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영주,윤동화,김원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3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족 해체 또한 급증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관심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고에서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하여 이혼과 별거, 사별 등으로 구분되는 가족 해체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을 밝힘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그간 해체 사유 중 주로 관심을 가졌던 ‘이혼’ 뿐만 아니라, 관심 밖에 있었던 ‘별거’와 ‘사별’ 경험을 가진 국제결혼 여성을 인터뷰하였고, 해체 전 경험과 해체 경험, 해체 후 경험 등 국제결혼 여성들이 처한 구체적인 정서적 어려움의 맥락과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국제결혼 여성은 쉽게 결혼을 결정하였고, 해체에 관한 결정적인 잘못은 남편에게 있었으며, 해체 후 아이 때문에 고국에 돌아갈 수 없는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 해체 경험은 국제결혼 여성에게 매우 어려운 상황을 발생시키기는 하나, 앞으로의 삶의 과정을 새롭게 계획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보인다. 이를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creasing family breakdown, but also the multicultural family dissolution concern about the experience is still infancy. In this specification marriage on women's experience family breakdown and divorce and separation attempt qualitative research, widowed, separated as family breakdown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this study marriage by identifying women experience family breakdown can be reduced to underprivileged families for the dissolution of cultural and social interest is that the ventilation. Second, this study mainly interested in the reasons for dissolution have had whilst 'divorce', as well as the interest was only 'separation' and 'bereavement' women interviewed experienced marriage was dissolved before break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including experience in the dismantling specific emotional difficulties faced by women, marriage and experiential awareness of the context is significant to be looked at is the viscosity. Married women can easily determine the marriage was dissolved on the wrong husband was crucial, because dismantling the child can not return to your home country experience has shown. Experience family breakdown marriage for women is very difficult to generate one in the future course of life in terms of being able to update the plan seems positive side. To this end, the leg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will be needed.

      • KCI등재

        차별경험이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4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8 No.3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가구주 본인과 자녀가 경험한 차별경험이 가구주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표본은 여성가족부의 「2021년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를 활용하여, 연구에 부합한 1,631명의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을 통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한부모 및 가족특성 요인, 건강요인, 경제자원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우울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요인 중 건강상태, 운동빈도, 우울감 해결 방법이 유의미했고, 경제자원 요인은 거주 형태, 월 가구소득이 유의미했다. 둘째,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요인의 건강상태, 경제자원 요인의 월 가구소득, 가구주 차별경험, 자녀 차별경험, 전체 차별경험이 유의미했다. 한부모 및 가족특성 요인은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다. 따라서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건강요인과 경제자원 요인을 비롯해 차별경험이 우울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single-parent household heads and their children on their level of depression. As its sample, the study used data from 1,631 relevant respondents to the 2021 Single-Parent Family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5.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as single-pare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health factors, and economic resources, and differences in depression were analyzed accordingly. Among the health factors, health status, frequency of exercise, and methods of alleviating depression were significant. Regarding economic resources, housing typ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significant factors. Second, factors influencing th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depress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health factors,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 With regard to economic resources, monthly household incom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household heads,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children, and overall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No significant variables were identified among single-parent and family characteristic factors. Therefore, it was evident that health factors and economic resources, as well as discrimination experience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crease depression in single-parent household heads. Based on these findings, corresponding relevant alternativ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부모 이혼에 대한 아동기 자녀의 경험 -지역사회복지관 이혼가족 자녀 집단 프로그램 참여 아동을 중심으로-

        양혜원,전명희,김희수 한국가족치료학회 2014 가족과 가족치료 Vol.2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hildren of divorce. Metho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of divorce was carried out with 23 participants in six differ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researchers used Corbin and Strauss’s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analyze recordings of the programs and of parents’ counselling sessions. Results: Qualitative analysis yielded 11 factors and 26 concepts within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parental divorce”; “responses to and recognition of parental divorce”; “difficulties due to parental divorce”; “relationship with both parents after divorce”; and “responses to family reconstruction.”Conclusions: The research yielded practical strategies for intervention programs, as well as for policies regarding children of divorce. 본 연구에서는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의 부모 이혼에 대한 경험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이혼가족의 아동기 자녀는 부모의 이혼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서울 소재 6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이혼가족 자녀 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프로그램 과정기록 및 부모상담 기록에 나타난 아동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은 이혼가족 자녀의 정서적·행동적 변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소집단 프로그램으로, 아동이 부모 이혼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고 치료적 집단이 제공하는 안전한 환경 속에서 부모 이혼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가진 또래들과 역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서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경험이 드러났다. 자료분석은 Corbin과 Strauss가 제시한 지속적 비교를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부모 이혼과정에서의 경험’, ‘부모 이혼에 대한 반응 및 인식’, ‘부모 이혼으로 인한 어려움’, ‘부모 이혼 후 양쪽 부모와의 관계’, ‘가족 재변화에 대한 반응’ 등 5개 영역에서 11개 범주와 26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와 부모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특히 저소득층 이혼가족과 자녀를 돕는 과정에서 고려해야하는 개입 주제를 구체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윤동화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7 No.2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leads to the rapid increase of family dissolu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re are little attention on this matter. In this thesis,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on a family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the essence of marital dissolution which is divided into divorce, separation and bereavement is studied. There are two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by disclosing the experiences of family dissolution of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it brings about a social interest in a neglected multicultural family. Second, this study ranges over not only the divorce of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but also the separation and bereavement of those women; also, it concerns with specific emotional pain of those women, including pre-experience, during-experience and post-experience of martial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tend to make an easy decision to get married; an ultimate cause of family dissolution is down to husbands; and it was not possible for those women to return to their homeland after divorce because of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family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puts those women into difficulties; however, there is a positive aspect that they can make a new plan for their life. For this, a legal and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족 해체 또한 급증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관심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고에서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질적 연구를 시도하여 이혼과 별거, 사별 등으로 구분되는 가족 해체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제결혼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을 밝힘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그간 해체 사유 중 주로 관심을가졌던 ‘이혼’ 뿐만 아니라, 관심 밖에 있었던 ‘별거’와 ‘사별’ 경험을 가진 국제결혼 여성을인터뷰하였고, 해체 전 경험과 해체 경험, 해체 후 경험 등 국제결혼 여성들이 처한 구체적인 정서적 어려움의 맥락과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국제결혼 여성은 쉽게 결혼을 결정하였고, 해체에 관한 결정적인 잘못은 남편에게 있었으며, 해체 후 아이 때문에 고국에 돌아갈 수 없는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 해체 경험은 국제결혼 여성에게 매우 어려운 상황을 발생시키기는 하나, 앞으로의 삶의 과정을 새롭게 계획할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보인다. 이를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집단주의 형성 요인과 과정,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

        이수인(Soo-In Lee)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8

        이 연구의 목적은 집단주의 형성 요인과 과정을 성별 차이에 주목하며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집단주의를 수직적 집단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로 구분하고 가족경험과 중ㆍ고등학교 경험을 집단주의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간주하여 집단주의 형성과정을 성별로 탐색했다.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장기 가족경험, 중ㆍ고등학교 경험, 현재의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성별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가족경험만 고려한 모델에서 수평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남학생만 효과가 나타났고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남녀집단 모두에서 효과가 있으나 남학생 집단에서 약간 높았다. 가족경험의 개별요인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학교경험을 첨가한 모델 역시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와 관련해 가족 및 학교 요인들의 개별적 효과에서 뚜렷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각 모델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공통성도 존재했지만 성별 차이 역시 분명했다. 공통적으로 수평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학교경험의 효과가 컸고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가족경험의 효과가 컸다. 남학생들의 학교경험은 수평적 집단주의에 대해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으나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양 집단 모두에서 가족경험의 효과가 압도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적어도 그동안 한국적 집단주의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던 가족경험이 실제로 그러한 현상의 원인임을 경험적으로 확인해주며, 여전히 수직적 집단주의의 우선적인 근원이 가족임을 말해준다. 반면에 평등과 협동에 유리한 친사회적 가치인 수평적 집단주의의 증대를 위해서는 중ㆍ고등학교에서 또래 간의 신뢰와 평등한 상호작용의 경험이 구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actors and processes of forming collectivism by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tiation. Collectivism is classified in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vel, The experience in family,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form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All the variables used for analyses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 gender. 690 students attending 4 year universities were selected as a sample for this surve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found. Firs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childhood experiences in the famil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n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Second, when only family factors are put into analysis, the factors have meaning effects on the horizontal collectivism in male students . Though the effectiveness of the factors a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effectiveness of them i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There was also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effectiveness of the factors. When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are put into analysis together,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m rela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have clear gender differences. Third, there were same characteristics in the two cases suggested above, but definite gender differences in each of them. In all th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he school experience has more influence on the horizontal collectivism, the family experience has more influence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School experience of male students has remarkable influence on the horizontal collectivism but don’t have any influence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In all th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family experience has distinguished influence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These results verify that family experience is a major cause of the vertical collectivism considered as the collectivism working in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s, school experience is relation to the horizontal collectivism which is prosocial value for the equality and the cooperation of society members. Therefore, the trust and the equal interaction among schoolmates are required to in crease the horizontal collectivism.

      • KCI등재후보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가족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전은혜,최희경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3 젠더와 사회 Vol.34 No.-

        본 연구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의 경험과 가족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대∼30대 1인 가구 청년 여성 7명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은 1인 가구 경험, 커뮤니티 경험, 가족 경험과 인식 등 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독립을 위해 1인 가구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였으며, 자신의 성장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커뮤니티에 참여하여 부정적인 경험을 한 후 여성 커뮤니티에 참여하였다. 여성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새로운 친밀감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여성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한 연대감과 안정감, 경험 공유와 존중, 실질적인 생활상의 도움을 주는 안전망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가 “친밀하지만 느슨한”새로운 의미의 가족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원가족과의 갈등과 스트레스, 통제나 간섭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며 여전히 규범적이고 이상화된 가족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여성 커뮤니티에서의 친밀한 유대감을 경험하면서 새로운 가족관계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커뮤니티 경험을 통한 새로운 가족관계의 추구를 가족유연성과 대안가족의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적, 정책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ommunity experiences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se number is gradually increasing focu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family. Case stud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single-person household young women. As results of the study, 3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discourse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ingle- person household, experiences of communities, and experiences of families. The participants autonomously chose the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means to pursuit their academic or work careers.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hobbies as a way to satisfy their needs of self-actualization and build new relationships. They showed individualism that values a free individual life, but also showed an active aspect in forming or participating in groups for study or hobbies pursuing intimacy by forming social relationship. In the female community,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identity of a woman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he female community, or help them to move forward and stabilize themselves in the future when they are frustrated or have struggling, help them to move forward or stabilize in the future and help them stay in the presence. In addition, community members respect each other, share their experiences, and express safely themselves as they are. The female communities can be viewed as a family in a broad sense with intimate but loose solidarity. These experiences was interpreted a process of re-establishing family concept.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al distress and conflicts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which made them direct a new relationship of family adhering to a normative and ideal concept of family. In conclusion, the female communities that young females independently chose we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alternative and flexible family further suggesting the need for social, institutional, and policy changes.

      • KCI등재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 연구: 근거이론 접근으로

        엄영숙(Young-Sook Um),정연득(Youn-deuk jeong)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역전이 경험에 대한 하나의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의 임상경험과 한국가족치료학회의 부부가족상담전문가 1급 및 2 급 자격을 취득한 가족상담사 12명과 심층 면담한 자료를 Strauss와 Corbin(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코딩 결과 255개의 개념, 71개의 하위범주와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들 범주 간의 관계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을 다루는 과정은 자각단계, 숙고단계, 통찰과 이해단계, 통합단계, 숙달단계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자기 점검형, 내담자 반영형, 자기감정 개방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은 중립성 유지와 관련되며, 부부나 가족의 대인관계적인 측면뿐 아니라 심리내적인 측면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활용방식은 역전이 개념에 대한 이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앞으로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에 대해 더 많은 연구와 논의가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epth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s of family counselors, and to develop a substantial theory on the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Methods: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to in-depth interviews with 12 participants who had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1st or 2nd class licenses issued from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Results: 255 concepts, 71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were derived with open co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ategories was presented as a paradigm model. Through process analysis the following five stages were found: aware, contemplate, get insight and understanding, integrate, and master. Selective coding further identified three types: monitoring-self, reflecting-client, and opening-self feeling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of family counselors was associated with maintaining neutrality, prefacing an understanding of inner psychological aspec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family members. Results suggest that more studies and discussions may be required surrounding the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of family counselors.

      • KCI등재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노미화,이인수 한국가족치료학회 2011 가족과 가족치료 Vol.19 No.1

        This qualitative study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never-married women. Grounded theory analysis was used to derive an understanding of their family experiences. During open coding, 195 concepts, 47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deduced, and during axial coding, relationships within categories were develop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mily experiences of never-married women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continuous stages: self in the family of origin attempts to separate from the family of origin self growth and creating a new definition of family, separate from the family of origin. The lives of never-married women were classified as family denial self questing admitting reality unstable and desiring marriage. The last step of the analysis entailed the development of a situational model for never-married women’s individual and family relationships. 본 연구는 비혼 여성 15명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를 바탕으로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근거이론 분석에 기초한 자료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19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47개의 하위범주와 16개의 범주로 묶어졌다. 패러다임 모형에서 비혼 여성의 가족 경험의 중심현상은 ‘나를 찾아감’이며, ‘원가족 체계 내의 나’, ‘원가족에서 분화 시도’, ‘자기성장’, ‘자기 안에 가족을 둠’,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 총 5단계의 연속적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선택코딩 과정에서 ‘원가족에서 분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라는 중심범주를 발견하였고, 비혼 삶의 유형을 ‘가족거부형’, ‘자아찾기형’, ‘현실수용형’, ‘불안정형’, ‘결혼희망형’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을 개인차원, 원가족과 관계차원, 환경차원으로 파악하는 상황모형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가족상담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성희,엄영숙,이아람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1

        Objectives: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family counselors dealing with ethical issues. Eight family counselors with a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First-Class” license participated. Methods: The researchers utiliz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delve into the essence of the the counselors’ experience with ethical issues.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once for at least 60 minute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then underwent four levels of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ers distinguished 45 textures, 18 structures, and five essences within the experience of counselors dealing with ethical issues. The five essences included a) cases whereby the counselor experienced ethical issues; b) family counselors’ experiences when ethical issues occur; c) family counselors’ coping with ethical issues d) family counselor’s experiences in dealing with ethical issues; and e) family counselor's own ethical values.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s the need to address ethical issues in the family counseling more fully, as well as the necessity of providing skills that assist in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상담사들이 부부와 가족을 만나는 상담의 현장에서 윤리적 이슈와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한국가족치료학회의 부부가족상담전문가 1급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8명의 참여자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45개의 의미단위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와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구성요소는 ‘윤리적 이슈를 경험했던 사례들’, ‘윤리적 이슈를 경험했을 때의 상담사로서의 경험’, ‘윤리적 이슈에 대한 대처’, ‘윤리적 이슈를 대처하면서 상담사로서의 경험’, ‘윤리적 이슈와 관련된 상담사가 지닌 윤리적 가치관’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상담사들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관련된 논의를 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족상담사들의 윤리적 이슈와 관련된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함으로, 향후 가족상담 영역에서 윤리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에 관한 연구 -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

        이정인,이인수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of single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guided by Strauss & Corbin’s (1988)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adult unmarried mothers who were raising one child. Results: From the open coding, 96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that resulted from axial coding was “my family boundary.” The selective coding produced the key category “making my family.” The processes of the following four steps were analyzed: recognition and adjustment, solution-seeking, separation from the family-of-origin, and making new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of-origin. Conclusions: When family counseling takes into consideration an unmarried mother’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he family can operate well 본 연구는 미혼모로서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경험을 탐색함으로서 이들이 어떻게 자신의 삶을 인식하고 해석하며,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을(Strauss & Corbin, 2001) 토대로 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성인기 양육미혼모 7명으로 이론적 표본 추출에 따라 모집하여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총 96개의 개념, 32개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중심현상은 ‘나의 가족 울타리 만들기’로 나타났으며, 과정분석 결과로는 ‘인식, 조절단계’, ‘해결모색단계’, ‘원가족에서 분리시도 단계’, ‘원가족과의 새로운 관계맺음 단계’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원가족 관계체계에서 경험된 이상적 나의 가족 만들기’로 확인되었다. 양육미혼모 삶의 가족경험 유형분석에서는 ‘가족친밀형’, ‘가족독립형’, ‘자녀중심형’, ‘가족유지형’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20-30대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을 탐색함으로서 그들 삶 속에서 나타나는 역기능적 한계성에서 탈피한 관계체계에 초점을 두고, 현상을 다루어야 함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양육미혼모들에게 가족체계는 보호요인이자 위험요인의 양면성을 지닌다는 것이 탐색되었고, 이러한 점에서 이들에 대한 가족치료 개입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