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시경제 및 비 거시경제변수가 항공운송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Su-Je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는 거시경제 및 비 거시경제변수가 항공운송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경영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1년부터 2011년까지의 거시경제지표인 회사채수익률, 유가, 실업률, 통화량, 무역수지, 원/달러 환율, 소비자물가지수, 산업생산성지수와 경영성과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을 사용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환율 변동은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은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총자산순이익률 변동에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시경제변수의 위험성을 통제하는 비 거시경제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비 거시경제변수로 대만 대지진, 아시아 경제 위기, 미국 911테러, 이라크 전쟁, 베이징 올림픽, 신종 플루 발병, 대통령 선거(1차), 대통령 선거(2차)을 축출하여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환율 변동과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을 함께 사용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시아 경제 위기와 신종 플루 발병은 총자산순이익률 변동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대만 대지진, 미국 911테러, 이라크 전쟁, 베이징 올림픽, 1,2 차 대통령 선거는 총자산순이익률 변동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라크 전쟁을 제외한 다른 변수들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운송업의 경영자들은 거시경제변수가 통제가 어려운 변수이긴 하지만 거시경제변수와 거시경제변수의 위험성을 통제하는 비 거시경제변수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분석한다면 경영성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act of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force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air transport firms and offer the useful information to the managers. To conduct the regression analysis, eight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were selected individual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Macroeconomic variables were the return of corporate bond, West Texas Intermediate, the unemployment rate, the money supply, the trade balance, the won to USD exchange rate, the consumer price index and the index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were Taiwan earthquake, the Asian economic crisis, the 911 terrorist attacks in the US, the Iraq war, Beijing Olympic, the outbreak of a swine flu epidemic, the 1st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2nd presidential election. And ROA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nging rates of won to USD exchange rate and consumer price index affected the changing rate of ROA significantly. And also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impact of two significant macroeconomic variables and eight non-macroeconomic variables on the changing rate of ROA, it was found that the Asian economic crisis and the outbreak of a swine flu epidemic had a negative impact on it. Therefore managers should take note of a change in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carefully to improve the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은 ( Soo Eun Kim ),신민식 ( Min Shik Shin ) 한국금융공학회 2011 금융공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여,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과 나쁜 기간으로 구분한다.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은 기간 스프레드가 크거나, 신용 스프레드가 작거나, GDP 성장률이 높은 기간을 말하고, 나쁜 기간은 그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를 사용하여 표본기업을 재무적 비제약기업과 제약기업으로 구분한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부분조정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즉, 기간 스프레드가 클수록, 신용 스프레드가 작을수록, 그리고 GDP 성장률이 높을수록 거시경제상태는 좋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간 동안에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더 빨라진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재무적 제약 여부와 관계 없이 성립한다. 즉,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따라서 전통적인 자본구조이론에서 제시된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 거시경제상태도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거시경제상태는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classified into good states and bad ones on the basis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erm spread, credit spread, and GDP growth rate. Good states are defined as higher term spread, lower credit spread, and higher GDP growth rate, and bad states are defined as the opposite sides of those macroeconomic variables. Moreover, firms are classified into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and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on the basis of financial constraints variables such a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sing the partial adjustment capital structure models to estimate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toward target leverage, we find evidence that firms adjust their leverage faster toward target leverag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than in bad ones. This holds whether or not firms are subject to financial constraints. So to speak, regardless of firm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y exhibit a faster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compared to bad ones.

      •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주가 결정요인의 장기균형관계

        홍영복(Youngbog Hong),황련희(Huang Lianji),김재일(Jaeil Kim)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0 경상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거시경제변수들과 주가의 장기균형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의 특성을 감안하여 거시경제변수들을 금융부문, 실물부문, 해외부문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금융부문에서는 금리, 물가, 통화량을 선정하였으며, 실물부문에서는 실물경기와 원유가격을, 그리고 해외부문에서는 국제수지, 환율, 미국 주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가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만한 경제변화 시점을 외국인에게 증권시장을 개방한 시점과 외환위기 시점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시점을 기준으로 외국인에게 주식시장을 개방하기 이전 5년간을 개방 이전기로, 개방 후부터 외환위기가 본격적으로 경제지표에 반영되기 이전 5년간을 부분개방기로, 그리고 외환위기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이후 5년간을 완전개방기로 분류하였다. 주가와 거시경제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토한 결과, 자본시장이 개방되기 이전에는 물가, 국제원유가격, 환율, 미국주가가 주가에 대한 원인변수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분개방기에는 주가가 통화량, 국제수지, 실물경기 등의 거시경제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외환위기가 지나고 경제가 다시 안정된 이후에는 본 연구에서 검토한 모든 거시경제변수가 주가에 대해 원인 또는 결과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통화량, 물가, 금리, 국제원유가격, 국제수지, 환율, 미국주가 등은 주가에 대해 원인변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실물경기는 주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이전기에 주가 변동의 원인이 되는 경제변수가 3개에 불과하였으나, 완전개방기에는 거시경제변수 8개 모두가 주가에 대해 원인변수 역할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양방향으로 원인변수 역할을 하는 변수도 대폭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거시경제변수들과 주가의 장기균형관계가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variables and stock pric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By taking Korea’s economic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the selected macroeconomic variables are divided into financial sector, real sector, and foreign sector. The following variables are selected in each sector: interest rate, prices, money supply in the financial sector, the real economic activity and crude oil price in the real economy sector, and 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s, exchange rate, and the U.S. stock prices in the foreign sector. In particular, the cointegration hypothesis between variables are tested. The times of economic changes that may have had tremendous influences on stock prices are defined as the time of opening the stock market to foreigners and the Korea’s financial crisis in 1979. With these two time periods, the five years prior to the opening of the stock market to foreigners are labeled as the “pre-opening period,” the five years before the financial crisis was fully reflected on economic indicators after the opening as the “partial opening period,” and the five years after being completely overcoming the financial crisis as the “complete opening period.” The Granger test and Johansen maximum likehood procedure are used to explain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stock price and the economic variabl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rices, crude oil price, exchange rate, and the U.S. stock prices served as causal variables in the pre-opening period. During the partial opening period, however, the stock prices acted as causal variable that affects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money supply, 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s, and the real economic activity. It was also revealed that money supply, prices, interest rate, international market crude oil price, 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s, exchange rate, and the U.S. stock prices act as causal variables for stock prices, and that real economic activity is influenced by stock prices in the complete opening period. Whereas there were only three economic variables that caused stock prices to fluctuate in the pre-opening period, all eight macroeconomic variables act as causal variables for stock prices in the complete opening period. Through such study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variables and stock prices undergo structural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

        신민식 ( Min Shik Shin ),김수은 ( Soo Eun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11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1 No.1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여,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과 나쁜 기간으로 구분한다.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은 기간스프레드가 크거나, 신용 스프레드가 작거나, GDP 성장률이 높은 기간을 말하고, 나쁜 기간은 그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를 사용하여 표본기업을 재무적 비제약기업과 제약기업으로 구분한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부분조정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즉, 기간 스프레드가 클수록, 신용 스프레드가 작을수록, 그리고 GDP 성장률이 높을수록 거시경제상태는 좋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간 동안에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더 빨라진다. 이러한 결과 는 기업의 재무적 제약 여부와 관계 없이 성립한다. 즉, 기업의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따라서 전통적인 자본구조이론에서 제시된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기간 스프레드, 신용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 거시경제상태도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거시경제상태는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재무적 제약 여부와 관계 없이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더 빠르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classified into good states and bad ones on the basis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erm spread, credit spread, and GDP growth rate. Good states are defined as higher term spread, lower credit spread, and higher GDP growth rate, and bad states are defined as the opposite sides of those macroeconomic variables. Moreover, firms are classified into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and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on the basis of financial constraints variables such a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sing the partial adjustment capital structure models to estimate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toward target leverage, we find evidence that firms adjust their leverage faster toward target leverag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than in bad ones. This holds whether or not firms are subject to financial constraints. So to speak, regardless of firm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y exhibit a faster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compared to bad ones. This results are also consistent with the evidence in the literature that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tend to adjust faster than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This paper may have a few limitations because it may be only early study about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Korean firms.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control variable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GARCH-MIDAS 모형을 이용한 분석

        김부권(Bu-Kwon Kim),최기홍(Ki-Hong Choi),윤성민(Seong-Min Yo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4

        본 연구는 국내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와 같은 정보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금융위기 이후의 기간인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기간의 KOSPI 200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GARCH-MIDAS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경제변수들의 영향을 살펴보면, 산업생산지수, 생산자물가지수, 환율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CD 유통수익률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지수 및 글로벌 불확실성지수별로 주식시장의 총변동성 추정결과를 보면, 경제심리지수, 기업실사지수, 소비자동향지수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U.S. EPU와 거시불확실성 지수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빈도 정보변수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분산비율을 보면, 거시경제변수 중에는 생산자물가지수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지수 중에는 경제심리지수가, 글로벌 경제불확실성지수 중에는 거시불확실성지수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저빈도 변수 중 글로벌 경제불확실성지수와 심리지수가 국내 거시경제변수에 비해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물변수와 더불어 심리지수와 글로벌 경제불확실성지수를 함께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formation variables such as macroeconomic variables, global economic uncertainty variables, and sentiment index variables affect stock market volatility in Korea. To analyze this impact,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is made up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20, and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GARCH-MIDAS model using the KOSPI 200 variable.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show that long-term volatility in industrial IP, PPI, unemployment rates, and exchange rates increase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while long-term volatility in CD yield reduces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Second, estimates of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by sentiment and uncertainty index show that long-term volatility in ESI, BSI, and CSI reduces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while U.S. EPU and the macro uncertainty increase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Third, the variance ratio of the low-frequency variable showed the highest explainability of the PPI among macroeconomic variables, the ESI, and macro uncertainty index. Especially, the macro uncertainty and ESI among low-frequency variables be found to be more explainable than domestic macroeconomic variables, confirming that sentiment index and global economic uncertainty must be considered along with real variables.

      • 거시경제변수와 베트남주가간 관계

        Nong Thi Dung,Ka-Youn Yi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1 경제경영연구 Vol.7 No.1

        The Vietnam Stock market was officially born on July 18, 2000, and considered in the sense that it would likely accept adjustment and constraints to reflect the contemporaneous national economic settings. Until now, for 10 years, it is true that Vietnam stock market and economy condition have experienced the rapid growth. This paper is one of several applied econometric studies investigating an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variables and stock price (or stock index)in Vietnam market. Especially, using empirical method of VECM,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 and the macroeconomic variables in Vietnam Market. We use the Vietnam stock index to represent the stock market price and three macroeconomic variables including (a) interest rate, (b) exchange rate, and (c) the consumer price index (as a measure of inflation). The sample period is from July, 2000(since Vietnam stock market started up) to August, 2010. We use monthly data for the variables for the sample period. By employin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the result shows that selected macroeconomic variables and the Vietnam’s stock price has a long run relationship. Interest rate and inflation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ock price. The exchange rates demonstrate weak positive influence on stock price. 베트남주식시장은 공식적으로 2000년 7월18일에 개장하였고 이후 급속히 발전하여 베트남 국가경제를 반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근 10년 동안 베트남 주식시장과 경제상황이 급격한 발전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시경제변수들과 주가간의 관계를 베트남 시장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다양한 계량경제연구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을 이용하여 베트남 시장에서 거시경제변수와 주가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주가를 대표하여 베트남주가지수(VnIndex)를 사용하였고 세가지 거시경제변수들로 이자율, 베트남 동(VND)의 대미 달러 환율, 소비자물가지수를 이용하였다. 자료들은 2000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월별 발표되는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거시경제변수들 중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소비자물가지수)은 주가에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은 주가에 미약하지만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거시경제변수들을 포함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지만 베트남 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라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거시경제변수가 지역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조태진(Tae-Jin Jo),임덕호(Duck-Ho Lim) 한양대학교 디지털경제연구소 2009 디지털경제연구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거시경제변수라 하더라도 지역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르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주택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주택정책의 지방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데 있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소득, 금리 등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조세, 부동산정책 등과 같은 정책적 요인, 그리고 인구이동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거시경제변수가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이자율, 총통화 변동률처럼 전국적으로 동일한 경제변수라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고 지역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더욱이 어음부도율과 같이 지역의 고유한 경제상황을 나타내는 변수라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그 영향력이 정반대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부가 주택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할 때에는 지역별 거시경제변수들의 변화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주택정책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중앙집권적인 주택정책의 지방화가 시급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 KCI등재

        거시경제변수를 이용한한국 국채 초과수익률 분석

        이순희,강한길 한국금융학회 2019 금융연구 Vol.33 No.4

        It is well-known that the excess returns of bonds are time-varying. However, it is in debate what factors determine excess return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edictability for excess returns using the forward rat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n detail, we use bond spot rates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macro-economic variables that are statistics representing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nd survey data from business participants and professional economists representing future expected economic conditions. We conduc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each group of macro-economic variables, and a few principal components a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 macro-economic variables have predictability for excess retur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ward rate factor that can be obtained by a linear combination of forward rates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on the yield curve has predictability for the excess returns. However, it is rejected that the forward rates are the only factor to explain excess returns and it means the information on the yield curve is not enough to explain future bond excess returns. Second, the macro-economic variables representing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nd survey data from economists have no predictability for bond excess returns. Third, the survey data from consumers and producers have predictability for long-term bond excess returns, different from the survey data from economists. Additionally, the survey data from consumers and producers have predictability for future real GDP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excess returns can be predicted by not only the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yield curve but also expectations for future market conditions. 본 연구는 한국 국채시장에서 초과수익률을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에는Cochrane and Piazzesi(2005)의 선도금리요인과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였다. 세부적으로 거시경제변수는 현재 경제상황을 수치화해서 나타내는 통계자료와 미래 경제상황에 대한 서베이자료, 경제전문가의 경제전망자료를 포함한다. 실증분석 결과, 선도금리요인은 초과수익률에 대해예측력을 가지지만 Cochrane and Piazzesi와 달리 채권초과수익률을 설명하는 단일요소는 아니며, 장기채권의 초과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이 단기채권 초과수익률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거시경제변수중에서는, 현재 경제상태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와 경제전문가의 경제전망지표는 초과수익률에대한 예측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소비자와 생산자가 미래 경제환경에 대해 가지는 예측정보를포함하는 서베이자료는 중장기채권 초과수익률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한국국채시장의 초과수익률에 대한 정보는 이자율 곡선 내 상당히 포함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이자율 곡선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초과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가지는 요소가 있음을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거시경제변수를 이용한 한국 국채 초과수익률 분석

        강한길 ( Hankil Kang ),이순희 ( Soonhee Lee ) 한국금융연구원 2019 금융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한국 국채시장에서 초과수익률을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에는 Cochrane and Piazzesi(2005)의 선도금리요인과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였다. 세부적으로 거시경제 변수는 현재 경제상황을 수치화해서 나타내는 통계자료와 미래 경제상황에 대한 서베이자료, 경제전문가의 경제전망자료를 포함한다. 실증분석 결과, 선도금리요인은 초과수익률에 대해 예측력을 가지지만 Cochrane and Piazzesi와 달리 채권초과수익률을 설명하는 단일요소는 아니며, 장기채권의 초과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이 단기채권 초과수익률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거시경제변수중에서는, 현재 경제상태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와 경제전문가의 경제전망지표는 초과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소비자와 생산자가 미래 경제환경에 대해 가지는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서베이자료는 중장기채권 초과수익률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국채시장의 초과수익률에 대한 정보는 이자율 곡선 내 상당히 포함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이자율 곡선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초과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가지는 요소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It is well-known that the excess returns of bonds are time-varying. However, it is in debate what factors determine excess return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edictability for excess returns using the forward rat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n detail, we use bond spot rates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macro-economic variables that are statistics representing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nd survey data from business participants and professional economists representing future expected economic conditions. We conduc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each group of macro-economic variables, and a few principal components a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 macro-economic variables have predictability for excess retur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ward rate factor that can be obtained by a linear combination of forward rates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on the yield curve has predictability for the excess returns. However, it is rejected that the forward rates are the only factor to explain excess returns and it means the information on the yield curve is not enough to explain future bond excess returns. Second, the macro-economic variables representing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nd survey data from economists have no predictability for bond excess returns. Third, the survey data from consumers and producers have predictability for long-term bond excess returns, different from the survey data from economists. Additionally, the survey data from consumers and producers have predictability for future real GDP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excess returns can be predicted by not only the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yield curve but also expectations for future market conditions.

      • KCI등재

        거시경제요인이 아파트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의사결정나무 방법론을 이용하여 -

        이석원(Lee Seok Won),정재호(Chung Jae ho)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70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ote that even though the same interest rate, it‘s influence is different. Therefore, we measure the importance of variables and analyze the impact of apartment price fluctuations using economic variable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of variables using decision trees from December 2007 to February 2017 February. The effect of apartment price fluctuation is analyzed by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Grandeur causality, impact response, dispersion variance and prediction error analysis. The software used is SAS9.4, E-Miner 6.2, Eviesw 8.1. (3) RESEARCH FINDINGS The variables extracted by the decision tree model among the data of the Bank of Korea are as follows : the interest rate of the Bank of Korea, the balance of money issued (currency), producer price index (total index), industrial production index (total index_seasonal adjustment) Enonomic Sentiment Index (cyclical change) wa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2. RESULTS The effect of the VEC model on apartment price index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hort - term and long - term equilibrium relations are established, and all variables are influenced by impact reaction. Although it is meaningful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partment price index are scientifically extracted and analyze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nalyze the factors other than the variables of the Bank of Korea.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ity and original data in the accumulation of data. The study of techniques to elaborate the diversity and model of this variable extraction method remains as a future challenge.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는 분석에서는 모형 구축 시 독립변수의 수가 한정됨에 따라 함축적이고 대표성을 지닌 변수 추출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경제변수 중 함축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함에 있어 같은 금리라도 기준금리, 시중금리, 대출금리에 따라 아파트가격 변동 영향관계가 달라짐에 따라 자의적으로 선택하던 기준을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변수의 중요도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거시경제변수의 선택기준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파트가격지수에 대한 영향력을 VEC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장기균형관계가 성립되고 있으며, 충격반응결과 모든 변수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파트가격지수에 대하여 VEC모형을 통해 변수 간 장기균형관계와 단기균형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아파트 가격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과학적으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나, 한국은행의 변수가 아닌 타 변수의 요인들도 확대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자료의 축적에서 계절성과 원계열 데이터의 영향관계 도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러한 변수추출법의 다양성과 모델을 정교화하는 기법의 연구는 향후의 과제로 남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