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분석 경향에 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는 공간을 해석하는 범위와 방법의 확장성을 가져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각도의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념에 의한 형태론, 행태에 의한 현상론 등 정성적 해석에 의한 기존의 공간분석은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물리적 형태에 대한 사회학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공간구문론은 많은 연구들에 유의미하게 활용되어지고 있지만 단위공간의 관계성 외 공간의 의미와 현상에 대한 포괄적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다양한 방법론적 데이터들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활용 현황과 향후 개선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선행연구의 영역, 분야, 시간적 특성 등 연구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후 새로운 분석체계로 재검증하여 그에 대한 원인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통제변수, 매개변수, 독립변수, 종속변수로 분류하고 변수 영역별 공간분석 키워드(위계성 정립)를 도출하여 기호화한 변수영역별 기호체계(SSV: System of Symbol Variable)를 마련한다. 이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의 영역별 특성과 경향을 통시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로 분석하였다. 키워드로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여 RISS, 국회도서관을 통해 검색된 371개의 학위 논문 중 제목, 목차, 요약의 내용에 키워드가 직접 언급된 68개의 국내 박사학위 논문을 연구의 대상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전체 대상의 발표 시기를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결과)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구는 공간의 시대적 변화와 특정 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전기와 후기로 분류한 결과 연구의 경향 및 특성에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SSV로 분석한 결과 전기에는 공간구문론만을 활용하여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경향과 특정 대상의 공간을 분석하는 연구경향이 균등한 비율로 나타난 반면 후기에는 타 이론과 병합되어 특정 대상의 공간만을 분석하는 경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기의 연구는 공간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기의 연구는 공간과 인식, 행태, 현상 등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었다. 이는 일반적 경향 분석에 대한 원인적 근거이며 공간 구문론의 한계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결론)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공간분석방법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나 현대에는 가시영역이론, VAE, ERAM, 등 다양한 이론들과의 병합으로 공간 구문론의 단점을 보완한 공간분석의 방법론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복합공간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전된 연구모형의 변화와 요인의 다양성, 변수간의 종속성에 의한 다중적 회귀 분석으로 좀 더 신뢰도의 발전을 가져와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변수영역별 기호체계를 통한 분석으로 선행연구의 경향을 객관적 수치로 검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the spatial recognition have led to the scalability of the scope and method of interpreting space. Existing spatial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morphology by concept and phenomenology by behavior, provides the first step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ological relations to physical forms with the emergence of space syntax. Space syntax theory has been significantly used in many studies, bu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phenomenon of space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nalysis of methodological data of space syntax theory. (Method) After analyzing the general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and its re-validation using a new analysis system, the causes and reasons for it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ontent, the space analysis keyword was derived to prepare the system of symbol (SSV: System of Symbol Variable). Previous research has analyzed the diachronic trend in quantitative terms by using SSV. When space syntax theory was used as a keyword, a total of 68 domestic doctoral dissertations among 371 theses searched via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set as the target scope of the study. (Results) The study using space syntax theory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of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pac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m into those belonging to the former and latter perio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As to the SSV analysis results, in the former perio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an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were found in equal proportions using only space syntax theory. However, in the latter period, the tendency to analyze only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ories was predominant. In addition, former studies focused only on the space itself, while the studies from the later period mainly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ce and perception, behavior, and phenomena. (Conclusions) After the appearance of space syntax theory, the methodological domain of space analysis in modern times has been expanded to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space syntax theory by merging it with various theories such as visual domain theory, VAE, and ERAM. To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complex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should be improv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hanges in the research model, diversity of factors, and interdependency among the variabl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was verified by objective figures through analysis using the preference system for each group of variables.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공간 분석

        김예람,채정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며 전시공간이 늘어나는 요즘, 전시공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전시공간의 정량적 분석에 있으며, 나아가 직관적인 학예사의 전시계획과 공간이 갖는 정량적인 수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전시계획에서의 기준점이나 참고사항을 제시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한슨과 힐리어의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전시공간의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값으로는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사적 전개가 필요한 국내 전시공간인 <국립민속박물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대상으로 공간구문론 분석을 시도한다.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평면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을 적용한 정량적인 공간 분석을 한 후 실제 전시공간과 비교하여 전시 내러티브의 흐름과 공간구조가 일치하는지, 전시 콘텐츠의 배치가 적절한지에 대해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전시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려 시도한다.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을 공간구문론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 개의 전시실 모두 전시 후반부의 한 단위공간에서 연결도가 가장 높고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통점이 있었다. 각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하였을 때 1전시실은 배치의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었으며, 2전시실은 동선의 유도가 필요한 구역이 있었다. 3전시실은 전시물의 배치와 동선이 적절하여 관람에 어려움이 없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시대의 흐름에 따른 전시계획으로 인해 전시공간 전반적으로 연결도가 낮았으며, 국립민속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을 한 결과 1,2,3전시실의 경우 전시실의 주제와 통합도가 높은 공간이 일치하여 관람객 입장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기 수월하였다. 반면 4전시실의 경우 다른 전시실보다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통합도가 높은 공간에서 5개 이상의 산만한 콘텐츠가 배치되어 시정이 필요해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 분석 결과로 나타나는 정량적 계수를 참고하여 박물관 전시공간의 현황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분석 관점을 모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가 혼란스럽지 않게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전시구조와 전시내용의 짜임에 연결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전시공간은 초기의 계획과 설치도 중요하지만, 사후검증이 더해져서 연구자들의 제안점을 부분수정으로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면 상설전시가 일반적인 박물관의 전시능력을 높여 더욱 더 향상된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light of increased demand for culture and the bourgeoning number of exhibitio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museum' exhibition spaces.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analyze the space syntax of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Further, its ultimate goal is to present evaluation or reference points for future exhibition plans by comparing curators’ intuitive exhibition plans with quantitative measures of spac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xhibition spaces at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anson and Hillier’s space syntax theory. Some of the values that can be obtained using space syntax theory are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Result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patial syntax of the National Folk Museum, all three exhibition rooms had the highest connection and the highest degree of integration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This was also true of one unit space at the end of the exhibition. Wh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state of each exhibition room, the first exhibition room needed to change its layout, and the second exhibition room had areas requiring circulation guidance. The third exhibition room had no issues,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s circulation were correc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exhibition space’s overall level of connection was low. This is due to the exhibition’s planning, along with contemporary trends at the time of completion. The integration value of the exhibition’s middle section was high, just like the National Folk Museum.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exhibition room stat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hibition spaces complemented the exhibition room, and had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This made it easier for visitors to receive information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exhibition room, over five contents were scattered in an otherwise highly integrated space. This was true even though it was smaller than other exhibition rooms, a fact which seemed to require correc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appl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tical perspectiv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exhibition space in museums. I accomplished this by referring to quantitative coefficients resulting from an analysis of space syntax. While early planning and installation of exhibition space is important, I think long-term exhibitions can provide even better displays by enhancing the capacity of a typical historical museum. This is especially true if post-verification is added, and partial modifications can be improved.

      • KCI등재

        가시성 그래프를 이용한 생성형 AI의 평면도 이미지 분석

        허신재,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AI image generation engines a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at automatically generate various images based on inputs such as text or sketches. This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in recent years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utilizing or referencing AI-generated images in design, advertising, games, and art.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potential problems and limitations when AI-generated images are implemented in reality. Therefore, to practically utilize AI-generated image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evaluate and verify their u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architectural floor plans created by AI image generation engines from a space syntax perspective. (Method) This study analysed floor plans generated from images using generative AI, especially DALL·E 3, were reconstructed into floor plans and compared and analyzed using depthmapX software based on space syntax. Use relevant kewords based on prior research on spatial syntax as prompt to link with image-generative AI. Visibility Graph Analysis (VGA) was then conducted on the generated images, and spatial syntax values were analyz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the spaces. (Results) The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AI-generated spatial images provided a floor plan feel similar to the given standard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 values when compared to the reference points. This demonstrates that AI did not perfectly reflect the user's intentions, demonstrat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in linking of the structural elements of AI-generated spaces to the actual environmental design.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ed limitations in that the prompts used during the research may not have full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space and that the blueprint representation of the AI-generated images was not clear, allowing room for subjective interpretation. (Conclusion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generative AI has the potential to be utilised in real-world spatial design. However, the current level of technology revealed inadequacies in fully reflecting user intentions and replacing the meticulous perspective and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signers.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algorithms that can more accurately reflect user intentions and details,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y. Moreover, for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AI-generated spatial structures into actual design, research and improvements in the interaction methods between designers and AI are crucial. While generative AI holds the potential to bring innovation to the field of space design, realizing this potential requires further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human-machine interaction. (연구배경 및 목적) AI 이미지 생성 엔진은 텍스트나 스케치와 같은 입력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이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른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디자인 광고 게임, 예술 등에서 AI가 생성한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참고하는 등 건축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AI가 생성한 이미지가 실제로 구현될 때 어떤 문제점이나 한계점이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AI가 생성한 이미지를 건축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AI가 생성한 이미지의 활용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검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AI 이미지 생성 엔진을 통해 만들어진 건축 평면도의 공간적 특성과 품질을 공간구문론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 특히 DALL·E 3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평면도로 재구성하고, 이를 공간구문론을 기반으로 하는 depthmapX 프로그램을 사용해 기준점과 비교 분석하였다. 공간구문론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관련 중심단어를 설정하여 이미지 생성형 AI와 연동시킬 프롬프트(Prompt)로 설정한다. 이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공간구문론의 가시성 그래프 분석(VGA:Visibility Graph Analysis)을 실시하고, 도출된 공간구문적 특성값을 분석하여 공간의 특성과 품질에 대해 평가하고 비교한다. (결과) 이를 통해 인공지능이 창출한 공간 구조의 특성을 탐구하였다. 결과적으로, AI에 의해 생성된 공간 이미지는 제시된 기준과 유사한 평면도의 느낌을 제공하였으나, 세부적으로 기준점과의 공간 특성 수치에서 기준점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AI가 사용자 의도를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며, AI 생성 공간의 구조적 요소들이 실제 환경 설계와 연계되는 데 기술적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사용된 프롬프트가 기준 공간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과 AI 생성 이미지의 도면 표현이 명확하지 않아 주관적 해석의 여지가 있었다는 한계점이 드러났다. (결론) 이는 생성형 AI가 실제 공간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현재 기술 수준에서는 사용자 의도를 완전히 반영하고, 전문적인 설계자의 세심한 관점과 경험을 대체하기에는 미흡함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의도와 세부 사항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AI가 생성한 공간 구조를 실제 설계에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발전뿐만 아니라 설계자와 AI 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연구와 개선이 중요하다. 생성형 AI는 공간 설계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발전과 인간-기계 상호작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이해가 요구된다.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고속도로 휴게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지만,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과거와 현재의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간변화에 대한 분석방법으로 형태, 면적, 공간프로그램 등의 분석을 통한 계획학적 접근법과 공간인식, 라이프스타일 등 사회, 문화적 요인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한 주관적 접근법 사용된다. 주관적 접근법은 개인의 공간인식 경향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기에 변화의 객관적 근거로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단위공간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여 대상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특성을 정량적 수치로 나타내는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적 변화와 요인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공간인식 변화에 따른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특성별 재 분류 및 공간프로그램의 형태적 변화를 분석한다. 둘째, 공간구문론 분석을 진행하여 공간의 관계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수치를 도출한다. 셋째, 공간의 형태와 관계성 변화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변화의 형태와 요인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한다. 연구의 범위는 초창기 1973년에 개설된 진영휴게소와 중반기 2004년에 개설된 문경휴게소(마산방향), 최근 2018년도에 재건축된 문경휴게소(양평방향)의 내부공간을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의 결과 필요공간은 초창기의 진영휴게소가 위상학적 중심성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충분공간의 경우 최근의 문경휴게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상학적 중심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계획학적 분석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며, 초창기 공간계획이 주변 공간으로의 다양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단순하게 형성된 반면 최근의 공간계획은 다양한 공간의 형성과 함께 깊고, 복잡화 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의의) 최근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변화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함과 동시에 효율적이면서도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여기는 현대인의 공간인식 변화를 반영한 결과임을 계획학적 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변화와 요인을 정량적 수치의 변화를 통해 객관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ighway rest areas, but research on spatial changes in highway rest areas is insufficient. It is used as a subjective approach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planning approach, space perception, and lifestyle by analyzing form, area, space program, etc. as an analysis method for space change. The subjective approach has limitations in presenting as an objective basis because it can be derived with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individual's space recogn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present spatial changes and factors of highway rest areas though the analysis of space syntax which shows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s quantitative figures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unit space. (Method) First, it analyzes the classification of spaces in highway rest areas according to changes in space perception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space programs. Second, it derives quantitative figures for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space syntax. Finally, it present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shape and factor of the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pe of the space and the relational change. The scope of the study was to set the interior space of the Jinyoung Rest Area which opened in early 1973, the Munkyeong Rest Area (masan-direction) which opened in the middle of 2004, and the Mungyeong Rest Area (yangpyeong-direction) which was reconstructed in 2018.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quired space was found to have strong topological centrality in the early Jinyoung Rest Area, whereas in the case of sufficient space, it was found that the recent Mungyeong Rest Area showed relatively high topological centrality. This is the same result as that of the planned analysis, and the recent space plan in highway rest area was found to be profound and complicated with the formation of various spaces while the initial space plan was simply formed based on various connections to the surrounding space.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syntax theory along with the plann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cent changes in the space of highway rest areas is a result of reflecting changes in space recognition of modern people who reflect various needs of users according to lifestyle changes and at the same time is effective and important for personal privacy. These results can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pace changes in future highway rest are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space changes and factors of highway rest areas were objectively presented through the quantitative numerical changes.

      • 도시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기법의 적용 -공간구문론과 사회연결망 이론을 중심으로-

        조형규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5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10 No.1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various spatial variables in social network analysis to space analysis tools such as Space Syntax and ERAM model. This study is based on the Space Syntax and to apply the social network indicators of network analysis for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In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spatial network model to Gold Coast city at Australia. 공간의 네트워크 구조를 해석하는 것은 실제 건축 및 도시공간이 지니고 있는 잠재성을 기술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을 기반으로 하여 도시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 기법 중 사회연결망 지표들을 적용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공간구문론을 포함한 폭넓은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정리하고, 이를 실제 도시 공간에 적용을 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공간구조의 파악이 쉽지 않은 골드코스트시를 대상으로 삼아 축선도를 작성하고 공간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공간구문론 지표 및 사회연결망 지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각각의 지표들이 지니는 도시 공간 속의 함의를 도출하고 도시공간구조 분석 시 적용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역전시회 레이아웃 공간 유형화에 관한 기초 연구

        구미정,이현수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1

        무역전시회는 실체적인 공간에서 개최된다는 점이다. 전시주최자는 사람과 사람 간의 만남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이게 기획해야 한다. 환경심리학에 따르면 공간은 사람의 인지, 인식, 행위에 영향을 주는 큰 요인이다. 따라서 공간설계에 따라 전시공간이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관계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실제 무역전시회 레이아웃 분석을 통해 국내 전시공간이 어떤 위계성, 가시성을 가지는지를 분석하여 공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기초가 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여 위해 공간구문론이라는 방법론을 차용하고자 한다. 이에 먼저 공간구문론을 바탕으로 연구된 박물관, 미술관, 쇼핑몰 등의 타공간 연구자료를 살펴보고 국내 전시회 레이아웃을 수집하여 분석에 적용해보기로 한다. 공간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간을 유형화하고 주최자의 기획의도를 바탕으로 공간을 해석하고자 한다. 무역전시회 공간의 가시성 분석결과 수직형, 수평형, 교차형, 교차점형, 탈중심형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전시주최자 기획의도에 따라 다시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기획의도에 따라서는 이동동선형, 부스유형형, 부스배정형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에 따라서 가시성이 다른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동동선형은 이동동선에 가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스유형형, 부스배정형은 대형부스 주변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장관찰과 병행하여야만 더욱 정확한 분석결과가 나타나는 한계를 가지지만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전시회 참가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시공간의 설계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문제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al space of trade show layouts with space syntax metho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regarding to the space syntax researches, the trade show layouts are converted to depthmap tool version and expressed with VGA analysis and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exhibition organizers’floorplanning intentions. The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5 types of centricity of visual integration and in the 3 types of spaces so-called traffic lines, booth types and booth allocation with organizers’intentions. Traffic lines type is shown by the intention for the consideration of visitors’ movement and the main traffic path is coloured in red. In the booth type’s type, the exhibition organizers are considering the 2-sided open type booth important, therefore the visibility of trade show layouts are shown as blue. Through the intention, so many traffic lines are occurred and it make the visitors to lost their ways. The last type is called as booth allocation. In the trade show floorplanning process, the layouts may be fixed at the just after the collection the exhibitors. In this case, organizers tend to allocate the large scale booth the first and it shows the high visual intensity around the large booth.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nterests in the importance of trade show space.

      • KCI등재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한 공공건물 내부 길 찾기 용이성 연구 - 중국 내 공공 도서관을 중심으로 -

        장윤호,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Since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profoundly impacted the domains of spatial digitization and spatial cognition.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public buildings and libraries, wher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in emergency evacuations play a critical role. Although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libraries in the world, their evacuation structures'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reflected, leading to fire safety issu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of Chinese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lens of Space Syntax theory, based on the principles of wayfinding behavior. Moreover, by comparing libraries from different construction period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patial functionality and wayfinding convenience of public libraries over time. (Method)The study organized the concepts of relevant variables and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and prior research. Furthermore, based on the standards of first-class libraries in China, Dongguan Library in Guangdong Province, Jinling Library, Nanjing Library, Dongtai Library, and Shanghai Librar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Space Syntax analysis. The data obtained through DepthMapX and VGA method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vealing the impact of spatial structure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on wayfinding behavior in public libraries. (Results)The elements of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as ease-of-wayfinding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spaces. Analysis of cases over time showed that public libraries built after 2010, compared to those built before 2010,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This suggests easier wayfinding and enhanced spatial understanding. Spaces with specific functions such as children's areas, disabled loan rooms, and comprehensive service desks on the ground floor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However, spaces with relatively fixed functions like public e-reading rooms, study areas, book and magazine lending zones, and offic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se aspects. (Conclusion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spatial digitization by capturing the data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spaces and providing quantitative public space data for design methods influenced by data technology. Additionally, to enhance wayfinding convenience in public library spaces, it aims to identify core elements applicable as design factors in public libraries and proposes guidelines for wayfinding convenience. This meaningful attempt is hop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future data-driven design support in public building wayfinding convenience. (연구 배경 및 목적) 21세기를 맞아 빅 데이터(Big Data),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정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공간 데이터화와 공간 인식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공공건물, 공공도서관에서는 비상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대피에 관한 공간의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은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에는 세계 최다수의 공공도서관이 존재하지만 대피구조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어 소방안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해 길 찾기 행동 이론에 기반 한 중국 공공 도서관의 공간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건설 시기에 따른 비교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과 길 찾기의 용이성에 대한 시기별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중국공공 도서관에 대한 중국1급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광둥성(廣東省), 장쑤성(江蘇省), 상하이시(上海市) 세 지역의 동관(東莞)도서관, 금릉(金陵)도서관, 난징(南京)도서관, 동대(東台)도서관 및 상하이(上海)도서관동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공간 구문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DepthMapX와 VGA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 대해 SPSS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길 찾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라는 길 찾기 용이성의 요소는 공공 도서관의 공간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순서로 사례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 지어진 공공도서관의 경우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도서관에 비해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에 있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길 찾기가 더욱 용이해진 것을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정 기능을 가진 공간인 어린이, 장애인용 대출실, 종합 서비스 데스크가 위치한 1층 공간은 구조의 명료도와 시각적 접근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공공 전자 열람실, 자습실, 도서, 잡지 대여구역 및 업무 사무실 등 상대적으로 고정된 기능을 가진 공간은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공간 데이터화에 대응하여 공공도서관 공간의 데이터 특성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술로 인해 변화하는 설계 방법에 대하여 정량화된 공공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또한, 공공도서관 공간에서 길 찾기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공공도서관 설계 요소로 적용될 수 있는 핵심적 요소를 파악하여 길 찾기 용이성에 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의미 있는 시도는 향후 데이터화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공공건물의 길 찾기 용이성 설계에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사회학적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공은미(Kong, Eun-Mi),김영욱(Kim, Young-Ook)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환경의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 공간구조의 시대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사회학적 변화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특성과 변화를 고려한 주거단지 외부공간 계획의 방향성 및 디자인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사회ㆍ문화ㆍ경제적 측면에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변화 원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와 같이 분석한 결과, 공간의 변화가 있었던 시점에는 사회 환경 변화의 영향 요소가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는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단지 계획 시 사회적인 변화와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한 외부 공간 요소의 배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함과 동시에 새로운 주거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문화를 위하여 아파트 단지 외부 공간 계획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공간과 사회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environment transformation on the outdoor space of Public housing apartment complex.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nfiguration in Korea’s apartment complex. Detailed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elicit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Space Syntax was adopted to analyze spatial properties in apartment complex. Then these two variables were analyzed to see the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on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outdoor space. We could find the evidence to explain the transform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reflect social changes and consumer desires spatial layout of the complex has been changed. Dramatic change was happened in 2000s by the trends stressing the impotance of revival of community and outdoor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hange and spatial properties are related each other, thus we have to be keen to provide healthy outdoor space considering society.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천안시 성환읍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황의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의 공간구조는 단순히 기능적 환경의 집합이 아닌 역사와 문화, 사회경제적 배경을 유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앞으로의 개발 방향과 재생전략의 수립을 위한 중요한 근거이다. 현재, 지방소멸이 도시 정책적으로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를 만큼 우리나라의 지방 소도시들은 다양한 쇠퇴 양상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의 개선을 위해 사회경제적 접근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천안시 서북구 최북단에 있는 성환읍 성환리 일대를 대상지로 한다. 대상지는 영남과 호남으로 향하는 역사적 육로교통의 요충지이며 지역 상권의 중심지로 약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화 시장 등 풍부한 지역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원의 재생을 위한 활용과 지속성의 유지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지가 가진 공간구조의 변화와 현황을 문헌 및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해 조사·분석하여 지역이 가진 공간적 잠재성과 한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재생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1) 문헌조사를 통해 대상지의 사회경제적 현황과 가로망의 형성과정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구조의 특징을 고찰한다. 2) 공간 구문론(Space Syntax) 분석을 통해 여러 변수를 도출하고, 각 지표값을 바탕으로 공간을 해석한다. 3) 이러한 두 단계를 통해 나타난 각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대상지의 공간구조적인 특성을 도출한다. 4)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공간구조적 한계, 지역재생을 위한 시사점을 정리하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확장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본 연구의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의 공간구조는 전체적인 통합성이 매우 부족하며 분리가 심각한 상태이다. 둘째, 대상지 내 중심공간은 성환역과 성환 버스터미널이며 통합된 구조에서 중심을 이루기보단 분리된 형태에서 두 중심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대상지의 역사·문화적 중요공간인 이화 시장의 경우 성환 중앙로가 가진 위계의 변화에 따라 현재 공간의 중요성과 접근성, 영향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 대상지의 전체 공간구조는 공간의 명료도가 부족하여 공간의 인지와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결론) 대상지는 전체적으로 공간 구조상의 분리가 심각한 상태로 중심지 또한 분화된 상태이며, 이는 전체 공간에 대한 인지와 중심지의 활성화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볼 수 있다. 지역 지생의 방향이 지역의 주요공간인 이화 시장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뤄진다고 보았을 때 현재 공간구조 상 분리가 심각한 성환역 인근과 터미널 사이 공간의 개선이 필수적이며, 이는 지역의 통합도 향상과 이화 시장의 공간 중요성 및 접근성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공간구조분석에 의한 캠퍼스 구내 편의시설의 접근성 평가

        조은길(Cho, Eun-Kil),서현(Seo, Hyun),김선영(Kim, Sun-Young),김석태(Kim, Suk-Ta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2

        대학캠퍼스의 편의시설은 학생들과 교직원들의 복지증진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써, 학업이나 행정 등 교내 생활에서 필요한 행위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런 역할에도 불구하고 강의실이나 연구실 등의 공간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교내 활동들을 적절히 지원하기 위해서는 편의시설들의 위치가 이용자들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어야 하며, 이용자들이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캠퍼스 내 편의시설을 공간 구조적 측면에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여, 입지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 내 편의시설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 중에서 객관성이 입증된 공간구문론을 분석 기법으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의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캠퍼스의 축선도를 작성하고 S3 Axial Analyzer V2.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간 구조와 관련한 지표들을 산출하였다.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횟수와 공간구문론의 결과와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공간구조의 특성이 편의시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 번째, 대학캠퍼스 내 편의시설은 공간구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캠퍼스에서 편의시설의 위치는 이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 대학캠퍼스 내 편의시설의 이용도는 전체통합도 보다는 국부통합도, 통제도와 같은 국부적인 공간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공간구조의 명료도에 의해 편의시설의 위치에 따라 이용률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료도가 높은 대학캠퍼스의 경우에는 편의시설의 위치선정을 고려할 때 접근성이 좋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명료도가 낮은 대학캠퍼스의 경우에는 공간구조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편의시설을 쉽게 인지하기 위한 사인시스템의 적극적인 도입 등 추가적인 환경인지요소를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에서 편의시설을 계획할 때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university campuses are installed in order to promote the welfare of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hey contribute to support matters that are needed during school life such as studying or administration. In order to properly support school activities, it is necessary for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to become easily recognized by users. Regarding this, this research aims to implement a quantitative analysis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a university campus in a constructive aspect and to study its location pattern. For such evaluation towards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a campus, this research studied by utilizing a method to analyze spatial structure; the method was a space syntax of which objectivity had been proved. The axial map was established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measure spatial structure. The indexes related to spatial structure was calculated and determined through the use of the S3 Axial Analyzer V2.2 applic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to use public service facilities and the result of space syntax was studied and scrutinized. Based on these facts and data, it was analyz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a spatial structure affects the usage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The first point I would like to make is that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campuses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a spatial structure. Next, the availability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on a campus is affected by a local integration rather than a global one and a local spatial structure such as a control value. The next aspect is the utility rate and how it is affected by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due to the intelligibility of the spatial structure. On a campus with a low intelligibility, it is not affected by a characteristic of a spatial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