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향영화(Heimatfilm)에 대한 독일 Tübingen대학 민속학연구소의 연구 배경과 방법

        이상현(Lee, Sang-hyun)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독일의 고향영화의 역사와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고향영화란 고향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 다만 고향이란 실재의 공간이기보다는 고향을 떠난 사람 혹은 도시에 살고 있는 상상의 공간이며 고향영화란 이들의 상상을 확인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독일의 고향영화는 20세기 초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1950년대에는 천만 명 이상의 독일사람들이 관람한 고향영화가 있을 정도로 대중적 영화장르였다. 이에 대해서는 독일 학계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지 않았고 독일민속학계에서도 거의 연구되고 있지 않았다. 다만 EKW에서는 1950년대부터 고향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는 배경과 목적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또한 라디오 LP 등의 대중매체에 대해서도 연구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향영화에 대해서도 조사 연구를 하였다. 고향영화에 대한 EKW의 연구 대상과 방법으로는 영화 장르적 성격에 대한 분석보다는 민속 혹은 고향에 대한 대중매체의 보도 및 활용의 특징 그리고 관람객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Heimatfilm in Germany. Heimatfilm is a film about hometown. However, hometown is not a real space, but rather an imaginary space for people who have left their hometown or living in a city, and Heimatfilm performed the function of confirming their imagination. Germany’s Heimatfilm began to be produc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n the 1950s; it was a popular film genre that more than 10 million Germans watched Heimatfilm. It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German academic circles and hardly studied in the circle of German folklore studies. However, EKW research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forming the perception of hometown from the 1950s, also studied mass media such as radio and records, and investigated on Heimatfilm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s for the subject and method of EKW’s research on Heimatfilm,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coverage and utilization of folklore or hometow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rather than the analysis on the genre of the films.

      • KCI등재

        ‘고향’으로서의 북녘, 통일을 위한 정서적 유대 공간으로의 가능성

        박재인(Park, Jai I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1 No.-

        이 글은 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를 고려할 때 중요한 문제인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을 위하여 ‘고향으로서의 북녘’ 문제를 논하였다. ‘북’과 관련된 것에 대한 적대감이 북녘에 고향을 둔 이들에게 이산의 아픔을 가중하고 있는지를 탈북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남한사회의 북에 대한 적대감 내지 거부감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탈북민에게 질책과 비난으로 이어지기 쉬웠는데, 그러한 민낯의 감정들은 인터넷공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그리고 탈북민들의 망향의식은 탈북민이 주관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진솔한 마음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글은 인터넷공간을 중심으로 탈북민의 망향 의식을 둘러싼 양쪽의 솔직한 이야기를 살펴보면서 ‘고향’을 중심에 둔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에 대한 가능성을 논하였다. 2016년 탈북민 대상 설문조사 및 2012년에 일어난 탈북민 재입북 사건에 대한 인터넷 공간의 댓글은 남한주민들의 시선을 확인하게 하였다. ‘북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탈북민들의 의사는 곧 ‘기회주의자’, ‘간첩’ 등의 비난으로 이어졌으며, 일부 탈북민의 일탈행위는 탈북민 전체에 대한 평가로 확대되어 있었다. 이러한 평가에 대해 일부 탈북민들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마저 오해되는 상황에 억울함을 호소하였다.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둘러싼 논쟁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분단 트라우마의 단면이었다. 탈북민의 북한 지향성에 대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인간의 원초적 정서는 배제되어 있고, 곧 ‘재입북 의사’라고 단정하는 의혹의 시선만이 자리잡혀 있었던 것이다. 한편 탈북민들이 남한사회의 눈치를 보지 않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마음껏 표출할 수 있는 인터넷공간 속 탈북민의 망향의식은 일상적이고도 강렬했다. 탈북민들이 주관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일상 곳곳에서 자극되는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으로 넘쳐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 기억하는 고향은 이상화된 아름다움에만 그치지 않았다. 그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고향의 풍경은 북한의 어두운 면을 담은 장면들이었다. 이들이 떠올리는 고향의 풍경은 이상화된 고향이 아니라, 가난과 배고픔에 시달리는 어린 이들이나 척박한 환경과 고된 노동 현장의 장면들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리움과 결부된 정서에는 아픔과 죄의식이 있었다. 즉 탈북민들이 기억하고 그리워하는 고향의 풍경은 고향을 떠나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상기시키고 죄의식을 자극하는 장면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북녘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할 때이다. 남한사회에서 탈북민은 자유롭게 고향에 대한 애착과 아픔, 죄의식을 드러내기 어렵다. 그리고 여러 방면에서 이들의 ‘주체적 말하기’는 계속 위축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의 고향과 결부된 상처는 계속 가중된다. 그러한 점에서 탈북 민들의 인터넷 커뮤니티는 이들에게 ‘치유’의 역할을 하고 있는 ‘친밀권’으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치유의 기능이 지속되기 위해서 이들의 친밀권은 보다 공적인 영역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탈북민들의 망향의식에서 발견되는 이중적 장소애는 이 사회의 공동체로부터 공감과 긍정을 획득할 만한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북녘이라는 금기의 땅이 회복해야할 ‘코리언의 고향’으로 재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탈북민의 망향의식을 중심에 둔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은 그간 북에 고향을 두고 아파했던 실향민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연대를 통해 가능하며, 더 넓게 확대하면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고 낙후한 고향을 떠나온 중장년 세대의 공감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다. 즉 ‘떠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는 분명하지만 고향이기에 그리운 곳’이라는 탈북민의 망향의식은 코리언의 공적 기억으로서 정서적 통합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적 생존사회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 반성 - 고향상실의 철학

        조창오 ( Cho Chang-oh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9

        이 논문은 생존을 위해 혁신의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고향상실의 사태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사회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시도한다. 오뒤세우스는 귀향을 시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감각적 쾌락과 지식의 욕망, 즉 세계 지배의 욕망 때문에 계속적으로 귀향을 지연시킨다. 고향상실은 바로 세계 지배의 욕망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고, 귀향은 오로지 세계 지배 욕망의 절제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힌트리히스의 고향상실의 철학은 바로 이러한 측면을 철학적인 방식으로 밝혀준다. 고향상실과 귀향의 이러한 긴밀한 관계를 우리는 마르크바르트의 실존주의 철학을 통해 더욱 더 밝힐 수 있다. 이 실존주의에 따르면 인간의 실존적 사실은 느림과 빠름, 고향과 고향상실이라는 두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둘의 관계는 보상적이다. 느림은 빠름을 통해 보상되고, 빠름은 느림을 통해 보상된다. 인간은 이러한 두 요소의 상호 보상적 관계 속에서 실존한다. 우리는 욕망 실현을 위해 고향을 떠나야만 한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고향상실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견뎌낼 수 없다. 이러한 견딤은 오로지 떠나온 고향의 존재가 유지되는 한에서만 가능하다. 그리고 고향의 존재의 유지 또한 인간이 고향상실의 사태를 실현하는 한에서만 의미가 있다. 이러한 두 요소의 보상적 관계가 바로 인간의 실존을 구성한다. 하지만 실존은 생존과 구별되어야 한다. 생존만이 문제되는 곳에서는 실존에 대한 반성과 물음이 제기되지 않는다. 실존적 요소의 상호 보상적 관계는 오로지 실존물음이 제기된 이후에야 비로소 인식되고 실현된다. 실존물음은 생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이후에야 가능하다. 한국사회는 아직도 생존을 삶의 주요한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대로 된 실존물음이 제기되지 않는다. 생존이 유일한 과제로 설정된 사회에서는 실존의 두 요소 간의 상호 보상적 관계가 실현될 수가 없다. 생존만을 부르짖다 보니, 한국사회는 혁신과 성장, 빠름과 창의성만을 유일한 가치로 내세웠다. 혁신에서 늦는 자는 생존하지 못한다. 이러한 생존 위주의 사회에서 실존물음이 제기되려면 우선 우리는 안정된 고향의 존재를 의식해야만 한다. 하지만 물리적인 고향이 모두 파괴된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안전한 고향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상황에서 유일한 해결책은 우리가 고향을 새롭게 구성하고, 이를 고향이라 규정하고, 이를 보존하는 것을 시작하는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perfor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which maintains the situation of homelessness by overestimating aspects of innovation for survival. Odysseus seems to be attempting to return home, but continues to delay his return because of the desires of sensual pleasure and knowledge, the desire of domination of world. This homelessness is caused by the desire of world domination, and the return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abstinence of that world domination desire. The philosophy of homelessness of G. Hindrichs reveals this aspect in a philosophical way. Th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homelessness and homecoming can be further clarified through O. Marquard's existential philosophy. According to this existentialism, human existential facts consist of two aspects: slow and fast, home and homeless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compensative. The slowness is compensated for by the fast, and the fast is compensated for by the slowness. Human beings exist in mutually compensating relations of these two factors. We must leave home to realize our desires. However, humans cannot sustain the state of this homelessness continuously. Such enduring is only possible as long as the existence of the original home is maintained. And maintaining the existence of the home is only meaningful as long as the human realizes the situation of homelessness. The rewarding relationship of these two elements constitutes human existence. However, existence must be distinguished from survival. Where only survival is important, there is no reflection or question about existence. The mutually compensative relationship of existential factors is only recognized and realized after the existence question is raised. The existence question is only possible after the problem of survival has been resolved to some extent. Korean society still sets survival as a major challenge to life. In such a state, a true existence question is not raised. In a society where survival is the only task, mutual compens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elements of existence cannot be realized. As we cry out for survival, Korean society has established only innovation, growth, speed and creativity as unique values. Those who are late in innovation do not survive. In order for the existence question to be raised in such a survival-oriented society, we must first be conscious of the existence of a stable home. However, in the Korean society where all of the physical hometowns have been destroyed, this safe homeland does not exist. The only solution in this situation is to start our new homeland, define it as home, and preserve it.

      • KCI등재

        韓中 현대문학에 나타난 고향의식 비교 : 현진건과 魯迅, 정지용과 戴望舒를 중심으로

        李時活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1

        這篇文章以玄鎭健的短篇小說<故鄕>和魯迅的短篇小說<故鄕>, 鄭芝溶的詩<鄕愁>, <故鄕>以及?望舒的<樂園鳥>, <對於天的壞鄕病>爲對象, 比較考察了韓中現代文學所反映的故鄕意識. 韓國現代文學的開端和日帝對韓殖民地的開始大略一致. 所以在韓國現代文學中故鄕的失落感以及對國土淪喪後的感情同樣地體現在作品中. 因爲是在日帝統治下被迫喪失故鄕, 所以玄鎭健所描寫的故鄕客觀地反映出了那段歷史現實, 他的故鄕意識可以說是對民族意識的反映. 鄭芝溶有意識地追求表現現代, 但因爲受到社會矛盾和人性的異化以及殖民統治下的韓國現實的限制, 使得他還産生了與此矛盾的對封建農村共同體强烈懷念的感情. 在封建農村共同體不存在的那段現實裏, 他不斷探索和故鄕相同的某種空間, 所以, 他的故鄕意識可以說是流浪意識. 與此相反, 中國現代文學的開端和以科學和民主爲思想旗幟的所謂五四的反封建個性解放時期大略一致. 所以魯迅的故鄕象徵的침睡在封建迷夢中的整個中華民族的生存空間. 他期待的是一個象徵象徵水平秩序的現代現實, 這和那些尙침睡在垂直秩序的故鄕人類?然不同, 他在訣別故鄕時也沒有留下一點失落和遺憾, 反而感到愉悅. 所以魯迅的"故鄕"隱含着對現代自我的證明, 他的故鄕意識是對現代意識的反映. ?望舒也是在不斷地探索故鄕, 但他知道在現實中幷不存在. 把故鄕象徵爲天的?望舒所說的"歸鄕"意味着回歸到原型世界. 他的"原型"指的就是能安居樂業的故鄕, 美麗富饒的故鄕. 這種對回歸原型空間的回歸意識體現在他故鄕題材的作品裏, 是失去國家, 民族的現代韓國和國家, 民族奄存的現代中國的社會現實的不同導致的結果. 也算是韓中現代文學開端時期的一個差異.

      • KCI등재

        고향납세제도에 관한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에 대한 검토 - 고향납세대상단체로서의 지정거부처분을 중심으로 -

        황헌순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3 法과 政策 Vol.29 No.2

        Terms such as regional crisis and local extinction are no longer unfamiliar in our society. Accordingly, the current government’s 120 national tasks also include “preventing local extinction and strengthening the balanced development promotion system” under the “local era that is good to live anywhere in Korea.” From January 1, 2023, the “Hometown Love Donation Act” took effect. Donations through this law are intended to serve as an effective factor that can revitalize the depressed area based on the affection felt by people living outside their hometowns.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is similar to Japan’s hometown tax system, and Japan has introduced and operated this system since 2008. It can be said that the hometown love donation and hometown tax system in Korea and Japan are designed to solve the crisis in the provinces caused by the concentration and overcrowding of the population in certain areas such as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given that the Hometown Love Donation Act has been in effect since 2023, discussions have not yet emerged that specific problems should be solved.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Japan’s recent Supreme Court ruling, in which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was introduced earlier, to see what implications these discussions in Japan can have for Korea in the future. Based on this research purpose, we will examine the related contents based on the recent ruling of Japan’s Supreme Court. In Korea, attention is being paid to what role the hometown love donation will play in expanding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Like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of Japan examined in this article, overheating related to donations and returns may occur in Korea in the future, and a zero-sum game related to donations may occur, as mentioned in the supplementary opinion of this ruling.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such as the Hometown Love Don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purpose of the delegated regulations deviates from the scope of delegation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in the legal text or at least at the stage of legislative discussion. In addition, when looking at Article 15 of the current Hometown Love Donation Act as a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this ruling,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insufficient regulations on what coercion can be exercised to fulfill the demands if local governments do not comply with the recommendations of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this regard, it seems necessary to make a policy judgment on whether to prepare a separate system with coercion in the future. Also, for reference, a separate review is needed in the future regarding the area subject to the hometown love donation.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violations of the return provision regulations. It hopes that donations of love for hometow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local finance in the future, and that what we have seen in this ruling in such discussions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operation of the system. 우리 사회에서 지방의 위기 혹은 소멸과 같은 용어는 더 이상 생소하지 않다. 현 정부의 120대 국정과제에도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하에 ‘지방소멸방지, 균형발전 추진체계 강화’가 포함되어 있다. 2023년 1월 1일부터 「고향사랑 기부금에 관한 법률」(약칭: 고향사랑기부금법)이 시행되었다. 이 법을 통한 기부금은 고향을 떠나 외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애향심에 기반하여, 침체된 지역에 활력을 불러올 수 있는 효과적인 요소로 작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고향사랑 기부금제도는 일본의 고향납세제도와 유사하며, 일본은 이 제도를 2008년부터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의 고향사랑기부금 및 고향납세제도는 수도권 등 특정 지역으로의 인구집중 및 과밀화로 인해 발생하게 된 지방의 위기를 해결해 보고자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3년부터 고향사랑기부금법이 시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아직 특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논의는 크게 대두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고향사랑기부금제도가 우리나라보다 일찍 도입된 일본의 최근 최고재판소 판결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에서의 논의가 향후 우리나라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확충에 있어 고향사랑기부금이 어떠한 역할을 할지 향후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본 글에서 살펴본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기부금 및 이에 대한 답례품과 관련한 과열경쟁이 발생할 지도 모르며, 본 판결의 보충의견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기부금과 관련한 제로섬 게임이 초래될 수도 있다. 본 판결은 고향사랑기부금과 같은 새로운 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서, 위임받은 규정이 위임범위를 일탈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그 취지가 법률 문언 혹은 적어도 그 입법논의 단계에서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판결과의 비교법적 검토로서 현행 고향사랑기부금법 제15조를 함께 살펴볼 때,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안전부장관의 권고사항 등 요구를 따르지 않은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지방자치단체 간 기부금 수령에 대한 형평성을 도모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와 별도의 제도 마련에 대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참고로 고향사랑기부금의 대상이 되는 지역과 관련해서는 향후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답례품 제공규정의 위반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향후 지방재정에 있어 고향사랑기부금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을 기대하며, 그러한 논의에 있어서 본 판결에서 살펴본 내용 등이 해당 제도를 추후 운용해 감에 있어서 참고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문학 장르별 한국 문화교육 연구 -고향과 관련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김지안 ( Kim Ji An ),이정희 ( Lee Jung He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2

        고향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는 문학작품에 녹아들어 대를 이어 향유되고 있다. 한국어학습자들 또한 고향을 떠나 한국사회라는 타향에서의 삶을 살기에 고향에 대한 남다른 의미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학습자 자신을 비추어 볼 수 있기도 하며, 한국인들이 갖는 남다른 ‘고향’에 대한 정서를 여러 문학 장르의 문학작품을 통해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고자 한다. 본 고에서는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읽기 텍스트로서의 접근성과 언어 수준을 고려한 문장의 길이 그리고 내용 파악의 용이성을 염두에 두고 고향이라는 주제와 소재가 포함된 문화요소를 고려하여 단편소설, 수필, 현대시, 시조의 장르를 선정하였다. 소설에서는 고향 상실과 고향 회귀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 황석영의 ‘삼포로 가는 길’과 문순태의 ‘징 소리’를 선택하였다. 외지를 떠도는 주인공들에게 고향은 마음속에 담겨 있고, 돌아가고 싶은 곳으로 정착하고픈 곳이다. 수필에서는 수필가로 인지도가 있고, 내 고향에서 고향에 대한 애착을 잘 표현한 치옹 윤오영의 ‘내 고향’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연구 및 국어정책 발전에 힘썼으며, 월남 학자로서 고향에 대한 의식이 남달랐고, 고향과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도 강하게 나타난 해암 김형규의 ‘고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내 고향’에서는 고향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이 ‘고향’에서는 두고 온 고향과 홀로 계신 어머니를 생각하며 회한에 빠진 모습이 잘 나타난다. 시에서는 정지용의 ‘향수’와 이시영의 ‘마음의 고향6 초설’을 선택하였다. ‘향수’에서는 고향의 정경을 잘 묘사하고 있고,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고 있고, ‘내 마음의 고향’에서는 고향을 잃은 상실감과 그리움의 정서를 반어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시조에서는 고향에 대한 작품을 많이 남긴 백수 정완영의 ‘고향생각’과 초정 김상옥의 ‘사향’을 선택하였다. ‘고향생각’에서는 단지 태어나 자란 곳이 아닌 조상 곁으로 돌아가는 공간으로의 고향으로 그려지고 있다. ‘사향’에서는 고향을 떠나 일경의 추적을 피하면서도 고향에 대한 애틋한 생각을 담고 있다. 작품들에서 고향은 한국인들에게 고향은 자기가 태어난 곳을 넘어 자신의 뿌리가 되고 힘들 때 생각나고, 언젠가는 돌아가야 할 곳으로 생각하고 있다. 문학 장르별 문화 교육 방안으로 소설과 수필은 고향을 주제로 써보는 것을, 시와 시조에서는 모방시 짓기와 시조 창작 활용을 제시하였다. 고향이란 테마에 한국인의 효와 가족 사랑을 묶는다면 한국어 문화교육 현장에서 좋은 소재가 될 것이고, 한국의 문화를 교육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Koreans' emotions about their hometown have been melted into literary works and enjoyed for generations.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 also have a special meaning for their hometowns because they leave their hometowns and live in other regions of Korean society. Therefore, Korean learners themselves can be seen in light of themselves, and they intend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 Koreans through literary works of various literary genres. In this paper, short stories, essays, modern poems, and sijo genr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elements including the theme and subject of hometown, with Korean learners in mind of accessibility as reading texts, language level, and ease of identification. In the novel, Hwang Seok-young's "The Way to Sampo" and Moon Soon-tae's "Jingsori," which dealt with in-depth loss of hometown and return to hometown, were selected. For the protagonists wandering around the country, their hometown is contained in their hearts and they want to settle down as a place they want to return to. In his essay, he was recognized as an essayist, and he worked hard to study Korean history and develop Korean language policies as a representative Korean scholar in Korea, and discussed Haeam Kim Hyung-gyu's hometown, which showed a strong sense of longing for his hometown and mother. In My Hometown, attachment and pride to my hometown are well seen in regret, thinking about my hometown and my mother who is alone. The poem chose Jeong Ji-yong's "Nostalgia" and Lee Si-young's "Hometown of Heart 6." In "Nostalgia," the scenery of the hometown is well described, the longing for the hometown is expressed using a sensuous image, and in "Hometown of My Heart," the emotion of loss and longing for the loss of hometown is ironically emphasized. In the progenitor's book, Baeksu Jeong Wan-young's "Hometown Thoughts" and Chojeong Kim Sang-ok's "Sahyang" were chosen. In "Hometown Thinking," it is depicted as a hometown that goes back to the ancestor's side, not just a place where he was born and raised. ‘Sahyang’ contains affectionate thoughts about the hometown while avoiding the pursuit of Ilgyeong, leaving his hometown. In the works, I think of my hometown as a place for Koreans to go beyond where I was born, become my roots, think of when I have a hard time, and go back someday. As a cultural education plan for each literary genre, novels and essays were written on the theme of hometown, and poems and sijos suggested writing imitations and the use of sijo creation. If Koreans' filial piety and family love are tied to the theme of hometown, it will be a good material in th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field and help educate Korean culture.

      • KCI등재

        범주와 시각 및 입장으로서의 고향민속학

        안더밍(安德明),김호걸(번역자)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고향민속학(故鄕民俗學)은 고향 생활문화 전통의 관찰과 연구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 학술연구 경향에 대한 일종의 사실적 개괄이며, 새로운 학술사조의 관점에서 이러한 연구경향으로 인해 생기고 드러난 시각과 방법을 총괄하는 말이기도 하다. 바꾸어 말하면, 고향민속학 자체는 일종의 연구시각과 방법이고,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평등 교류, 상호 존중; 공감 이해, 이성 비판; 현재 지향-을 갖고 있다. 동시에 고향민속학은 동시에 일종의 입장 또는 태도이다. 이러한 태도는 비교적인 시각에 기초하며, 뚜렷한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상호주관성의 비교적 시각에서, 고향민속학자는 한편으로는 과거의 생활경험과 현재의 학술적 실천을 결합하여 역사와 현실의 복잡한 관계를 발견하고 드러낸다. 더 나아가서는 과거의 민속학이 추구했던 ‘뒤를 바라보는’ 문제와 한계를 반성하고, 민속학이 더욱 더 ‘앞을 바라보고’ 미래를 향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고향민속학은 타향(他鄕)과 타자(他者)의 대비 속에서 생겨난, 고향(故鄕)과 자아(自我)와 관련된 특수 연구 범주다. 따라서 연구자로 하여금 더욱더 자신에 입각하게 하고, 자신을 안다는 전제 하에 ‘나’의 ‘그’와의 왕래 과정에 있어서의 위치를 뚜렷하게 알게 하고, ‘나와 그’의 관계를 더욱 적절하고 전반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나아가 더 많은 ‘나’, ‘너’, ‘그’를 포함하며 미래를 향한 ‘우리’, 즉 인류의 운명공동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건설할 수 있게 한다. 고향민속학의 핵심 개념으로서의 ‘고향’이 포괄하는 범위의 신축성은 특히 더 이러한 목표의 달성에 가능성을 제공한다. Hometown Folkloristics is not only a factual summary of the academic research orient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research of the life culture tradition at homeplace, but also a conceptualization of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developed by this orientation. In other words, Hometown Folkloristics itself is a research perspective as well as a method, which contains the following outstanding characteristics: Equal exchange and mutual respect; understanding with empathy and critique with academic reason; concerns towards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the Hometown Folkloristics is also a stand or attitude, which, based on a comparative perspective, embodies distinct “intersexuality”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ersubjective comparison, on the one hand, the home folklorists may discover and reveal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reality by combining their past life experience and current academic practice, and then reflect on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retrospective orientation” of folklore study in the past, so as to promote the discipline to “look forward” to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as a special research category about “homeplace” and about “ourselves” emerged from the comparison of “I” and “He” (the other), it enables the researchers better base themselves on the premise of knowing themselves, and more clearly understand the position of “I”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He,” so 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He” more appropriately and comprehensively. It will thus benefit effectively forming a wide “Us” that covers more “I,” “You” and “He,” or, a Community with Shared Future for Mankind. The scalability in the scope of coverage of “home,” the core concept of the Hometown Folkloristics, especially provides a possibility for the achievement of this goal.

      • KCI등재

        고향세 논의 10여년 추적과 「고향사랑기부제」 법제화 이후의 과제

        염명배(Myung-Bae Yeom)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지난 10여년 동안 고향세(고향사랑기부제) 관련 학술적 논의와 법제화 노력이 진행되어 온 과정을 추적하는 동시에, 우리보다 고향세를 먼저 도입한 일본과 비교해서 우리 고향세제도의 문제점을 찾아내, 이를 바탕으로 고향사랑기부제 도입 이후의 단기 과제 및 중·장기 정책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우리나라에서 고향세와 관련하여 그동안 40편 가까운 학술연구가 발표되고 20여건의 입법안이 발의되었다. 우리나라 고향사랑기부제는 일본 고향납세제도에 비해 지자체 간 수평적 형평성 제고 기능이 약하고 기부자에게 상당한 부담을 준다는 특징이 있다. 고향사랑기부제 법제화 이후 단기적 과제로는 파일럿 테스트(시범사업)를 통해서 정책의 상충관계를 인식하고 정책효과를 추정하는 작업,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홍보전략, 지역특산물 개발과 고향사랑기부금 유치를 위한 지자체의 독자적 경영전략, 행정·유통 시스템 구축 및 사업자 선정 작업, 대표적 성공사례 발굴 및 지역별 답례품(지역특산물) 지도 작성 등의 전략을 들 수 있다. 중·장기적 과제로는 기부 흐름의 양적 강화(기부유인 촉진) 및 기부 흐름의 질적 강화(정책성과 제고) 전략을 제안한다. 아울러 고향세 관련 전문 연구기능을 확충하는 일이 필요하다. This paper tries to survey academic discussions and legislative efforts during past 10 years. Almost 40 academic research has been performed and more than 20 legislation bills have been submitted during this period. The fatal weak point of current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is that it lacks incentives to encourage people to donate more to their hometown or rural areas. While Japanese Hometown tax system focuses upon the ‘horizontal equity’ among local governments, Korean Hometown tax system seems to enhence the ‘vertical equity’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ay heavier burdens on the donors. Future tasks after legislation of the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are short-term and long-term ones as well. Short-term task is to materialize the current system by introducing pilot test, promotion strategies, place-marketing strategies, system construction, etc., and Long-term task is to improve the effects by amending current system into right direction. Strengthening research function is also important.

      • KCI등재

        일본의 고향납세제도 도입 성과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신두섭 ( Dusub Shin ),염명배 ( Myungbae-yeom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6 財政政策論集 Vol.18 No.4

        일본에서 2008년 고향납세(후루사토납세)제도가 도입된 지 8년이 지났다. 일본 고향납세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는 것으로 평가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정치권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고향세제도의 도입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고향납세제도의 시행 8년(2008∼2015년도) 간 추이를 분석하고 그 성과를 평가한 후, 이로부터 향후 고향세제도의 국내도입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일본 고향납세제도가 폭발적 성장세를 보인 핵심 성공 요인으로는 `답례품 제공`과 `세제·세정의 개편`을 들 수 있다. 일본의 고향납세제도는 긍정적 측면도 많이 있는 반면 부정적 측면 역시 적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고향세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이 제도의 긍정적 효과는 극대화하면서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 시키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일본식 고향납세제도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조세원칙, 지방자치 원칙, 납세자 형평성 원칙 위배라는 법제도상의 문제점이다. 따라서 원칙 상충 문제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우리의 실정에 맞는 고향세(고향기부금)제도 도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고향세(고향기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문제를 둘러싸고 중앙-지방, 수도권-농어촌 지역 간에 제로섬 게임으로 인한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해당사자 간에 충분한 협의-소통-합의 절차를 거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본 연구는 성공적 `한국형` 고향세(고향기부금)제도 도입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기부금품 납부 허용, 소득공제 국세 우선 또는 국세-지방세 합리적 분담 방안 모색, 자기부담금 폐지, 당분간 답례품 제공 금지 또는 답례품 가액상한 설정, 응원지수 산출을 통한 지역별 소득공제율 차등화 등 다섯 가지 정책방안을 제언하였다. 8 years has passed since the “Hurusato(Hometown) Tax-Payment” system was introduced in Japan in 2008.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trend of Japanese “Hurusato(Hometown) Tax-Payment” system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for 8 years. Then 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policy implications to Korea. The key factors of the success of Japanese “Hurusato(Hometown) Tax-Payment” system are `Return Presents` and `Reorganization of tax system and administration`. There are several defects as well as merits in Japanese “Hurusato(Hometown) Tax-Payment” system, so we have to be careful to maximize the benefits while minimizing the problems when we think to introduce the `Hometown Tax(Donation)` system in Korea. This paper offers five policy suggestions for successful `Hometown Tax` in Korea. The essential element for the success of `Hometown Tax` system is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between local governments as well.

      • 일본의 고향납세제도 도입 성과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신두섭,염명배 한국재정학회 2016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일본에서 2008년 도입된 고향납세(후루사토납세)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는 것으로 평가되 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정치권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고향세제도의 도입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고향납세제도의 시행 8년(2008∼2015년도) 간 추이를 분석하고 그 성과를 평가한 후, 이로부터 향후 고향세제도의 국내도입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일본 고향납세제도가 폭발적 성장세를 보인 핵심 성공 요인으로는 ‘답례품 제공’과 ‘세제·세 정의 개편’을 들 수 있다. 일본의 고향납세제도는 긍정적 측면도 많이 있는 반면 부정적 측면 역시 적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고향세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이제도의 긍정적 효과는 극대화하면서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 시키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일본식 고향납세제도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조세원칙, 지방자치 원칙, 납세자 형평성 원칙 위배라는 법제도상의 문제점이다. 따라서 원칙 상충 문제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우리의 실정에 맞는 고향세(고향기부금)제도 도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고향세 (고향기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문제를 둘러싸고 중앙-지방, 수도권-농어촌 지역 간에 제로섬 게임으로 인한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해 당사자 간에 충분한 협의-소통-합의 절차를 거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본 연구는 성공적 ‘한국형’ 고향세(고향기부금)제도 도입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기부금품 납부 허용, 소득공제 국세 우선 또는 국세-지방세 분담 방안 모색, 자기부담금 폐지, 당분간 답례품 제공 금지 또는 답례품 가격 상한 설정, 응원지수 산출을 통한 지역별 소득공제율 차등화 등 다섯 가지 정책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