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on Browning과 Edward Farley의 개정된 상호 관계적 방법론: 상황의 해석에 관한 비교 연구

        하재성 ( Jae Sung Ha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1 복음과 상담 Vol.16 No.-

        저명한 신학자 Don Browning과 Edward Farley는 1980년대 이후 실천신학의 새로운 방법론을 개척한 선구자들이다. 이들은 전통적인 신학 방법론의 모델인 “이론에서 실천으로”의 한계성을 인정하고, 현대 사회 인간의 경험과 삶의 다양한 상황의 해석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실천신학을 제안하였다. Browning은 근본적인 실천신학의 제안과 더불어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신학의 시야를 지속적으로 견지하여 왔던 신학자이다. Farley는 특히 오늘날의 복잡한 경험과 실천을 해석하는 신학적 성찰을 강조하였다. 그는 전통적인 신학 방법론에 있어서 실천신학의 부재를 지적하면서 상황의 신학적 해석을 위해 상황을 주제화 할 것을 요청한다. 이 과정에서 이 두 신학자는 “개정된 상호 관계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신학과 문화의 적극적인 상호 대화를 할 것을 주장한다. 이들의 도전은 신앙 고백적 신학을 가진 이들에게도 어떤 도구와 방법론으로 현실의 실천적 경험을 해석할지에 대하여 진지한 신학적 고민을 던져준다고 할 수 있다. Don S. Browning and Edward Farley commonly observe that confessional theology committed to traditional doctrines demonstrates limitations in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ology. They call it lacuna-the absence of practical theology without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ituation. Browning is an important figure in hermeneutics of practice who believes theology as a practical discipline will benefit theology and the churches. Farley is another distinguished, and more ‘conservative’ theologian focuses on ministerial practice in the practical hermeneutics including the pastoral leadership and church education. He emphasized an analytic perspective over experience and situation. He essentializes theological reflection in interpreting the complex practice of the day. Different from Browning, Farley does not reject the importance of the past text. Both of them, however, commonly turn thei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interpretation of ‘situationality’ much more than to that of the Scripture. Their efforts to engage in bidirectional dialogues between theology and culture accomplished an important progress in practical theology.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tools for hermeneutics of situation or not, however, confessional theologians also have performed meaningful practices and practical hermeneutics as an essential part of their faith. Practical theology may continue to proceed on its open tracks for practice and theory out of its unique foundation as a practical discipline with a more specific concern about the widespread human sufferings.

      • KCI등재

        현대 영성학과 목회상담을 통한 영성 탐색에 대한 연구 - 신앙 고백적 신학과 작용적 신학을 중심으로 -

        김태형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7 No.-

        Paul Tillich understands a human a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being. So when we can understand a human truly, we need to get help with theological viewpoints along with psychological ones. Theological viewpoints supply various human experiences with the transcendent insights, and transcendent insights from life experiences tend to appear as a tendency of a modern spiritu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christian spiritual theology. As a branch of Applied Theology, Pastoral Counseling can explain the concept of Confessional Theology and Operational Theology about Modern Spirituality and so lead a Spirituality-Oriented Counseling, by helping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theologies. I insist that Spirituality-Oriented Counseling is theologically-based and has merits over the psychology, because it can cover both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raits of a human being. A Pastoral Counselor who lead Spirituality-Oriented Counseling, can help clients experience the Grace from God more closely and deeply. 폴 틸리히(Paul Tillich)에 따르면 인간 이해에는 심리학적 차원과 신학적 차원이 있으며, 심리학적인 차원의 이해로써 심오한 인간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신학적 차원의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의 이해에 대한 신학적 관점은 다양한 현대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초월적인 면을 파악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이런 경향은 전통적인 기독교의 영성신학과 구별되는 현대 영성학의 흐름을 이끌게 되었다. 실천신학의 한 분야인 목회상담은 구체적으로 현대 영성학의 이런 경향성에 대하여 영성의 내용(고백적 신학)과 기능(작용적 신학)을 구분하여 탐색하고, 그 불일치를 극복하도록 돕는 방식으로 영성지향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영성지향적인 상담은 심리만을 다루는 일반심리학의 한계를 넘어서며, 신학에 기반을 둔 목회상담의 독특한 장점을 보여줄 수 있다. 영성지향적인 목회상담은 인간의 경험의 심리적인 면과 초월적인 영성의 면을 모두 상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영성지향적 상담을 이끄는 목회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에 한층 더 접근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 KCI등재후보

        Constitution for Righteousness: A Literary-Theological Study of the Laws on Public Offices in Deuteronomy 16:18-18:22

        정진명(Jung, Jin-Myung)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4 No.-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인류 역사상 최초의 헌법이라고 불리우는 신명기 16:18-18:22 의 내용과 특성, 그리고 그에 대한 다양한 부류의 주장들을 전통적 모세 저작설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분석하고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비평학계가 제시한 문제들에 대해 개혁주의적 입장에서의 답변을 제시하였다. 연구사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스피노자, 드 베테, 벨하우젠과 같은 비평주의 적 구약해석의 창시자들의 견해에서부터 그들을 따르는 근현대 비평학자들의 견해(즉, 본문의 전부 혹은 일부가 후대의 편집이며, 급작스런 주제변화가 그 증거라는 견해), 그리고 그들과 달리 본문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학자들의 견해들을 살펴보았다. 고백적 성경신학 입장의 해석을 제시하는 부분에서는 두 가지 쟁점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첫째로 본문의 위치와 구조에 관하여는 1) 딜만이 신16:21:17:7에 대해 제시한 소위‘표준 해법’과 그 지류적 해법들의 모순을 지적하고, 2) 벨하우젠, 로핑크등이 견지한 신16:18-18:22의 후대 삽입설을 반박하면서, 언어적, 주제적 근거를 들어 본문이 자신을 둘러싼 문맥과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밝혔다. 둘째로 본문의 법들의 동기와 의의에 관하여는 1) 중앙성소화 가설을 전제한 해석(지방의 법적 공백 보완)의 맹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2) 이 법들이 새 땅에서의 의의 유지, 법적 절차의 효율성 확보, 그리고 하나님과 그의 말씀의 최종적 권위에 대한 강조라는 동기를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본 논문은 문서설적 가설에 근거한 성경해석이 가지는 공통적 한계가 이른바‘이스라엘의 헌법’본문을 연구하는 데에서도 나타남을 보였고, 본문자체가 보여주는 그대로의 언어, 구조, 저작동기를 이해하는 것이 더 바르고 풍성한 신학적 해석을 이끌어 낸다는 실례를 제시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in the perspective of confessional biblical scholarship, examines the contents and nature of Deuteronomy 16:18-22, (often called) the first written constitution in human history, evaluates various arguments concerning it, and proposes an interpretation as an answer to the issues raised by critical scholarship. Surveying history of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various views, from the views of the fathers of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Spinoza, de Wette, and Wellhausen, to the views of their modern followers (i.e., views holding that Deuteronomy 16:18-22 or a part of it is interpolated and that the abrupt thematic shift is the evidence thereof), and to the views emphasizing the unity of the text. Proposing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fessional scholarship, this paper focuses on two issues. First, concerning the placement and the structure of our passage, 1) the weaknesses of Dillmann’s “standard solution” to the perceived problem of Deut 16:21-17:17 and those of other approaches by his followers are pointed out, 2) the way in which our passage is connected to its surrounding co-texts is demonstrated, while the interpolation hypothesis (held by Wellhausen, Lohfink, etc.) being refuted, based on linguistic and thematic grounds. Second, concerning the motivation and significance of our passage, 1) the invalidity of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centralization hypothesis, namely conjecturing the motivation to fill the local legal vacuum, is pointed out and 2) it is argued that the motivation of our passage is to main righteousness in the land, to enhance efficiency in legal procedure, and to emphasize on the ultimate authority of God and His words. The hermeneutical contributions of this paper lie in that it shows the usual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Document Hypothesis appearing in studying “Israel’s constitution,” and that it argues a case demonstrating that hermeneutically proper and theologically richer interpretations come from hearing attentively the language, structure, and motivation of the text as it presents them.

      • KCI등재후보

        의를 위한 헌법: 신명기 16:18-18:22에 나타난 공직법에 대한 문학적-신학적 연구

        정진명 ( Jin Myung Jung )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4 No.-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인류 역사상 최초의 헌법이라고 불리우는 신명기 16:18- 18:22 의 내용과 특성, 그리고 그에 대한 다양한 부류의 주장들을 전통적 모세 저작설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분석하고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비평학계가 제 시한 문제들에 대해 개혁주의적 입장에서의 답변을 제시하였다. 연구사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스피노자, 드 베테, 벨하우젠과 같은 비평주의 적 구약해석의 창시자들의 견해에서부터 그들을 따르는 근현대 비평학자들의 견해(즉, 본문의 전부 혹은 일부가 후대의 편집이며, 급작스런 주제변화가 그 증거라는 견해), 그리고 그들과 달리 본문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학자들의 견해 들을 살펴보았다. 고백적 성경신학 입장의 해석을 제시하는 부분에서는 두 가 지 쟁점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첫째로 본문의 위치와 구조에 관하여는 1) 딜만 이 신16:21:17:7 에 대해 제시한 소위‘표준 해법’과 그 지류적 해법들의 모순을 지적하고, 2) 벨하우젠, 로핑크등이 견지한 신16:18-18:22의 후대 삽입설을 반 박하면서, 언어적, 주제적 근거를 들어 본문이 자신을 둘러싼 문맥과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밝혔다. 둘째로 본문의 법들의 동기와 의의에 관하여는 1) 중앙성소화 가설을 전제한 해석(지방의 법적 공백 보완)의 맹점을 지적하는 동 시에 2) 이 법들이 새 땅에서의 의의 유지, 법적 절차의 효율성 확보, 그리고 하 나님과 그의 말씀의 최종적 권위에 대한 강조라는 동기를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본 논문은 문서설적 가설에 근거한 성경해석이 가지는 공통적 한계가 이른 바‘이스라엘의 헌법’본문을 연구하는 데에서도 나타남을 보였고, 본문자체 가 보여주는 그대로의 언어, 구조, 저작동기를 이해하는 것이 더 바르고 풍성 한 신학적 해석을 이끌어 낸다는 실례를 제시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in the perspective of confessional biblical scholarship, examines the contents and nature of Deuteronomy 16:18-22, (often called) the first written constitution in human history, evaluates various arguments concerning it, and proposes an interpretation as an answer to the issues raised by critical scholarship. Surveying history of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various views, from the views of the fathers of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Spinoza, de Wette, and Wellhausen, to the views of their modern followers (i.e., views holding that Deuteronomy 16:18-22 or a part of it is interpolated and that the abrupt thematic shift is the evidence thereof), and to the views emphasizing the unity of the text. Proposing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fessional scholarship, this paper focuses on two issues. First, concerning the placement and the structure of our passage, 1) the weaknesses of Dillmann`s “standard solution” to the perceived problem of Deut 16:21-17:17 and those of other approaches by his followers are pointed out, 2) the way in which our passage is connected to its surrounding co-texts is demonstrated, while the interpolation hypothesis (held by Wellhausen, Lohfink, etc.) being refuted, based on linguistic and thematic grounds. Second, concerning the motivation and significance of our passage, 1) the invalidity of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centralization hypothesis, namely conjecturing the motivation to fill the local legal vacuum, is pointed out and 2) it is argued that the motivation of our passage is to main righteousness in the land, to enhance efficiency in legal procedure, and to emphasize on the ultimate authority of God and His words. The hermeneutical contributions of this paper lie in that it shows the usual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Document Hypothesis appearing in studying “Israel`s constitution,” and that it argues a case demonstrating that hermeneutically proper and theologically richer interpretations come from hearing attentively the language, structure, and motivation of the text as it presents them

      • 청소년의 애도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

        오화철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논집 Vol.27 No.-

        본 논문은 청소년의 애도에 관해서 상담적 관점과 신학적 접근을 통해 서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에서 살아남은 청소년들 이 어떻게 애도가 가능한지를 질문하면서, 세 가지 입장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첫째, 자기심리학에서 청소년의 애도를 다룰지를 생각하면서, 무력 감으로 고통받는 내담자에게 실패했던 자기대상 경험을 현재의 일상에서 여러 대상들과 다양한 관계성을 통하여 재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생존한 학생들이 고통스런 감정을 억 압하고 숨길 때 겪는 무력감을 작용적 신학과 고백적 신학을 통해서 이해 한다면, 무력감의 근원이 되는 우상적 이미지를 벗어나서 새로운 관계를 추구할 수 있는 출발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학성 성격조 직의 이해를 통해서 접근할 경우, 감정억압과 무력감을 지속시키는 비합 리적 신념을 내담자가 직면하고 노출하는 의식화 과정을 통해서 삶의 전 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young adult's mourning through the counseling perspective and theological approach. Recently, due to the Sewol ferry disaster in Korea, surviving young adults' mourning is a critical question at this point. This study approaches this concern in terms of three theoretical positions as follows; first,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can be a good start for dealing with surviving young adult's mourning,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mourning through re-experiencing the diverse relationship by relating with many different selfobjects in daily lives. Secondly, if we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confessed theology and operational theology, we can truly escape from the idolatry located in operational theology and move into the healthy relationship and religion. Lastl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masochistic personality disorder, one can have life-changing experience by confronting irrational belief entailing emotional oppression and feeling of helplessness.

      • KCI등재

        현대 영성학과 목회상담을 통한 영성 탐색에 대한 연구

        김태형(Tai Hyoung Kim)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7 No.-

        Paul Tillich understands a human a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being. So when we try to understand a human truly, we need to get help with theological viewpoints along with psychological ones. Theological viewpoints supply various human experiences with the transcendent insights, and transcendent insights from life experiences tend to appear as a tendency of a modern spiritu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christian spiritual theology. As a branch of Applied Theology, Pastoral Counseling can explain the concept of Confessional Theology and Operational Theology about Modern Spirituality and a Pastoral Counselor can lead Pastoral Counseling in Search of a client’s Spirituality, by helping bridge the gap, and by connecting between the both theologies. I insist that Pastoral Counseling in Search of Spirituality is theologically-based and has merits over the psychology, because it can cover both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raits of a human being. A Pastoral Counselor who lead Pastoral Counseling in Search of Spirituality, can help a client experience the Grace from God deeply, through his healthy Spirituality. Paul Tillich understands a human a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being. So when we try to understand a human truly, we need to get help with theological viewpoints along with psychological ones. Theological viewpoints supply various human experiences with the transcendent insights, and transcendent insights from life experiences tend to appear as a tendency of a modern spiritu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christian spiritual theology. As a branch of Applied Theology, Pastoral Counseling can explain the concept of Confessional Theology and Operational Theology about Modern Spirituality and a Pastoral Counselor can lead Pastoral Counseling in Search of a client’s Spirituality, by helping bridge the gap, and by connecting between the both theologies. I insist that Pastoral Counseling in Search of Spirituality is theologically-based and has merits over the psychology, because it can cover both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raits of a human being. A Pastoral Counselor who lead Pastoral Counseling in Search of Spirituality, can help a client experience the Grace from God deeply, through his healthy Spirituality.

      • KCI등재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

        김남희 ( Nam Hee Kim ),오화철 ( Whachul Oh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5 목회와 상담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dolescents’ spiritual well-being. One can examine the meaning of spiritual well-being as it relates to three components: God, myself and neighbor, connecting psychology with a Christo-pastoral approach. Using the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a transitional object is the pivotal medium that signifies the religious experience for adolescents. A transitional object is a physical object, not an imaginary object. It should be something tangible that stimulates your senses, and provides some transitional space between oneself and the object. Using this creative transitional dimension, adolescents can formulate spiritual well-being. This research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spiritual well-being, escaping from the iconic image of God and parents by exploring operational theology and confessed theology. Operational theology can help explore the unconscious dynamic of God’s image in the psyche. Operational theology is a kind of depth psychology. It allows the exploration of authentic feelings about one’s life and religion. However, confessed theology is like a smiling face. An expressive emotion can b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one’s inner dynamics. In a sense, confessed theology is one’s traditional image of God. We can truly attai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health by having a close conversation between operational theology and confessed theology. Accordingly, this communication between two different images can help us achieve a liminal moment as a transitional function. This is a transcendence. I believe that transcendental time helps us research parents’ images. I believe teenage runaways can restore the broken relationship by restoring the distorted image of God. We can accomplish spiritual well-being through a spiritual approach and thera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