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개념사의 이론적 탐색에 대한 고찰과 전망

        송인재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0 No.-

        The Korean Conceptual History started with the aim of reading the modernity of Korea newly and solving the academic confusion and regional conflicts by conceptual studies. Early the role model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was German Conceptual History. Korean Conceptual History searched for his own way of being different from Germany in the aspects of place, material, theory. Conceptual History secures East Asian horizons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he concept of modern China and Japan historically became the context of the modern Korean concept.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nceptual History of China and Japan is a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partner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Digital Humanities can contribute to conceptual history through the advantage of the method of Big data analytics. Furthermore, it can build an open system that provides the basis for improved recall and innovation in research. The theoretical exploration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has been through reflection on precedents, diverse self-conquest efforts, and methodological innovation through Digital Humanities. Through this, the identity, tasks, and prospects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are getting clearer. 한국 개념사는 개념으로 한국의 근대를 새롭게 독해하고 학문적 혼란과 지역적 갈등을 해결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초기 한국 개념사의 롤모델은 사회사적 전통 위에서 언어를 역사연구의 분석단위로 설정하면서 형성된 독일 개념사였다. 한국 개념사는 동아시아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자각, 일상사와 문화사에 대한 주목, 독일 개념사 이론과 성과에 대한 성찰을 통해 독일과 구분되는 진로를 탐색했다. 개념사는 두 가지 측면에서 동아시아적 지평을 확보한다. 한편으로는 역사적으로 근대 중국, 일본의 개념이 근대 한국 개념의 컨텍스트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 수행되는 중국, 일본의 개념사가 한국 개념사의 협력과 소통 파트너가 된다. 디지털인문학은 장기간 축적된 다량의 텍스트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으로 개념사와 결합한다. 아울러 연구의 재현율 향상과 혁신의 토대를 제공하는 열린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개념사에 기여한다. 한국 개념사의 이론적 탐색은 선례에 대한 성찰, 다각적인 자기맥락 확보 노력, 디지털인문학을 통한 방법론적 혁신을 거쳤다. 이를 통해 한국 개념사 정체성과 과제, 전망은 점점 선명해지고 있다.

      • 프랑스의 역사 연구와 개념사

        고원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 No.1

        프랑스 역사가들은 개념사에 별다른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프랑스 역사가들 스스로가 프랑스에는 독일이나 영국과 같은 개념사 연구의 조류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정도로 프랑스 역사학은 개념사에 무관심했다. 왜 프랑스 역사가들은 개념사에 관심을 갖지 않았을까? 언뜻 보기에 프랑스 역사학은 개념사가 발전하기 위한 유리한 여건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사, 비사건사 등 독일 개념사의 주요한 이론적 전제들을 공유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개념사의 이론적 토대 가운데 핵심 축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의 역사적 연구에 대한 문제 설정이 프랑스 역사가들 사이에서 충분히 확산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념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이유는 구조주의의 영향 때문이었다. 1950년대와 70년대 프랑스에서는 역사학과 구조주의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로 생겨난 프랑스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특성은 해석학적전통에 기반하는 개념사가 들어설 여지를 완전히 제거해 버렸고, 언어의 역사적 연구에 대한 요구는 실증주의적 담론 분석으로 해소되었다. 그렇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프랑스 역사학은 실증주의적 횐상에서 깨어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정치사상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개념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게 된다. 특히 마르크스주의계열의 학자들 가운데 일부는 자신의 작업에 개념사 연구를 활용하기 시작한다. 물론 이들의 연구는 독일의 개념사와는 다른 문제설정과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독일과 프랑스 사이의 상이한 역사적 조건을 고려한다면 아주 당연한 모습일 것이다. For a long time, French historians took little or no interest in conceptual history, openly asserting: “there are not veritably currents of conceptual history in France.” So, why were they indifferent to this new German historiography? France outwardly had good circumstances to ensure its adoption of such a conceptual history: important elements of this historiography, such as social history, histoire non-evenementielle-especially the historical analysis of language-also held interest for French historians. But, they did not introduce a conceptual history, owing to the influence of structuralism. In the 1960s and 70's, French history joined the current of structuralism, an encounter which ensured the positivism of French history. In other words, a positivist history did not leave any room for the introduction of a conceptual history founded on hermeneutics. It was the analysis of discourse that appeared to reply in a positivist way to a requirement of the historical analysis of language. Subsequently, French history would awake from the illusion of positivism, in the 1980's, and it was then that it began to display an interest in conceptual history. Nevertheless, French conceptual history differed from German history, which was a matter of course, if we consider the dissimilar historical conditions of France and Germany.

      • KCI등재후보

        한국 개념사 연구의 모색과 논점

        양일모 ( Ii Mo Yang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8

        21세기에 들어와 동아시아 각 지역에 유럽에서 기원한 개념사가 거의 동시에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에서는 개혁개방과 함께 찾아온 새로운 역사관의 요청으로 개념사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에 대한 근본적 비판도 적지 않다. 일본에서는 자국의 사상사 연구의 전통 위에서 개념사 연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일본의 근대적 사유 체제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지난 세기에 서양을 수용하는 데 뒤처졌다고 평가되던 한국이 개념사를 둘러싼 논의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비해 보다 활기를 띠고 있다. 그만큼 한국의 근대가 유럽과는 달리, 중국과 일본과도 달리 개념 연구 혹은 개념사적 방법을 통해 근대를 성찰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서양의 근대와 동아시아의 전통이 여전히 경합하고 있는 한국에서 개념사 연구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식론적 방법론적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 ``방법``으로서의 개념사: 개념사가 단지 서양 이론의 수용에 멈추지 않기 위해서는 유럽의 다양한 개념사 연구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의 근대가 지닐 수 있는 또 다른 특질, 서양 또는 중국과 일본의 영향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속에서 생성된 근대적 개념의 의미론적 투쟁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2. ``의미``로서의 개념사: 한국의 근대 개념은 중국이나 일본의 번역을 경유하여 수용됨으로써 번역의 부재라는 특성을 지니지만, 번역이 필요로 하지않았던 문화적 전통과 연계하여 번역 없는 번역된 근대가 지니는 의미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3. ``소통``으로서의 개념사: 한국의 개념사 연구는 자국의 정체성의 확립을 위한 근대적 기획을 넘어서, 지난 세기 세계사적 모순 속에서 야기된 동아시아의 갈등과 충돌을 직시하면서, 이 지역에서 경제와 정치적 통합을 넘어선, 상생과 소통을 위한 새로운 인문학적 패러다임의 모색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Recently, intellectual circles in East Asia, nearly at the same time, began to discuss the conceptual history study having emerging in German and England. Conceptual history is now underway in China to meet demand for a new history, yet there is not a little criticism against it. Japan accom-modated some part of conceptual history on the basis of its own tradition of the intellectual history, calling on itself to reflect on its own modern system of ideas. Discussion over conceptual history is rather active in Korea, that is considered to fall behind in accepting the West in the last century. In Korea, where the Western modernity and the East Asian tradition are still competing each other, discussion about conceptual history has to take th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following into consideration to lead to meaningful results. 1. Conceptual History as ``Method``: It is necessary to incoporate a variety of conceptual history in Europe into Korean conceptual history not to end into the mere acceptance of the Western theory. It has to grope for its own modernity, unlike not only the West but also even other nations in East Asia. Therefore it could be said to pay attentions to semantical struggle caused by the Korean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besides the impact of the West, China, Japan. 2. Conceptual History as ``Historical Meaning``: Modern Korean language has a tendency of absence of translation in its nature since it was accepted by way of Chinese or Japanese translation.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for us to focus on social practice and formation of discourse in this conditions. 3. Conceptual History as ``Communication``: Korean conceptual history has to face up to the East Asian reality of conflict and collision brought by the World-historical contradiction of the last century,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a new humanistic paradigm for mutual prosperity and intercommunication, which should go beyond simple economic and political combinations.

      • KCI등재후보

        『철학 역사사전』과 『역사적 기본개념』의 비교 고찰 -자유 항목을 중심으로-

        이상명 ( Sang Myung Lee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8

        독일 개념사 연구의 대표적인 산물로 알려진 코젤렉의 『역사적 기본개념』과 철학 영역에서 개념사 사전으로 알려져 있는 『철학 역사사전』을 비교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리고 두 사전의 비교를 통해 사전의 기획 단계에서 편집자들이 개념사 방법론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가졌는지를 살펴본다. 철학적 개념사 연구의 성과물로 알려진 『철학 역사사전』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개념사 방법론을 수용하는 데 부정적이었다. 개념사가 철학 개념을 해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코젤렉의 『역사적 기본개념』은 역사를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역사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개념사 연구를 실행한 큰 성과물이다. 두 사전의 차이는 실상 구체적 사례로 살펴본 자유 항목에서도 나타난다. 즉 『철학 역사사전』은 자유 항목을 철학적으로만 다루고 있고, 『역사적 기본개념』은 정치, 사회적으로만 다루고 있다. 개념사 연구의 중요한 성과물이라기보다는 개념 연구의 중요한 성과물로서 두 사전은 개념사 방법론의 적용에 개념에 대한 역사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he comparison between Historical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Koselleck`s Historical Basic Concept : the former is known as a concept-historical dictionary in philosophical area and the latter is a representative product of the concept-historical research in German. And through this comparison I will attempt to examine, in what position the editors are on the history of concept as methodology in the planning stage. Historical Dictionary of Philosophy is known as the result of the concept-historical research in philosophical area, but contrary to this recognition it is negative for acceptance of that history of concept as methodology. For it is not appropriate for explication of philosophical concepts. On the other hand Koselleck`s Historical Basic Concept : is the great product, that conduct concept-historical research on foundation of a history-philosophical understanding, that man can understand history through concepts. This difference of two dictionaries appears in fact in case of the article ``freedom``: the article ``freedom`` is treated only philosophical in Historical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only political and social in Historical Basic Concept : This two dictionaries as the important results of concept research, not of concept-historical research imply that the concept research should be preceded in the application of the history of concept as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연구 논문 : 개념사의 학문적 구성과 사전적 기획 사이에서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을 중심으로-

        이진일 ( Jin Il Lee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7

        개념은 우리가 일상에서 드러내는 언술을 통해 나타나지만, 그 속에는 한 시대의 경험과 입장이 녹아 있으며, 처음 만들어진 이래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해 왔다. 이에 따라 연구는 언어나 명칭이 갖고 있는 고유의 의미론적 역사를 추적하는 일과 그 대상이 만들어져 실제로 진행된 역사의 탐구 사이를 왕복하는 일이 된다. 즉 개념사 연구란 한 개념이 겪는 진행사(Sachgeschichte)와 의미사(Bedeutungsgeschichte)를 통시적(diachron) 차원과 공시적(synchron) 차원을 함께 엮어 내어 재구성하는 시도이다. 근대의 정치-사회적 기본개념을 정리하여 사전으로 출간하는 계획은, 1963년 오토 브룬너, 베르너 콘쩨, 라인하르트 코젤렉 등 하이델베르크 대학 역사학부의 ``근대 사회사 연구모임``(Arbeitskreis fur Moderne Sozialgeschichte)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다. 사전기획의 기본의도는 "유럽의 과거로부터 우리의 오늘날까지 걸쳐 내려오면서 근대로의 전환을 증언하고, 이를 규정하거나 이들 의미내용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 적응하고, 그런 한에서 그 의미들이 변화되는 그런 개념들을 파악하는 일에 둔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첫 성과물인 제1권이 출간된 1972년 이래, 25년이 지난 1997년, 마침내 모든 기획이 종료된다. 18세기 중반부터 개념의 고전적 지형에 근본적인 의미변화가 진행되었고, 옛 단어들은 새로운 의미내용을 얻게 되었으며, 그 이후 궁극적으로 모든 개념들은 새로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자연과 역사, 세계와 시간에 대한 변화된 관계, 즉 ``근대(Moderne)``의 시작이 그것이었다. 이 시기를 코젤렉은 ``자텔차이트(Sattelzeit)``로 표현하였다. 최근 한림대에서 번역 출간된 일련의 개념사 사전 시리즈 중에서 코젤렉의 ``자텔차이트``라는 가정을 가장 충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은 단연 ``진보``(2010)와 ``문명과 문화``(2010)이다. In the last few years, a number of German historians have become aware of ``History of Concepts``(Begriffsgeschichte). Modern ``History of Concepts`` emerged in contrast to a history of events and politics, which oriented merely toward a chronological series of events. Its most influential advocate are Otto Brunner, Werner Conze and Reinhart Koselleck in Germany. They edited the Historisches Lexikon, consist of 6 Volumes with articles on ca. 120 ``Grundbegriffe`` from 1972 to 1997, nearly a quarter century. In them was Reinhart Koselleck the most exponent and pioneer of this school. He studies a methodology of historical concepts, whose major work combines intellectual and institutional history. In his programmatic introduction, Koselleck defines the subject of the Lexicon as "leading concepts of historical movements which, in the course of time, are the subject of historical research". Begriffsgeschichte deals with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interpretation of words and lead concepts of historical movement. His central concept is the change and progress of modernity through the ``Sattelzeit``. These hypotheses are merely heuristic anticipations. Koselleck characterized in this concept sometime between 1750 and 1850, a modern phase, which the European begins to transform the society, to develop the technology revolutionary. This period achieves cultural renaissance and most important meanings especially of those ``History of Concepts``. We can verify Koselleck`s hypotheses clearly through the Begriffsgeschichte of ``progress`` or ``culture/civilization``.

      • KCI등재

        1945년 이후, 개념의 잃어버린 ‘공간성’에 주목하라 —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문학예술편 1∼3』(구갑우·이하나·홍지석 외) —

        장세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8 개념과 소통 Vol.0 No.22

        The Conceptual History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Joseon) Peninsula: Culture and Arts 1-3, published in 2018, is a study which provides a fresh perspective on conceptual history. The authors believe that a “system of conceptual division” has taken roo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y propose that the area north of the 38th parallel should be actively brought into the scope of the conceptual historical studies. The initial plan for this book was presented by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and a number of researchers in North Korean studies are also contributing authors, so there is a clear intention to fully restore the spatiality of disconnected concepts. Naturally, this book focuses on the period after 1945, when the territory was divided. However, since the study of Korea’s conceptual history has so far been mainly concerned with the early modern era, when Korea had its first significant contact with the West, these new attempts cannot easily be integrated with existing work, but they can surely serve as a stimulus to reassess the current framework for the study of conceptual history. A fundamental condition for establishing conceptual history is the determination of the period during which a conceptual divergence occurred. So we should be open to the possibility that, in Korea, there was a dynamic divergence of the main agent, and that the true explosion of concepts occurred after liberation, rather than in the early modern period as is currently accepted This book clearly challenges existing assumptions about the appropriate temporal frame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and it also sheds light on how closely temporality is interwoven with the issue of spatiality. 2018년 출간된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문학예술편 1~3』은 새로운 시도의 개념사(conceptual history) 연구서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한반도에 “개념의 분단체제”가 형성된 것으로 진단하면서, 38선 너머 공간을 연구의 시야로 적극 끌어들일 것을 제안한다. 이 기획의 발원지 자체가 북한학 연구의 중심인 북한대학원이라는 것, 필자들의 라인업에 북한 관련 연구자들이 대거 포함된 것도 단절된개념의 공간성을 복원한다는 취지를 최대한 실현하기 위한 전략이다. 자연히 이책의 무게 중심은 영토 분단이 시작된 1945년 이후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그동안 한국의 개념사 연구가 주로 서양과 접촉한 근대 초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러한 종류의 시도는 오히려 때늦은 감이 있을 정도로 개념사 연구 전반에 필요한 자극이라 할 수 있다. 개념의 의미 분화가 활발하게일어나던 시기를 선택·확정하는 것이 개념사를 성립시키는 기본 조건이라면, 한국의 경우 주체의 역동적 분화와 아울러 진정한 개념의 폭발 현상은 근대 초기보다는 오히려 해방 후에 일어난 사태가 아닐까. 이 책의 기획은 대상 시기를확장해야 한다는 개념사 연구 필드의 요청에 정확히 부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성)의 문제가 결국 시간(성)과 긴밀히 맞물려 있다는 사실을 새삼 우리에게일깨워 준다.

      • KCI등재

        개념사 관점으로 보는 보훈: 독립⋅호국⋅민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임수진(Sujin Lim) 한국보훈학회 2021 한국보훈논총 Vol.20 No.3

        본 연구는 ‘보훈’을 하나의 사회적 개념으로서 살피어, 개념사를 통해 보훈이 내포하는 주요한 의미와 가치를 살펴본다. 코젤렉의 개념사 연구를 잇는 라이하르트가 제시한 개념의 ‘의미 장’ 분석의 틀을 차용하여, 보훈의 세 가치, ‘독립’, ‘호국’, ‘민주’를 중심으로 보훈 개념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의미 장, 1) 계열관계의 장, 2) 통합관계의 장, 3) 역사적 사실, 4) 기능적 반의어를 시대적으로 분석한다. 주요한 시대적 변수로서 일제 해방 이후 남한 단독정부의 수립, 1962년 특별원호법의 제정, 1985년 보훈처 설립, 2002년 민주유공자예우법 제정 시기를 고려하여, 보훈 용어와 관계하는 시대별 주요 관련어휘 및 역사적 사건을 살펴본다. 보훈의 주요 가치인 ‘독립ㆍ호국ㆍ민주’를 중심으로 살피면, 일제 해방 이후 보훈 영역 속 ‘독립’의 가치가 가장 중시되었으나, 남북 분단에 따라 ‘호국’의 가치가 최우선의 가치로 부상하였고 이는 더욱 강화되어 ‘호국’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 ‘군사원호’의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민주화운동의 발발과 정권 교체에 따라 사회개혁의 차원에서 ‘독립’의 가치가 재부상하고, 2000년대 민주화에 대한 사회 전반적 관심이 높아지며 보훈의 영역 속 부차적 가치로 존재하던 ‘민주’의 가치가 전면에 부상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민주’의 가치가 부상한 이후 보훈의 개념 속 갈등과 분열, 화합과 통합의 연계어가 출몰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이는 ‘독립’, ‘호국’의 가치가 사회 외부의 명확한 대항세력을 지목하는 반면, ‘민주’의 가치는 정치엘리트를 포함한 사회 내부 구성원을 잠재적 대항세력으로 구성할 수 있는 공동체 경계구획의 불확실성을 포함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훈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시대적 이해와 적극적인 사회적 고찰 및 공론화 과정을 통해, 분열의 함의를 극복한 포용적인 보훈의 개념을 현 시대 속에서 재구상할 필요가 있음을 살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oncept of ‘Honoring Patriots and Veterans’ in South Korea through the theory of Conceptual History. By using Rolf Reichardt’s analytical framework, the article looks ‘four fields of significance’ regarding ‘Honoring Patriots and Veterans’, which includes 1) the field of paradigmatisch, 2) the field of syntagmatisch, 3) the field of historical facts, and 4) the field of functional antonyms, considering its three values—Independence, National Defense, and Democracy—, and time variables. First, among the three values, the most important value was Independence right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However, after the South-North division, the value of National Defense became the first. This trend became more consolidate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s. However, after the pro-democracy movement and regime change, the value of Independence rose again. However, as the value of Democracy came to the forefront in the society in 2000s, a number of different opinions on this value were produced, which caused ideas of conflict/division and harmony/integration rose in the society. The article argues that these controversies are due to the different conceptual boundaries among the three values: the value of Independence and the value of National Defense assume their conceptual boundaries by considering national enemies who are outside the national border, while the value of Democracy assume its conceptual boundary by considering social enemies who are inside the society such as political elites, and this means that the value of Democracy draws a vague boundary between ‘us and others’. Therefore, these three values in the concept of ‘Honoring Patriots and Veterans’ need to be more considered and discussed in the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its divisive connotation as regarding the context of time.

      • KCI등재

        《교과내용학》 : 공자사상에서 "사랑"의 의미 고찰 - "인(仁)"의 개념사와 철학적 인간학-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이 글은 고대에서 현대까지 ``사랑``에 대한 일련의 연구 중 하나로, 공자사상의 사랑을 인(仁)으로 이해하고 이에 주목한 것이다. 사랑은 동양과 서양이 개념에 차이가 있고,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慈悲), 유교의 인(仁)은 넓은 의미로 사랑이지만 내포와 외연에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유교의 인(仁)은 보편적 의미에서 사랑이라고 이해되는데, 공자의 인(仁)에 대한 선행연구는 워낙 많아,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문영역의 하나인 개념사를 바탕으로 접근하였다. ``개념사``는 하나의 ``개념``이 역사의 행간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고, 행위자들이 개념을 사용하며 표현하려 했던 의미의 성층을 분석하여 경험, 세계관, 가치관, 사고방식, 희망과 공포 등을 읽어내고자 한다. 개념사에 근거하면, ``사랑``[인(仁)]의 개념도 역사적 변화를 거듭하며 철학적 인간학적으로 다양하게 파악된다.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 주체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인간 자신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와 전(前)이해를 전제로 현존재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공자사상에서 ``인간다움`` 또는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해석되는 인(仁)은, 사람이면 누구나 지녀야 하는 보편적인 품성이지만 공자 이전과 이후의 이해에 차이가 있다. 공자의 생애, 역사의식, 역사적 사명감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그가 왜 유교를 형성하고 유교이념으로 인(仁)을 강조하였는지 잘 알 수 있다. 공자의 인(仁)은 본질적 이해를 넘어 역사에 대한 미래 비전을 바탕으로 ``탈중심성``과``초월성``으로 확대되어 이후 유교사상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핵심 이념이 되고 있다. 그 핵심은 인간다움이며, 그것은 바로 인간에 대한 사랑이자 그것의 확대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fucius` love conception, that is In[仁] as one of a series of love studies from ancient times to today. The preceding researches on In[仁] conception of Confucius so many that we could not count.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s In[仁] on the based ``the history of conception`` as a recently significant field of study. The study by through has the advantage of knowing for us the concept how influences space between the lines of history, reading for us the meaning, experience, the view of world, the sense of values, way of thinking, aspiration and fear of them what expresses conductors in history by using that concept. By the history of conception, ``love`` is everlasting not at all. As well one concept is diversely understood from a different standpoint of the subject in history.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begins with question about human being, seeks transcendental understanding in order to grasping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extant being. The understanding is presupposing analytic understanding and previous understanding related with the world. In[仁] of Confucius is Being a human of loving human, universal personality that human being have to take with. His In[仁] has de-centralism and transcendentalism on the based future vision. His In[仁] concept differs pre and after his times. The organic system of In[仁] is building his historic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duty. This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confucianism idea is In[仁].

      • KCI등재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

        이경구(Lee Kyung-Ku) 역사학회 2012 역사학보 Vol.0 No.213

        A common paradigm underpins both autochthonous development theory, which aims at establishing a concept of developmental history by picking out aspects of Western modernity in Korean history and Korean conceptual history, which tries to settle the modern Western order in Korea by accepting Western concepts. This paradigm, however, is now facing criticism that it will end up intensifying the dichotomy of ‘West vs. East’. The conceptual history of Silhak(實學) however can let us move beyond this paradigm. Silhak as a concept demonstrating autochthonous development, has changed in usage and meaning. Traditionally, it mainly referred to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preparation for Gwageo(科擧), or the academic study of 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fter having undergone a transition of meaning in the 19th century, it came to have its current meaning after the 1960s. The intent of the change in meaning was to connect a new academic inclination in the 18th century under the mottos of ‘institutional approach to government(經世致用)’ and ‘economic enrichment(利用厚生)’ with modernity. It was also to combine pre-modern content with modern form. This combination is applicable to the embryonic theory of capitalism, another main axis of the autochthonous development theory. Once free from the paradigm of Western-style capitalism, we can examine the embryo of Eastern-style modernity on a broad scale.

      • KCI등재후보

        젠더, 섹슈얼리티, 폭력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2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여성운동의 맥락에서 구성된 '성폭력'의 개념사를 재조명함으로써, 현재의 여성인권 논의와 여성운동의 성정치가 위치하는 역사적 좌표를 가늠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개념으로서의 '성폭력은 우리나라 반성폭력운동의 발생적 기원에 접근하는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개념의 형성과 발전 과정은 서구 운동사의 맥락과 급진적 패미니즘의 영향 속에서 구성된 'sexual violence'와 동일하다고 보기 어렵다. 1980년대에 여성운동의 담론에서 모습을 드러낸 '성폭력' 개념은 여성들의 다양한 피해 경험을 담아내기에 용이한 확장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권력관계'로서의 젠더를 명확히 문제화하기보다 단지 여성이라는 젠더의 '차이'만을 지시하고 증폭하는 성정치의 한계를 보였다. 1991년에 시작된 최초의 입법운동은 1980년대를 통해서 젠더의 축을 따라 확장된 성폭력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1991-92년의 논쟁과성폭력특별법의 제정을거치면서 성폭력의 이중적 용례는 성적인 함의를갖는 폭력으로 정리되고 법학적 논의의 영향 속에서 '성적 자기결정권'이 대안적 정의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성폭력의 강조점이 젠더에서 섹슈얼리티로 이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초반의 성정치는 정상적인 섹스와 비정상적인 폭력의 구분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이는 젠더화된 섹슈얼리티와 그 권력에 대한 비판과 도전이 현실화되지 않는 한, 성정치의 질적 변회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여성운동의 담론적 구성물인 '성폭력'은 한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아우르고 여성인권의 각종 주제들올 제기하는 디딤돌이었고, 그것을 통해서 여성운동이 담아내고자 했던 모든 의제들은 각각의 정책으 로 제도화되었다. 그러나 이 개념의 상정적 통합성이 지나간 역사의 유산으로 남은 오늘, 성폭력의 정의를 뒷받침하였던 '성적 자기결정권'은 대단히 논쟁적인 주제가 되었으며, 한국의 여성운동은 여성인권의 성정치학을 재점검하고 그 논의의 심화와 확장을 도모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안게 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history of Sungpokryk in the context of discursive practices within Korean women's movement, focusing on changes of meaning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e Korean word 'Sungpokryok' corresponds to 'sexual violence', in which 'Sung' has dual meaning like 'sex' in English. As Liz Kelly's formulation of the 'continuum of sexual violence' shows, the concept of 'sexual violence' reflects theoretical analysis of radical feminism It has been developed to theorize commonalities of women's experiences and to cover up all different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However, neither the conceptual articulation of Sungpokryok nor the emergence of anti-Sungpokryok movement in South Korea is explained by a reflection of radical feminism. The meaning of Sungporyok has changed over time in the process of Korean women's movement. It was not until the early 1980s that the movement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 rised in South Korea. The movement was carried out by progressive women's organizations under the authoritative military regime. Instead of the expression of 'male violence' or 'violence against women', the embradve word Sungpokryok came into use as a new coinage that encompasses various types of violence from sexual assault by the police to wife battery. Although the concept expanded along the gender-based line at that time, a counter-discursive criticism of male-supremacy was hard to be formed and most gender conflicts within the pro-democracy movement were sutured or avoided. Since 1991, the women's activism for anti-Sungpokryok legislation has been vitalized and the gender-based Sungpokryok was its point of departure. But a series of debates within women's movement, surrounding different understandings of Sungpokryok and strategies for its legislation, marked a turning point. After the first legislation following the debates, the meaning of Sungpokryok has been restricted to violence under implications of sexuality. Moreover, a new definition of Sungpokryok with emphasis on violation of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has come to the fore. However, shifting weight from gender to sexuality alone was far from being sufficient condition for a radical change of feminist politics, because a sharp demarcation between 'violent crime' and 'normal sex' was taken for granted. Discursive politics of young-feminist groups of the late 1990s wa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ones, as they raised issues of power relations to be discussed and also asserted to hold victim-centered perspectives in resolving the cases. As briefly summarized above, Sungpokryok was a concept to embrace various forms of violence and abuse against women, and a stepping stone to raise many issues of women's human rights as well. But its symbolic cohesiveness has been reduced to just a hidden legacy, and besides,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s too controversial to support the meaning of Sungpokryok. The conceptual history of Sungpokryok implies that women's human rights is still an unfinished project. The analysis presented within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feminists, who are facing to new challenges, need to bring all the issues of women's human rights under serious delib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