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학교에서 공민교육과정의 변용과 현상(現狀)

        셴샤오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4

        중국에서 공민교육을 실시하는 교과목은 3종류이다. 첫째는 덕육과(정치과), 둘째는 총합문과(총합사회라고도 한다)이다. 양자 모두 국가교육과정에 속하는 것으로 정규과정이라 한다. 셋째는 지역과정과 학교과정으로 지역이나 학교의 실정에 따라 편성하는 것이 가능한 비정규과정이다. 중국의 덕육과(정치과)는 정치학, 경제학, 윤리학, 철학, 문화학, 법률 등 사회과학 제 영역의 지식 및 집정당의 집정 이념을 포함하는 총합 교과이다. 학습 내용이 국민의 의무를 일방적으로 강조하던 것에서 공민의 권리를 점차 중시하는 것으로 전환한 것은 큰 진보이다. 다만, 집정당의 이데올로기 주입과 언론 자유·정치 민주의 미약으로 인해 권리교육의 내용은 제한적이다. 도덕과 이외에 중학교에는 「사회」나 「역사·사회」등의 「총합문과」가 있는데, 목표에 사회참가력을 중요한 공민 자질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역사·사회」는 종래의 「역사」와 「지리」보다 내용이 폭넓고 계통성이 없어 역사교육과 지리교육이 불충분하다는 비판이 있고, 담당할 교원도 부족하여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과정과 학교과정에 의한 공민교육은 교육 체제의 속박―수험 체제나 정규과정에 의한 학습 부담 등―이 있기 때문에 실시하는 지역이나 학교가 많지 않다. 하지만, 정규과정의 부족한 공민교육을 보완하고, 초·중·고 일관의 공민교육 모델을 탐색한 것으로 그 성과와 영향은 공민교육 추진의 포석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공민교육은 늘 도덕교육의 범주에서 의론되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는 도덕교육과 공민교육의 차이를 이론적으로 구별해 도덕교육에서 공민교육으로 전환할 것을 제창했다. 필자는 도덕교육과 공민교육은 선진성/보편성, 성인교육/서민교육, 사덕(私德) 형성/ 공덕(公德) 형성, 의무의 중시/권리와 의무의 통일 중시 등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중요한 차이는 지성의 중시도 및 문제해결의 시점과 방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공민교육이 추구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문제를 보다 잘 해결하는 데에 집착하고, 사회가 보다 좋은 방법으로 발전하는 것을 추진할 수 있는 지혜의 성장이다. 그러한 지혜의 성장을 위해서는 사회적 사실의 조사·추구력, 이해력, 사고력, 판단력, 의사결정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사회적 지식·기능을 배워야 한다. 이에 대해 기존의 사상도덕과는 한계가 있고, 총합문과도 지역·학교본위과정도 공민교육상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교육 체제 아래에서 공민교육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그들 교과를 일체화하여 상호보완적 커리큘럼을 재구성하는 것 외에도 공민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원리나 키 개념을 재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민교육과정에서 수요는 간과해서는 안 되는 개념·테마이며, 사회를 인식하는 단서로 초·중·고의 학습을 일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needs and want) 및 수요를 만족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장래 인권이나 인간의 사회적 활동의 의미와 방법, 사회적 분업의 의미와 방법 등을 이해하는 기초이며, 수요를 취사선택하는 의미와 방법이나 규칙을 학습하는 것은 시민 도덕을 향상하는 전제라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의 수요부터 인식해서, 집단의 수요, 지역의 수요, 민족이나 국가의 수요, 나아가 전인류의 수요로 인식을 고양시켜... I. Curriculum form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China The current Citizenship Education in China mainly takes the following three forms of curriculum. The first is Morals, the second is called Integrated Liberal Arts. They are formal curriculum. The third is local curriculum or school-based curriculum which is usually informal curriculum. Morals refers to school subjects of Politics, Ideology and Moral, Ideology and Politics, Morality and Society, Morality and Life, General Knowledge of Politics, Construction of Socialism, etc. which have been started since 1949. They were called subjects of Politics in early time. Morals(Politics) is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contains various subjects related to social science like politics, economics, law, ethnics, philosophy and culture, and reflects governing principles and vision of the ruling Part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 which is the emphasis on civil duties has switched to civil rights. This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ffairs of citizens as the main body. However, there are still restrictions about contents related to civil right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due to the influence of political ideology in China. Integrated Liberal Arts contains subjects like Society, History and Society, it is a broad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citizenship education which aims to cultivate students as good citizens, lay much stress on training student ability of social participation. This reflects people? recognition of citizen rights and obligations. However, compared to traditional subjects of History and Geography, Integrated Liberal Arts has been accused of loosing focus on the systematicness with wider scope of knowledge. Citizenship Education in local curriculum or school-based curriculum has limited impact due to the restriction of edu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pressure brought by college entrance exam. Still, those practices in local curriculum and school-based curriculum have made great complement to formal curriculum in schools and explore the integration model which has laid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education in primary and middle schools. II.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China,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put into the category of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is a broad concept which also contains political Education, ideology education. Advocators of citizenship education try to differentiate mo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promoting the transformation from moral education to citizenship education. In my opinion, the differences between mo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can be seen in their nature, mission and goals, which are advanced nature versus universality, cultivating role model versus developing citizen, emphasizing personal virtue versus promoting public moral. The most important one lies in their inclination to virtue or to intellectuality, and the different methods they use in conceiving and solving problems. Citizenship education pursues developing people the wisdom of exploring, analyzing and resolving issues in life rationally, which will facilitate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itizens must have broad knowledge to advance their ability of understanding, critical thinking, and decision-making. They also need to have empathy for situations and needs of other people in society, and understand their life. From this perspectiv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even integrated liberal arts curriculum in China is not able to fulfill its fun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Under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ystem in China,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whole curriculum system related more systematically with emphasis on interconnection between subjects and academic years in order to construct a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system o...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공민과 도입시기 전후 조선의 `공민교육(公民敎育)` 의미 변용에 관한 개념사 연구

        임광국 ( Yim Gwang Guk ),김빛나 ( Kim Binna ),하스이케시게요 ( Hasuike Shigey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성립된 일본의 `공민교육`이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개념적 의미 변용과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된 공민교육 개념이 시대적·정치적 변화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라인하르트 코젤렉의 개념사 연구방법론과 롤프 라이하르트의 의미장을 활용한 개념사 연구이다. 근·현대한국의 공민교육은 일제 강점기에 이식된 근대적 공민교육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의 시민교육으로 이어진다. 공민교육의 규범적 의미는 국민주권론에 기반 한 민주적 공민 양성에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국가의 정치적·사회적 이념에 합당한 국민을 구현해 내는 것에 더욱 비중을 둔다. 이렇듯 공민교육은 시대적 환경에서 추구했던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시대와 장소에 따라 개념적 함의가 다를 수밖에 없고, 한국의 공민교육 역시 근·현대 사회의 정치사적 변천을 반영하여 시대와 장소에 따른 유의미한 의미 변용을 보인다. 특히 다이쇼데모크라시의 영향을 받은 일본 본토의 공민교육은 자유주의적 공민의 의미가 상당부분 수용되어 있던 반면에 식민지 조선으로 이식된 공민교육은 식민지 정책의 의도가 고스란히 반영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와중에서도 공민의 이상적 의미를 토대로 공민교육의 미래적 의미를 자생적으로 선취하여 개념의 `시간화` 양상을 보인다는 점, 그리고 자생적으로 구성된 공민교육의 의미들이 제도권 공민교육과 일정한 대립을 유지하며 개념의 `이념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의 내부에서는 식민지 통치의 의도와는 다른 반의적 의미의 공민교육이 국민주권의 이상적 개념을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is conceptual history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s of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as `Japanese civic education` establish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was transplanted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and on the changes of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in the political conditions of Joeson dynasty. For thi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Reinhart Koselleck and the semantic field of Rolf Lehrhart are used. Current civic education of Korea began with the modern education that was transplan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ormative meaning of civic education lies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national sovereignty, but in reality it places greater emphasis on cultivating the citizens loyal to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of the nation. In this way, the civic education reflects the social values pursued in the varying political environments, and the civic education of Korea also has seen the significant modification of its meanings with the political conditions of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the education of citizens in the mainland of Japan, which was affected by the Taisho Democracy, largely accepted the notion of libertarian citizens, while civic education transplanted to the colonial Joseon dynasty reflected the colonial policy. Howev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act that in the civic education of the colonial Joseon was found the ideal concept of national sovereignty, unlike the intention of the colonial rule.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of the time had both the aspect of `time-shaping` by way of autonomously anticipating the future meaning of civic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ideal meaning of citizens, and the aspect of `idealization` that autonomously structured civic education stood in conflict with the institutional civic education.

      • KCI등재

        식민지 공민과의 형성과 논리 ─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공민과 설치와 공민교육론을 중심으로

        권동국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6

        This study analyzes differences of ‘Kōminka’ characters between colonial Korea and imperial Japan with a consideration of institutional diffusion processes of ‘Kōminka’ in imperial Japan in 1930s. In this period, ‘Kōminka’ extended beyond an academic discipline and rather an intellectual aggregation delicately planned as a part of imperial Japan’s reign. Discussion of ‘Kōminka’ in colonial Korea had formed through the colonial magazines in early 1930s with scholars leading the trend mostly colonial education bureaucrats. The discussion of ‘Kōmin Kyoiku’ in that period of colonial Korea seemed to focus rather on a discursive planning aimed at dilut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rather than a focus on critically engaging the concept of ‘Kōmin’ and essenti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Kōminka’. The Komin Kyoiku served as a mechanism aimed at justifying imperial rule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in colonial Korea. This study specifically compares discourse of Takebe Kinichi, who served as head of the educational affairs bureau in colonial Korea, with that of Kamatsuka Tasuku, who was leading the discourse of ‘Kōminka’ with more sophisticated colonial education logic. The former gave justification by placing Japan’s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Korea’s local autonomy into hierarchical relationsof state and local administration. The latter, Kamatsuka Tasuku, justified differences with concepts that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Japan and Korea and between the new and the old’, ‘custom’ and ‘institution’. With his logic and syllabus, the textbook The Japan Government-General of Chosen was published in 1934. It was distinguishable from the result of work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hich tried to lead the discourse of ‘Kōmin Kyoiku’. 본 연구는 1930년대 제국 일본 공민과의 제도적 확산 과정을 고찰하면서 식민지조선 공민과의 성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공민과는 ‘교육’이라는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 제국-식민지 통치의 일환으로 정교하게 기획된 지적 구성체였다. 공민과에는 필연적으로 내지와 식민지의 제도적 차별성이 드러나게 되는데 식민권력은 차이와 배제의 구조를 윤색하기 위해 공민교육론의 논의를 주도하였다. 일본 사학계의 전후 평가는 공민과가 1930년대 식민지로 확산된 이유를 적합하게 설명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 제국-식민지 공민과의성격과 제도화과정 및 학무 관료들의 공민과 담론을 분석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공민과에 관한 논의는 주로 1930년대 초반 『문교의조선(文敎の朝鮮)』과 『조선의교육연구(朝鮮の敎育硏究)』 같은 잡지를 통해 형성되었고 이를 주도한 것은 당대의 식민지 학무관료들이었다. 지적 담론으로서 당대 공민교육론은 공민 개념과 공민과라는 본질적 정의와 성격에 주목하기보다는 내지 일본과의 차이를 무화시키려는 ‘담론적 기획’이라는 측면이 부각된다.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학무국장이었던 타케베 킨이치(武部欽一)와 카마츠카 타스쿠(鎌塚扶)의 공민교육론을 비교하였다. 타케베 킨이치의 경우는 내지의 입헌정치와 조선의 지방자치제를 국정과 지방행정으로 위계화하여 정당화시켰다. 이보다 좀 더 정교한 식민 교육학의 논리로 공민과의 담론을 주도한 것은 학무국 편수관이었던 카마츠카 타스쿠였다. ‘內鮮新舊’의 차이, ‘관습’과 ‘제도’의 차이에 주목하여 식민지 공민과의 정당성을 피력하였다. 이러한 카마츠카의 논리와 교수 요목은1934년 조선총독부 교과서에 반영되어 출간된다. 이는 역시 공민교육 담론을 주도하고자 하였던 경성제대의 교육학 연구의 성과와는 차별성을 갖는 것이었다.

      • KCI등재

        정부수립기 이상적 ‘여성공민’ 상의 성격과 인식

        김동선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6

        일제강점기 조선은 군국주의 독재 하에 있었다. 미군정은 이러한 조선의 정치체제를 변화시켜 자 본주의와 ‘미국식 민주주의’를 이식하고, 친미정권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미군정은 보 통선거를 실시하여, 조선에 새 정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여성에게도 참정권이 부여되어, 남성과 같이 ‘공민’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여성이 참정권을 가지게 되면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 가 정과 국가에서의 지위 또한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1945년 해방 후 들어선 미군정은 여성에 게 참정권을 부여하고, 공민교육을 실시하였다. 이시기 공민교육은 공민교과서는 일제의 그것과는 달리 남녀용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남녀 모두 일반적 공민교육을 받아야한다는 의식의 반영이었다. 따라서 여성에게도 ‘공민’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이 강조되었다. 공민은 참정권을 통해 정치적인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여성에게도 정치교육이나 민주주의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여 성의 ‘근본적’인 역할은 여전히 가정을 지키며, 남편내조와 아이 육아에 힘쓰는 현모양처상을 크 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정부수립기 정부 인사들은 표면적으로 어떤 분야든지 여성의 사회진출에 장 애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들 역시 여성의 ‘사명’은 가정을 돌보고, 아이를 키우 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정부가 여성을 남성의 보조자가 아닌 한사람의 공민으로 인식하고, 어떤 분야라도 여성이 활동하는데 차별을 두지 말아야한다고 표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 다. 한편, 정부수립기 남성과 여성 모두는 이상적 ‘여성공민’은 개인보다는 국가와 민족에 대해 생 각하고 희생적인 현모양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여성’의 역할에 대한 남녀의 인식에 는 차이가 있었다. 남성들은 여성의 정치·사회적 진출에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또 한 여성의 참정권 획득과 여성의 정치참여에도 부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이에 비해 여성은 참정권을 바탕으로 정치적 입지를 넓히고, 보다 폭넓은 사회참여를 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정치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와 노동 분야에도 참여할 수 있 기를 희망했다. 여성들은 이에 필요한 실력을 기르기 위해 여성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이 러한 활동을 통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수준의 실력을 가지고, 정치와 사회, 경제 등의 분야에서 남녀평등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정부수립기 여성 역할은 일제강점기와 같이 가부장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으로서 인정받고, 남성과 동일한 정치교육을 받게 되었다. 또한 명분상으로나마 사회진출의 폭도 넓게 인정되었다. 이것은 여성들의 인식에도 일정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참 여가 가능하게 되자 여성들은 미약하나마 정치활동을 시작했다. 또한 경제 및 노동시장 진입의 폭을 넓히기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이후 여성의 정치, 경제적 지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Joseon was under militaristic autocracy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the U.S. military government’) wanted to transform the political system of Joseon to transplant capitalism and 'American democracy' and establish a pro-American government. Therefore, the U.S.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establish a new government in Joseon by holding a general election. And women were given suffrage and were recognized as civil citizens like men. As women became eligible for suffrage, the status and role of women, and the status of families and countries also changed.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entered the country after liberation in 1945, granted women suffrage and provided civil education. Public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was not separate from Japanese textbooks for men and women. This was a reflection of the sense that both men and women should receive general civil education. Therefore, women were also emphasized thei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as 'civil citizens'. Political education and democratic education were also essential for women because the public should play a political role through suffrage. However, the 'fundamental' role of women was not far removed from the present condition of husband support and child care.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said that there should be no obstacles to women's advance into society in any field on the surface. But they, too, perceived women's mission as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and raising children.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government at that time recognized women as citizens of one person, not assistants of men, and expressed that no discrimination should be made in w omen's activities in any field. On the other hand, both men and women in the government's establishment recognized ideal 'female citizens' as being more thoughtful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than individuals and as a sacrificial present.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s perception of the role of 'civilian women'. Men were very negative about women's political and social advancement. She also showed negative attitudes toward women's suffrage and participation in politics. By comparison, women expected to expand their political presence based on suffrage and participate in a wider range of social activities. They also hoped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conomic and labor sectors as well as in politics. Women believed that women's education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skills needed for this. It was also believed that these activities would enable women to have equal skills as men and achiev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politics, socie ty, and economy. The role of women in government-establishment was based on patriarchal awareness, such as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as citizens and received the same political education as men. In addition, the scope of social advancement was widely recognized for justification. This seems to have brought about a certain change in women's perceptions. When political participation became possible, women began political activities even if they were weak. It also recognized the need for education to expand the scope of entry into the economic and labor markets. This i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aise women's political and economic status.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공민(公民) 개념의 비교 연구

        정상호 ( Sang Ho Jeong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2 동북아연구 Vol.27 No.1

        공민의 개념 연구는 체제와 발전경로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의 근대화 과정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혀줄 수 있다. 남북한, 중국과 일본 모두에서 공민이라는 개념은 근대화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아직까지도 주요한 법적 용어이거나 생활어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공민 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는 거시적으로는 동아시아 국가의 역동적 근대화 과정과 상호 연관성을 잘 보여주는 귀중한 실례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민 개념이 서구에서도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로 경쟁적 개념의 생성과 소멸을 보여주는 희귀한 사례임을 보여주었다. 한국에서는 민주화의 이행과 공고화를 거치면서 공민이라는 단어는 시민이라는 개념으로 흡수 통합되어 사라질 상황에 이르렀다. 한편, 북한과 일본에서 공민은 현재까지 부단히 번성하여 온 법적, 제도적 개념이다.한편, 중국에서 공민은 지배적 지위를 상실한 것은 아니지만 개방 및 경제성장의 속도에 상응해 시민 개념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공민 개념의 소멸과 지속을 가져온 원인으로 권위주의 국가와 민주화 운동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주목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s of public citizen of South and North Korea, China, and Japa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ncepts of public citizen could elucidates universality and speciality of modernization in East Asia states which are very different in the regime and developmental process. In Korea, the concepts of public citizen has been absorbed into the concept of citizen through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of democratization. By contrast, the concepts of public citizen in North Korea and Japan have an abundance of use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n the one hand, the concept in China has been faced to the challenge of citizen concept caused by laisser faire and economic growth. This study close attention to dynamic interaction between authoritarian states and democratization which made creation and extinction of concepts of public citizen.

      • KCI등재
      • KCI등재

        미군정기 국정 공민교과서의 성격과 집필진의 구성

        김동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4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한마디로 ‘미국식 민주교육제도’를 남한에 실시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미군정의 정책 의도는 남한을 공산주의에 대한 방벽(bulwark)으로 만들고 자본주의 세계시장에 편입시킬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미국은 한국인에게 장기적인 정치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미군정은 한국교육의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하여 朝鮮敎育審議會(위원 100여명)를 설치하였다. 본 위원회에서는 ‘홍익인간’의 이념을 한국교육의 기본이념으로 교육법에 명시하였다. 이 이념은 교육현장에서 일제 잔재의 청산, 평화와 질서 유지, 새나라 민주시민 육성으로 구체화되어 교과편제 및 시간배당과 교수요목에 나타났다. 이러한 미군정의 교육정책의 목적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과목이 바로 사회생활과이며, 그중에서도 公民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군정은 공민교과서에서 민족주의를 배제하고,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반공주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의 의도와 달리, 공민교과서의 내용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영국식 의원내각제 옹호, 무조건적인 자본주의 배격, 국가주의적 민족주의가 강조되었다. 이것은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에 깊은 영향을 끼친 편수관과 편찬위원들 때문이었다. 공민교과서 편수책임자인 최재희는 최현배에 의해 추천되었다. 그는 자유주의를 강조하고, 공산주의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인식을 같이하였다. 그러나 그는 화랑도 및 민족을 우선시하고, 당시 풍미하던 듀이의 실용주의 교육관에 반대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생각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었다. 국정공민교과서의 편찬위원들은 미군정 학무국장 고문이었던 김성수와 관련이 있다. 이들은 보성전문의 교직원이었다. 또한 정열모, 현상윤, 장덕수는 모두 早稻田大學에서 수학하여 학맥으로도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이 편찬위원이 된 것은 김성수와의 인연이 작용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군정은 조선어학회에 국어교과서와 공민교과서의 편찬을 의뢰하였다. 심지어 당시 편수국장도 조선어학회의 주요인물인 최현배였다. 편찬위원들도 대체로 조선어학회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조선어학회는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었던 대종교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안호상과 정열모, 백낙준 같은 편찬위원들은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민족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인보다도 민족과 국가의 안위를 우선시하였다. 이들에게 있어서 뛰어난 인물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었다. 이처럼 공민교과서는 미군정의 의도대로 편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이 가능했던 것은 미군정이 교과서 출판과 편찬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 취했기 때문이다. 미군정의 교육 이념에 적합한 교과서 제도는 원칙적으로 자유발행제였다. 게다가 유능한 교과서 저술 인력은 트럭운전사보다 적은 임금을 받으면서 미군정에서 일하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군정은 필요한 만큼의 직원을 확보할 수 없었고, 교과서 편찬과 배부도 심각하게 지연되었다. 이런 현실적인 원인들도 미군정이 교과서 편찬기준을 엄격하게 할 수 없는 요인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군정기 공민교과서는 편수관과 편찬위원 그리고 조선어학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공민교과서를 통해 의원내각제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정치를 소개하였다. ...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short, to carry out an “American-style democratic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o make South Korea a bulwark against communism,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incorporating South Korea into the capitalist world market.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that Koreans needed long-term politic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U.S.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the Korean Education Council (approximately 100 members) to prepare a blueprint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committee, the philosophy of ' Hongik-Ingan’' was specified in the Education Act as the basic philosophy for ​​Korean education. This philosophy wa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mposition, the time allocation and syllabus, pursuing the settlement of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maintenance of peace and order, and the cultivation of democratic citizens. One of the subjects that can best reveal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he social sciences subject, particularly the civic educ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emphasize “American democracy,” capitalism and anti-communism in the civic textbooks, without cultivating nationalism. However, unlike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content of the civic textbooks emphasized the support of the British parliamentary system, unconditional rejection of capitalism, and statism- based nationalism under the philosophy of Hongik-Ingan. This was due to the compilation editor and Compilation Board members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ompil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Jae-Hee Choi, the head on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civic textbooks, was recommended by Hyun-Bae Choi. Jae-Hee Choi emphasized liberalism and criticized communism, sharing common political views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However, Choi saw differently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with regards to the concept of Hwangryangdo, which prioritized the people first, and his opposition to the pragmatic educational philosophy of Dewey.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had much to do with Sung-Soo Kim, who was the academics adviser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y were staff members of Bosung College. In addition, Yeol-Mo Jeong, Sang-Yoon Hyun, and Duk-Su Jang had all studied at Waseda University. Therefore, it seems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Sung-Soo Kim helped them to be on the Compilation Board. On the other h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mmissioned the compilation of Korean textbooks and civic textbooks to Joseoneohakho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Even at that time, the head of Chief Compilation Editor was Hyun-Bae Choi, a major figure in Joseoneohakhoe. The Compilation Board was also deeply involved with Joseoneohakhoe. Joseoneohakhoe was associated with Daejonggyo, which had a strong nationalistic color. Therefore, the Compilation Board including Ho-Sang Ahn, Yeol-Mo Jeong, and Nak-Jun Baek emphasized the excellence of Korea and ethnic-centered education. In addition, the state and national security was given priority over the individual. As such, the civic textbooks were not compil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Nonetheless, publishing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U.S. military took a flexible attitude toward textbook publication and compilation. The textbook syste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principle, a self-regulated publication system. Moreover, competent textbook writers were not willing to work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o received less wages than truck drivers. As a result,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unable to secure the necessary staff, and textbook compilation and distribution was seriously delayed. These also made it impossible for the U...

      • KCI등재

        교수요목기 중등학교 공민교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성격

        김동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8

        교수요목기 중등학교 공민교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성격 김동선 해방이후 진주한 미군정에게는 남한에서 친미세력을 키우고, 민주주의를 이식시킬 도구가 필요했다. 이런 까닭으로 그들은 교과교육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어 전면적인 교과과정 개혁을 시도하게 되었다. 이로써 등장한 교과목이 통합교과의 성격을 갖는 사회생활과였다. 중등교육의 공민과는 사회생활과에 포함되어 있었다. 교수요목기에 사용되던 공민과 교수요목은 1948년 12월에 발간된 것이지만, 미군정기에 이미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시기의 교수요목은 대체로 콜로라도 주 교수요목의 영향을 받았지만, 개인보다는 公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일제강점기 공민과 교수요목의 영향도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미군정기 작성된 교수요목은 보건과 장애, 노동과 소작의 문제 등에서 콜로라도 교수요목과 다른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보건과 장애항목에서 콜로라도 교수요목은 공동체와 국가의 역할과 임무를 강조하고, 장애인에 대한 복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반면, 미군정의 교수요목에는 국가의 책임이나 임무로 다루기보다 개인의 역할을 가르치는데 치우쳤다. 일제강점기의 연장선상으로 마약의 해악과 치료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콜로라도 교수요목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노동조합과 노동자의 권리, 소작의 폐해와 해결방안, 농민의 생산물에 대한 대가에 관한 내용들은 미군정의 그것에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미군정의 입장과 공민과 교수요목의 내용이 완전히 부합하지 않았던 것에는 몇 가지 까닭이 있다. 가장 근본적인 것은 미군정과 미국인 교육고문관들의 공산주의에 대한 시각문제였다. 조선 교육문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미국인 고문들 중에는 선교사나 그 2세가 상당수 있다. 이들은 모두 공산주의에 강한 경계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 내 기독교 세력들과 가까웠으며,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이었다. 미국인 교육고문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던 언더우드 역시 공산주의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미군정이 교육 관료로 삼은 조선인들은 국내에 기반을 가진 지주계층에 속한 기독교인들이 많았다. 조선인 관료들은 조선의 민족주의를 강조했고, 국가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경제적으로는 소작 및 노동문제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노동운동 및 농민운동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미군정은 조선인의 민족주의 강화나 국가주의를 경계하였지만, 좌익세력을 막고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들의 협조가 필요했다. 미군정은 민주주의 및 자본주의 확산과 공산주의 배제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이들의 의견을 수용하였다. 교수요목기 공민과 교수요목은 개인의 삶을 다루었지만, 개인은 公에 우선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 시기 공민교과에서 기르고자 했던 공민은 민주주의 국가의 개개의 ‘시민’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보다는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새로 세울 국가와 민족에 충성을 다하고, 발전시킬 ‘국민’이라고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s in Secondary Schools during Syllabus Period Kim, Dong-su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o had stationed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needed a tool to promote U.S.-friendly power group and transplant democracy in South Korea. For these reasons, the Government become interested in subject education and attempted full-scale curriculum reform. As a result, the subject that had emerged during the reform was Social Studies with the character of integrated subject. The public citizenship course in the secondary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Social Studies. Although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had been published in December 1948, the syllabus seems to have already been written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The syllabus during this period had been influenced mainly by the syllabus in the State of Colorado, U.S.A., while the propensity to focus on publicness rather than individuals suggests the influence by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the syllabus written during the U.S. Army Government period shows a different view from the one in the State of Colorado in terms of the matters such as health, disability, labor and tenant farming. In the category of public health and disabilities, the syllabus in the State of Colorado emphasized the role and mission of the community and the state, focusing on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syllabu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more inclined to teach the role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role and mission of the state. The emphasis of the syllabus was on the harm and treatment of drugs along the same lin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yllabu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did not include the trade union and workers 'rights, the harms and remedies of tenant farming, and the price of the farmers' products, which had been important in the Colorado syllabus.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 posi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content of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did not completely match. Most fundamental was a matter of the view on communism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U.S. education advisors. There were many missionaries and their second generations among American advisers wh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Joseon education system. All of them had a strong sense of security regarding communism. Most of them were close to the Christians in Joseon, and politically conservative. Underwood, who had been the most influential American educational advisor, was also negative about communism. Many of the Koreans who served as the educational bureaucrat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ere Christians who had belonged to the landlord class. The Korean bureaucrats emphasized the Joseon nationalism and had nationalistic tendencies. Economically, they had been closely related to tenant farming and labor issues. Thus, those bureaucrats were negative about the labor movement and the peasant movement. Alth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concerned about the Korean nationalism or statism, the Government needed cooperation of the bureaucrats in order to prevent the rise of leftists` power and maintain the status quo. The U.S. Military Government accepted their views within the frame where the proliferation of democracy and capitalism and the exclusion of communism had been maintained.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during the Syllabus Period dealt with the life of individuals, prioritizing the publicness to individuals.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public citizens who had been described in the public citizenship course during this Period as ‘democratic citizens’ in the democratic countries. Rather than assuming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regard the public citizens as ‘national citizens’ who would develo...

      • KCI등재

        북한 헌법상 집단주의 원칙 ― 공민의 권리와 의무의 기초 ―

        박서화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normative meaning of Article 63 of the Socialist Constitution of the DPRK, according to which “In the DPRK the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are based on the collectivist principle, ‘One for all and all for one’”. It will help understand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fundamental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The thought of collectivism, presented as a program of communist education at the end of the 1950s, became a systemic moral principle. Thereafter it went through a two-pronged process of constitutionalization and theorization, with the latter within the framework of Juche. The constitutional collectivist principle, as basis of the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finds its manifestations in some concrete duties of citizens, while defining the content or the mode of exercise of a right of citizens. With this, it is understood to assume the role of aligning those rights and duties with the nature of socialist society and realizing the latter in the social life of citizens. 본 연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공민의 권리와 의무는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라는 집단주의원칙에 기초한다”는 북한 헌법 제63조의 규범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공민의 기본적 권리와 의무의 성격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집단주의 사상은 1950년대 말 사상교양의 내용으로 제시되어, 점차 도덕적 원칙으로 체계화되었다. 이후 그것은 1970년대 이후 헌법에 의해 확인되고, 주체사상의 체계 안에서 ‘집단주의적 생명관’으로 고도화되었다. 헌법상 집단주의 원칙의 내용도 결국 ‘집단의 이익이나 생명이 개인의 이익이나 생명보다 중요하다’는 집단주의 사상의 일반적 내용과 무관하지 않다. 헌법상 집단주의 원칙은 공민의 권리와 의무의 기초로서 그 내용과 행사방법을 규정한다. 이는 집단주의 원칙이 공민의 개별적 의무들로 구체화되는 한편, 공민의 권리의 내용과 행사방법의 범위를 설정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집단주의 원칙은 공민의 권리와 의무를 사회주의 사회의 본성에 정렬하고 이를 공민의 사회생활에 구현하는 역할을 요구받는다.

      • KCI등재

        영화 『12공민(十二公民)』을 통해 본 법치 중국 상상

        권도경 한국중어중문학회 2022 中語中文學 Vol.- No.89

        중국이 ‘의법치국(依法治國)’이라는 기치 아래 법치 사회 건설을 주요한 국정 방침으로 삼은 이후, 중국의 사법기관은 법제를 정비하는 한편, 여러 방법을 통해 대중들에게 법치의 우수성과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본고는 영화 <12공민(十二公民)>(2015)을 통해 중국이 어떠한 법치 사회를 상상하고 있는지, 또한 법치 사회의 구성원인 공민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고 그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모의 배심제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본 영화는 계층, 지역, 직업, 나이가 다른 12명의 인물이 함께 모여 살인 사건에 대해 토론을 벌이는 것을 기본 줄거리로 삼고 있는데, 이 토론 과정에서 지역 및 세대 갈등, 편견과 혐오가 해소되면서 모든 인물이 화해의 장으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중국의 법치 사회가 화해(和諧) 사회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론의 핵심 역할을 하는 배심원 8호의 신분이 검사라는 점과 그의 정의로운 형상을 통해 법치 중국이 강조하는 요소인 덕치(德治)에 대한 묘사도 확인할 수 있었다. 12명의 인물들은 토론을 끝으로 법치 사회의 주인공인 공민으로 불릴 수 있게 되는데, 이는 관객들에게 공민 의식을 함양하면 누구나 공민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