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헌법상 공용어주의와 지역어 보장에관한 연구 - 프랑스 헌법재판소 결정례를 중심으로 -

        이형석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58 No.-

        France defined ‘the republic's language as French’ in Article 2, Clause 1 of the constitutional law in 1992, thereby having adopted the official language policy. The official language policy is what forces people to use official language in the public sphere while a country prescribes one language as official language. Even in France that chose the official language policy, the problems are being raised in relation to a rise in refugees according to the intensification of civil war in the Middle East, to the influx of immigration on financial grounds, and to the regional language users. To bring forward directionality of solving these issues, there was an attempt to resolve problems relevant to language as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2008 was stipulated the regional language in Article 75 of the constitutional law. A change in the official language policy of France is related to the republic, to the people's unity, and to the equality before the law, which are the basic principles in light of the French Constitution. In this study, first, the aim is to analyze the official language regulation in Article 2 of the French Constitution, and the regional language, which was prescribed in Article 75. Second, the objective is to analyze a significance of the official language policy in light of the French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Especially, the aim is to intensively analyze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pertinent to the Toubon law, which specifically guaranteed the official language policy, andto the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Third, the objective is to analyze a specific realization plan for protecting regional language in terms of the language rights relevant to an individual's identity based on this analysis. 프랑스는 1992년 헌법 제2조 제1항에서 ‘공화국의 언어는 프랑스어이다’고 규정하여 공용어주의를 채택하였다. 공용어주의는 국가가 하나의 언어를 공용어로 규정하고 공적영역에서는 공용어 사용을 국민에게 강제하는 것이다. 공용어주의를 채택한 프랑스에서도 중동내전의격화에 따른 난민의 증가,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이민의 유입, 지역어 사용자에 관련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방향성을 제기하기 위하여 2008년 헌법 개정에서는 헌법 제75조에 지역어를 규정함에 따라 언어에 관한 문제를 해결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공용어주의의 변화는 프랑스 헌법상 기본원리인 공화정, 국민의 단일성, 법 앞의 평등과 관련성이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프랑스 헌법 제2조의 공용어규정과 제75조에 규정된 지역어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프랑스의 헌법상 공용어주의의 의의를 헌법재판소 결정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공용어주의를 구체적으로 보장한 Toubon법과 특히 유럽지역・소수언어헌장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프랑스에서 지역어의 보호에 대한 구체적 실현방안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어의 유엔 공용어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광석 한글학회 2010 한글 Vol.- No.287

        This paper is on the argument of how to make the Korean language the UN official languages. Now the UN official langua- ges are 6, which are English, French, Chinese, Russian, Spanish, Arabic. The 6 language-only system does not catch up with the present international current, which means that the system exclu- des Germany, Japan, Italia. These countries play the important role in the UN. The system also excludes the countries playing the would-be important role such as Brasil, India etc. This may lead to the re-establishment and re-structuring of the UN, which gives the languages of Middle Power or G-20 countries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UN official languages. This paper argues that because Korea is included in G-20, the Korean language can be the UN official language in such a circumstances. There- fore Korea and Koreans should prepare for the forthcoming opportunity for the UN official language. 이 글은 세계화 추세를 보이는 오늘날에, 국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현행의 유엔 공용어 체제를 넘어 중견국가인 주요 20개국(G-20)의 언어까지 포괄해야 하며, 한국어가 그 중에 포함되어 있기에 우리 학계나 정부가 이를 대비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제 의사소통 방식은 ‘울타리치기’와 ‘함께하기’의 두 방식이 있는데 유럽연합(EU)은 함께하기 방식으로, 국제연합(UN)은 울타리치기의 방식으로 구체화된다. 현재 유엔 공용어는 6개로, 영어․프랑스어․러시아어․중국어․스페인어․아랍어로만 한정된 울타리치기 방식이다. 이 체제는 제2차 세계대전의 전승국 중심의 유엔 공용어인데, 이는 이미 그 시대적 사명을 다하였다. 그 대안으로는 주요 20개국의 언어들도 유엔 공용어로 받아들여 국제 의사소통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엔 공용어 문제는 유엔의 조직과 운영체제와 밀접히 관련이 있는데, 이는 구체제와 새로운 질서의 두 유형이 있고, 전자는 1945년 유엔 성립 후부터 지금까지의 조직과 운영 방식이다. 반면 새로운 질서는 개혁을 지향하는 체제인데, 1970년대의 개혁이 미봉책으로 끝났으나 조만간 21세기의 새로운 질서가 성립될 것으로 전망된다. 꾸준히 제기되는 유엔 개혁의 논의가 물살을 타면 예상 외로 빨리 국제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나 유엔 공용어 문제가 이슈로 제기될 수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논의를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슈가 되는 것은 비용인데 기득권 국가들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자기 언어로 번역하거나 자국의 유엔 대표부에서 동시통역하는 데 드는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의 국제 의사소통의 변화 가능성에 동참 가능성을 점검하고 이 방법을 위해서 해야 할 것을 정리한다.

      • KCI등재

        한국어의 유엔 공용어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광석(Lee Kwang-seok) 한글학회 2010 한글 Vol.- No.287

        이 글은 세계화 추세를 보이는 오늘날에, 국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현행의 유엔 공용어 체제를 넘어 중견국가인 주요 20개국(G-20)의 언어까지 포괄해야 하며, 한국어가 그 중에 포함되어 있기에 우리 학계나 정부가 이를 대비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제 의사소통 방식은 ‘울타리치기’와 ‘함께하기’의 두 방식이 있는데 유럽연합(EU)은 함께하기 방식으로, 국제연합(UN)은 울타리치기의 방식으로 구체화된다. 현재 유엔 공용어는 6개로, 영어?프랑스어?러시아어?중국어?스페인어?아랍어로만 한정된 울타리치기 방식이다. 이 체제는 제2차 세계대전의 전승국 중심의 유엔 공용어인데, 이는 이미 그 시대적 사명을 다하였다. 그 대안으로는 주요 20개국의 언어들도 유엔 공용어로 받아들여 국제 의사소통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엔 공용어 문제는 유엔의 조직과 운영체제와 밀접히 관련이 있는데, 이는 구체제와 새로운 질서의 두 유형이 있고, 전자는 1945년 유엔 성립 후부터 지금까지의 조직과 운영 방식이다. 반면 새로운 질서는 개혁을 지향하는 체제인데, 1970년대의 개혁이 미봉책으로 끝났으나 조만간 21세기의 새로운 질서가 성립될 것으로 전망된다. 꾸준히 제기되는 유엔 개혁의 논의가 물살을 타면 예상 외로 빨리 국제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나 유엔 공용어 문제가 이슈로 제기될 수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논의를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슈가 되는 것은 비용인데 기득권 국가들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자기 언어로 번역하거나 자국의 유엔 대표부에서 동시통역하는 데 드는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의 국제 의사소통의 변화 가능성에 동참 가능성을 점검하고 이 방법을 위해서 해야 할 것을 정리한다. This paper is on the argument of how to make the Korean language the UN official languages. Now the UN official languages are 6, which are English, French, Chinese, Russian, Spanish, Arabic. The 6 language-only system does not catch up with the present international current, which means that the system excludes Germany, Japan, Italia. These countries play the important role in the UN. The system also excludes the countries playing the would-be important role such as Brasil, India etc. This may lead to the re-establishment and re-structuring of the UN, which gives the languages of Middle Power or G-20 countries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UN official languages. This paper argues that because Korea is included in G-20, the Korean language can be the UN official language in such a circumstances. Therefore Korea and Koreans should prepare for the forthcoming opportunity for the UN official language.

      • 일본에서의 〈영어 공용어화론〉에 대하여

        구명회(Koo, Myoung-Hoi)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 No.1

        일본을 언어사회적인 성격에서 고찰해 보면 일본어는 1억 3천만 명에 가까운 인구 중 그 대부분을 모어화자로 확보한 강력하고 핵심적인 구성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인구 중 약 2%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비일본어 모어화자의 경우 소수자로서 그 입지는 대단히 약한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영어를 중심으로 한 <제2공용어론> 및 <사내공용어화>의 논의가 나왔고 현재 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은 주류 언어로서의 일본어를 일정 부분 포기하고서라도 영어에 그 자리와 권력을 내어주겠다는 의도로도 비추어진다. 21세기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화 속에서 그간의 일본어 독점사회의 영역을 영어라고 하는 국제공통어가 조금씩 비집고 들어오기는 하겠지만, 언어적 가치관에서만큼은 대단히 보수적인 일본의 단일 언어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지수라 하지 않을 수 없다. Looking at Japan from a language society, Japanese is a powerful and vital component of almost 130 million people, most of whom are native speakers. In the case of non-Japanese speakers, which account for about 2% of the population, their position as a minority is very weak. Nonetheless, there has been a debate within the Japanese community about its own English as second official language and English as official language of company. And it is continuing to progress now. This is reflected in the intention of giving up its place and power in English even though it gives up some Japanese as mainstream language. In the rapidly glob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there will be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s, such as the English language. However, it is still uncertain as to whether we can fundamentally change Japan"s monolingual society, which is highly conservative in its linguistic values.

      • KCI등재

        WCO하에서 공용어 커뮤니케이션이 전자무역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김용덕,김종욱 한국관세학회 2018 관세학회지 Vol.19 No.4

        Under the recent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the new paradime of vitalization of cross-border E-commerce is on the rise for the growth of world trade, and then the volume of cross-border E-commerce has been increasing very rapid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WCO have been deeply studying vitalization strategies of cross-border E-commerce and in this connection, the importance of E-trade studies is continuously coming to the force. This paper first provides an update on the platform systems of E-commerce and E-trade constructed by several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Japan, S ingapore and China. This study p ropose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 ffect of the g lobal language communication on E-trade performance of 300 export compani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ing in empirical results as shown below. 1. Business English communications falling into the category of global language communication factor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performance(economic performance) of E-trade. 2. Organization traits and technological traits falling into the category of corporate factor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E-trade(competitive performance). Also, relationship with external businesses and support of external professional groups falling into the category of environmental factor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E-trade(economic performance, and applicative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global language communication and the link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E-trade based on global language communication, leading to implications for E-trade and further cross-border E-commerce. To make up for limitations of this study, however, future studies will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such as the homogeneity of sample, and the validity of variables measurement. 최근의 세계 무역환경에서 무역이익의 공평한 공유와 분배를 추구하는 세계 무역이 강조되면서 WCO에서는 그동안소외된 기업들까지 포함하는 무역 참여 및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세계무역의성장 방향을 위하여 인터넷 상용인구의 급격한 가속화와 함께 국경간 전자상거래 활성화 전략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공용어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전자무역의 중요성도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자상거래 및 전자무역을 바탕으로 국가별 플랫폼 구축에 근거해 미국, 일본, 싱가포르, 중국의 시스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공용어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전자무역의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고, 다중회귀모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공용어 커뮤니케이션 요인 범주에 해당되는 비즈니스영어 커뮤니케이션은 전자무역의 성과(경제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업요인 범주에 해당되는 조직특성, 기술특성은 전자무역의 성과(경쟁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요인 범주에 해당되는 외부기업관계, 외부전문집단지원은 전자무역의 성과(경제적성과, 활용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하여 공용어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과 공용어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전자무역의 특성과 성과 간의 관련성을 제시하였으며 전자무역과 국경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도출하였다. 그러나 향후의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표본의 동질성확보, 변수선정의 타당성에 따른 연구의 한계점을보완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어의 국제공용어화에 대한 국어교육의 대응과 반성

        임경순 한국어교육학회 2009 국어교육 Vol.0 No.129

        This paper purposed to explore directions for the confrontation and reflection about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phenomena of English. Our modern imaginative community on English started modern novel and now continues. Korean Researcher's Study about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phenomena of English focused o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Globalization'.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phenomena of English is caused by nationalism and linguistic imperialism. When Korea emancipated from Japan, English becomed Korean official language. That time is very important period ; Korea could start new Korean language policy and new national-state.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rooted this period and showed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coming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phenomena of English, we must beyond instrumentalism of language, linguicism, and linguistic imperialism. We have to go to multilingualism(dialogism) and language world systems as eco-systems (eology of Language). ‘영어의 국제 공용어화’ 시대에, 그리고 ‘영어 광풍’의 시대에 살고 있는 오늘날 영어에 대한 근대적인 상상의 공동체는 개회기 이후 소설에서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근대 초입에는 문명 개화, 민족 발전의 모습과 관련되어 있고, 해방 이후에는 출세 등과 같은 문화자본과 관련되어 있다. 영어 국제 공용어화는 오늘날의 당대성에 국한되지 않을 뿐 아니라 매우 복잡한 역사적인 맥락을 지니고 있다. 영어 공용어화에 대한 국어교육 학계의 논의는 주로 국가경쟁력과 세계화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지만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우리의 국어 논의는 근대성 논의의 핵심인 국민국가와 관련되어 있다. 우리의 근대 국어 내셔널리즘은 한문, 일본어, 영어와의 대타 항으로서 국어를 설정하고 국어=국민=국가를 상정하고 있다. 국민국가를 제국으로부터 자립하는 것으로 볼 때, 그 언어적인 공통적인 속성이 ‘언문일치’에 있음을 승인한다면, 우리의 경우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오늘날 우리의 영어 공용화 논의는 본질적으로 국제어인 영어를 모르면 손해라는 국익차원의 다소 충정어린 내셔널리즘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체가 가능하다는 언어도구관에 입각해 있다. 우리 현대사에 있어서, 해방 공간(미군정 기간)은 군정기간에 영어를 공용어로 삼았다는 사실, 해방은 기존 언어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는 시기라는 점, 해방 이후 국어교육의 뿌리가 상당 부분 이 시기에 형성되었고, 국어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던 시기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기이다. 영어 국제 공용어화에 대한 국어교육의 대응과 반성은 언어 도구관, 언어 차별관, 언어 제국주의 시각을 넘어 대화주의, 다언어주의, 생태언어주의 등의 관점에 서야 하며, 이를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등에서 광범위한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

      • 중국 언어 정책의 국가간 비교 연구

        오문의 ( Mooneui Oh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3 통합인문학연구 Vol.15 No.2

        이 논문은 다민족 국가인 중국, 스페인, 모로코, 미국, 싱가포르, 인도에 대한 국가간 비교를 통해 각 국가의 언어 정책의 역사와 특징을 고찰한다. 중국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지만, 최근 소수민족에 대한 강력한 동화정책을 견지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이민형 다민족 국가로서 이중언어 교육 정책을 실시하다가 영어전용주의의 동화정책으로 전환되었다. 스페인은 공용어로 카스티야어를 유지하면서 지방어를 공용어로 허용하는 정책을 채택했고, 모로코는 아랍어와 아마지그어를 공용어로 인정하였으나 아마지그어의 역할은 제한적이다. 싱가포르는 영어, 표준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를 공용어로 선택했으며, 인도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다언어국가로서 다양성을 인정하는 정책을 채택하였다. 단일 공용어 정책이 다양한 문화와 지역의 고유성을 억압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정 문화와 지역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문화주의로 포장되었지만 중국, 미국과 같은 단일 공용어 정책은 특정 문화와 지역의 고유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스페인, 모로코, 싱가포르, 인도와 같은 국가들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양한 언어를 인정하는 정책을 통해 문화적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3개 언어 정칙’을 변함없이 실천하고 있는 인도의 언어 정책이 가장 모범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olicies in multi-ethnic countries such as China, Spain, Morocco, USA, Singapore and India. Although China is a multi-ethnic country composed of various ethnic groups, it has recently maintained a strong assimilation policy for minorities. 011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as an immigration-type multi-ethnic country, has been implementing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but has been converted to an English-only assimilation policy. Spain adopted a policy of allowing dialects as official languages while maintaining Castilian as an official language, and Morocco recognized Arabic and Amazig as official languages, but the role of Amazig is limited. Singapore has chosen English, Mandarin Chinese, Malay, and Tamil as its official languages, and India, as a multilingual country using a variety of languages, has adopted a policy of recognizing diversity. A single official language policy may suppress the uniqueness of different cultures and regions, and policies that respect the diversity of specific cultures and regions are needed. Although it is wrapped in multiculturalism, a single official language policy such as China and the United States has the potential to undermine the uniqueness of certain cultures and regions. Countries such as Spain, Morocco, Singapore, and India are seeking cultural coexistence through policies that respect diversity and recognize multiple languages. In particular, India's language policy, which consistently practices the ‘Three Language Formula’, can be said to be the most exemplary case.

      • KCI등재

        유럽연합 다언어주의 정책의 성과와 한계: 공용어 운용을 중심으로

        이복남 한국유럽학회 2010 유럽연구 Vol.28 No.2

        Europe and European Union are characterized by an extremely rich and politically very complex linguistic situation. European multilingualism is seen as an essential part of a commun cultural legacy. The European Union has always considered its many languages as an asset, rather than as a burden. Linguistic diversity constitutes a particularly prominent policy-challenge for Union. With enlargement, the list of official EU languages has grown from 11 to 23, and as the EU enlarges, the number will increase further. The EU extends equal treatment to all member countrie's official languages by providing translations for documents and interpreting services. In order to review EU policies to promote multilingualism and linguistic diversity,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n languages; how the European institutions communicate.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official EU languages in the context of enlargement and the questions posed by linguistic diversity and multilingualism. 오랫동안 유럽의 민족국가들은 자국의 다양한 문화집단을 주류 국가문화에 동화시키려 시도해왔다. 탈영토적, 초국적 가치를 지향하는 유럽연합은 유럽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하고 다문화주의 가치를 수용하는데 그 기반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유럽의 정치 엘리트들은 다양성이 지배하는 유럽의 문화적 특수성을 통합의 걸림돌로 간주했으며 문화범주에서의 차별과 소외는 국가와 개인 간 갈등을 재생산하고 있다.유럽헌법설립조약이 탈바꿈한 리스본 조약은 유럽연합기본권헌장을 본문에 병합시킴으로써 유럽유산과 문화의 주요소인 ‘언어 다양성’의 존중은 EU의 문화와 민주주의의 근간이 된다는 사고를 더욱 확고히 하였다. 나아가 ‘차별’과 관련해서 이 조약은 언어와 관련된 모든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EU 공용어의 증대 상황을 살펴보고, EU 다언어주의 정책의 적용을 중심으로 EU 기관별 공용어 운용 실태를 분석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EU 공용어 운용과정에서 제기되는 여러 사례를 통해 EU 다언어주의 정책 운용의 성과와 한계를 가늠해본다.

      • KCI등재

        베트남전쟁소설에 나타난 민족어들의 위계와 경합

        유승환(Yoo, Sung-hwan)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이 논문은 1970~80년대 발표된 베트남전쟁을다룬 세 편의 주요한 장편소설인 박영한의『머나먼 쏭바강』, 안정효의『하얀전쟁』, 황석영의『무기의 그늘』을 중심으로 한국의 베트남전쟁 소설 속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를 다룬다. 한국에 있어 베트남전쟁은 식민제국-피식민국가의 이원적인 세계인식으로부터 벗어나, 제3세계의 인민과 문화를 최초로 대면하는 계기였다. 그러나 한국이 철저하게 미국의 지원에 의존한 미국의 하위파트너로, 다시 말해 일종의 ‘용병’으로서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다는 점은 이러한 대면이 유사-제국주의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암시한다. 한국인이 베트남에서 마주친 베트남인과 ‘영어’로 소통을 해야 했다는 점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중요한 유비이다. 영어가 공용어가 되었다는 점은 제3세계와의 대면에 있어 헤게모니 국가로서의 미국의 그늘에서 한국이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어에 대한 인식과, 공용어로서의 영어와의 거리를 통해 측정되는 민족어의 위치에 대한 설정은 민족어 문학으로서의 한국어문학의 지위 설정과 직결된다. 박영한 안정효 그리고 황석영의 소설은 이러한 언어의 문제에 대해 각기 다른 접근방식을 취한다. 박영한의『머나먼 쏭바강』은 영어를 통한 민족어 간의 번역 가능성을 승인하며, 베트남인 여성과 한국인 남성의 만남의 매개를 영문학적 전통에 기반한 교양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영어-교양은 보편적인 휴머니즘의 기준으로작용하며, 이는다시전쟁의비인간성에맞서는보편적인간상이라는허위적인 모델을 구성한다. 반면 안정효의『하얀전쟁』의 경우, 베트남은 주인공이 믿어왔던 영어-교양의 보편성이 붕괴되는 공간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인공은 공용어로서의 영어를 정점에 두는 민족어간의 위계를 해체하지만, 동시에 이를 대체할 민족어의 가능성을 발견하지 못하고, 정신착란과 무기력증으로 대변되는 비-주체의 자리에 머문다. 황석영의『무기의 그늘』은 공용어인 영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화와 민족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화의 표기를 구분함으로써 베트남전쟁의 언어적 상황을 예민하게 반영함과 동시에 영어와 다른 민족어 사이의 번역 과정에 내재하는 오역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무기의 그늘』은 영어과 민족어 사이의 위계를 상대화하고 베트남전쟁을 다양한 민족어들이 상호 경합하는 언어의 전장으로 재구성한다. 이 세편의 소설에서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영어와 민족어에 대한 인식은 1960년대 후반 이후의 언어적 상황 속에서 민족어 문학이 자리할 수 있는 위치를 각기 다르게 암시한다. This paper suggests problem of nation languages in 3 primary Korean Vietnam war novels(Distant Songba-river written by Park Younghan, White Badge written by Ahn Junghyo, The Shadow of Arms written by Hwang Sokyoung). Vietnam war was a chance to escape from dualistic(empire/colony, capitalism/communism) recognition of the world and to meet people and culture of The Third World for Korea. However, the fact that South Korea entered Vietnam war as a American mercenary alludes a possibility that this meeting was proceeded in the pseudo-imperilistic way. It is a important analogy with this situation that the official language in vietnam war was English. It was hard to escape from American shadow in representaion of Vietnam war for Koreans, because they had to talk Vietnameses in English. Therefore, recognitions about English as official language and location of nation languages measured by the distance from English in Korean Vietnam war novels were important. 3 Korean Vietnam war novels with which this paper deal show different approach about this problem of languages. Distant Songba-river approve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between English and other nation languages. Refinement cultivated in English or by traditions of English literature (English-culture) is medium of love between Vienamese woman and Korean man in this novel. English-culture was thought as a standard of Humansim in this novel. This novel constructed imaginary model as unversal human being against impersonality of the war eventually. On the contrary to this, Vietnam was space in which universality of English-culture, which protagonist had believed, collapsed in White Badge written by Ahn. Hierarchy of the nation languages was deconstructed in this novel. However, this novel failed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nation language which was able to substitute English as official language. As a result, protagonist in this novel suffer from lethargy and mental storm. The Shadow of Arms written by Hwang describes conversation in English and other nation languages differentially. In this way, this novel reflects linguistic situation in Vietnam war sensitively and suggests a possibility of mistranslation between English and other nation languages. Consequentially, this novel relativizes hierarchy among the nation languages and reconstitutes Vietnam war as a battleground of nation languages in which competition among the nation languages occu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