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덤 스미스의 계급성품론

        임일섭 한국질서경제학회 2022 질서경제저널 Vol.25 No.2

        본 논문은 스미스의 저작에 나타나는 두 개의 계급분류, 즉 요소소득에 따른 계급분류(‘3대 계급론’)와 부와 지위에 따른 계급분류를 성품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각 계급분류가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전개한 핵심논지를 설명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스미스는 <도덕감정론>에서 인간의 보편적 본성인 ‘동감’이 인간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품을 초래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부와 지위에 따른 계급의 차별과 경제활동에 따라 다양한 성품이 형성되고, 당파심이 형성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국부론>에 와서 경제학 분석과 결합하여 생산요소 제공자가 수취하는 요소소득에 따른 계급분류가 도출되는데, 이 계급성품론은 각 계급이 경제활동의 성격이 각 계급이 자신의 이익을 파악하고 정치적으로 관철하는 영향력의 차이를 낳고, 특정 계급(상인과 제조업자)의 이익에만 봉사하는 독점정책이 채택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기반이 되었다. 반면, 부와 지위에 따른 계급성품론은 자본축적을 촉진하는 중하류층의 근면 절약의 성품과 이것을 방해하는 상류층의 나태와 절약의 성품을 대비시키는 목적이 있었다. 이 두 개의 계급 성품론은 다음과 같은 스미스의 핵심 논지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상인과 제조업자들이 우월한 지식과 정치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관철한 독점 정책을(요소소득 계급론) 통해 초과이윤을 획득하면서 상류층의 삶을 누리게 되는데 여기서 스미스가 독점의 가장 큰 폐단이라고 지목한 낭비의 풍조가 퍼져(부와 지위 계급론) 자본 축적과 경제성장이 저해된다. 이 계급 성품론의 관점에서 보면 스미스가 자유로운 시장경쟁에 국가가 개입하지 말 것을 요구하면서도 이자율 규제와 서민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 같은 국가 개입을 요구하는 표면상의 모순에는 시장경제 전반에 도덕성이 함양되기를 바라는 일관된 태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스미스의 계급성품론은 지난 몇백 년 사이에 진행된 사회경제구조의 변화, 학교나 대중매체를 통한 경제교육의 영향으로 인해 현실 적합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애덤 스미스가 했듯이 계급과 특정한 성품을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 발터 오이켄이 질서형성 세력이란 개념을 통해 예시했듯이, 학문적·정치적 담론을 통해 특정한 경제관이 사회적으로 관철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 더 나은 자유주의적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two versions of Adam Smith’s class theory in the aspect of class character: factor-income-recipient version and wealth- and-status vers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each version in demonstrating the core arguments of Smith’s Wealth of Nations. Adam Smith illustrated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how the universal natures of man, namely faculty of sympathy and desire for sympathy of others, induce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circumstances where men live. Concretely he explained the origin of distinction of ranks according to wealth and status, the reasons of different moral criteria applying to different ranks, influence of economic activities on characters, and the origin of faction. This finding is in the Wealth of Nations combined with economic analysis of distribution of factor income, which constitutes the factor-income- recipient version of class theory. This version is designed to explain difference in the abilities of the classes to understand their class interests and to affect public policy to benefit themselves. Another class theory of Smith, wealth-and-status version, which was already developed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is designed to compare the character of middle and lower ranks, viz. parsimony and industry which tend to promote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growth, with the character of upper rank, viz. prodigality and indolence which tend to impede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growth. Both versions of class theory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s follows: Merchants and manufactures influence other classes and politicians to affect public policy which would give them monopoly position in domestic and foreign trade à la factor-income-recipient version, can gain extraordinary profit and enjoy with it the upper rank’s luxurious lifestyle, which then the middle and inferior ranks of the society would imitate, so that the habit of prodigality of the whole society would impede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growth(à la wealth-and-status version). These two versions of Smith’s theory of class character can help to find out his consistent concern behind the apparent contradiction between his objection to government intervention in free competition in market and his demand for government’s interest rate restrictions and for education policy for children of common people: he wanted thereby to enhance praiseworthy moral behavior in market economy. But his theory of class character has lost its relevance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Wealth of Nations. Class structure has since then highly differentiated, economic education at school and in mass media has been gaining in importance vis-à-vis occupational experience, so that it does not make sense any more to associate class affiliation with specific character. A theoretical alternative would be Walter Eucken’s concept of ordering powers(“Ordnende Potenzen”) such as intellectuals (education), state (political institutions), and church, which conceptualizes institutions and groups that participate in discourse on economic reality and policy and influence the citizens’ standpoint of relevant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questions.

      • KCI등재

        브라질 노동자당의 집권과 계급적 기초

        조돈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8 동향과 전망 Vol.- No.72

        Lula of the Brazilian PT wo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02. While the PT’s 2002 victory have caught great attention from the whole world as a historical moment, some students of the 2002 election reported that they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ula voters and Serra voters in terms of class composition or sociopolitical attitudes.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examine and explain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among social classes in voting preferences, and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Lula voters and Serra voters regarding class composition and sociopolitical attitudes. So as to do this job, this study analyzes a series of three opinion survey data files done in 2002. Indeed, the PT has been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tself from a pure working class party into a mass party of class alliance. This study, however, foun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ting preferences among social classes in the 2002 election, which means that the PT carried more working class characteristics than any other major Brazilian parties did and the Brazilians took it seriously. The Brazilians tended to vote for a presidential candidate who would be the most capable in crucial policy areas, and Lula stood out especially in such social policy areas as job creation and poverty reduction. As Cardoso government succeded in getting inflation under control and thus recovering economic stability, the Brazilians began to look for a president who could take care of social problems above all. That’s why issue voting which took the form of economic voting in 1994 and 1998 elections now turned into the form of social voting. Lula supporters expressed strong distrust towards the ruling bloc and state apparatuses, searched for changes in the prevailing order, and demanded an alternative paradigm of economic policies to replace the neoliberal package of economic policies. In addition to that, Lula supporters thought highly of socialism more than Serra supporters did, so that they showed strong preference for radical change in Brazilian society. The voting behavior of Brazilians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could be explained as a combination of class voting, social voting and embodiment of distrust to the prevailing order and eagerness for social change. This study came to falsify the proposition of preceding studies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ula supporters and Serra supporters in terms of class composition and sociopolitical attitudes. 브라질 노동자당의 룰라는 2002년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했다. 노동자당의 대선 승리는 브라질 안팎에서 변혁적 노동계급 정당의 승리로 크게 주목을 받았지만 브라질 대선 연구들은 룰라 지지자들과 경쟁후보 세하 지지자들 사이에 계급 구성뿐만 아니라 사회정치적 태도에서도 차이가 없다는 결과들을 보고했다. 본 연구의 목표는 2002년 브라질 대선에서 계급 간 투표행위의 차별성은 없었는지, 룰라 지지자와 세하 지지자 사이에 계급적 차별성이나 사회정치의식 차별성이 존재하지 않았는지를 규명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2년 실시된 세 차례의 여론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노동자당이 노동계급 정당으로 창당된 이래 순수 계급정당에서 계급연합 대중정당으로 발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2002년 대선에서 계급 간 투표 후보의 차별성은 유의미하게 존재했다. 이는 노동자당이 계급연합 대중정당으로 전환하며 노동계급적 성격이 약화되었다 하더라도 타 정당들에 비해 여전히 노동계급적 성격이 강하며, 이러한 차별성이 유권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정책역량 평가와 지지 후보 선택은 거의 일치했으며, 룰라는 고용창출과 빈곤해소 등 사회적 문제들에서 높은 해결 능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까르도주 정부의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제압되고 경제안정이 회복되면서 시민들은 사회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를 찾은 것이다. 이처럼 1994년과 1998년 대선에서 경제투표 형태로 전개되었던 쟁점투표가 2002년 대선에서는 사회투표로 바뀐 것이다. 룰라 지지자는 세하 지지자에 비해 지배세력과 국가기구에 대해 높은 불신을 보이며 지배질서의 변화를 요구했고, 경제정책에서도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을 대체할 새로운 경제정책 패러다임을 원했다. 또한 룰라지지자는 사회주의에 대해서도 세하 지지자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사회의 급진적 변화를 추구하며 이념적 진보성을 보여주었다. 2002년 대선의 룰라에 대한 투표행위는 계급투표, 사회투표, 지배질서 거부 및 사회변화 열망이 구현된 투표라 할 수 있으며, 룰라와 세하 지지자들 간에 계급적 구성과 사회정치적 태도의 차이가 없었다는 기존 연구결과들은 경험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교차하는 계층질서가 만들어내는 ‘무지한 스승’의 급진적 서사 :강경애의 『인간문제』

        배상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examines the form of hierarchy in Kang Kyŏng-Ae’s novel Ingan Munje (Human Predicament, 1934) by following the approach presented in Caroline Levine’s Forms: Whole, Rhythm, Hierarchy, Network (2015).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how the forms of hierarchy works that seek to explain the women within the novels collide with each other, eventually developing into radical politics. Married or pseudo-married women, who have a different social statuses in the village as a wife of a landlord, a concubine of the landlord, and a widow of a servant of the landlord, suffer from similar disadvantages under patriarchal hierarchy; however, the other hierarchy that exists between them prevents them from organizing solidarity. The teenage girls destabilize the class hierarchy between them by using an informal communication style. However, unlike Sŏnbi and Kannani, Okchŏm does not make any solidarity with them to protect her status in Wŏnso. The solidarity between Sŏnbi and Kannani evolves into something that overthrows the previous order. Sŏnbi cultivates her own intellect and reaches a level of intellectual maturity above that of other people in the homogenousclass such as ch’ŏtch’ae. In the end, she suggests a new radical politics that disrupts the dichotomy of class and gender hierarchy. 이 연구는 캐롤라인 레빈의 『형식들: 문학도 사회도 문제는 형식이다』에서 소설에 나타난 형식들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 중 특히 계층질서에 주목하여 강경애 장편소설 『인간문제』를 살폈다. 소설 안의 여성 인물들을 설명하는 계층질서 형식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궁극적으로 급진적인 정치로 나아가는 과정은 이 연구가 밝히고자 하는 핵심이었다. 결혼한 여성 혹은 첩들은 공통적으로 가부장적 계층질서에서 열악한 위치에 있지만, 그녀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른 계층질서가 그녀들의 연대를 가로막는다. 10대 여성들인 선비, 간난, 옥점이는 비격식체를사용하여 그들 사이의 계층질서를 불확실하게 만든다. 하지만 옥점이는 그녀의 특권을 보장해주는 원소의 계층질서에 천착하여, 기존의 질서를 전복하려는 의도를 가진 선비와 간난이의 연대에 참여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선비는 스스로 깨우치고 스스로 가르치는 과정을 거쳐 자신이 첫째와 같은 동질적인 계급들보다 더 지적으로 성장하여, 이를 바탕으로 젠더와 자본주의의 계층질서를 방해하는 새로운 급진적 실천으로 나아간다.

      • KCI등재

        한국의 가족 변화 : 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백진아(Jin-a Pai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1·2

        출산율 저하, 비혼가구 및 이혼의 증가와 같이 현대 한국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가족의 변화는 단순히 해체나 위기의 측면에서 간단하게 정의내릴 수 없는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가족은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이자 제도이지만 동시에 인간의 삶에 대한 고정관념, 도덕적 규범, 일상의 실천과 같은 문화적 의미와 이념이 지배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가족의 변화는 가족의 개념과 가족을 구성하는 기본원리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가족의 가치체계와 문화의 변동과정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한국 가족의 변화 과정에서 가부장성이 어떻게 유지되고, 약화되고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특히 한국 가족 구조의 양적 변화와 질적인 문화변동이 제도의 전통성과 개인성의 확대를 통해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측면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었다. 가부장성의 문제와 관련해서 부계혈연질서의 완화와 후기 근대적 친밀성의 변동, 가족중심성의 가족주의 및 가족의 지위재생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모성의 도구적 성격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가부장적 질서의 위기를 가족 통계의 변화를 통해 검토하고, 구체적으로 출산율과 혼인율, 가구 구성의 객관적 지표에 담겨 있는 사회적 의미를 젠더 질서의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또한 가부장적 계급질서와 가족주의의 관계를 설명하고, 가부장적 가족원리가 도구적 모성과 학력 자본을 통한 계급재생산 과정에 작동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The study proposes that family change in Korea which includes the decreasing fertility, the increasing divorce rate and the decline of marriage is to be understood as the change of its qualitative, normative code as well as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s. The study examines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based on the patriarchal characteristics and norm. As far as a patriarchal family norm concerned, the weakening consanguinitycentered family formation, changes of intimacy, familism along with domesticity, and the instrumental motherhood in the process of class reproduction are considered.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recent family change challenges a dominant order of patriarchy by showing the increase of divorce rate and the decrease of marriage rate/childbirth rate, conflict in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the growing individualization in the intimate life. It also shows that the Korean family has maintained and reinforced the patriarchal nature by examining the predominance of traditional familism, which is represented as the expansion of private education market and the strengthening instrumental motherhood involved in class reproduction.

      • KCI등재

        근대 시민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정당화 논리로서 ‘Cogito ergo sum’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0 No.17

        이 글은 데카르트 철학―특히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새로운 철학체계의 정립 의도 및 방법론적 전략―에 관한 지금까지의 관행적인 해석상의 문제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봄으로써 ‘텍스트 중심주의’에 지나치게 한정하여 이루어진 ‘전통적인 데카르트 상(像)’에 반(反)하여, 데카르트 철학과 그 근본토대로서 ‘Cogito ergo sum’을 17세기 당시의 시 · 공간적 맥락과 현실적 상황에 연관지어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비판적으로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글은 무엇보다 철학의 제1원리로서 기능하는 ‘Cogito ergo sum’과 그것에 기초한 데카르트의 철학적 기획은,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던 17세기 당시 유럽의 ‘낡은 신분제적 질서’를 타파하고 ‘인간 중심의 근대 시민사회’를 건립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한편으로는 그러한 근대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이념적 정당화 논리’로서 개진된 것이라는 점을, 다른 한편으로는 그처럼 탈종교적이며 탈신분제적인 근대적 시민사회 질서를 구현해 나갈 선도적 주체로서 당시 부상하고 있던 ‘시민계급’의 시대적 역할과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옹호하는 ‘계급적 정당화 논리’로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규명해 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make an attempt to clarify anew the practicalphilosoph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Descartes' philosophical first principle, namely ‘Cogito ergo sum’ and his philosophical project that is based on that first principle of philosophy. That is to say, I attempt eagerly to reveal from the soci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fact that such a fundamental principle and philosophical project have been presented, on the on hand as ‘the ideological justification logic’ of the realization of the new social order in the modern civil society, and on the other hand as ‘the class justification logic’ to speak for and defend the role of the times of bourgeoisie(class of citizens) and their interest of class, in doing away of the ‘theocentric’ society of status system in the 17th century and realizing the new ‘man-centered’ civil society.

      • KCI등재

        근대 시민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정당화 논리로서 ‘Cogito ergo sum’

        사회와철학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2009 No.17

        <P>이 글은 데카르트 철학―특히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새로운 철학체계의 정립 의도 및 방법론적 전략―에 관한 지금까지의 관행적인 해석상의 문제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봄으로써 ‘텍스트 중심주의’에 지나치게 한정하여 이루어진 ‘전통적인 데카르트 상(像)’에 반(反)하여, 데카르트 철학과 그 근본토대로서 ‘Cogito ergo sum’을 17세기 당시의 시ㆍ공간적 맥락과 현실적 상황에 연관지어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비판적으로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글은 무엇보다 철학의 제1원리로서 기능하는 ‘Cogito ergo sum’과 그것에 기초한 데카르트의 철학적 기획은,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던 17세기 당시 유럽의 ‘낡은 신분제적 질서’를 타파하고 ‘인간 중심의 근대 시민사회’를 건립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한편으로는 그러한 근대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이념적 정당화 논리’로서 개진된 것이라는 점을, 다른 한편으로는 그처럼 탈종교적이며 탈신분제적인 근대적 시민사회 질서를 구현해 나갈 선도적 주체로서 당시 부상하고 있던 ‘시민계급’의 시대적 역할과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옹호하는 ‘계급적 정당화 논리’로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규명해 보고자 한다.</P>

      • KCI등재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도시와 개들』의 폭력과계급 질서: 유사와 대립의 이원적 구조

        송병선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6 No.3

        La ciudad y los perros is not only the first novel by Mario Vargas Llosa, but also a starting point and amilestone for the Latin American novels in Europe. And it can be called as a permanent rebellion against the established order, based on the concept of Sartre. The young Mario Vargas Llosa discovered the violence in the Military College of Leoncio Prado and it was, indeed, the microcosm of the widespread violence and increasingly marked in Peru. This study analyzes the violence and hierarchical order through similarity and contrast of the contents, without ignoring the experimental and innovative formof this novel. The similarity and opposition are important factors fromthe title and beginning of the novel whichmanifests in the dichotomous relationships and order-obedience, linked to the power, sexual role and violence existing between social and racial classes. And this novel shows clearly that these binary relationships are not rigid but flexible and contradictory aspect of the violence and the power. 『도시와 개들 La ciudad y los perros』(1963)은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가 27세에 발표한첫 번째 소설이면서, 동시에 ‘붐 소설’로 알려진 라틴아메리카 현대 소설이 유럽에 본격적으로알려지게 만든 작품이다. 『도시와 개들』은 ‘문학은 불’이라는 사르트르의 개념에 바탕을 두고구성한 기성 질서에 대한 영원한 반란의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이 소설의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형식을 간과하지 않은 채, 내용적 측면에서 보여주는 유사와 대립의 구조적 관점을 통해 이 작품의 폭력과 계급적 질서를 분석한다. 유사와 대립의 관점은 제목의 의미에서부터 잘 나타나며, 작품의 시작 부분에서도 명령과 복종의 이원적 관계를 통해 분명하게 드러난다. 또한 이런 구조적 관점은 ‘개’에 담긴 권력성과 성역할을 통한 지배-피지배 구조, 그리고 인종과 사회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폭력으로 연결된다. 그러면서 이 작품은 이런 이원적 관계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권력과 폭력을 통해 유동적이 되는 모순적 현상을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어느 법 연구자의 도시 관찰: 베를린에서 바라본 도시의 법과 정치

        이계수 ( Yi Kye-so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一鑑法學 Vol.0 No.44

        이 글은 1년간의 베를린 생활에서 필자가 경험한 것을 정리한 것이다. 나는 ‘걷기족’이 되어 거리를 따라 걷고 광장을 배회하면서 죽음과 삶의 기로에 선 대도시를 목격했다. 지난날 난민과 이민자들을 환대했던 ‘사람 사는 마을’의 모습은 늘어나는 외국인 혐오와 자국민 우선주의 깃발 아래 퇴색해가고 있다. 연대의 도시공동체는 젠트리피케이션과 폭등하는 집값(임대료)의 직격탄을 맞아 휘청거리고 있다. 그라피티로 표출되는 베를린의 자유는 부동산 임대자본의 ‘교환가치 정치’ 앞에서 그 분방함을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본 것이 도시의 어둠만은 아니다. 그곳에는 베를린-크로이츠베르크의 주거점거운동과 저항들을 여전히 기억하고 환기하는 이들이 살고 있으며, 투쟁을 멈추지 않는 사람들이 커먼즈(commons)로서의 도시를 변함없이 지키고 있다. ‘도이체 보넨 수용 운동’은 독일 통일 이후 베를린에서 사라진 20여만 채의 공영임대주택을 다시 공공의 손으로 되돌리려고 분투하고 있다. 이런 사례들을 하나하나 기록하면서 나는 지구 반대쪽에 사는 우리의 삶을 생각했다. 법적·도덕적 질서와 같은 이념적인 것도 공간질서(Raumordnung)에 뿌리내리고 있다. 그러므로 공간질서가 변하면 법질서도 달라진다. 베를린의 공간질서를 1년간 관찰하면서, 나는 도시의 법과 정치를 사유하는 일이 기성의 법과 정치를 이해하고 전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계기를 제공한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도시의 공간질서를 둘러싼 싸움에서 우리는 어떠한 선택을 해왔으며, 또 앞으로 해나가야 할 것인가? 도시를 변화시키는 운동, 정치, 법이라는 세 가지 축을 어떻게 만들어내고 형성해갈 것인가? 생각과 고민과 질문은 꼬리에 꼬리를 문다. 그러나 ‘머리’만으로는 변하는 건 아무 것도 없으니, 대지의 노모스를 바꾸는 도시정치를 꿈꾸며 나는 이곳에서 걷기족의 새로운 하루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Dieser Aufsatz ist eine Zusammenfassung dessen, was ich während meines einjährigen Aufenthaltes in Berlin erlebt und erfahren habe. Jede Stadt hat gute und schlechte Seiten. So ist auch Berlin. “Berlin ist arm, aber sexy.” Was bedeutet das? Wir spuren die Freiheit Berlins durch Graffiti und Street Art. Ist es alles? Klaus Wowereits salopper Ausspruch “Arm, aber sexy” war ein weitreichendes politisches Programm. Er ist Ausdruck einer neuen Stadtpolitik, die mittels einer gezielten Inwertsetzung von Sub- und Gegenkulturen den Mythos des kreativen Berlin zu uberhöhen und die Stadt als einen globalen Sehnsuchtsort zu etablieren. Der Mythos des kreativen Berlin fuhrt seinerseits zu Verdrängung und Exklusion, zu Institutionalisierung und Kommodifizierung. Mit einem Wort, Gentrifizierung. Aber angesichts dieser Realität werden die Burger nicht besiegt. Sie kämpfen weiter. Die Stadt stirbt nicht, wenn der Kampf ihrer Burger in der Stadt nicht aufhört. Stadtpolitik und -pläne, auf die sich Macht und Kapital einigen, sind nicht dauerhaft. Solange man kämpft, schwankt und ändert sich heutige vorläufige Vereinbarung. Die rechtliche und moralische Ordnung ist auch in der Raumordnung verwurzelt. Wenn sich also die Raumordnung ändert, ändert sich auch die Rechtsordnung. Aber Welche Entscheidungen haben wir getroffen und sollten wir im Kampf um die urbane Raumordnung vorankommen? Wie können wir die Raumordnung radikal reformieren? Jedenfalls nichts ändert sich mit dem Kopf allein. Deshalb habe ich mich entschlossen, hier einen neuen Schritt zu machen und von einer Stadtpolitik zu träumen, die die Nomos der Erde verändern wurde.

      • KCI등재

        귀족의 탄생?: 단체협약상 산재 유족 특별채용 조항은 과연 불공정한 것인가 - 대상판결: 대법원 2020. & 27. 선고 2016다248998 전원합의체 판결-

        박천우 ( Park¸ Chunwoo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1 민주법학 Vol.- No.77

        산업재해로 인해 사망하거나 심각한 장해를 입게 되어 더 이상 일할 수 없게 된 경우, 그 산업재해 피해 노동자 대신 그의 직계가족을 대신 고용하기로 노사가 합의한 단체협약을 ‘단체협약상 산재유족 특별채용 조항’이라 한다. 이 같은 조항이 민법 제103조에 반하여 반사회질서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지난 8년간 격렬히 다퉈졌다. 1심과 2심은 산재유족 특별채용 조항이 “귀족 노동자 계급” 내지 “고착화된 노동자 계급”을 출현시킬 수 있으므로 불공정하며, 따라서 사회질서에 반하여 무효라고 보았다. 반면 대법원 전원합의체 다수의견은 이 같은 하급심 판결을 정면으로 뒤집으며 산재유족 특별채용 조항은 ‘실질적 공정성’의 관점에서 불공정하지 않으며, 따라서 사회질서에 반하지 않아 유효라고 보았다. 필자는 이 같은 법정의견과 김선수, 김상환 두 대법관의 보충의견을 지지한다. 본 글은 8년여 간의 지난한 소송 과정을 반추하며 하급심 판결과 대법원 판결들 각각에서 음미하고 고찰해야 할 지점들을 하나씩 검토한다. 이 글을 관통하는 핵심적 문제의식은 과연 이 사건 산재유족 특별채용 조항이 불공정하여 사회질서에 반하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탐구다. 일련의 분석을 통해 필자는 노동과 자본을 대하는 법원의 관점 및 태도가 드러내는 노골적 불공정성과 이중잣대야말로 사회질서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임을 주장한다. There was a collective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o hire an immediate family member instead of the injured worker in the case of death or serious disability due to an industrial accident. Whether this provision is anti-social order contrary to Article 103 of the Civil Act has been fiercely debated for the past eight years. The first and second trial held that the provision of special employment for survivors of industrial accident was unfair because it could create a “noble working class” or “established working class,” and therefore was invalid against the social order (Civil Law Article 103). The majority opinion of the court overturned the judgment of the lower court head-on, and considered that the provision of special employment for survivors of industrial accident was not unfair from the point of view of ‘substantial fairness’, and therefore was valid because it did not go against the social order. I support this court opinion and the supplementary opinions of two Supreme Court Justices Kim Sun-soo and Kim Sang-hwan.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eight-year litigation process and examines the points to be considered and considered in each of the lower court decisions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s one by one. Although each of the judgments of the first instance, the second instance, and the Supreme Court judgments each have their own issues, the core issue that runs through this article is the investigation of whether the special employment provision for the survivors of the industrial accident in this case is unfair and contrary to social order. Through a series of analyzes, it is argued that the blatant unfairness and double standards of the courts' views and attitudes toward labor and capital are directly against the social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