like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or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daily living materials such as pottery are quite well found in coastal areas of Geumgwan Gaya, Daeseong-dong and Bokcheon-dong. In order to interpret these Japan style artifacts, it’s figured it out with the historical trends of each region. As a result, The artifacts with Goguryeo and Three Yan style were pointed out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the Chinese southern dynasties(南朝) rather than basing the root on the Three Yan’s entirety. But it’s have to wait for further data growth, to understand why both regions interac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jade sapphire, the Hajiki style pottery, it’s known that the both of interchanges were happening simultaneously. There’re the multiple interchange with various areas in the Japanese isl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eseong-dong politics and the Kinai(畿內; provinces surrounding Kyoto and Nara) leading force in the identificated artifacts. In the back of this interaction, the iron resources that have been previously pointed out are likely to be referred to as intermediaries. It’s related to active movement that the Kinai leading force desired to have ascendancy over in the Japanese islands,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artifacts with Goguryeo and Three Yan style, the iron implements and the steel tools for improving productivity those’re reached at the Geumgwan Gaya regions. By acceptance for the identificated artifacts as the weaponry those’re the tuff stone products, the waveform bronze ware, the bronze arrowhead etc. from the Kinai to the Geumgwan Gaya in a return service, They would have obtained the command and control of the Japanese military.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Japanese military movements identified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since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 KCI등재후보

        논문 : 금관가야 토기의 표준형식과 연대

        박광춘 ( Kwang Choon Park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는 금관가야는 해상활동의 유리한 지리적인 이점을 살려 일찍부터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독창적 문화를 창출하여 주변의 가야제국 뿐 아니라 日本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것을 증명하듯 대성동고분군, 구지로고분군, 양동리고분군, 죽곡리고분군, 화정유적을 통하여 금관가야 문화의 면모와 고분의 절대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들이 출토 되었다. 지금까지 금관가야 고분의 연대 비정은 기준이 되는 토기의 표준형식이 설정되지 않아 학자에 따라 100년 이상 연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각 연구자들의 고배 형식을 참고로 표준화 작업을 거쳐 통시적 표준형식을 작성하였다. 무개고배 8형식, 유개고배 5형식이 분류되는 금관가야 고배 13형식은 동반하는 중형호, 기대에 의해 시간순으로 조열된 것을 검증하였다. 고배의 최고식인 1형식은 금관가야 최고 지배자층의 고분인 대성동고분군에 속하는 구지로 28호분 출토 화로형무개고배이다. 구지로고분군은 원삼국시대 목관묘와 가야의 목곽묘가 혼재하고 있어 원삼국에서 가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는 표본적 고분군이다. 화로형무개고배는 동반하는 화로형기대, 亞字形土器, 후한시대 內行花文鏡에 의해 2세기로 추정할 수 있다. 양동리 90호분 출토 미生時代 中廣形銅矛와 동반하는 대성동 47호분을 대표로 하는 고식 외절구연무개고배는 3세기 후엽으로 비정된다. 日本 宇治市街遺蹟 출토 무개고배와 기대는 같이 출토된 목재의 나이테연대측정법에 의해 389년이라는 연대 측정치를 얻었으므로 가장 유사한 토기가 출토된 화정 21호분과 같은 시간대인 무개고배 7형식은 늦어도 389년 이전으로 추정해도 무리가 없다. 유개고배의 형식 변천에서 금관가야는 신라와 다른 독자적 형식 변화를 보이고 있으므로 금관가야 토기문화가 신라토기 문화의 영향 아래 있었다는 가설은 성립될 수 없다. 5세기 낙동강 동서안 토기문화의 교류는 부정할 수 없지만 이것을 근거로 금관가야 정치체가 해체되었다는 극단적 해석은 경계해야 될 것이다. Geumgwan Gaya had been developed based on the lower part of Nakdong River where was very useful for the marine activities. Developed unique culture, Geumgwan Gaya had not only been influenced Ja pan but also other Gayan confederacies. There are new artefacts found from Daeseong Gujiro, Yandongri, Jukgokri, and Hwajeong sites where were all the remains of Geumgwan Gaya. What interests the most here is that those artefacts were all useful to identify the absolute date. So far, the certain pottery date was not standardized for Geumgwan Gaya, so there are more than 100years gaps for dating the Geumgwan Gaya histo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general standard types are set here based on the mounted cup types by other scholars. 13 types(8 mounted cups without lids and 5 mounted cups with lids) of mounted cups of Geumgwan Gaya have been examined by timely order, using medium size pottery and mounted body. The oldest mounted cup is brazier-shape cup with no lid and this is the first type of all. It is found from 28th tomb, which is located in Daeseongdong Sites, so called the loyal tomb area. Gujiro is the very standard tomb site which shows transferring case between Gay a and Proto Three Kingdoms. Brazier-shape cup is found with brazier-shape mounted cup, Aja shape pottery and Bronze mirror of Late Han period. Therefore this bomb belongs the 2nd century AD. Yangdong-ri tomb contained Yayoi bronze spear and Daeseongdong site tomb contained old types of mounted cup. They seemed to belong to late 3rd century. Uchisiga (Japan) had been decided to 389 years AD because of the pottery found there. This results then the certain date of Hwajeong 21st tomb belong to the same period of 389 years AD. In case of type changes of pottery with lids, Geumgwan Gaya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Silla, so it is certain that Geumgwan Gaya seemed not to be controlled by Silla by all mean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re were pottery exchanges in 5th century at the east-west area of Nakdong River, but we should bear this in mind that Geumgwan Gaya had not been dismantled at all during this period of 5th century.

      • KCI등재

        신라와 금관가야의 교류

        홍보식(Hong, Bo-si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30 No.-

        금관가야권역과 신라지역에서 최근 이루어진 발굴조사를 통해 각각의 지역적 특색을 지닌 물질문화 요소에서 서로 영향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들이 축적되었다. 뿐만 아니라 계통이 다른 물질자료들도 확인되었다. 이 물질자료들을 분석해서 금관가야와 신라와의 교류관계를 시기별로 파악할 수 있었다. 금관가야와 신라의 교류를 나타내는 물질자료는 3세기 후반부터 확연하게 나타나고,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 정점에 도달하였다.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반에는 신라계 토기와 철기를 포함한 신라의 문화요소들이 금관가야권역인 노포동고분군과 복천동고분군, 동래패총 등의 부산지역과 김해 대성동고분군, 예안리고분군, 양동리고분군 등 고김해만지역에서 확인되었지만, 신라지역에서는 거의 확인 되지 않았다.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에는 경주 월성해자 주변, 월성로고분군, 구어리고분군 등의 경주지역 유적과 울산 약사동고분군 등의 목곽묘와 출토 유물에서 금관가야권역의 문화요소가 확인되었고, 금관가야권역인 복천동고분군에서는 신라문화 요소가 확인되었다. 위의 내용을 통해 3세기 후반부터 5세기 초까지 금관가야와 신라 사이에는 활발한 교류와 교역이 전개되면서 양 지역의 문화 형성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conducted recently in the regions of Geumgwan Gaya and Silla collected the physical artifacts that show the influences exchanged between the two different civilizations with the respective regional peculiarities. The investigations further identified those physical artifacts that trace back to different origins. Analyzing these physical artifacts can bring light on the exchanges between Geumgwan Gaya and Silla in the different time periods. The exchanges between Geumgwan Gaya and Silla are found, starting in the late 2nd century when the physical artifacts from the two regions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item and type. Coming into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they became manifest and culminated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and the early half of the 4th century, the cultural elements of Silla including its earthenware and ironware were found in Busan as in the ancient tombs in Nopo-dong, the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and the shell mounds in Dongnae and in Gimhae as in the ancient tombs in Daeseong-dong, the ancient tombs in Yean-ri, and the ancient tombs in Yangdong-ri, all included in the region of Geumgwan Gaya. The cultural elements of Geumgwan Gaya traced back to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have been found in the relics in Gyeongju as around the Weolseong Moat, the ancient tombs on Weolseong-ro, and the ancient tombs in Gueo-ri and the ancient tombs in Yaksa-dong in Ulsan, while the cultural elements of Silla have been discovered in the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a region that belongs to Geumgwan Gaya. This shows that there unfolded brisk exchange and trade between Geumgwan Gaya and Silla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 KCI등재후보

        금관가야 토성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박미정 ( Park Mi-joung ) 동아문화재단 2021 文物硏究 Vol.- No.39

        이제까지 금관가야에 대한 연구는 대성동고분군에 왕묘급 대형 목곽묘가 집중적으로 조성되는 3~4세기 대에 편중되는 경향이 많았다. 2000년대 이전까지는 대성동고분군에서 5세기 대 이후 왕묘급 고분이 조사되지 않았다는 점과, 고구려 남정 이후 대가야와 신라의 성장, 부산 복천동고분군의 급격한 성장 등을 근거로 5세기 대 금관가야 세력이 급격히 쇠퇴하였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400년 광개토대왕 남정 이후 고구려 남진정책에 의한 내륙 교역 발전과 교역 주체의 다원화는 해상교역을 중심으로 중계이익을 독점해오던 금관가야의 정치·경제력에 큰 타격을 주었을 것이다. 또한 고구려와의 전쟁을 통해 변화된 국제 정세를 체감한 금관가야 지배층은 금관가야 사회를 좀 더 집약적인 정치구조로 변화시켜야 할 위기의식을 느꼈을 것이다. 이에 금관가야 지배층은 5세기 대 봉황대 일원에 대한 대규모 간척사업과 토성 축조 등을 통해 중심지를 재정비하였다. 문헌상에서도 5세기 중엽 질지왕대왕실 사찰과 왕후사 건립 등 국가체제 정비 노력이 기록된 점은 기존 고구려 남정 이후 금관가야 세력이 급격히 쇠락한 것으로 보는 견해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특히 최근 발굴 조사된 적심건물지의 경우 가야지역 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목탑지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며, 이 역시 5세기 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를 종합할 때 고구려 남정 이후에도 금관가야 세력은 대성동고분군과 봉황동유적 일대를 중심으로 여전히 건재하고 있었으며 치소의 정비를 통해 국가체제를 정비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Until now, the researches on Geumgwan Gaya tended to be concentrated in the 3<sup>rd</sup> and 4<sup>th</sup> centuries which is the period when large-scale wooden royal tombs were built in Daesung-dong ancient tomb cluster. It was interpreted that Geumgwan-Gaya's influence in the 5th century would have declined rapidly based on the fact that no post - 5<sup>th</sup> century royal tombs were investigated in Daeseong-dong ancient tomb cluster before 2000s, the growth of Dae-Gaya and Silla after Goguryeo's southern Conquest, and the rapid growth of Bokcheon-dong ancient tomb cluster in Busan. The development of inland trade and the diversification of trading entities by the southward policy of Goguryeo after 400 years of Gwanggaeto the Great’s Southern Conquest would’ve gave a massive damag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of Geumgwan-Gaya who has been monopolizing the relay profits around maritime trade. In addition, the Geumgwan-Gaya’s ruling class must have felt the urgent need to transform the Geumgwan-Gaya’s society into a political-intensive structure after experiencing the changed international situation through the war against Goguryeo. In response, Geumgwan-Gaya's ruling class reorganized Geumgwan Gaya's administrative office area through the reclamation projects at Bongwhangdae area and constructions of earthen fortifications in the 5<sup>th</sup> century. In addition, the recorded document of King Jilji's efforts to organize the national system like the construction of royal temple and royal Wanghusa were shown in mid - 5<sup>th</sup> century which shows a lot of instigation to the view that Geumgwan-Gaya’s power have fallen rapidly since the Goguryeo’s Southern Conquest. Especially, the Jeoksim Building Site,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s believed to be the first wooden pagoda to be discovered in the Gaya region, and is also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the 5<sup>th</sup> century. Considering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 Geumgwan Gaya forces were still in place centering the Daeseong-dong ancient tomb cluster and the ruins of Bonghwang-dong after the Goguryeo's Southern Conquest, and that efforts were made to organize the state system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and the construction of temples.

      • KCI등재

        금관가야 토기의 표준형식과 연대

        박광춘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는 금관가야는 해상활동의 유리한 지리적인 이점을 살려 일찍부터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독창적 문화를 창출하여 주변의 가야제국 뿐 아니라 日本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것을 증명하듯 대성동고분군, 구지로고분군, 양동리고분군, 죽곡리고분군, 화정유적을 통하여 금관가야 문화의 면모와 고분의 절대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들이 출토 되었다. 지금까지 금관가야 고분의 연대 비정은 기준이 되는 토기의 표준형식이 설정되지 않아 학자에 따라 100년 이상 연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각 연구자들의 고배 형식을 참고로 표준화 작업을 거쳐 통시적 표준형식을 작성하였다. 무개고배 8형식, 유개고배 5형식이 분류되는 금관가야 고배 13형식은 동반하는 중형호, 기대에 의해 시간순으로 조열된 것을 검증하였다. 고배의 최고식인 1형식은 금관가야 최고 지배자층의 고분인 대성동고분군에 속하는 구지로 28호분 출토 화로형무개고배이다. 구지로고분군은 원삼국시대 목관묘와 가야의 목곽묘가 혼재하고 있어 원삼국에서 가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는 표본적 고분군이다. 화로형무개고배는 동반하는 화로형기대, 亞字形土器, 후한시대 內行花文鏡에 의해 2세기로 추정할 수 있다. 양동리 90호분 출토 弥生時代 中廣形銅矛와 동반하는 대성동 47호분을 대표로 하는 고식 외절구연무개고배는 3세기 후엽으로 비정된다. 日本 宇治市街遺蹟 출토 무개고배와 기대는 같이 출토된 목재의 나이테연대측정법에 의해 389년이라는 연대 측정치를 얻었으므로 가장 유사한 토기가 출토된 화정 21호분과 같은 시간대인 무개고배 7형식은 늦어도 389년 이전으로 추정해도 무리가 없다. 유개고배의 형식 변천에서 금관가야는 신라와 다른 독자적 형식 변화를 보이고 있으므로 금관가야 토기문화가 신라토기 문화의 영향 아래 있었다는 가설은 성립될 수 없다. 5세기 낙동강 동서안 토기문화의 교류는 부정할 수 없지만 이것을 근거로 금관가야 정치체가 해체되었다는 극단적 해석은 경계해야 될 것이다.

      • KCI등재

        호남지방 철정 유통의 특징과 가야권역과의 교역 양상

        이춘선 ( Lee Choonsun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7 No.-

        이 연구는 호남지방 내 철소재인 철정의 내부 유통 특징에 따른 호남지방의 마한세력의 철소재유통의 특징과 가야와의 교역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호남지방에서 출토된 철정에 대한 형식분류와 편년을 실시하였다. 이후 철정이 출토되는 유구인 분묘부장, 주거지, 의례에서 유통되는 특징과 철기를 가공하는 단야구와 철소재를 단순 가공한 의례용 부형철기의 부장을 통해 호남지방의 철정 유통 특징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호남지방 내 철정 출토 유구에 따른 철정 유통양상을 살펴보았다. 호남 철정 유통 양상을 보면 분묘부장 철정은 이른 시기 호남지방 재지 수장층의 목관묘와 전용옹관 이전의 재지 옹관묘를 중심으로 철정이 부장되었고 전용옹관묘 단계에는 부장되지 않는다. 주거지를 통한 초소형의 철정은 마한에서 촌락별 철기제작이 가능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시기 호남지방의 의례용 철기나 단야구의 출토로 보아 철소재를 통한 자체 생산단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백제의 마한 진출 이후 이들에 의한 유통은 발달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호남 동부지역의 소가야양식 토기와 석곽묘, 주거지가 확대되는 지역을 따라 철정의 유통이 다시 확대되고 있으며 석실묘에서는 위신재로서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철정이 해안과 교통의 중심인 의례유적에서 출토되어 기항지를 중심으로 한 마한 공동체 사회의 제의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정의 내부유통 특징과 분포양상을 통해 가야권역과의 관계를 살펴보면Ⅰ단계에는 금관가야와 관련된 해안 재지 수장층을 중심으로 부장된다. 이후 호남지방 세력은 마한의 해안 재지세력이 금관가야와 철정 교역을 통해 성장하였다. Ⅱ, Ⅲ단계인 4세기 중·후엽 금관가야의 철기공인이 중소 읍락으로 확대되며 아라가야에서도 자체적인 철정이 생산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금관가야와 아라가야 연합에 의한 두 계통의 철정이 유통되고 있으며 마한 재지세력에서도 철정 교역이 중소형 촌락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그러나, 철정을 통한 내부 유통은 성행하지 못하였고 Ⅳ단계 이후 호남 동부 섬진강 상류와 남해안 교역을 담당한 소가야연맹체와 마한 재지 해양세력과의 교역을 통해 철정이 유통되었다. 따라서 호남지방과 가야권역의 교역은 남해안 교역 주체의 변화에 따라 금관가야-금관·아라가야연맹-소가야 연맹체로 변화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materials in Mahan powers and the meaning of trade with Gay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ron ingots, which is iron material, within Honam area.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ronicle recording for the iron ingots excavated from Honam area. Afterwards,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was reviewed through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relics where the iron ingots are excavated such as the tombs as well as the residential and ritual sites, the Smith’s tools that were used for processing ironware, and the tomb furnishings such as molding ironware that were simply processed from iron materials for using in a ritual ceremony. Based on such review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changes in distribution of iron ingots for the relics where those iron ingots were excavated in Honam area. In reviewing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the iron ingots of tomb furnishings were mainly buried in the wooden coffin tombs and the jar coffin tombs, which were used prior to the dedicated jar tombs, of the higher classes in local regions of Honam area at early times, but were not buried in a phase of the dedicated jar coffin tombs. In addition, it is able to know that fabrication of ironware was possible in each village of Mahan in case of sub-miniature iron ingots through residential sites. Along with thi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was a self-production phase with iron materials in light of the excavation of ritual ironware or the Smith’s tools in Honam area during this period. However, a distribution by Baekje was not developed after their entry into Mahan. On the other hand,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further in the eastern part of Honam again along the earthenware and stone lined tomb as well as the area where the residence site is expanded, and have started to play a role of the item that represents one’s dignity and prestige in the stone chamber tombs. In addition, the iron ingots were excavated from the ritual relics, which are the main places of coastal area and transportation, demonstrating the ritualistic nature of Mahan community based on the port of call.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rea and Gaya territory based on the internal transaction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trend of those iron ingots, it is observed in the phase I that those were mostly buried together with the higher classes who had lived in local regions of coastal area associated with Geumgwan Gaya. Since then, with regard to the powers in Honam area, the local powers of coastal regions in Mahan have grown through the trade of iron ingots with Geumgwan Gaya. In the phase II and III that belong to the mid to late 4th century, Ara Gaya also began to produce the iron ingots on their own as the blacksmiths of Geumgwan Gaya were dispersed to small and medium villages. At that time, two different series of iron ingots were used due to an alliance of Geumgwan Gaya and Ara Gaya, and the trades of iron ingots became also prevalent among the local powers in Mahan mainly based on small and medium villages. However, the internal distribution through iron ingots was not frequent, and after the phase IV,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through trades with SoGaya, which was in charge of transactions in the upper area of Seomjin River and the southern coast, as well as the local marine powers in Mahan area. Therefore, trades between Honam area and Gaya territory was transformed to Geumgwan Gaya -> an alliance of Geumgwan-Ara Gaya -> SoGaya federation.

      • KCI등재

        高句麗의 庚子年(400) 遠征의 실상과 加耶 諸國의 대응

        기경량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9

        On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there is a record that Goguryeo sent troops to the ‘Imnagara’ area located in the southernmost tip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tenth year of Yeongrak, the year of white rat (AD 400). This was part of the operation to save Silla that fell into crisis by Japanese Navy. However, it seems that the crisis of Silla recorded in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has been exagger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It is judged that there were actually the Japanese Navy’s attacks, but it does not seem that they were large forces, and also, it does not seem that they were not a life-or-death concern for Silla. The essence of war in 400 was the confrontation between Silla and Geumgwan Gaya surrounding the lower Nakdonggang River area. Geumgwan Gaya constantly pressed on Silla, making use of the military power of Wae-guk which was 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it. Silla planned intervention of Goguryeo to break through adverse circumstances. Silla appealed to Goguryeo, exaggerating Wae-guk’s force and threat level while it emphasized that Wae-guk was associated with Baekje that stood against Goguryeo. Silla that made Goguryeo’s expeditionary force go ahead drove out the Japanese troops that invaded their home territory and attacked ‘Imnagara (Geumgwan Gaya),’ tracing them. As a result, Geumgwan Gaya suffered a heavy blow, and east of the Nakdonggang river fell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Concerning the way in which many small countries in Gaya responded to Goguryeo’s expedition in 400, many opinions have been presented. Especially,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about the position of Anra-guk in Haman concerning the phrase on the epitaph, “Anra-in Subyeong.”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areas where the real battles took place in the war were limited to the territory of Geumgwan Gaya, and it is assumed that other small countries in Gaya, except for Geumgwan Gaya, waitedand saw the war, without getting involved. Geumgwan Gaya that suffered blows was defeated in its competition with Silla and greatly lost its influence in the Gaya region. Taking advantage of this gap, Anra-guk in Haman and Daegaya in Goryeong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e Gaya region. Goguryeo’s expedition in 400 surely is an incident that is the important point of inflection in the history of Gaya. However, to some extent, it was overrated as compared to the scale and impact of the actual warfare. 광개토왕비문에는 영락 10년 경자년(서기 400)에 고구려가 한반도 최남단에 자리한 ‘임나가라’ 지역에 군대를 보내어 활동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는 왜군에 의해 위기에 빠진 신라를 구원하기 위한 작전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신라의 위기 상황은상당 부분 과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왜군의 공격은 실제로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지만, 대규모 병력이었다고 보이지는 않으며, 신라가 존망을 걱정할 수준이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400년에 있었던 전쟁의 본질은 낙동강 하류 지역을 둘러싼 신라와 금관가야의 대결이었다. 금관가야는 우호 관계에 있는 왜의 병력을 활용하여 신라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었다. 신라는 불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고구려의 개입을 기획하였다. 신라는 고구려에왜의 실력과 위협 수준을 과장하여 호소하는 한편, 왜가 고구려와 대적하고 있는 백제와 연계된 세력임을 강조하였다. 고구려 원정군을 앞세운 신라는 자국 영역을 침범한 왜군을 몰아내는 한편 이들의 뒤를 추격하며, ‘임나가라(금관가야)’를 공격하였다. 그 결과 금관가야는 큰타격을 입어 세력이 위축되었고, 낙동강 동안 일대는 신라의 영향 아래 들어가게 되었다. 고구려의 400년 원정에 가야의 여러 소국이 어떠한 식으로 대응하였는지에 대해서는많은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특히 ‘安羅人戍兵’이라는 비문의 문구와 관련해 함안의 안라국이 어떤 입장이었는지에 대해 이견이 많다. 그러나 400년 전쟁에서 실제 전투가 전개된 지역은 금관가야의 영내로 한정되었다고 여겨지며, 금관가야를 제외한 다른 가야의 소국들은전쟁에 참여하지 않고 관망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금관가야가 신라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 영향력을 상실하자, 그 공백을 틈타 함안의 안라국과 고령의 대가야가 가야 지역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었다. 고구려의 400년 원정은 가야사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되는 사건임에분명하지만, 전쟁의 규모와 실제 영향력에 비해 과도하게 평가되었던 측면도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