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채만식 기행문에 나타난 만주지정학과 비협력의 논리- 「간도행」을 중심으로

        홍순애(Hong, Suna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25 No.1

        본고에서는 채만식 만주기행문 「간도행」을 통해 일제말기 제국 협력의 논리와 관련된 감정정치의 서술적 특성, 총력적 체제하 ‘민족’에 대한 사유의 체계를 논의하였다. 기행문은 허구성에 의한 글쓰기보다 작가의 내면이나 사상들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장르적 특성을 갖는다. 이에 기행문이 간접화된 서술양식이 아닌 실제적인 경험을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체의 (무)의식은 보다 정교하게 드러난다. 채만식의 간도기행문에서는 객관적인 서술과 사실에 입각한 여행의 보고 형식을 준수하고, 만주 개척민에 대한 연민을 드러내는 글쓰기의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대일 협력의 지점을 모호하게 한다. 시찰의 일행이었던 이무영, 정인택, 정비석의 기행문은 공통적으로 국가시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양상을 띤다. 채만식은 정인택처럼 간도를 과도한 낭만성으로 전치시키지도 않았고, 황국신민의 왕도낙토, 유토피아로 상상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정비석처럼 동양주의에 몰입되어 대동아 전쟁의 승리를 희구하지도 않는다. 채만식의 기행문은 이민부락, 공동농장의 시찰 지역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며, 동족 개척민을 연민의 시선으로 묘사함으로써 비협력의 포즈를 위한다. 이러한 경향은 작가의 대일협력에 대한 (무)의식적 반성, 자기검열의 결과였다고도 볼 수 있다. 채만식이 민족의 죄인에서 언급했듯이 제국주의에 대한 협력은 불우한 시대에 있어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협력의 소극적인 행보였다라는 논리는 기행문을 통해 확인 된다. “한정 없이 술술 자꾸만 미끄러져 들어가는 대일협력자의 수렁”에서 정강이까지만 미끄러져 들어간 것, ‘불멸의 고무장화’로 표현되는 작가의 협력에 대한 변명은 간도기행문으로 확인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politics related to the logic of the empire cooperation theory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thought system about the nation under the total war system, through a travel essay called Gandohang by Chae Man sik. A travel essay has a genre characteristic that directly conveys the inner side and ideas of the writer compared to fictional writings. Therefore, the subject 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re more elaborated in that the travel essay describes the actual experiences rather than the indirect narrative style. The essay, Gandohang, reveals the ideological aspect of the Korea Japan cooperation in the lat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visit of Chae Man sik to Gando Province by the invitation of the Manchurian Promotion Committee of the Manchu County. In Chae Man sik s Gando travel essay, the point of Korean cooperation with Japan is made ambiguous while the author follows the objective narrative and factual reporting format of a travel essay and executes the strategy of writing which reveals compassion for the Korean pioneers of Manchurian region. All of the travel essays of Lee Mu yeong, Jung In taek, and Jeong Bi seok, who were also part of the visit team, actively and positively respond to national policies. However, Chae Man sik did not translate Gando with excessive romanticism like Jung In taek, nor did he imagine the royal kingdom of the emperor as a paradise or utopia. Nor was he immersed in orientalism and desired the victory of the Great East Asia War like Jeong Bi seok. Chae Man sik s travel essay objectively describes the area they visited including immigrant villages and communal farms, and portrays the Korean pioneers in the area with compass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 kind of skepticism and self inspection about the Korean cooperation with Japan from the writer s perspective. As mentioned in The Sinners of the Nation, the cooperation with imperialism was an inevitable choice in the time of adversity, and the passive actions of cooperation are confirmed in the travel essays. The sinking of the Japanese collaborators who only sink down without limitation depicts the sinking up to the point of shin and the proof of this could be this travel essay on Gando. The excuse for the writer s cooperation with Japan, expressed as immortal rubber boots, can be said to have been confirmed by his Gando travel essay.

      • KCI등재

        日帝의 '滿洲開拓' 政策과 朝鮮人 動員

        金潤美(Kim, Yoon-Mi) 한일민족문제학회 2009 한일민족문제연구 Vol.17 No.-

        日帝は‘滿洲國’を建てた後、‘國策’で朝鮮人と日本人の滿洲移民を敢行した。20年間(1937~1956) 100萬戶を滿洲へ移住させるという計劃は1932~1926年の試驗期を経て1937~1941年 <滿洲開拓第1期5個年計劃>, 1942~1945年 <滿洲開拓第2期5個年計劃>として展開された。本考では‘滿洲開拓’ 關聯法令及び施行要綱を整理し、朝鮮人政策の變化を分析して朝鮮人開拓民たちの性格を糾明しようとした。現在相當に蓄積されている朝鮮人の‘滿洲國’ 移民に関する硏究の中で具體的に論議されていない1937~1945年の間を中心に1937年の中日戰爭と1941年のアジア太平洋戰爭という情勢によって變化した朝鮮人政策について考察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1934年安全農村を通じてはじめて渡滿を始まるようになった朝鮮人たちは1945年まで自由を失い、嚴格に統制され、勞動力を提供するしかなかった。1937年から每年1萬戶の朝鮮人の動員が目標とされたが每年計劃の数に及ばず、1944年には3千戶程度にとどまり、事實上政策は有效ではなかったと見られる。開拓民の對象は農業のみならず林業·牧畜·商業·工業·鑛業外の階層を包括した。そして政策は計劃通りに進行されなくて16~19歲の靑年建ちを3年間訓練させて集團村を形成する‘滿洲開拓靑年義勇隊’と臨時勞動力で‘滿洲建設勤勞奉仕隊’を動員した。日帝は朝鮮人開拓民たちを通して旣住朝鮮人の定着安定、水田農業による食糧增産、そして軍事力の强化を図ろうとした。朝鮮人開拓民は單なる‘農業移民’者ではなかったのである。 The Japanese imperialists started emigration policy to Manchuria as a national policy in 1932~1945 after they established Manchkuo in 1931. The plan, by the Japanese and the Manchukuo governments,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was to emigrate 1,000,000 Japanese families for twenty years. In this paper, I tried to elaborate on the process of the cultivation policies and the revised policies adjusted to the situation, by examining the laws concerned and especially to analyse the policies related to Koreans. Koreans went to 'the safe villages' in Manchuria based on the cultivation policy for the first time in 1934. About 1,300 families immigrated there until 1936. The First Manchuria Cultivation Plan, 1937~1941 and the Second Manchuria Cultivation Plan, 1942~1945 prompted more Koreans to settle in Manchuria. The new settlers were basically supposed to help previous immigrants by producing rice and to play a military role of strengthening the Northern border. There were also settlers for forestry, stock farming, commerce, industry, mines as well as for agriculture. The younger generation organized the Manchuria Cultivation Youth Volunteer Army who were to form collective villages and the Labor Service Army for Constructing Manchuria to mobilize the provisional labor forces. However, the actual Korean emigration became short of the plans, only fulfilling about 50% of the planned 10,000 families in 1938. Even the Korean immigrants reached 10,000 families in 1939~1943, only a small part of them were collective settlers. As there were only 3,000 families of settlers in 1944, the policy actually ceased to work. Manchuria cultivation policies were prepared as a national policy in order to provide labor forces and various resources for the war and the management of Manchukuo. Generally, Korean settlers lost freedom as a form of harshly controlled immigrants, providing their labor. We need to see the mo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settlers, which have been covered just as 'agricultural settlers' so far.

      • KCI등재

        An Examination of Laura's Growth from Child to Adult: in the American Prairies

        Kim, Hokyung(김호경)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2 스토리&이미지텔링 Vol.3 No.-

        본고는 로라 잉걸스 와일더의 『초원의 집』 시리즈 중 『기나긴 겨울』(1940)과 『눈부시게 행복한 시절』(1943)에 나타난 십대 소녀 로라의 성장을 조명한다. 이를 위해 로라의 성장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가족, 학교 사회,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파악한다. 역사소설과 자서전 성격을 띤 『기나긴 겨울』 과 『눈부시게 행복한 시절』 은 산업화와 물질문명의 혜택을 받기 이전인 19세기 미국 서부 개척시대 개척민들의 삶, 가족의 의미, 여성의 삶 및 청소년의 성장을 잉걸스 가족의 개척정신, 사람과의 관계, 사람과 자연과의 관계, 종교, 교육 등을 통해 특히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로라의 아버지는 자유로운 삶을 즐기는 개척자로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노동을 통한 삶의 개척 및 풍요로움의 성취 등에 의미를 부여한다. 한편, 가족의 안정된 삶을 중시하는 어머니는 정착이 중요하다고 여기며 아버지의 삶의 방식과 차이를 보인다. 어머니는 지역사회에서 타인과의 관계정립, 자녀의 교육, 전통적인 가정생활 유지 등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한다. 로라 자신도 아버지처럼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을 원하지만 아버지와 어머니의 논리를 모두 존중하며 서로 다른 이념 사이에서 내면적인 갈등을 겪는다. 가족이 처한 현실을 되새기며 현실에 적응해야 할 필요성을 깨닫는 로라는 앞을 못 보게 되는 언니 메리의 공부를 돕고 가족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기위해 교사가 된다. 가족을 위해 자신을 헌신하는 어머니의 삶을 따르게 되는 것이다. 자연에 순응과 도전을 반복하는 현실의 삶에서 가족을 위해 헌신하며 안정정인 삶을 추구하는 로라의 고민과 이를 통한 성장의 여정이 사회생활을 통해 만나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알만조와의 로맨스를 통해 자연스럽게 아버지의 딸에서 아내가 되는 결혼에 이르게 된다. 어머니처럼 자신을 헌신하지만 남녀관계에서 로라는 일방적인 순종이 아닌 평등하고 독립적인 자세를 취한다. 더불어, 초원은 특히 자연을 동경하는 로라의 성장에 정신적 풍요로움과 안정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rocess of growing up of Laura which is shown in The Long Winter(1940) and These Happy Golden Years(1943) written by Laura Ingalls Wilder(1967~1957). For this, I explore Mary`s family life, her social life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Almanzo, and the prairie. The two books are parts of the Little House series, which is Wilder`s autobiography and historical novel; they describe American frontiers` life during the America`s westward expansion, before the new modern technology advents. The Long Winter in particular depicts Laura`s family life in the West more realistically than other books of the series. In the book, Laura, the teenage protagonist, approaches adulthood. Laura`s growing up to a mature woman through her social life as a teacher is portrayed din These Happy Golden Years, which also depicts Almanzo and Laura`s courtship, Laura`s social life. Pa prefers pioneer life of moving rather than settlement, and wants to go further to the West. He loves nature and portrays the typical image of American pioneer attitude of hard-working. Pa and Laura aspire the sense of own capabilities and the feeling of free and independence. The prairie becomes Laura`s invisible home which provides her with spiritual security. Unlike pa, Ma values settlement of the family and children`s education rather than moving. She devotes herself to the family settlement. The Long Winter dominates women`s work culture on the American frontier in the nineteenth century by showing Ma`s domestic chore Ma in fact shows how women can be inventive in the kitchen. Although Laura respects her parents` different attitudes, she struggles with the two different life styles. Considering the reality of her family life and the older sister Mary`s less bright situation as a blind, Laura decides to follow Ma, who strongly influences on her future; Ma is a role model for her. After the harsh winter passes, Laura realizes her role as a woman. She becomes a self-reliant and independent individual which she harmonizes with modern and traditional values, which she learned through the education and Ma.

      • KCI등재

        중국 연변지역 돈화 대구촌의 샘물제에 대한 연구

        허휘훈 ( Hu Hue-h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40 No.-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대구촌의 샘물제는 민족 고유의 전통 산신제의 변이형태로서 매우 중요한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갖는다. 조선족의 민간신앙에서 산신제는 일부 저서에서 “8.15”광복 이전까지 행해졌다는 간단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을 뿐 해방 후 현장에서 발견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었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국내외 학계에서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이런 시점에서 대구촌의 샘물제는 조선족 민간신앙의 빈 자리를 현장 실체로 메워 준 것으로 주목된다. 대구촌의 샘물제는 마을 주변에 있는 산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는 산신제의 계승 형태이다. 제사는 1942년 제1세 이주자들에 의해 생겨났으며 오늘까지 줄곧 이어지고 있다. 그 명칭이 “샘물제”로 되어있는데 이는 제사 장소가 샘터에 있고 그 샘물을 마을 사람들이 식수로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으며 샘물제에서 모시는 신은 분명 산신이다. 이는 제사과정에서 좌정신의 신격이 산신임이 뚜렷이 밝혀지고 있으며 제사 절차도 기본적으로 민족 고유의 마을제사인 산신제 절차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대구촌의 샘물제는 마을 사람들에게 제액초복의 믿음을 갖도록 해주고 또한 마을 사람들의 결속을 다지고 지연적 유대를 강화하기도 하며 그리고 향토적, 민족적 자부심과 긍지를 심어주고 키워주는 등 역할을 한다. Spring water I of the Yeonbeon autonomy area Donhwa-city Taegu village as racial specific traditional mountain shoes proposal mutation form very have cultural meaning and the value which are important. From civil religious belief of the Korean “until before 8.15” regaining its independence it came to do the possibility of trying to seek the record which is simple only there to be mountain shoes I from the part book after liberating and also the research against him not to be an instance which is discovered from site so far almost recognition it is wholly lacking from the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world. From like this point of view spring water I of the Taegu village was paid attention with the fact that to fill up the vacant seat of Korean civil religious belief with the site entity all. Spring water I of the Taegu village serve the mountain where there is to a village circumference with the guardian deity and the village peace and it is a mountain shoes proposal succession form which supplicates the wind bedspread. The sacrificial rite originates and 1942 in compliance with the 1st three immigrants it is being joined together until today all the time. The name “the place where it becomes with spring water I” a possibility of seeing with because the village people is doing with the drinking water sacrificial rite place is to a fountain-site and that spring water from spring water me and there is it serves it is clear mountain shoes which it puts on. Godhood of left spirit the mountain new appointment is coming to reveal the from sacrificial rite process, sacrificial rite process basically it agrees with the mountain shoes my process which is a racial specific village sacrificial rite it will be able to confirm. Spring water I of the Taegu village do as a favor and in order to have the faith of my misfortune beginning of the dog days in the village people, binding together of the village people and a delay tie also i harden i strengthen, it does and native place, it plants it gives and the back role to raise it does a racial self-conceit and a pride and.

      • KCI등재

        ‘대륙문학’의 기획과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

        QIAN CHUNHUA 만주학회 2017 만주연구 Vol.- No.23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and ‘continent exploitation literatur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novel was a ‘continent literature’ designed by Chosun Ilbo. Chosun Ilbo proceeded with this plan, which originated from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the literary world at a time when total mobilization systems of writers started with the ‘corps of the pen’. It was also labelled ‘continent literature’, despite clear awareness that it represented ‘continent exploitation literature’ that eclipsed the typical continental literature of that time. Therefore,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was product sandwiched between external pressure as a ‘planned novel’ and the inner desires of the writer. In turn, such internal-external antipodal relationship presented several gaps in the novel’s composition, presenting several limitations on the novel as a whole. 본고는 <조선일보>에서 ‘대륙문학’으로 기획한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이 사실은 식민지말기 집중적으로 생성된 ‘대륙개척문학’의 한 양상이었음을 살펴보았다. 비록 ‘대륙문학’이라는 이름으로 기획되었지만 그것은 ‘대륙개척문학’을 지칭하는 또 다른 별칭일 뿐이었다. ‘대륙개척문학’은 ‘생산문학’과 마찬가지로 식민지말기 국책문학의 하위 장르의 하나였고 주로 1938~1942년 ‘농민문학간화회’와 ‘대륙개척문예간화회’의 회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조선일보가 이와 같은 기획을 진행하였던 것은 당시 ‘펜 부대’를 시작으로 하는 문인총동원체제와 일본에 의해 주도되었던 새로운 만주이민정책의 시행이 시기적으로 조응하면서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던 ‘만주 개척’에 대한 관심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대지의 아들>은 소재나 구성, 인물형상의 부각 등 몇몇 면에서는 ‘대륙개척문학’의 형식과 요소들을 갖추고 있지만 ‘개척문학’의 중요한 이념이었던 ‘개척정신’과 ‘만주 명랑’을 서사화하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다. 이는 작가 이기영이 ‘대륙문학’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거나 내면화하는 데에는 협조적이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이렇듯 『대지의 아들』은 ‘기획소설’이라는 외적인 압력과 그 문학적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없었던 작가의 내적인 갈등 사이에서 길항하면서 생성된 텍스트였다. 동시에 이 작품은 식민지말기 ‘만주 개척’의 의미를 다시 천착해 볼 필요가 있음을, 특히 194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생성되었던 만주 재현 문학을 ‘개척’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시 읽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 전통 산신제의 계승형태

        허휘훈(Hwi-hoon Heo)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3 아시아강원민속 Vol.27 No.-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대구촌의 샘물제는 민족고유의 전통 산신제의 변이형태로서 매우 중요한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갖는다. 조선족의 민간신앙에서 산신제는 일부 저서에서 “8•15”광복 이전까지 행해졌다는 간단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을 뿐 행방 후 현장에서 발견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었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국내외 학계에서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이런 시점에서 대구촌의 샘물제는 조선족 민간신앙의 빈자리를 현장 실체로 메워 준 것으로 주목된다. 대구촌의 샘물제는 마을 주변에 있는 산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는 산신제의 계승형태이다. 제사는 1942년 제1세 이주자들에 의해 생겨났으며 오늘까지 줄곧 이어지고 있다. 그 명칭이 “샘물제”로 되어있는데 이는 제사장소가 샘터에 있고 그 샘물을 마을 사람들이 식수로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으며 샘물제에서 모시는 신은 분명 산신이다. 이는 제사과정에서 좌정신의 신격이 산신임이 뚜렷이 밝혀지고 있으며 제사절차도 기본적으로 민족고유의 마을 제사인 산신제 절차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대구촌의 샘물제는 마을 사람들에게 제액초복의 믿음을 갖도록 해주고 또한 마을 사람들의 결속을 다지고 지연적 유대를 강화하기도 하며 그리고 향토적, 민족적 자부심과 긍지를 심어주고 키워주는 등 역할을 한다. The spring water festival in Daegu-chon, Donhwa Town, and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has very important cultural meaning and value as a modified form of the national and traditional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Simple records regarding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national folk belief has been found in some reference as it was performed before Korea"s Liberation Day on August 15 and the case has not been found in the field up to now after the day of Liberation, and thus the related study has been rarely performed in domestic and overseas academic society. At the time, the spring water festival of Daegu-chon drew attention to fill out the vacancy of folk belief of the ethnic Chinese Korean with real evidence. The spring water festival of Daegu-chon is the form of inheritance of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for wishes of peaceful and abundance village, worshiping guardians in the surrounding mountains around the village. The ancestral ritual was begun by the 1st generation of immigrants in 1942 and it was continuously maintained up to now. It might be maintained since the place of ancestral ritual was located near the place of spring water and the spring water was the drinking water of people in the village; and the spirit worshiped in the spring water festival must be mountain spirit. It was clearly found that the divinity of the sitting spirit in the process of ancestral ritual was the mountain spirit and the procedure of ancestral ritual was basically and exactly matched with the procedure of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a national village ritual. The spring water festival enhanced the belief for prevention of misfortune and confession of sin, strengthened the unity of village people and regional relations, and implanted and developed the indigenous and national self-esteem and pride.

      • KCI등재

        ‘모던 만주’, 이상과 파국의 임계지대-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을 가로질러-

        최현식 ( Choi Hyun-si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글은 김남천은 『사랑의 수족관』을 중심으로, 연애의 기차, 만주의 문제성을 다룬다. 보통 이 작품은 경성에 초점을 맞춰 주인공들의 사랑과 성공의 욕망을 서사화한 것으로 평가 한다. 또한 직업과 생활을 문제를 회사 경영, 기술자, 자선사업, 양재사, 바(bar)의 여급 등을 등장시켜 관찰, 묘사한 것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사실의 세기’로 흔히 평가되는 1940년을 전후한 식민지 조선의 현실과, 그를 바라보는 소설가 김남천의 내면과 전향의 논리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이 작품에서 오히려 미지와 공백의 지표로 남겨진 것으로 평가되는 만주, 특히 길림-사가방 연선의 서사화 및 상상적 접근에 중심을 두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만주 모던’의 의미와 가치, 그곳으로 이주한 조선인의 현실과 삶의 저변을 짚어나갈 것이다. 하여 경성이 대흥콘체른의 이신국과 그 영양(令孃) 경희, 토목기사 광호의 공간이라면, 만주는 직업과 생활을 앞세운 현순과 양자의 공간임을 전제한다. 물론 『사랑의 수족관』에서 만주의 풍경과 내면은 주로 광호와 경희의 기차와 여행, 길림 방문을 통해 제시된다. 그러나 개척의 식민도시 신경과 길림, 사가방은 경성의 또 다른 재현이자 연장의 공간이다. 이를 비판적으로 조감하고 당대 만주의 현실을 드러내기 위해 현순과 양자를 화자로 설정한다. 그를 통해 조선인·일본인·만주인의 기묘한 갈등과 싸움, 결속이 이뤄졌던 농토개척단 및‘춤추는 여자’와 ‘팔려온 여자’로 대표되는 만주 유흥공간의 문제성을 분석한다. 결국 이를 통해 만주에서 생활과 직업을 구했던 조선이주민 현순과 양자, 개척농민들이 이중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in of romance and the issue of Manchuria focusing on Love Aquarium by Kim Nam-Cheon. Usually, this work is considered to be a narrative on the main characters’ desire about love and success, focusing on Kyungseong(an old name for Seoul). It also noted that the problems of occupation and life are observed and depicted with the appearance of company management, an engineer, charity business, a costume maker, and a bar waitress. Through this, this paper tries to review the reality of the colonial Joseon around 1940, the period often regarded as the ‘century of facts’, and the inside of novelist Kim Nam-Cheon who looks at it and his logic of convers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narrative and imaginative approach of Manchuria, especially Gillim-Sagabang railroad, which is regarded as an indicator of the unknown and empty in this work. By doing so, it will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Modern Manchuria’, the reality of the Korean people who migrated there and their bases of life. If Kyungseong is the space of Lee Shin-Kook of Daeheung Konzern, his daughter Kyung-Hee, and civil engineer Gwang-Ho, it is presumed that Manchuria is the space of Hyun-Soon and Yang-Ja, those who focus on occupation and life. Of course, in Love Aquarium, the scenery and inside of Manchuria are mainly presented through the train and trips of Gwang-Ho and Kyung-Hee, their visit to Gillim. However, the colonial cities of pioneering, Sinkyung, JGillim, and Sagabang is another recreation of Kyungseong and a space of extension. In order to examine this critically and to reveal the reality of Manchuria of the time, Hyun-Soon and Yang-Ja are set as narrators. Through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farm pioneering group which had conflicts, fights, and unity among the people of Joseon, Japan, and Manchuria and the space of entertainment represented by ‘dancing women’ and ‘women who were sold’. In the end,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Hyun-Soon and Yang-Ja, Korean immigrants who searched for life and occupation in Manchuria, and pioneer farmers were doubly alienated the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