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평생학습체제의 형성과정 분석

        채재은,한숭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4

        As the number of college students has decreased, lifelong learning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policy makers as a key driver of higher education reform.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of Kore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both student quota policies to regulate the supply of higher education as well as sociocultural factors (i.e., strong educational aspiration and credentialism) hav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demand for higher education. The unmet demand has led to the expansion of potential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 1990s. In response, the 1995. 5. 31 Education Reform introduced various policies that would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higher education for mature students. The policies on credit bank system, part-time enrollment and cyber university altogether have partly met the demand of mature students for higher education. However, currently those policies have been regarded as a marginal success. It is because higher education is still considered not as a continuum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but as a completion of formal education. As a way of addressing this problem,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form higher education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and thus make higher education available for all, regardless of age. It should also make university education more diverse and flexible to accommodate various needs of mature students. 최근에 학생 수가 감소하면서 ‘고등교육의 평생학습 기능 강화’가 고등 교육 생태계를 새롭게 재편할 대안으로서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과 평생학습 간의 융합된 형태를 ‘고등평생학 습’으로 정의하고, 고등평생학습체제의 형성과정과 그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평생학습체제의 형성에는 ‘교육열, 학벌주의’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 외에 교육정책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 수요의 형성에는 1980년대까지 대학진학 수요를 과도하게 억제 한 ‘정원통제 정책’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때 미충족된 진학 수요를 실제 수요로 전환하는 데에는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을 강조했던 ‘1995년 5․31 교육개혁’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31 개혁 조치로서 도입 된 학점은행제, 원격대학 등은 과거에 비해 성인의 고등교육 기회를 획기 적으로 확대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들 고등평생학습제도는 오늘날 까지도 여전히 학령기 중심의 고등교육의 ‘부수적인 제도’로서 자리매김을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근본적으로 그동안 고등교육이 가진 본 질적인 평생학습 기능을 간과하고 ‘학제상의 종국교육’으로만 기능했기 때 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이 공진화할 수 있는 원리를 찾아내고, 그에 토대하여 학령기 학생 중심의 폐쇄적인 고등교육체 제를 ‘보편적인 고등평생학습체제’로 재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선향(Park, Seon-Hy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고,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학습자특성, 참여하고 있는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참여장애가 평생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참여동기와 참여장애가 학습자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을 어떻게 매개하여 평생학습참여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와 관련된 영향요인들을 구조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참여장애는 모두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변인들의 평생학습 참여도에 대한 전체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참여장애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 및 참여장애는 학습자특성 또는 교육기관특성이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hased effect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in the alienated class with higher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proposed structured relationships among five latent variables(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barriers,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barri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Second, in order of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barriers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in the alienated class with higher education. Third, indirect effect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were mediated by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barriers.

      • KCI등재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영국 대학 개혁 정책의 역사적 고찰

        최상덕(Choi Sang Duk)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3

          이 글은 1870년대 이후 영국의 대학성인교육의 전통이 어떻게 성인계속교육으로의 전환을 거쳐 평생학습으로 연결되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평생학습을 위한 대학 개혁 정책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특히 ‘대학 구조의 개방화’와 ‘학생 구성의 다양화’에 초점을 두고, 최근까지의 평생학습을 위한 고등교육 개혁정책과 법제도화를 살펴보았다.<BR>  대학확장운동 이후의 자유주의 대학성인교육 전통은 특히 1980년대 초 제조업의 대량실업을 겪으면서 성인계속교육으로 전환되고 대학과 분리 운영되던 성인개방학부가 대학 학부로 통합되었다. 1990년대 이후 대학은 많은 변화를 겪게 되는데, 특히 1992년 ‘계속ㆍ고등교육법’에 의해 파트타임 성인학생의 비중이 높은 폴리테크닉이 대학으로 승격되고, 자격증 및 대학교육 지향의 교육프로그램이 집중 지원되면서 직업주의적 경향이 강화되었다. 또한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대학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한 「디어링 보고서」(1997)의 폭넓은 대학 개혁 방안들은 이후 백서인 「고등교육의 미래」(2003)와 「고등교육법」(2004)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 개혁 정책이 어떻게 성인학생 등 다양한 비전통적 학생층의 참여를 촉진하고, 평생학습을 위한 산학협력 및 지역 사회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는지 분석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historically how university adult education has changed from the university extension movement to adult continui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in the UK since the 1870s.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and regulations for lifelong learning, focusing on the "openness of university structure" and "diversity of student composition".<BR>  The Great tradition of liberal adult education in universities changed into adult continuing education with the experience of economic crisis in the early 1980s, and the extra mural department was integrated into a part of the university. By the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Act of 1992, the polytechnics became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focused on the support of vocational and certificate-oriented programs. In addition, the Dearing Report(1997) proposed comprehensive higher education reform proposals in preparing for a learning society. The White Paper,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proposed a "Graduate Contribution Scheme" along with several HEIs" reform proposals in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It was followed by the Higher Education Act of 2004 introducing the "Graduate Contribution Scheme" after controversial debates in the Parliament. In conclusion, lifelong learning policies have emphasized social cohesion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since New Labour government came to power in 1997. As a result, universities have played a role in promoting the participation of non-traditional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nd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regional communities including industries.

      • KCI등재

        고등평생학습 학자금 지원 제도의 설계 방향에 대한 탐색 : 영국과 스웨덴 사례의 비교 분석을 토대로

        채재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1

        이 연구는 지식기반경제의 진전에 부응하여 고등수준의 평생학습(‘고등평생학습’이라 함)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학자금 지원 제도의 혁신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식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저학력 근로자만이 아니라 고학력 근로자도 숙련성 유지를 위해 고등평생학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비교 사례로서 영국과 스웨덴을 선택한 이유는 고등평생학습이 활성화되어 있고 성인학습자 학자금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고등평생학습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시간제 등록제의 보편화와 성인학습자의 대학입학 확대 등을 통해서 성인친화적인 고등교육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또한 양국은 학자금 지원 유형과 운영 면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고등평생학습체제가 실질적으로 운영되도록 연령과 등록 유형에 대한 제한 없이 학위과정 및 비학위 과정 이수를 지원하는 학자금 지원 제도를 운영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는 고등평생학습체제를 실질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입시, 교수학습, 학사관리 등과 같은 대학시스템의 혁신 외에도 ‘학자금 지원 제도’를 성인학습자 친화적으로 설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ICT, lifelong learning becomes a necessity for all regardless of a person’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Not only high school graduates, but also college graduates are under strong pressure to seek the further study in order to keep their skills and knowledge up to dat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Korean government with the implications on the student aid system which promotes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o realize this goal, it compares the student aid systems for mature students of UK and Sweden because participation rates of lifelong learning in both countries a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member count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both UK and Sweden have initiated policies to highlight the role of higher education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and have also made it easy for mature students to study at universities through part-time enrolment system and flexible admission system. Accordingly, higher education is part of the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in both countries and thus older undergraduates are supported by the student aid system. Whereas the student aid systems of UK and Sweden’s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ir elements and operating methods, they are in similar in that both of them provide mature students with the student aid to enable them to pursue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cases of these two countries imply that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requires the financial aid system as well as the admission system, teaching and learning, and student affairs suitable for mature-students.

      • KCI등재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한숭희,이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1

        Currently the focus of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y has been converged on reducing the provi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acceptance rates in student numb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earchers, it is misleading in forcasting the needs as well as forumlating the future stage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global knowledge competition. The notion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urrent Korea are oversupplied is correct only if the dimension of youth initial education is concerned, which counts only those who apply colleges right after finishing upper secondary education, but incorrect if it considers the uprising demands of recurrent and continuing educa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This paper argues, in this context, three key issues: First, the universalization and ‘universal access’ to higher education is an inevitable global trend and unreversable in the stage of knowledge economy and learning societies. Second, the universalization is mainly driven by the demand for higher lifelong learning or higher-level continuing education. With both initial and continuing demands, universities are being restructured to meet the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functionalities and emerging complexities of sub-systems that embrace the ‘higher education systems’ and ‘lifelong learning systems’ at the same time. Third, despite the logical streams,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is still dominated by the young adults in the ideology, and middle-aged learners and continuing education needs are excluded from the territory, rather re-located outside the territories of universities, caged in a provisional systems like cyber universities and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needs to be re-streered to make the notion of ‘universalization’ realized with the balance between initial and continuing needs, where a new concept of ‘higher lifelong learning complex system’ is useful to recapture the newly emerging perspectives beyond a limited scope in this vein. 최근 한국의 고등교육정책의 초점은 어떻게 하면 대학공급량을 줄일 수 있을지에 모아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접근의 근시안 한계를 지적하면서, 한국의 대학은 청년기교육에서는 과다공급일지 모르지만 여전히 지식경제의 계속교육 수요에는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첫째, 지난 1990년 이후 유럽에서 나타난 지식경제와 대학팽창 현상을 통해서 대학보편화는 이제 세계적 추세이며, 고등교육 진화의 필연적 단계로 규정한다. 둘째, 그러한 고등교육 수요의 상당 부분은 지식경제를 배경으로 하는 평생학습 수요이며, 대학은 이제 ‘고등교육체제’ 임과 동시에 ‘평생학습체제’를 동시에 껴안은 중층적 복합체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논증한다. 셋째, 이와 달리 우리나라의 대학은 여전히 청년층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독점적 순혈주의를 지향하며, 전체적으로 중장년층 학습자 및 계속교육 수요는 대학의 경계 밖에 형성된 고등교육 대안체제, 예컨대 사이버대학 및 학점은행 등에 갇혀 있다. 이 문제는 ‘평생교육단과대학’이라는 단기적 타협모형으로 해소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한국에서의 대학 과다공급현상은 청년층 초기교육 부문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서, 고등교육 보편화를 형성하는 또 다른 축인 성인계속교육이라는 차원을 간과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그 보완책으로 대학을 고등교육-평생학습이 연결된 포괄적인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함을 설명한다.

      • KCI등재

        홍콩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 구조적 특징 분석

        양은아(Yang Eun A),한숭희(Han Soong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2

        최근 고등교육체제를 평생학습으로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홍콩의 사례는 기존 전통적인 엘리트중심 고등교육체제가 어떻게 성인 계속학습의 수요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가에 관한 흥미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홍콩의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로의 변화과정을 통해 고등교육의 보편화라는 축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시장화 모형을 비학위과정 및 기타 변형된 형태의 계속교육과정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대학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내는 추이와 양상을 분석하고, 그 사례로서 홍콩대학의 전문계속교육대학(‘HKU SPACE’)의 거버넌스 시스템과 작동방식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홍콩의 사례는 대학의 기능 및 거버넌스 구조만으로 보았을 때 매우 특이한 구조적 변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생태적 맥락을 드러내는데, 이런 점에서 홍콩의 고등교육은 (1) 전통적 대학이라는 울타리, (2) 그 안에 엘리트적 및 보편적 고등교육 수요에 대한 격리된 학위공급구조, (3) 모듈화되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비학위프로그램 공급생태계, (4) 학습결과와 학위를 통한 상위계열로의 편입 가능성 등이 종합된 이른바 ‘한 지붕 두 가족’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처럼 4년제 대학중심, 학위중심의 단순함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체제가 공존함과 동시에 학위와 전문자격이 함께 학위프로그램과 비학위프로그램을 융합하고 공유하는 형태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고등수준에서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에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체제들은 공공재원으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과 사적비용으로 시장화된 성인계속교육으로 고등평생학습의 생태계를 이분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도 부정할 수 없다.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understand higher education system from a new angle of expanding toward lifelong learning. In this context, the case of Hong Kong system shows us the interesting phenomenon that tells us how traditionally elite-centered higher education system embraces the demand of lifelong continuing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and progress of creating new governance structure of universities and reviewed the governance system and operational methods of professional and continuing education in Hong Kong. For this,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sion into complex system of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a marketing model that satisfies gener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creates profits by itself at the same time was applied to non-degree courses and other transformed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As a result, in the case of Hong Kong, considered only with the function and governance structure of universities, showed ecological context that enables very unique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this regard, higher education in Hong Kong has a so-called ‘two families under one roof’ system that includes: (1) the boundary of traditional university, (2) segregated degree-supplying structure for demands for elitist and universal higher education, (3) modularized ecosystem supplying non-degree programs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and (4) possibility of transferring higher levels through learning outcomes and degrees. This provide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in establishing higher level of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at they have developed higher educational system where various systems coexist, and degree programs and non-degree programs and academic degrees and professional certificates are converged and shared at the same time, beyond the system that focuses on 4-year university and degree system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it is undeniable that the system has divided the ecosystem of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into those with public fund and private costs.

      • KCI등재

        평생학습사회의 성인학습자와 고등교육개혁의 과제

        곽삼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3 평생학습사회 Vol.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ssues and tasks for innovation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age of learning society coping with the advent of mass adult learners. The advent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brings new challenging tasks toward universities in Korea which was caused by human’s differentiated life-cycle and the rapid social changes in this global society. Adults would like to participate as learners, workers, and life creators. The adult learners in Korea mostly prefer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and they believe that it will help their career development than any other institutions providing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But we have to reflect that the universities are really being prepared for the adults’ demands and needs.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re not flexible enough to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systems such as openness of learning system, diversities, and connectedness. The innovation and reorganization of academic citizenship is required. Also more intensive and in-depth research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and to identify adulthood and its developmental tasks.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would promot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 learners as everyday-makers.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traditional paradig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needs to be transformed to meet the glob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학습자의 등장에 따른 고등교육개혁의 과제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하여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성인학습자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는데, 이는 고등교육기관의 교육환경조성과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요구 부응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대학에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있다. 비전통적 학습자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개방형 고등교육체제 요구만이 아니라, 교육형식, 이념, 목적, 교육과정 및 방법에서의 새로운 요구가 출현하고 있다. 한국의 고등교육은 대중화 단계를 벗어나 이미 보편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학문적 정향성에는 큰 변화가 없이 길어진 성인기, 삶과 동떨어진 고등교육체제, 운영 그리고 커리큘럼이 지배적이라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고등교육기관의 경직적·폐쇄적 운영은 대학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에 걸맞지 않으므로 학문적 시민권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며, 이를 담아낼 고등교육체제개혁과 성인교육과정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고등교육은 대학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을 위해 개방화, 전문화, 다양화, 연계화가 요청됨을 밝혔으며, 향후 과제로는 고등교육 학문적 시민권 재편, 성인기에 대한 학문연구 본격화, 고등교육 성인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 그리고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체제 연계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습인정 관련 법제의 변화 분석

        이은정 ( Lee Eun Jung ) 대한교육법학회 2018 敎育 法學 硏究 Vol.30 No.1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는 다양한 경로로 획득한 고등수준의 학습결과들을 인정하는 법의 제ㆍ개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고등학습인정 관련 법제의 변화 양상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평생교육법제는 비형식·무형식학습결과를 대학 밖의 별도 시스템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직업교육법제는 성인근로자들의 직업경험을 전통적인 대학이나 비대학의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왔다. 고등학습인정의 총괄적인 지위를 지니고 있는 고등교육법은 대학에서 부분적으로 비형식·무형식학습을 수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으나, 기본적으로는 형식학습결과 중심의 인정 논리를 보수적으로 유지해왔다. 이들 법제는 공통적으로 고등수준의 학습은 곧 대학에서의 형식학습이라는 공식에서 벗어나, 대학 밖 비형식·무형식학습도 제도 내에서 관리되고 인정될 수 있다는 새로운 틀을 제공하였다. 국가에서 인정하는 제도 내 학습에 대한 성격 규정 방식을 변화시킨 것이다. 이를 통해 비학위과정과 학위과정의 경계, 형식학습과 비형식, 무형식학습의 경계를 유연화하면서 고등학습과 고등교육의 외연을 확장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괄적 고등학습인정 방식은 법조항 하나를 추가해서 작동할 문제가 아니라, 관련 법제들 전체를 관통하는 학습인정의 논리적 정합성이 중요하며 이는 결국 고등교육체제를 어떻게 재구조화할 것 인지와 연계되는 문제임을 논의하였다. Since the 1990s, there has been a continuous enactment and revision of laws in Korea that recognize high-level learning outcomes obtained through various channels. In this paper, the change and significance of the legislative system for recognition of higher learning is analyzed. The legislation on lifelong education has provided grounds for recognizing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outcomes through a separate system outside the university, and the legislation on vocational education has laid the grounds for recognizing vocational experience of adult workers as a traditional university or non-university credit.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Education Act, which has a general status of recognition of higher learning, partially accepts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but basically has maintained conservative recognition logic based on formal learning results. These legislation, in common, provided a new framework in which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also could be managed and recognized within the system. This has changed the way people characterize learning within the system. This is an extension of higher learning and education, while softening the boundaries between degree and non-degree, and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This comprehensive recognition of higher learning is not a matter of working with the addition of a legal clause, but the logical consistency of learning recognition throughout the relevant legislation is important.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that the concern about the new learning recognition method is the issue that is linked with how to reconstruct the higher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성인대학생이 경험한 평생학습중심대학,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의 경계

        이지혜(Lee Ji Hye),권진희(Kwon Jin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평생학습중심대학 정책사업의 수혜자이자, 참여주체인 성인학습자들의 경험을 통해, 학습자의 시각에서 평생교육 정책을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B전문대의 성인대상 학위과정에 등록하여 졸업한 8명의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2년의 시차를 두고, 재학 중 그리고 졸업 이후 두 차례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인 성인대학생과 운영주체인 대학은 ‘평생학습중심대학’에 대한 서로 다른 기대와 이해를 갖고 있었으며, 양 측의 인식 차이는 각 국면마다 합의와 갈등, 충돌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로, 대학과 학습자들은 입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양측 모두 평생학습중심대학의 공식성에 주목하여 쉽게 합의한다. 두 번째, 학사관리체계 등에서는 학습자들이 성인으로서의 예외성을 인정해주기를 바라는 반면에, 대학은 기존 전통적 대학생의 경우와 동일한 시스템의 적용을 강조하며 부딪친다. 셋째로, 학사운영 측면에서는 학비감면, 야간 운영 등으로 이 과정이 갖는 평생학습적 유연성에 상호 동의한다. 넷째로, 학사과정 자체에 대하여 대학은 개·폐설을 용이하게 생각하여 예고 없이 과정 폐지를 단행하고, 과정의 지속성과 후속과정 연계를 기대했던 학생들은 크게 반발하여 자체적인 대안을 마련한다.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의 경계 위에 놓인 평생학습중심대학은 여전히 많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This cas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llenges in building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ertiar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learner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adult learners enrolled in a college which had implemented the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proj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adult students and the college had different expectations and understandings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The dissonance between both parties was shown in each educational phase as follows. At first,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admission, the college and the students readily gave consent to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program, focusing on as a formal education. Secondly, with regard to the aspect of academic management, adult learners expecting to stretch the rule have conflicts with the college that emphasized equal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all students without exceptions. Thirdly, regarding academic administration such as tuition exemption and evening classes, the college and the students had the mutual consent to the flexibility as a lifelong learning program. Lastly, in response to the sudden closure of the degree courses that was caused by policy changes of the college, students who were expecting follow-up process had come up with their own alternative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lifelong learn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placed on the border of formal education and non-formal education were left with a number of challen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