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by each period of revision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any change over tim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methodological aspect(how) while ex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hat) and includ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data.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guidelin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a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examination, it review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pieces centered on appreciation activities embodied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of each period of revision. As a result, the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drastically changed since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1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textbooks were limited to using physical expressions and integrated activities. However, the revised music curricula and textbooks since 2007 presented more diverse and specific methods such as inter-curricular teaching, linking learning and arts, use of chuimsae, use of jeongganbo and gueumbo, use of various materials, use of visual, auditor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us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re was also a phenomenon of integrating and expanding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trend was more prominent in the music textbooks than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more diverse types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than the curriculum. Besides these positive changes, a need for improvement is recognized as there is a tendency to lean too much towards the use of physical expression and materials. These changes are the result of actively implementing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curricula of several periods of revisi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s expected to be achieved steadily. 본 연구는 국악 교수․학습 방법 중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개정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무엇을’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내용은 제외하고 ‘어떻게’에 해당하는 방법적인 부분만 연구 내용으로 제한하였으며,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먼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해 개정 시기별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과 이에 대한 지침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구현된 감상 활동 중심 국악 제재곡의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은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제1차에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신체 표현을 활용하는 방법과 영역 또는 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법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2007년 이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과 연계 지도, 예술 연계 지도, 추임새 활용, 정간보와 구음보의 활용, 다양한 자료의 활용, 시각적․청각적․신체적 활동 활용,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등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여러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합하고 확대하여 활용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과 교육과정보다 음악 교과서에서 두드러졌으며 음악 교과서는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유형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뿐 아니라 신체 표현 활용과 다양한 자료의 활용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은 여러 시기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라는 요구를 적극적으로 실천한 결과라 판단하며 앞으로도 꾸준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의 유형 분석

        한윤이 ( Han Yunyi ),김아현 ( Kim A-hyun ),조순이 ( Cho Sun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을 분석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고찰 결과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은 단일 활동 유형 13개, 통합 활동 유형 5개가 있었다.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과용 도서에서는 13개의 유형이 적용되고 있었다. 전래동요는 구전심수법, 신체동작 활용법, 정간보 활용법, 놀이 통합 학습법, 창작 통합 학습법을 모든 교과서에서 적용하고 있었고, 민요는 구전심수법, 손시김 활용법, 놀이 통합 학습법을 모든 교과서에서 적용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용 도서에서는 15개의 유형이 적용되고 있었다. 전래동요는 총 18개의 유형 중 10개, 민요는 13개, 국악창작 동요는 10개, 시조는 7개, 판소리와 병창 등의 제재곡은 3개의 유형이 교과용 도서에 적용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음악 교과용 도서에서는 다양한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교과용 도서에서의 다양한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현장 교사들이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별 단계를 설정하거나 학년군별 중점을 두어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음악 교과용 도서에는 부분 활용법이나 가창 방식 활용법과 같이 국악의 특징을 반영하여 옛 명인들이 실제로 노래를 배우던 방법 등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국악의 특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국악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을 수립하여 국악 교육 방법론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향후 개발되는 음악 교과용 도서에 다양한 국악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standards for analyzing the types of Korean music sing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nalyse the Korean music sing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nd guides books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m. There were 13 single types of activities and 5 integrated types of activit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13 types were applied to music curriculum books for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ere applied in all textbooks, including the oral core method, physical motion utilization method, Jeongganbo utilization, integrated play learning method, and creative integrated learning, while folk songs were applied in all textbooks to the oral core method, the use of hand gestures, and the integrated play learning method. 15 types were applied to music curriculum 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f the 18 type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10 were folk songs, 13 were folk songs, 10 were Korean music creative children's songs, 7 were sijo, and 3 were applied to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Korean music sing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us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roblems of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at elementary schools and the improvement plan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in music curriculum books should be enhanced. Seco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eachers can set steps for each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or focus on each grade group. Third, music textbooks should actively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such as how to use it partially or how to use the singing method,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Therefore, it is hoped that various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will be applied to music textbooks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establishing a theory of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 KCI등재

        장단 관련 요소의 개념 기반 교수ㆍ학습 방법 탐색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용 시기에 맞추어 개정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인 개념 기반 교육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악의 개념적 이해를 위한 방안으로 장단 관련 요소 중심의 개념 기반 교수ㆍ학습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교수ㆍ학습 방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개념 기반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서 폭증하는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지적 통합과 전이가 가능한 개념적 이해가 강조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개념적 이해와 사고의 시너지 추구, 개념적 이해에 이르는 지식과 과정의 구조, 3차원 교육과정과 수업 모델을 특징으로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념 기반 교수ㆍ학습 방법은 지식과 과정의 구조에 기반한 학습과 사실, 기능, 개념 등 3차원적으로 접근하는 수업 방식을 강조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고찰을 토대로 국악 교육에서 개념 기반 교수ㆍ학습 방법의 적합성을 탐색하였는데 음악 교육에서는 개념 학습을 중요하게 다루어왔으므로 국악의 개념 학습이 필요하며, 교육과정에 제시된 음악 요소에서 국악 개념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개념 간에 밀접성이 있으므로 국악 교육에서 개념 기반 교수ㆍ학습 방법이 적합하고, 국악 개념의 명확한 정립과 체계적이고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개념 기반 수업이 적용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성과 적합성에 따라 장단 관련 요소 중 박, 장단, 장단꼴, 장단의 세, 한배, 한배의 변화 등의 개념을 제대로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 기반 교수ㆍ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결과, 개념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한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하층위 박을 집합하여 상층위 박을 만드는 집합론에 기반한 장단의 교수ㆍ학습 방법, 달고 맺는 역할을 반영한 장단꼴과 장단의 세 이해를 위한 교수ㆍ학습 방법, 거리 또는 길이 개념을 담고 있는 한배의 길이 개념 인식 교수ㆍ학습 방법 등을 개발하여 주제와 활동 사례까지 구체적이고 단계적으로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based curriculum,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time for its application and based on this, examined concep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cusing on elements related to jandan. To this end, the concept-based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first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ncept-based curriculum emerged with an emphasis on intellectual integration and transferable conceptual understanding that can systematically process the rapidly increas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future society. It is characterized by the pursuit of synergy betwee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ink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processes leading to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ree-dimensional curriculum and instruction models. Also, It was found that concep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mphasize learning based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processes, teaching methods that approach facts, functions, and concepts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is review of concept-based curriculum, the suitability of concep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Korean music education was explored. It is revealed that conceptual learning has been an importance aspect of music education, making it necessary to learn the concepts of Korean music. Moreover, the large proportion of Korean music concepts among the music element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the closeness between these concepts make concep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Korean music education. It was also concluded that concept-based teaching should be applied to clearly define Korean music concepts and to systematically and accurately form these concepts. In line with this need and relevance, specifically concep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explored to properly and deeply understand concepts of meter, jandan, rhythm patterns of jandan, accents of jandan, hanbae, changes of hanbae among the elements related to jandan. As a resul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reflect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se concepts were developed, such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jangdan based on the aggregation theory of combining lower-level meters to create upper-level meter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understanding rhythm patterns of jandan and accents of jandan, which reflect the roles of connecting and concluding,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recognizing the concept of hanbae, which contains the concept of distance or length. These methods were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explored and presented along with relevant themes and activity examples.

      • KCI등재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 분석 및 적용 방안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희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2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은 노래의 맛을 잘 살려 부르기 위한 전 단계에 걸쳐 적용되는데 즉, 소리를 탐색하고 노래 를 귀로 듣고 음악적 특징을 살려 부르는 모든 단계를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과 교육과정 및 현행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을 고찰 하고 초등학교에서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개정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교수ㆍ학습 방법’에 나타난 가창 관련 내용을 살펴 보고, 2007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을 분석하였으며, ‘쾌지나 칭 칭 나네’를 중심으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를 분석한 결과, 국악 가창 지도에 있어 시김새 및 가락지도는 가장 핵심적 인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제시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과정은 말 붙임새, 특징적 가락, 가사의 배경 등 각 가창곡이 가진 고유 한 음악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은 교수ㆍ학습 계획 및 활동, 지도법, 전략, 모형, 자료 활용법, 지도상의 유의점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voice are adopt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es of teaching how to sing. In other words, they cover every step of singing from searching the sound to listening to the music and singing a song with special peculiarit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songs in the present music curriculum and the performing elementary textbooks and to introduce their applications in the music education in the elementary levels in Korea. Firstly,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Voice in each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the music education. Secondly, it investigated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Voice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Lastly, this study introduced a new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Voic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Quegina ching ching nane. The findings from the analyses of the music curriculum and music textbooks demonstrated that both Sigimse and Garak consisting of core part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Voice have not been instructed enough in terms of its amount and quality. This study propose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Korean Voice, which should be applied for the music education with the considerations of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ts series-attachment of the words, tunes, background of lyrics and many other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approaches to singing Korean songs considering various views with the activities, strategies,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for Korean songs.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 기반의 국악 교수 · 학습 설계

        김민하(Kim, Min-Ha) 한국국악교육학회 2015 국악교육 Vol.39 No.39

        본고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에 주목하여 스토리텔링 기반의 국악 교수 · 학습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국악 교수?학습 특성을 토대로 교수 · 학습 설계 목표를 설정하고, 설계 전략을 구상하였다. 또한 설계 목표와 전략을 바탕으로 성악곡과 기악곡의 두 범주로 나누어 국악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 기반의 국악 교수 · 학습 설계의 목표는 ‘국악 학습 내용에 대한 맥락적 이해’, ‘국악학습에 대한 흥미와 수용적 태도 형성’, ‘학습자들의 경험과 국악 관련 지식의 통합’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둘째, 교수 · 학습 설계 전략은 설계 원리, 교수?학습 모형, 스토리 구성 전략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셋째, 교수 · 학습에 적용할 주제는 성악곡과 기악곡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각각 ‘노래에 담긴 삶의 이야기’와 ‘우리나라 악기 이야기’라는 대주제 하에 총 4가지 소주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스토리 구성 전략에 따라 각 소주제에 적용할 스토리를 새롭게 구성하였으며, 이를 교수?학습 모형의 각 단계별로 제시하여 교수 · 학습 활동과의 관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에서 설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국악 교수?학습은 음악의 사회 · 문화적 맥락을 강조하고, 타 교과 및 영역 간의 연계를 통해 문화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음악교육적 흐름에 부합하는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desig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based on storytelling focusing on educational effects of storytelling. For this, goals for designing storytelling-based ways to teach and learn Korean music were established and designing strategies were planned. In addition, program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were prepared on the theme of vocals and instrumental piec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goals of desig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based on storytelling were established and they are ‘to mak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contents of Korean music learning,’ ‘to form interests in Korean music learning and attitudes to accept it’ and ‘to integrate experience of learners and knowledge related to Korean music.’ Second, strategies of desig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were considered from three aspects, designing principl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strategies for forming storytelling. Third, ‘life stories contained in Korean folk songs’ focused on vocals was selected as a big theme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and four small themes were chosen under a big theme, ‘a story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cused on instrumental pieces. Additionally, new stories that would be applied for each stage of storytelling-based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were formed about each theme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planned. Those storytelling-based program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are expected to become the useful methodology meeting a flow to stres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music and to realize cultural education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area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국악 표현영역 수업을 위한 수업 단계별 특성에 관한 연구

        정일영(Jeong, Il-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악 수업의 표현영역에서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체계적인 내용 제시’ 및 ‘효과적인 수업 방법’ 두 가지 측면에서 수업 모형의 각 단계별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국악 수업을 위한 일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악 수업의 표현영역에서의 수업은 단위 수업 시간안에서 ‘도입-전개1-전개2-전개3-정리’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지고, 각 단계에서 제시되어야 할 수업내용과 수업방법에는 저마다 고유의 특성이 있다. 국악 수업에서 표현영역의 도입 단계는 ‘내재적 동기유발’, 전개1 단계는 ‘기초 기능(개념) 익히기’, 전개2 단계는 ‘표현 방법 탐색’, 전개3 단계는 ‘창조적 표현’, 정리 단계는 ‘정리(내면화)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더하여 각 단계에서 해야 할 효과적인 수업 방법은 도입 단계에서는 ‘수업의 방향과 순서’를 제시하여야 하며, 전개1 단계에서는 ‘호기심을 유지’하면서 수업 목표와 관련 있는 음악적 기초 기능을 익히고, 전개2 단계는 수업에서 필요한 ‘음악적 핵심 요소를 학습’하도록 하여야 하며, 전개3 단계는 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배운 내용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구성하며, 정리 단계는 수업을 마무리하면서 학습한 내용에 대해 ‘자신감 길러주기’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본고에서 고찰한 국악 수업 중 표현영역의 단위 수업의 단계별 일반적인 특성은 기존의 교수·학습방법과 수업 모형을 체계성과 효율성의 면에서 구조화시켰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국악 수업의 각 단계가 갖는 특성에 알맞게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에 적용할 수 있으면 교사(강사)에게는 국악 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수업을 할 수 있게 되고, 학생들에게는 국악곡에 대한 탐구 능력 및 음악적인 표현 활동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어서 국악 수업에서 다양성과 창의적인 표현 능력이 현저하게 나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provide interes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to students and to increase creative expression skill, the teachers should fully understand on ‘systematic contents suggestion’ which activities are needed at each stage of the clas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is a better way to teach to achieve the goal. This writing is to study features on each stage of teaching model from two perspectives of Korean traditional on Elementary school expression domain music class; ‘systematic contents sugges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Based on this, general teaching·learning models are suggeste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lthough there are lots of studies on different class models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n music class 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there’s no paper explaining features on each sta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In general,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should instruct with proper class model application on each domain regards to the features of different Korean traditional music domains (understanding music concept,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 writing and expressing music creatively, appreciating). Teaching?learning model in each on Elementary school expression domain would have small difference on contents of instruction or based on its domain. However, there are mainly five stages in unit class course, ‘introduction-complication1- complication2-complication3-resolution’ and there are unique features on suggested class contents and methods at each stage. At the introduction stage on Elementary school expression domain, ‘intrinsic motivation’, at the complication1 stage, ‘basic function(concept) learning’, at the complication2 stage, ‘expression method search’, at the complication3 stage, ‘creative expression’, and at the resolution stage, ‘resolution(internalization)’ features are carried. Moreover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 at the introduction stage, ‘class direction and steps’ should be suggested, at the complication1 stage, basic function of music should be learned regards to class goal while ‘maintaining interest’, at complication2 stage, ‘musical core elements learning’ needed for the class should be done, at the complication3 stage, organize to apply learned contents for students to ‘increase musical creativity’ and at the resolution stage, it’s good to complete the classes and perform activities to ‘gain confidence’ on the contents learned. The features by stages of unit class and general class model of Korean traditional class considered in this writing have the meaning that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lass model are structured in sense of efficiency and systemicity. If Korean traditional classes are designed and applied properly on the features on each stage teachers (instructors) will actively prepare Korean traditional classes and teach with confidence. For the students, it will help to develop search ability on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s and musical expression skill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variety and creative expression abil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 KCI등재

        2015 개정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국악 비평 활동의 질적 제고 방안 모색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국악 비평 활동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질적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악 비평 주제, 교수ㆍ학습 방법, 교수ㆍ학습 자료 측면에서 국악 비평 활동의 질적 제고 방안을 제안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비평 주제가 학생들의 비평적 안목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 기초하여 국악 공연(연주) 비평, 음반 비평, 작품 비평, 인물 비평 등의 비평 대상에 따른 비평 주제를 구안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악의 가치 해석 및 평가에 요구되는 상황 맥락(연행 맥락), 사회ㆍ문화적 맥락, 역사적 맥락, 음악 내적 맥락 등을 비평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관점과 전략의 제시, 국악 비평을 위한 토론 학습 모형의 개발 및 토론식 수업 방안 마련, 학생들이 작성한 국악 비평문의 창작물로서의 가치 부여, 비평문을 활용한 소통 중심의 수업 방법 구안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셋째, 국악 비평 활동에 요구되는 다양한 읽기 자료의 발굴 및 재구성, 토론 활동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국악 비평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의 방향성에 부합하도록 심화되고 차별화된 국악 비평교육을 제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in Korean music criticism activities and propose qualitativ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xtbook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its curriculum. The proposed measur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Korean music criticism activities in terms of criticism top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criticism topics based on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considers how these topic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itical perspectives. These topics should include critiques of Korean music performances, recordings, works, and notable figures. Second,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present perspectives and strategies that can apply various contexts - such as performance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historical context, and internal musical context - to criticism activities. Additionally, it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discussion-based learning model for Korean music criticism, the creation of discussion-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recognition of students' Korean music critiques as valuable creative works, and the design of communication-focused teaching methods utilizing these critiques. Third, it proposes the discovery and reorganization of diverse reading materials necessary for Korean music criticism activiti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effectively support discussion activities. Further research on Korean music criticism education is needed to concretize the content propose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it is essential to provide more advanced and differentiated Korean music criticism education that aligns with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국악의 놀이 학습 유형 분석 및 개선 방안

        한윤이 ( Han Yun-y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악 수업의 놀이 활동을 고찰하여 놀이 학습의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악 놀이 학습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1~2학년 통합 교과서와 3~6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국악의 놀이 학습은 학습 목표에 따른 유형으로 개념 이해형, 기능 향상형, 관계 형성형이 있고, 발생에 따른 유형으로 전래형, 차용형, 변용형, 창조형, 활용형이 있으며, 진행 방식에 따른 유형으로 표현 중심형과 경쟁 중심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통계 분석을 통해 여러 유형 중에서 개념 이해형과 전래형 그리고 표현 중심형이 대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놀이 학습의 유형이 일부에 편중되지 않도록 다양한 유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놀이 학습의 체계적 적용을 위해 유형별 교수ㆍ학습 모형의 개발해야 하며, 학생의 심리 발달적 특성으로 고려한 학년별 놀이 학습의 체계화 할 것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국악 놀이 학습의 유형화 및 개선 방안 모색을 통해 놀이 학습이 주요 국악 교수ㆍ학습 방법으로서 정립되고 보다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types of play-learning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y considering the play-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music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ays to improve play-learning in Korean music cla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integrated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and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play-learning typ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ypes according to learning goals included conceptual understanding type, functional improvement type, and relationship formation type. Also it could be seen that the type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included handed down, borrowing, transformational, creative, and utilization types, and the types according to the progress method included expression-oriented and competition- oriented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lay-learning type, it was confirmed that conceptual understanding, handed down, and expression-oriented types were widely used.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Various types of play-learning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so that some types of play-learning are not concentra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each type should be developed for systematic application of play-learning, and systematization of play-learning by considering students' psychologic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play-learning will be established as a major Korea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used more effectively in the school field. Following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play-learn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each type of play-learning should be specifically developed.

      • KCI등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4

        A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announced, Its interest has been increased how much change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Gugak contents betwee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n looked through problems and trends of Gugak education and suggested some improvement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details of Gugak specified systematically i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have been erased considerably in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addition, contents of Gugak were described in universal terms not in Gugak its own term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shows that Gugak education is just regarded as one part of music education and generalizes without considering its uniqueness. However it provides sufficiently an opportunity to choose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Gugak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ppear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s Gugak education in the Familiarization area compared to previous music curriculum. Compared with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has three problems. First, losing criterion to select and systematize teaching contents of Gugak because of reducing Gugak contents. Second, distorting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because of generalizing contents. Third, having many duplicate contents and being insu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he improvements for solving this problems are to integrate and to supplem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o provide a commentary in the table with elements and concept of music, to present systematically details of Gugak in the part of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and to come up with application plan of Music Curriculum for Gugak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와 차기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 제시 경향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에만 해당하는 내용이 상당히 삭제되었고, 국악 특유의 용어보다 보편적인 용어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교육은 보편적인 음악 교육 안에 포함시켰고, 국악 내용과 활동 선택의 자유를 제공하여 다양한 교재 개발을 유도하려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의 문제점은 국악 내용의 축소로 인해 국악 지도 내용 선정이나 체계화를 위한 기준 수립이 어려워지고, 내용을 보편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악의 내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 교수․학습 방법에서 중복되는 내용이 많고 실질적인 국악 교수․학습 관련 내용이 미흡하다는 점 등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보완 및 통합적 제시,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에 대한 해설 제공, 성취기준 해설의 국악 관련 내용 구체화,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구현을 위한 방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AI) 기반 국악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김아현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I-based Gugak education and suggest tasks necessary to settle it in the field by deriving implications for AI-based Gugak education through research and examples that apply AI music tools or technologies to school music classes. AI-based Gugak educa- tion developed and presented Gugak classes using Seeing Music based on machine learning among Gugak classes and AI technologies. If it is possible to implement Gugak grammar with AI music tools and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learn Gugak with the help of AI music tools, the possibility is sufficient. To this end, teachers should develop the expertise of Gugak conten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establishment of a digit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AI Gugak tools and platforms, and establish an organic support system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various subjects. Therefore,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I Gugak tools that embody the es- sence of Gugak and AI-based Gugak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ll be studied. 본 연구는 현재까지 개발된 AI 음악 도구나 기술을 학교 음악 수업에 적용한 연구 및 사례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국악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인공지능(AI) 기반 국악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현장에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과제를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인공지능(AI) 기반 국악교육은 Seeing Music을활용 국악 수업과 인공지능 기술 중 기계학습을 바탕으로 ‘단소 율명 구분하기’ AI 국악 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한 국악 수업을 예로 제시하였다. 이는 AI 음악 도구로 국악 어법을 구현하고, AI 음악 도구의 도움을 받아국악을 배울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면 그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교사는 국악 내용의 전문성과 인공지능의 전문성을 길러야 하고, 디지털 환경 구축과 AI 국악 도구 및 플랫폼 개발, 다양한주체의 협업을 통해 유기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를 시작으로, 국악의 본질을 구현하는 AI 국악 도구의 개발과 AI 기반 국악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