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고효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4

        이 연구는 U 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 건행동 변화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여학생인 경우, 불소도포 참여 횟수가 3회인 경우, 이 닦는 방법을 회전법으로 하 는 경우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높았다(p<.05). 구강보건지식은 1일 칫솔질 횟수가 1회인 경우 1일 칫솔질 횟수가 2 회 이상인 경우보다 낮았고, 이 닦는 방법을 회전법으로 하는 경우 높았고, 칫솔 사용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경우 낮았다(<.05).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은 학교에서의 체계적이고 활발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ffective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opera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chang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4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In case of female students and if number of participating in the fluoride application was three times, method of brushing rolling the score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p<.05).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when a method of brushing teeth was chosen as roll technic of toothbrushing. On the contrary, it was low when usage period of tooth brush was more than 12 months (p<.05).. Accordingly, various and active efforts are needed for oral health promotion, including systematic and active oral health education and operation of prevention control program, etc. in schools.

      • KCI등재

        Qraycam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

        강현경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Qraycam을 이용한 구강환경검사, 구강보건태도 및 구강건강관리 행동점수의 전·후비교를 통하여 구강보건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 사후 연구설계로 진행되었다. 2018년 9월부터 12 월 중순까지 실험 중재를 위한 실습대상자 33명과 구강보건교육 선호도 조사를 위한 학생 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 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24.0 Ver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그 결과, Qraycam을 사용한 중재 전·후의 구강환경 검사인 O’ Leary index와 구취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중재 전·후에 따른 구강보건태도 점수와 구강건강관리 행동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학생들의 구강보건교육 선호도 중 “구강보건교육에서 유용하다”와 “치태를 인지하고 결정하는 능력이 좋다”는 항목에서 Qraycam을 사용하는 경우 만족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결론적으로, 치과임상현장에서 Qraycam 사용 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은 치과위생사들의 구강보건교육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using Qraycam. The study materials used oral hygiene examination, oral health attitude and oral health behavior scores, and compared their pre and post results. This study was a pre-post test design for a single group.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September to mid-December, 2018.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 participants who visit for the class and 33 students for the survey of education preference. The data analysis used IBM SPSS 24.0 Ver, a significant level was 0.05. As a result, O' Leary index and halitosis as oral hygiene examina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according to intervention pre and post using Qraycam (p<.001). The oral health attitude and oral health behavior sco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according to intervention pre and post using Qraycam (p<.001). The satisfa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when using Qraycam among students' preference for education methods in the categories "useful in oral health education" and "a good ability to recognize and determine plaque" (p<.001). In conclusion, oral health education using Qraycam in dental clinics will be a way to improve oral health education effects for dental hygienists.

      • KCI등재

        초등학생 구강보건교육 수행여부에 따른 구강보건지식, 태도, 실천도 비교

        노은미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petitive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final analysis of 111 untested individuals was made.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scor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school that did not perform oral health education for 3 years (p <0.01). Repeated and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 great influence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al change, so if the dental hygienists can stay and manage oral health care, the effect will be increased. 본 연구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1학년 때부터 3년간 년2회 구강보건교육을 반복적으로 시행한 129명과 구강보건교육을 미시행한 11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구강보건교육실시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동 점수에서는 3년간 구강보건교육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한 학교가 실시하지 않은 학교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1), 구강보건태도는 구강보건교육 실시학교에서 약간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초등학생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이 구강보건지식과 행동 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치위생전문가가 상주하여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이다.

      • KCI등재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여부에 따른 구강보건인지 및 태도

        김예황,이정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Most of the health habits are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Once formed, the health habits are hard to fix. Early adolescent college students may be able to provide healthy adulthood by acquiring and us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health ca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lev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conducted by pre-learning in school age to oral health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and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early adultho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ygiene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on oral health. From April 12 to April 26, 2017, students from Dental Hygiene Department 1, 2, 3, 4 who had oral health education at Busan Metropolitan City D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ccording to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건강에 대한 습관은 대부분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므로 한번 형성된 건강습관은 쉽게 고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성인 초기에 해당되는 대학생 시기는 건강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습득과 활용으로 건강한 성인기를 보낼 수 있는 밑바탕이 될 수 있다. 학령기 시절 선행학습으로 수행된 구강보건교육이 구강보건행위와 연관성을 파악이 필요하며, 구강보건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여 성인초기에 해당되는 대학생의 구강보건교육 실태 및 필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재학 중인 대학생의 구강보건교육 수강이 구강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성인초기에 해당되는 대학생의 구강보건교육 실태 및 필요성을 파악하고 구강보건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2017년 4월 12일부터 5월 2일까지 부산광역시 D 대학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치위생학과 1, 2, 3, 4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본 연구결과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의한 구강보건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체육 중⋅고등학생의 구강보건 지식⋅태도⋅행동 및 구강악안면 외상에 관한 융합 연구

        최민지,김지화,오나래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5

        이 연구는 체육 중⋅고등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경산의 체육 중⋅고등학생 가운데 당일 출석한 250명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보건 지식⋅태도⋅행동 및 구강악안면 외상을 구강검사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구강보건 지식⋅태도⋅행동의 일반적 특성은 t-test를 실시하였고, 각 항목별 응답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식경험영구치율에서 여학생 평균 22.30%, 남학생 평균 15.41%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주건강상태 점수는 중학생 평균 1.19점, 고등학생 평균 0.68점 으로 중학생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구강보건 지식 점수는 여학생 평균 3.69점, 남학생 평균 2.81점, 구강보건 행동 점수는 여학생 평균 38.26점, 남학생 평균 36.92점으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 므로 체육 중⋅고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구강보건교육 및 맞춤형 구강보건사업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about oral health of 250 physical education middle-high school students. From April 2013 to June, we researched their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nd oromaxillofacial trauma using oral examination and structured survey and implemented independent t-test and frequency analysis. Female students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DMFT rate(Female 22.30 % and male 15.41% in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higher in periodontal health status score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Middle school 1.19 and high school 0.68 in average).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both oral health knowledge(Female 3.69 and male 2.81 in average) and behavior(female 38.26 and male 36.92 in average).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personalized oral health program that considers properties of physical education middle-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일부 농어촌 지역 전통시장 상인의 구강건강관련 지식·태도·행동에 관한 연구

        구인영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traders in som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management attitude to oral health. This also necessitated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market traders’ oral health problems and the risk factors of oral diseases and further provide the baseline data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adult oral health. A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 markets’ operating traders’ associations collected from 500 persons in som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ere us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too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sex,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economic conditions, and regularity of health examination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pronunciation, mastication, pain, and halitosis) and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alysis, x2-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In a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4.226)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059). In a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average oral health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4.241),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589), and economic condition(F=3.506). In a comparison of the average oral health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t=-2.789), age(F=3.482)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414), and economic condition(F=4.174). In a comparison of the average oral health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t=-3.887),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7.397), and regular health examination(t=3.880). It turned out that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oral health knowledge(t=-2.488) so the lower the level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lower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becam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 improve the traders’oral health status, it is necessary to deliver proper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it is important to detect oral diseases early an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them about oral diseases and the need for treat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ral health program for each age group, to provide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an active promotion project. 본 연구는 전통시장 상인들의 구강건강문제와 구강질환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및 관리 행태를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성인 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부 농어촌 지역의 상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 관련 지식·태도·행동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농어촌 지역의 전통시장 중에서 상인회를 운영하는 시장을 중심으로 회수된 500명의 결과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경제상태, 정기적 건강검진),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발음, 저작, 동통, 구취) 및 구강건강지식·태도·행동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조사문항의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t검정, 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 검정,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비교는 연령(F=4.226)과 학력(F=5.059)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 지식 평균 비교는 연령(F=4.241)과 학력(F=5.589), 경제상태(F=3.506)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구강건강 태도 평균 비교는 성별(t=-2.789), 연령(F=3.482)과 학력(F=5.414), 경제상태(F=4.174)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강건강 행동 평균 비교는 성별(t=-3.887), 학력(F=7.397), 정기적 건강검진(t=3.880)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t=-2.488)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수준이 안 좋을수록 구강건강 지식 수준은 낮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인들의 구강건강상태 증진을 위해서 올바른 구강건강관리 지식의 전달이 필요하고 구강 질병의 조기발견 및 예방처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향상이 중요하다. 또한 구강질환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하며, 연령층에 맞는 구강보건 프로그램 및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의 제공과 활발한 홍보사업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일부 성인의 예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변화

        김예황(YeHwng Kim),이정화(JungHwa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치위생학과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조사를 통해 성인의 구강건강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4월 12일에 실시하여 4월 26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대학 치위생학과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7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강보건 지식도에서 전신질환 있는 군(7.72점)이 전신질환 없는 군(7.17점)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음주경험이 주 3회 이상인 군(8.17점)이 음주 경험이 거의 없는 군(7.52점), 음주 경험이 주 1~2회인 군(7.52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부 성인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개인별 구강환경에 맞는 단계별 적절한 구강보건교육이 시행되어 야 하며 구강보건교육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adults by survey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bout oral health for adults who participated in prevention program for dental hygiene department. This study is the final analysis of 71 questionnaires of 20 years old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prevention program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D University, Busan, from April 12 to April 26,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ral health knowledge with systemic disease group (7.72 points) than systemic disease-free group (7.17 points) (P <0.05), drinking experience three times a week or more groups (8.17 poi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lmost no drinking experience group(7.52 points) and drinking experience 1-2 times per two weeks group(7.52 points) (P <0.05 ).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mong some adults. Therefore, proper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individual oral environment, and it is necessary to learn and learn knowledge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노인구강관리 전문가 교육경험에 따른 노인을 대하는 융합적 태도 관계

        이정화,이유희,윤정원,장경애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0

        Dental hygienists have received specialist training and experience to identify relationships that affect th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dental hospitals, general hospital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 of 264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oral health specialist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influenced by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r=0.160, p<0.01),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oral tissue regeneration education was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r=0.178, p<0.01), and feeding and swallowing function training edu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r=0.173,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in the maintenance training course for the dental hygienists who are experts in oral health care for the elderly, and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elderly dental hygiene course in the school education. 노인구강관리 전문가 교육을 받은 경험이 노인을 대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자 치과병의원, 종합병원,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5.0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에서 검증하였다. 노인 구강보건지도 교육(p<0.05), 노인의 구강조직 재생 교육(p<0.01), 노인 섭식 연하 기능 훈련 교육(p<0.01)을 받은 유경험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점수는 무경험자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인구강전문가 교육경험 유무와 노인을 대하는 태도의 상관관계는 노인 구강보건지도 교육경험은 노인을 대하는 태도(r=0.160, p<0.01), 노인 구강조직 재생 교육경험은 노인을 대하는 태도(r=0.178, p<0.01), 섭식 연하 기능 훈련 교육경험은 노인을 대하는 태도(r=0.173, p<0.01)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인구강관리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보수교육 및 노인전문가 과정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과, 학교 교육에서도 노인치위생학 관련 교과목이 개설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송귀숙 ( Kwui Sook Song ),류다영 ( Da Young Ryu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data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lanning of oral health education, by survey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in Hongseong-gun.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4.0 program. Results : Knowledge of oral health was very high. Correct attitudes and positive behavior were indica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school year(p<0.05). Positive correlation was significantly observed among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p<0.01). Especially, attitudes and behavior were highly correlated(r=0.583). Conclusions : Children`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oral health were mutually influenced. Thus,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goal of causing changes in the attitudes and behavior of students, as opposed to delivering simple knowledge. Through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correct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can be developed. Thus oral health education was expected to promote healthy habit for oral health.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구강보건교육 관련 수강여부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태도 및 행동

        김규리 ( Gyu Ri Kim ),김명 ( Myeong Kim ),김예순 ( Ye Sun Ki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4 No.2

        Objectives. Undergraduates entering society and family members around them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ir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related to oral health. Methods. We conducted a self-assessment survey of 634 undergraduates at three universities from October 21st to 30th of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converted into scores and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Results. 1. We had 30.2% male students and 56.9% of all surveyed had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2.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varied significantly with age (p<0.001) or major (p<0.001). Students with oral health education gained 1.8 but those without it received 7.0; thus, knowledge scores differences were large and overall scores were not sufficient in either group. 3. Oral health attitudes varied with age (p<0.001) or major (p<0.001). The 32 students with oral health education gained 13.0 and without received a 5.8; neither having a positive attitudes. 4. Levels of practical oral health behavior, varied with age (p<0.001) or major (p<0.001). The oral health education students gained 10.0 whereas the ones not having taken it got 2.2, indicating little practical oral health practical behavior.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oral heath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al behavior was high (r=0.7, p<0.01). Conclusions. Undergraduates`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al behavior related to their or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