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도시 도로변 쓰레기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정환도 ( Hoando Jo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이번 연구는 대도시 시내버스 정류장에 대한 쓰레기 발생 특성 혹은 무단으로 버려지는 쓰레기에 대한 모니터링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는 판단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도로변 쓰레기통의 설치 유무에 따라 쓰레기 발생량 및 배출특성은 다를 것이다. 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도시에서는 도로변 쓰레기통이 있는 도시와 없는 도시로 구분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대도시/버스정류장/쓰레기통/무탄투척쓰레기/공간적특성이라는 핵심어에서 시작하고, 대전시 시내버스 정류장에 대한 무단으로 버려지는 쓰레기에 대하여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유동인구가 비교적 많고 젊은이가 많이 모여드는 쇼핑가 지역인 의능정이거리와 롯데백화점 등의 버스정류장에서는 1일 연속조사 및 주1회 조사에서 1회용 종이컵 및 플라스틱컵, 그리고 생수병 등이 특별하게 많이 배출되지는 않는 것으로 모니터링 되었다. 대학교 및 중고등학교의 버스정류장에서는 유동인구 및 활발한 대학교 앞 상가건물 등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도 1회성 쓰레기 발생빈도는 낮은 것으로 모니터링 되었다. 주택가 및 공원녹지, 그리고 관공서가 있는 버스정류장에서도 무단으로 배출되는 1회용 종이컵과 플라스틱컵, 생수병 등의 발생빈도도 낮은 것으로 모니터링 되었다. 결국, 버스정류장에서 버려지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종이컵과 생수병 등의 재활용가능쓰레기는 장소와 주변 환경과 특성 등에 크게 상관없이 발생빈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버스정류장 쓰레기통의 유무에 따라 대형 비종량비닐봉투 등은 무단투척되는 배출특성이 있는 것으로 모니터링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버스정류장의 공간적 특성과 주변환경 등은 무단투척쓰레기의 발생량과는 많은 상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통의 유무는 무단투척되는 쓰레기 발생량과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버스정류장에 대한 시민들의 편의성을 고려한다면 버스정류장내에 새로운 형식의 1회용 쓰레기에 대한 재활용쓰레기통 설치도 필요하지만, 도로변 특성과 주변 환경과의 사회적 특성 등을 고려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전시내 버스정류장에 무단투척 되는 쓰레기에 대하여 매년 조사 혹은 경년조사 등 장기적 모니터링 연구를 통하여 기초자료 축적 및 도로변 환경변화에 따른 쓰레기통 설치에 대한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공주 지역 전설의 지리적 특성 분석

        이간용(Khan-yong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2

        본 연구는 공주 지역 전설의 지리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공주의 전설은 지역적으로는 洞지역 및 북서부 지역에 다양한 전설이 다수 분포하였다. 소재 면에서는 자연 소재의 경우 바위, 산지, 池沼 등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고, 산지에서 평지로 가면서 봉우리 및 고개 전설, 바위 전설, 池沼 전설의 분포가 증가하는 공간적 특성을 보였다. 인문 소재의 경우 마을, 인물, 총묘 등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고, 곡저부엔 지명 전설, 읍내엔 인물 전설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공간적 특성을 보였다. 주제 면에서는 윤리적 권고와 지명을 다루는 전설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산지에서 평지로 가면서 효 전설, 지명 유래 전설, 권선징악 전설의 빈도가 증가하는 공간적 특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전설의 소재 및 주제와 환경 간 모종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전설 소재지는 거의 공통적으로 顯出性, 陰濕性, 그리고 路邊性이라는 장소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legends in Gongju. The legends distribute prevailingly in northwest region of Gongju. The natural materials of Gongju legends are a rocks, a mountains, and a ponds in order of proportion. The human materials of Gongju legends are a origins of place names, a historical figures, and a tombs in order of rate. There are many a mountaintop legends in a mountain region, a hill pass legends and a rock legends in a hill region, and a pond legends in a plain region. There are many a legends of place name in a valley region, a legends of historical figures in a town region. So the legends in Gongju have close relations with the environment. The leitmotifs of Gongju legends are a reward virtue and punish vice, a filial duty, and a place-name origin. The Gongju legend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attracting attention, shady and damp, and roadside places.

      • 성폭력 범죄발생 지역ㆍ공간 특성 분석

        박준휘(Park Jun Hwi),김도우(Kim Do Woo),정진성(Chung Jin Sung) 한국셉테드학회 2015 한국셉테드학회지 Vol.6 No.1

        공간적 범죄연구는 범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소(place)’의 특성이 어떻게 분포하고 특정 장소에 노출된 사람들에 의해 발생하는 범죄수준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셉테드(CPTED) 연구의 일환으로 공간분석이 진행되었으며 특히 성폭력 범죄에 대한 공간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하지만 초기 성폭력 범죄의 공간분석은 범죄발생과 공간특성과의 관련성을 논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으나, 분석단위가 개인수준에 한정되어 있어서 보편적으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성폭력 범죄에 대한 분석단위를 공간으로 설정하고, 범죄발생의 시공간적인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발적 범행특성을 가지고 있는 성폭력 범죄일지라도 일정의 시ㆍ공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간적 특성으로는 성폭력이 주로 일몰이후 심야시간대에 발생한다는 것이며, 공간적 특성은 가해자 및 피해자의 거주지와 업무지가 동일하지 않지만 가해자에게 어느 정도 친숙한 상업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는 셉테드 원리 중에서 자연적 감시가 미약한 지역(시야확보가 되지 않고 인적이 드문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특징과 상대적으로 유지관리가 잘 되지 않는 지역에서 주로 성폭력이 발생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 밖에도 주거시설에 비해 상업시설과 도로 및 교통시설이 장소에서 발생위험이 높았고, 실내에 비해 차량, 전동차안, 택시, 지하철 역사 안과 같이 이동용 수단이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장소가 상대적으로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Research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rime concerns distributions of traits of places which can influence criminal incidents, and it explains differential level of crime committed by criminals who are exposed to particular places. In South Korea, spati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since late 1980s, particularly includ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xual offense. Although early studies of spatial analysis for sexual offense examined an association between criminal incid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not generalizable due to unit of analysis that was limited to individual. To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previous research, the current study examined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of criminal incidents by setting the unit of analysis as space. Results show that criminal incidents hav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even though sexual offense is considered to be accidental. For temporal traits, sexual offense generally occurred at late night. For spatial traits, sexual offense commonly occurred in commercial area where offenders are familiar with, rather than residential area or workplace of offender or victim. It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al of CPTED in which criminal incidents are frequent in the area where is weak in natural surveillance (i.e., visually hidden areas). Also, commercial or public transportation has higher risk of incident compared to residential areas, being in transportation vehicle or facility (i.e., car, train, tax, subway station) is relatively less riskier than indoor.

      • KCI등재

        하이데거의 거주의미를 담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오상은 ( Sangeun O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건축이란 무엇인가’의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정신과 건축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아래 대답되어질 수 있으나, ‘건축이 갖는 본래적 의미가 무엇인가’의 질문에서는 ‘인간이 거주하는 공간’이라는 것에 이견이 있을 수는 없겠다. 그러나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그렇다면 ‘인간의 거주는 무엇이며, 또한 거주를 어떻게 건축적으로 구체화하는 가.’에 관한 질문일 것이다. 거주(dwelling)의 의미는 단지 일정한 지역에 머물러 산다는 의미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삶과 세계와의 관계’라는 실존적 의미가 담겨있다.“거주가 없다.”고 말하는 시대적 상황아래 진정한 거주의미를 담은 공간적 특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을 더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하이데거의 거주의미를 통해 거주에서 나타는 공간적 특성을 살핌으로서 일상의 삶에서 인간의 거주를 더욱 발현시키는 건축적 공간이 무엇인지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하이데거는 인간의 삶을 현상적으로 해석하여 거주의 본래적 의미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거주의미를 공간적으로 해석해보도록 한다. 또한 “건축 그 자체가 아니라 자신의 확장”이라는 실존적 의미를 건축공간에 담아 일생을 설계해온 루이스 칸의 건축 작품을 통해 거주를 고양하는 건축공간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결과) 건축공간에 실존적 의미를 담아 설계해간 루이스칸의 건축 작품을 분석해보니 거주의미를 통해 추출된 공간적 특성과 맞닿아있었다. 에워싸고 열린 부분의 ‘방’은 다른‘방’, 또는 전체로서의 건축과 상대화되고, 경계공간은 타자와 외부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되었으며, 마지막으로 건축공간의 통일된 요소로서 계획된 사물은 인간이 건축공간과 교감되도록 표현되었다. (결론) 거주하는 인간은 세계와의 관계아래자신을 인식하고, 타인과 주변세계를 의미 있는 관계로 형성해 가며, 궁극적으로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살아간다. ‘거주하기와 짓기’가 동일하다는 하이데거의 말은 실존이 공간적이라는 의미로서, 이는 거주가 공간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말한다. 거주하는 인간은 자신을 에워싸면서도 열린 공간, 즉 외부세계에 열리면서도 인간의 삶을 안정적으로 에워싸는 공간에서 살아가고자한다. 타자를 수용하며 주변세계를 유입시키는 공간이 필요하며, 그리고 인간이 참여되고 교감되는 장소와 동일화된다. 루이스 칸이 제시한‘방’은 인간과의 교감 속에서 실재한다. ‘삶에서의 인간의 바람’이 물리적, 현상적으로 구체화된 루이스 칸의 건축공간인‘방’을 인간의 거주를 고양하는 장소로서 살펴볼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question of “What is architecture?” can be answered from various viewpoints, seeing the spirit of the times and architecture.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question of ‘What is the authenticity of architecture?” can be distinctly answered as “the space of human dwelling.” Now and then, we ought to think about and focus on the question “What is a human dwelling, and how we can architecturally build?” Dwelling has a meaning of not only of living in a fixed area, but also has an existential meaning in the relation between human existence and the world, in the circumstance insisting that there is no dwelling in modern times. The study of what spatial characteristics express the authentic meaning of dwelling shows the necessity of this subject.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what the architectural space encouraging human dwelling in our everyday life means by study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welling meaning from Heidegger’s viewpoint. (Method) Heidegger explained the authenticity of dwelling through the phenomenal interpretation of human life. I try to extract the spatial characteristic from the structure of human existence, interpreted from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Furthermore, I demonstrate examples of architectural space expressing dwelling through the architectural works of Louis I. Kahn, who worked for putting existential meaning in architectural space. (Results)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Louis I. Kahn say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is architectural space meet the spatial characteristic which is extracted from the meaning of “dwelling.” The “room” which is enclosed and open is relative with the other “rooms” or architecture itself. The space of the threshold is materialized to accommodate others or the outside world positively. And the ‘thing’ is an element which is very carefully planned for human beings to commune with site, human’s behavior, and architectural space. (Conclusions) Humans recognizes themselves under their relation with the world, building with others and his surrounding life a meaningful relation, and eventually lives expressing his life. Heidegger’s saying, “Dwelling same as Building.” means that the existential is spatial. It says that a dwelling should be interpreted to spatially. The “room” of Louis I. Kahn exists in communion with human’s desire and wish. The ‘room’s relativity, reciprocality, and expressivity shows human being’s wish to interpret architectural space into common sense. That’s why the “room” that is materialized physically and phenomenally is called “a place of human’s mind” by Louis I. Kahn. It is also a place encouraging human dwelling.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의 지역적 특성이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

        진장익(Jin, Jang Ik),이슬기(Lee, Seul Gi),김재승(Kim, Jae Seung),김정우(Kim, Jeong Woo) 한국부동산원 2018 부동산분석 Vol.4 No.1

        그동안 정부는 저소득층의 주거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해왔다. 하지만, 공공임대주택 정책은 양적확대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이나 공간적 특성이 크게 고려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공간적 특성이 거주민들의 주거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다층모형을 활용해, 서울시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공간적 특성은 공공임대주택 거주민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도시공원, 복지시설, 시장, 은행 등의 기반시설의 유무가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대기오염이나 유해시설은 주거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특성의 영향정도는 공공임대주택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공공임대주택을 계획하고 건설할 때 주거환경이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공공임대주택의 유형에 따라 거주자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유형에 따른 환경계획이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public rental housings to solve the problem of affordable housing shortage for low-income households. However, the relevant policy, which has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has failed to carefully consid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rental housing. In this study, we sought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rental housing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its residents. To do so, we conducted research on public rental housing across Seoul, using a multi-level model based on the data of Seoul Public Rental Housing Panel Survey in 2016. Our findings show that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housing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ts residents. For example, urban parks, welfare facilities, markets, and bank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dents’ satisfaction, while air pollution and harmful facilities are negatively related to residents’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he influence of spatial characteristic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when planning and constructing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future, its residential environment or spatial characteristics will need to be considered. In particular, different environment plans need to be applied to public rental housing of different types because residents’ characteristics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 KCI등재

        자살자의 거주지 유형에 따른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김영욱(Kim, Young-Ook),김주영(Kim, Joo-Yo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1

        우리나라 자살률은 15년 동안 OECD 국가 중에 1위로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자살문제는 인간의 행태와 정신건강, 사회적 관계 등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자살영향요인이 주거환경의 공간적 특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가정한다. 그 동안 자살관련 연구는 사회ㆍ경제적 영향요인 분석에 집중하고 있으며, 공간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자살자가 거주했던 주거공간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거주지 유형을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타 주거유형으로 나누고, 자살자 거주지 유형별로 자살률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 기준은 자살률, 거주지의 배치패턴에 의한 이웃 주민과의 연계성, 커뮤니티 시설 분포에 따른 공적 공간의 특성, 공간구조상의 위계성 등이다. 분석 결과,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공간은 연립주택이며 그 다음으로 기타 주거유형, 단독주택, 아파트 순이다. 자살률이 높은 공간일수록 이웃 간의 연계성, 교류성, 접근성 등의 공간적 특성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자살문제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처음으로 접근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에 자살문제를 감소하는 주거지역을 계획하거나 주거지 재생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uicide rate of Korea is the highest in the OECD. The problem results from complex issues such as mental health, poverty and social relationships. It is supposed that these factors of suicide are closely related to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previous studies approach suicide from the social and economic aspects but not from spatial aspec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suicides lived. We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rat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by housing type. The criteria of analysis is suicide rates, connectivity between the neighbours, securement of urban public space as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spatial hierarc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highest housing type in suicide rate is ‘row house’. The next highest housing type is of which are located in non-residential area, and followed by ‘detached house’, and ‘apartment complex’. It is concluded that the higher suicide rates are, the poorer spatial characteristic in terms of connectivity, community facilities, public spaces and accessi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hat investigated suicid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 KCI등재

        에두아도 소우토 디 모우라의 주거 프로젝트에서 나타난 본질적 공간적 특성

        김자영 ( Jayoung Eunice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2011년 플리츠커 상 (Pritzker Prize)을 수상한 에두아도 소우토 디 모우라 (Eduardo Souto de Moura)는 1980년부터 포르투갈에서 활동한 건축가이다. 그의 초기 작품은 알바로 시자 (Alvaro Siza)에 명성에 의해 많은 관심을 못 받았지만, 2000년 경 부터 소우토 디 모우라는 자신만의 특유한 건축적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소우토 디 모우라의 1980년 중반부터 진행된 주거 프로젝트에서 발견 된 반복되는 특성을 분석하여 그의 강력한 건축 언어 및 공간적 효과를 도출하는데 목표를 둔다. (연구방법) 첫째, 제 2 장에서는 사례 분석에 앞서 소우토 디 모우라의 배경과 건축 철학을 살펴본다. 제 3 장에서는 1985년부터 2014 년까지의 다양한 주거 프로젝트 중 설계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을 위해 다양성을 요약하고 분석 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대지와의 관계 및 빛의 유입 기준에 따라 6 개의 사례 프로젝트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6 가지 사례 프로젝트는 초기 요약에서 발견 된 세 유형의 서로 다른 사이트 응용 방법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다음 장에서는 이전 장에서 발견 된 결과를 요약하고, 소우토 디 모우라의 주거 프로젝트의 본질적인 공간적 특성과 이러한 특성의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결론지을 것이다. 소우토 디 모우라는 이러한 디자인 특성을 서명적인 제스처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건축적 기본 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 모든 프로젝트에는 '하나의 열린 앞면이 있는 3 개의 빈 벽'이 포함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프로그래밍 방식의 배치 측면에서 엄격한 규칙이 존재하고, 이러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집은 대지과 특별한 물리적인 관계를 맺는다. 소우토 디 모우라의 집에서 흔히 볼 수있는 빛의 효과는, 창문이 대부분1면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따라서 빛은 한쪽에서 유입되고 반대쪽 끝은 점차 어두워짐이 발견되었다. 경우에 따라 어두운 서비스 구역의 복도에는 작은 개구부 또는 천창이 있다. 그러나 '경계벽'이 있는 집에 빛을 유입하는 방법이 다소 간접적이다. 빛은 흰벽에서 반사된 것처럼 보이므로 실내는 다른 집보다 비교적 어둡고 정갈한 공간분위기를 조성한다. (결론) 다양한 소우토 디 모우라의 주거 프로젝트를 분석함으로써 몇 가지 고유 한 특성이 발견되었다. 첫째로, 가장 명백한 것은 열린 정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 된 생활공간과 함께 '하나의 열린 정면을 가진 3 개의 빈 벽'이다. 둘째로, 건축물에 의해 생성 된 Enclosure와 관련하여 주택과 대지에 설치되는 방식의 결과는 그의 공간에서 빛의 영향으로 향상된 독특한 공간적 분위기를 제공한다. 이 연구를 통해 에두아도 소우토 디 모우라는 화려한 건축양식보다 시적이고 친밀한 해석을 추구하는 공간적 특성에 대한 표현을 추구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소우토 디 모우라 건축물과 생활에 대한 정확한 틀로 간주하므로 화려한 건축 표현을 채택 할 필요가 거의 없다는 것도 발견할 수 있었고 이것이 그의 작품이 프리츠 커 상 (Pritzker awards)에 의해 인정 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판단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ritzker Prize winner of 2011, Eduardo Souto de Moura is an architect who has been practising since 1980, based in Portugal. Although his work had been overshadowed by Alvaro Siza during the earlier part of his career, Souto de Moura has shown an interesting development particularly since around 2000.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recurring characteristics found in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from the late 1990s. The powerful architectural language of Souto de Moura will be illustrated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site and the spatial effect. (Method) Based on the definition of Eduardo Souto de Moura’s architectural philosophy in Chapter 2, Chapter 3 will illustrate an overview of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from 1985 to 2014. From the general overview, some recurring ye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were found which were further analyzed through six case projects in Chapter 4. Six projects were selected as cases to illustrate the three types of site applications and their consequent effect of light. The following chapter is a short summary of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that were foun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found in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is the ‘three blank walls with one open front’. In terms of the programmatic arrangement, there is a strict order and any one given room rarely has more than one open front. As the rooms are arranged in a row, the light is introduced from one side and gradually darker on the opposite end. In the case of the house within a ‘boundary wall’, the light is refracted and amplified by the whiteness of the walls which make the interior dimmer and subdued than other house type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a variety of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some intrins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ly, the most apparent is the ‘three blank wall with one open front’ composition with the living spac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open front. Secondly, the result of how the house sits on the site in connection with the enclosure produced by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ovides a unique spatial atmosphere, enhanced by the effect of light in his houses.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intrinsic spatial characteristics in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and the meaning of these characteristics. Souto de Moura seems to repeatedly use these design characteristics not only as a signatory gesture but also as a continuous exploration into the fundamentals of architecture.

      • KCI등재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살인사건 영향요인 분석

        이수창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는 도시 공간적 특성에서 살인사건의 발생 원인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에 살인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적 특성요인으로 주택 유형, 인종적 이질성, 거주 불안정성, 인구 과밀화, 상업지역, 청소년과 성인 초기 그리 고 노인 인구비율을 선정하였다. 분석자료는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6년 국가통계포털, 17개 광역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공간오차모형(SEM)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한 결 과, 주택 유형 중 아파트, 인종적 이질성, 거주 불안정성, 인구 과밀화는 유의수준 0.01에서 그리고 주택 유형 중 다세대 주택은 유의수준 0.1에서 살인사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적 특성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주택 유 형 중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상업지역, 거주민의 특성인 청소년과 성인 초기 그리고 노인 인구비율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비해 확장된 연구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살 인사건의 원인에 관한 이해와 설명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 향후 살인사건의 발생 원인을 사회행태적 측면과 사회구 조적 측면을 결합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적지 않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ities on homicide based on spatial econometric model. It selects housing types, racial heterogeneity, residential instability, overcrowding, commercial area, rate of 15 to 29 ages, and rate of the elderly as variable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cities. This study employs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pplying the spatial error model to analyze the data from 229 locals collect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Statistical Year Book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it shows that homicide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apartment and multi-housing as housing types, racial heterogeneity, residential instability, and overcrowding, but not with the commercial area, rate of 15 to 29 ages, and rate of the elderly. The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n the causes of homicide focusing on social-structure approach for criminology by analyzing a more advanced model in applying variables than one of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suggests follow-up research on homicide based on both social-behavior approach and social-structure approach in the near future for the development of criminological theory.

      • 패션 제조업과 판매업의 분포 특성

        유지연(Jiyeon Yoo),이금숙(Keumsook Lee)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013 應用地理 Vol.-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산업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 패션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추세와 분포양상을 파악하고, 패션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상반되는 성장추세를 나타내는 패션제조업과 패션판매업의 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한다. 특히 Moran I와 LISA를 적용하여 이들의 분포에 나타나는 공간적 자기상관 여부를 밝히고 공간적 군집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패션산업은 전체적으로는 수도권에 강한 집중을 보이지만, 수도권 내에서 패션제조업과 패션 판매업의 분포양상이 크게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수도권지역에서 일반적인 제조업은 서울시를 제외한 외곽지역에 집적을 보이는데 반하여 패션제조업은 서울시 내부에 큰 군집을 이루며 집중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패션판매업은 서울시 내부의 극히 일부지역에서 집중을 보일 뿐 수도권 전역에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수도권 패션산업 공간적 군집에 작용하는 지리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짓모형(Logit model)을 적용한 결과 지역의 도매 및 소매업의 분포가 패션제조업과 패션판매업의 클러스터 형성에 영향을 주며, 특히 패션제조업의 클러스터는 지역의 금융 및 보험, 부동산업 및 임대업과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의 분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dustries. In first, we review the growth trend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fashion industries in Korea, and then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manufacturing and sa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spite of the strong concentration of fashion industries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there is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parts of fashion industries and sales. By applying Moran I and LISA, we examine the spatial autocorrelation levels and their cluster patterns of the fashion manufacturing and fashion sales respectively. Fashion manufacturing is agglomerated in the central part of Seoul city. while manufacturing in general is agglomerated in the outskir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contrast to fashion manufacturing, fashion sales are distributed relatively uniformly. We developed Logit models to identify the geographical variables for the agglomeration of fashion industries. Results show that the retail and whole sale industries are related with the clusters of fashion sales as well as fashion manufacturing, while FIRE industries are related with the clusters of fashion manufacturing.

      • KCI등재

        19세기 경기지역 부농주거의 공간적 특성에 나타난 근대적 경향에 관한 연구

        박형진 ( Hyung Jin Park ),이종석 ( Jong Su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조선 후기의 사회적 혼란을 틈타 성장한 부농계층의 주거는 민가를 바탕으로 상류계층의 주거문화를 흡수하는 특성을 보임으로써 전통주거의 자생적 근대화의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후기 부농주거의 공간적 특성을 통해 근대화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19세기에 건립된 경기지역 부농주거의 안채와 바깥채를 중심으로 한 마당의 규모와 역할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19세기 경기지역 부농주거의 공간적 특성에 나타난 근대적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농주거에는 경제적 규모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장하면서도 집중화하는 근대적 특성이 나타난다. 둘째, 당시의 부농주거는 안마당을 중심으로 가족 중심의 공간적 특성이 나타난다. 이는 남녀 공간이 분리된 전통주거가 실생활에서의 합리적 요구에 따라 변용되면서 나타나는 근대적 현상이다. 셋째, 농경생활에 바탕을 한 부농주거는 경제적, 실용적 방향으로 근대화하면서도 유교적 조영원리를 토대로 한 상류계층의 주거를 지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Wealthy Farmhouses emerged during confusing times in later Chosun Dynasty, based on a traditional vernacular house has a trait absorbing the residence of the upper class. So they has significance in view of self-motivated modernization of a traditional reside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thoughout the spacial characteristic of wealthy houses in later Chosun Dynasty. For this, researcher analyse size and function of ‘An-chae’, ‘Bakat-chae’ and ‘Madang’ of wealthy houses in Gyong-gi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With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of the spacial characteristic of wealthy farmhouses in Gyong-gi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First, wealthy farmhouses have the modernization property of spacial expansion and concentration economically to accommodate economic size. Second, they have a family-centered spacial characteristic around a courtyard. That is modernized phenomenon that traditional residence are changed as rational demand in real life. Third, their houses based on farming modernize economically and practically and they aim for the upper class residence based on Confusion building princi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