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영주,윤동화,김원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3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족 해체 또한 급증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관심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고에서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하여 이혼과 별거, 사별 등으로 구분되는 가족 해체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을 밝힘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그간 해체 사유 중 주로 관심을 가졌던 ‘이혼’ 뿐만 아니라, 관심 밖에 있었던 ‘별거’와 ‘사별’ 경험을 가진 국제결혼 여성을 인터뷰하였고, 해체 전 경험과 해체 경험, 해체 후 경험 등 국제결혼 여성들이 처한 구체적인 정서적 어려움의 맥락과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국제결혼 여성은 쉽게 결혼을 결정하였고, 해체에 관한 결정적인 잘못은 남편에게 있었으며, 해체 후 아이 때문에 고국에 돌아갈 수 없는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 해체 경험은 국제결혼 여성에게 매우 어려운 상황을 발생시키기는 하나, 앞으로의 삶의 과정을 새롭게 계획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보인다. 이를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creasing family breakdown, but also the multicultural family dissolution concern about the experience is still infancy. In this specification marriage on women's experience family breakdown and divorce and separation attempt qualitative research, widowed, separated as family breakdown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this study marriage by identifying women experience family breakdown can be reduced to underprivileged families for the dissolution of cultural and social interest is that the ventilation. Second, this study mainly interested in the reasons for dissolution have had whilst 'divorce', as well as the interest was only 'separation' and 'bereavement' women interviewed experienced marriage was dissolved before break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including experience in the dismantling specific emotional difficulties faced by women, marriage and experiential awareness of the context is significant to be looked at is the viscosity. Married women can easily determine the marriage was dissolved on the wrong husband was crucial, because dismantling the child can not return to your home country experience has shown. Experience family breakdown marriage for women is very difficult to generate one in the future course of life in terms of being able to update the plan seems positive side. To this end, the leg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will be needed.

      • KCI등재

        부모 이혼에 대한 아동기 자녀의 경험 -지역사회복지관 이혼가족 자녀 집단 프로그램 참여 아동을 중심으로-

        양혜원,전명희,김희수 한국가족치료학회 2014 가족과 가족치료 Vol.2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hildren of divorce. Metho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of divorce was carried out with 23 participants in six differ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researchers used Corbin and Strauss’s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analyze recordings of the programs and of parents’ counselling sessions. Results: Qualitative analysis yielded 11 factors and 26 concepts within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parental divorce”; “responses to and recognition of parental divorce”; “difficulties due to parental divorce”; “relationship with both parents after divorce”; and “responses to family reconstruction.”Conclusions: The research yielded practical strategies for intervention programs, as well as for policies regarding children of divorce. 본 연구에서는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의 부모 이혼에 대한 경험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이혼가족의 아동기 자녀는 부모의 이혼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서울 소재 6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이혼가족 자녀 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프로그램 과정기록 및 부모상담 기록에 나타난 아동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은 이혼가족 자녀의 정서적·행동적 변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소집단 프로그램으로, 아동이 부모 이혼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고 치료적 집단이 제공하는 안전한 환경 속에서 부모 이혼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가진 또래들과 역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서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경험이 드러났다. 자료분석은 Corbin과 Strauss가 제시한 지속적 비교를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부모 이혼과정에서의 경험’, ‘부모 이혼에 대한 반응 및 인식’, ‘부모 이혼으로 인한 어려움’, ‘부모 이혼 후 양쪽 부모와의 관계’, ‘가족 재변화에 대한 반응’ 등 5개 영역에서 11개 범주와 26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와 부모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특히 저소득층 이혼가족과 자녀를 돕는 과정에서 고려해야하는 개입 주제를 구체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원가족경험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송정애 ( Song Jeong A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원가족경험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유아기자녀를 둔 어머니 4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349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분매개모형에서 원가족경험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원가족경험은 가족탄력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분매개모형에서 가족탄력성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검증결과 원가족경험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이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가족경험이 가족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을 때 경로계수는 -.835(-.569* -266)로 나타났으며 가족탄력성이 매개하지 않을 경우 경로계수는 .4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어머니의 원가족경험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가족탄력성은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변인임이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지원서비스개발을 위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inspect mediating effect of family elasti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using mothers with infants or children as research targets. To achieve research aims, this research performed structured survey to 450 mothers with infants or children. 34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as finally used for analysis. Analyt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it was found that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ve direct negative effects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ve been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family elasticity. Second,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it was found that family elasticity has direct positive effects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elasticity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is, wh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ffect maternal parenting stress through the mediation of family elasticity, path coefficient was -.835 (-.569* -266), while it was .455 without he mediation of family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this research examin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has direct effects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on family elasticity, and that family elasticity is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is research suggest that, such findings can serve as the basis of developing service supporting maternal parenting, and that further researches are necessary.

      • 유아 어머니의 원가족경험과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양육죄책감의 매개효과

        정다혜 ( Jeong Da-hye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1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원가족경험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원가족경험과 가족건강성 간의 관계에서 양육죄책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충북, 전북 소재 7곳의 보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이다. 회수된 29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8부를 제외하고 총 282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원가족경험과 양육죄책감 순으로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어머니의 원가족경험과 가족건강성의 간의 관계에서 양육죄책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 원가족에서의 경험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죄책감의 간접적인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가족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원가족경험, 양육죄책감 감소가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이나 교육적 개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a mo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in raising an infant on family strength, and to verify the role of a carrier of parenting gui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family strength.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seven child care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Province,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Of the 290 questionnaires retrieved, a total of 282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8 that were not answered or omitt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guilty affect family strength.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family strength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parenting guilty. This study looked at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ing guilty in the effects of experiences in mo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family strength. In order to improve family strength, positive family experience and reduced parenting guilty should be preceded, which is meaningful that basic data needed for counseling or educational interven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차별경험이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4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8 No.3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가구주 본인과 자녀가 경험한 차별경험이 가구주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표본은 여성가족부의 「2021년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를 활용하여, 연구에 부합한 1,631명의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을 통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한부모 및 가족특성 요인, 건강요인, 경제자원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우울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요인 중 건강상태, 운동빈도, 우울감 해결 방법이 유의미했고, 경제자원 요인은 거주 형태, 월 가구소득이 유의미했다. 둘째,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요인의 건강상태, 경제자원 요인의 월 가구소득, 가구주 차별경험, 자녀 차별경험, 전체 차별경험이 유의미했다. 한부모 및 가족특성 요인은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다. 따라서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건강요인과 경제자원 요인을 비롯해 차별경험이 우울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single-parent household heads and their children on their level of depression. As its sample, the study used data from 1,631 relevant respondents to the 2021 Single-Parent Family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5.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as single-pare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health factors, and economic resources, and differences in depression were analyzed accordingly. Among the health factors, health status, frequency of exercise, and methods of alleviating depression were significant. Regarding economic resources, housing typ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significant factors. Second, factors influencing th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depress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health factors,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 With regard to economic resources, monthly household incom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household heads,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children, and overall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No significant variables were identified among single-parent and family characteristic factors. Therefore, it was evident that health factors and economic resources, as well as discrimination experience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crease depression in single-parent household heads. Based on these findings, corresponding relevant alternativ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윤동화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7 No.2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leads to the rapid increase of family dissolu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re are little attention on this matter. In this thesis,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on a family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the essence of marital dissolution which is divided into divorce, separation and bereavement is studied. There are two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by disclosing the experiences of family dissolution of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it brings about a social interest in a neglected multicultural family. Second, this study ranges over not only the divorce of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but also the separation and bereavement of those women; also, it concerns with specific emotional pain of those women, including pre-experience, during-experience and post-experience of martial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Wo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tend to make an easy decision to get married; an ultimate cause of family dissolution is down to husbands; and it was not possible for those women to return to their homeland after divorce because of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family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puts those women into difficulties; however, there is a positive aspect that they can make a new plan for their life. For this, a legal and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족 해체 또한 급증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관심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고에서는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질적 연구를 시도하여 이혼과 별거, 사별 등으로 구분되는 가족 해체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제결혼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을 밝힘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그간 해체 사유 중 주로 관심을가졌던 ‘이혼’ 뿐만 아니라, 관심 밖에 있었던 ‘별거’와 ‘사별’ 경험을 가진 국제결혼 여성을인터뷰하였고, 해체 전 경험과 해체 경험, 해체 후 경험 등 국제결혼 여성들이 처한 구체적인 정서적 어려움의 맥락과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국제결혼 여성은 쉽게 결혼을 결정하였고, 해체에 관한 결정적인 잘못은 남편에게 있었으며, 해체 후 아이 때문에 고국에 돌아갈 수 없는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 해체 경험은 국제결혼 여성에게 매우 어려운 상황을 발생시키기는 하나, 앞으로의 삶의 과정을 새롭게 계획할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보인다. 이를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집단주의 형성 요인과 과정,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

        이수인(Soo-In Lee)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8

        이 연구의 목적은 집단주의 형성 요인과 과정을 성별 차이에 주목하며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집단주의를 수직적 집단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로 구분하고 가족경험과 중ㆍ고등학교 경험을 집단주의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간주하여 집단주의 형성과정을 성별로 탐색했다.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장기 가족경험, 중ㆍ고등학교 경험, 현재의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성별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가족경험만 고려한 모델에서 수평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남학생만 효과가 나타났고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남녀집단 모두에서 효과가 있으나 남학생 집단에서 약간 높았다. 가족경험의 개별요인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학교경험을 첨가한 모델 역시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와 관련해 가족 및 학교 요인들의 개별적 효과에서 뚜렷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각 모델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공통성도 존재했지만 성별 차이 역시 분명했다. 공통적으로 수평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학교경험의 효과가 컸고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가족경험의 효과가 컸다. 남학생들의 학교경험은 수평적 집단주의에 대해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으나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양 집단 모두에서 가족경험의 효과가 압도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적어도 그동안 한국적 집단주의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던 가족경험이 실제로 그러한 현상의 원인임을 경험적으로 확인해주며, 여전히 수직적 집단주의의 우선적인 근원이 가족임을 말해준다. 반면에 평등과 협동에 유리한 친사회적 가치인 수평적 집단주의의 증대를 위해서는 중ㆍ고등학교에서 또래 간의 신뢰와 평등한 상호작용의 경험이 구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actors and processes of forming collectivism by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tiation. Collectivism is classified in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vel, The experience in family,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form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All the variables used for analyses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 gender. 690 students attending 4 year universities were selected as a sample for this surve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found. Firs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childhood experiences in the famil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n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Second, when only family factors are put into analysis, the factors have meaning effects on the horizontal collectivism in male students . Though the effectiveness of the factors a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effectiveness of them i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There was also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effectiveness of the factors. When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are put into analysis together,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m rela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have clear gender differences. Third, there were same characteristics in the two cases suggested above, but definite gender differences in each of them. In all th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he school experience has more influence on the horizontal collectivism, the family experience has more influence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School experience of male students has remarkable influence on the horizontal collectivism but don’t have any influence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In all th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family experience has distinguished influence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These results verify that family experience is a major cause of the vertical collectivism considered as the collectivism working in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s, school experience is relation to the horizontal collectivism which is prosocial value for the equality and the cooperation of society members. Therefore, the trust and the equal interaction among schoolmates are required to in crease the horizontal collectivism.

      • KCI등재후보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가족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전은혜,최희경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3 젠더와 사회 Vol.34 No.-

        본 연구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의 경험과 가족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대∼30대 1인 가구 청년 여성 7명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은 1인 가구 경험, 커뮤니티 경험, 가족 경험과 인식 등 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독립을 위해 1인 가구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였으며, 자신의 성장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커뮤니티에 참여하여 부정적인 경험을 한 후 여성 커뮤니티에 참여하였다. 여성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새로운 친밀감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여성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한 연대감과 안정감, 경험 공유와 존중, 실질적인 생활상의 도움을 주는 안전망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가 “친밀하지만 느슨한”새로운 의미의 가족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원가족과의 갈등과 스트레스, 통제나 간섭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며 여전히 규범적이고 이상화된 가족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여성 커뮤니티에서의 친밀한 유대감을 경험하면서 새로운 가족관계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커뮤니티 경험을 통한 새로운 가족관계의 추구를 가족유연성과 대안가족의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적, 정책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ommunity experiences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se number is gradually increasing focu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family. Case stud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single-person household young women. As results of the study, 3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discourse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ingle- person household, experiences of communities, and experiences of families. The participants autonomously chose the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means to pursuit their academic or work careers.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hobbies as a way to satisfy their needs of self-actualization and build new relationships. They showed individualism that values a free individual life, but also showed an active aspect in forming or participating in groups for study or hobbies pursuing intimacy by forming social relationship. In the female community,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identity of a woman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he female community, or help them to move forward and stabilize themselves in the future when they are frustrated or have struggling, help them to move forward or stabilize in the future and help them stay in the presence. In addition, community members respect each other, share their experiences, and express safely themselves as they are. The female communities can be viewed as a family in a broad sense with intimate but loose solidarity. These experiences was interpreted a process of re-establishing family concept.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al distress and conflicts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which made them direct a new relationship of family adhering to a normative and ideal concept of family. In conclusion, the female communities that young females independently chose we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alternative and flexible family further suggesting the need for social, institutional, and policy change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의 직무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경란,최정숙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2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참여자들이 경험한 현실기반 자료를 통해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들의 직무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실체이론을 생성함으로 그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를 얻고자 함이다. 이론적 표집을 통해 총 20명의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의 직무 경험은 233개의 개념, 53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로 분석되었고, 중심현상은 ‘다문화 신념 동요 속 관행적 실천’으로 분석되었다. 축 코딩에서는 개방코딩에서 분석된 범주를 패러다임 구조로 제시하였으며, 과정 분석을 통해 회의단계, 실천인식전환단계, 전략수정단계, 재몰입단계로 분석하였다. 핵심범주는 ‘다문화 신념 동요 속 관행적 실천 상황에서 주체적 직무체계창안과 함께 성찰하는 세계인으로의 성장 여정’으로 도출되었고, 참여자 유형은 정면공격돌파형, 우회접근개선형, 은인자중노력형, 방관적현실적응형, 한계인식잠재적탈출형으로 분석되었다. 차원분석을 통해 상황모형을 매트릭스형태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해 다문화가족사례관리사들의 직무경험에 관해 논의하고 다문화가족사례관리사들의 직무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지점과 관련하여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가족상담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성희,엄영숙,이아람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1

        Objectives: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family counselors dealing with ethical issues. Eight family counselors with a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First-Class” license participated. Methods: The researchers utiliz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delve into the essence of the the counselors’ experience with ethical issues.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once for at least 60 minute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then underwent four levels of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ers distinguished 45 textures, 18 structures, and five essences within the experience of counselors dealing with ethical issues. The five essences included a) cases whereby the counselor experienced ethical issues; b) family counselors’ experiences when ethical issues occur; c) family counselors’ coping with ethical issues d) family counselor’s experiences in dealing with ethical issues; and e) family counselor's own ethical values.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s the need to address ethical issues in the family counseling more fully, as well as the necessity of providing skills that assist in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상담사들이 부부와 가족을 만나는 상담의 현장에서 윤리적 이슈와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한국가족치료학회의 부부가족상담전문가 1급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8명의 참여자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45개의 의미단위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와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구성요소는 ‘윤리적 이슈를 경험했던 사례들’, ‘윤리적 이슈를 경험했을 때의 상담사로서의 경험’, ‘윤리적 이슈에 대한 대처’, ‘윤리적 이슈를 대처하면서 상담사로서의 경험’, ‘윤리적 이슈와 관련된 상담사가 지닌 윤리적 가치관’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상담사들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관련된 논의를 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족상담사들의 윤리적 이슈와 관련된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함으로, 향후 가족상담 영역에서 윤리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