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주 ‘후기’ 의례개혁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정열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고대 중국의 청동예기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서주 중기를 거치면서 그 형태, 문양, 명문은 물 론 실제 사용 때의 조합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 폭넓은 변화를 알 수 있다. 서구 학계의 연 구자들 가운데는 이 변화가 서주 왕실이 의도적으로 수행한 의례상의 ‘혁명’ 또는 ‘개혁’으로 말 미암아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들이 있다. 이 글은 서주 중기 이래 청동예기에 나타난 일련의 변화를 관찰하고, 의례개혁론의 주요한 논지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한다. 청동예기 상의 각종 변화가 비교적 폭넓게 그리고 특정한 시기에 걸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주 왕실에 체제 개혁을 시도해볼 만한 환경이나 계기가 없었던 것도 아니어서, 의례개혁론은 매우 매력적인 가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혁명적으로 보이는 이 변화는 완만한 속도로 이루어졌고, 청동예기의 각종 변화 양상 속에서 체계적인 규정이 명료하게 그리고 규칙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정치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 사건이 기록으로 전해지지 않는 것도 이 주장을 수용 하는 데 장애가 된다. 그러므로 청동예기에 나타난 변화를 왕실이 주도한 일종의 개혁 결과로 설 명하려는 의례개혁론은 흥미롭지만, 그 주장이 만족스럽게 입증될 수 없다. 의례개혁론의 배후에는 기존의 서주사 이해에 대한 반성이 자리하고 있다. 전통적인 서주사 이해 는 서주 소왕의 남방 정벌 실패로 말미암아 왕실의 권위는 실추하고, 이후 왕실은 이윽고 기나긴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간주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각은 당시의 청동예기 명문에서 볼 수 있 는 서주 중 후기의 양상과 배치되는 바가 많다. 의례개혁론은 서주 후기에 왕실의 사회적, 정치적 질서 재편을 상정하고, 이를 통해 서주사 이해에 대한 전반적인 재평가를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에 서 적극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청동예기상의 변화를 왕실이 주도한 개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서주 후기 에 들어 서주의 국가 질서가 회복될 수 없을 정도의 해체를 강요받게 되었다는 것 역시 분명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의례개혁보다는 당시에 예기문화를 영위해 간 주인공들의 문화적 전통과 세계관 인간관의 진보, 그리고 사회적 질서의 변화가 완만하지만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청동예기 상의 광범위한 변모를 점진적으로 이끌어갔다고 생각하는 것이 좀 더 현상에 부합되는 해석일 것이다. Considering the ritual bronze vessels of ancient China throughout, a wide range of changes can be seen in various aspects of the vessels, such as shape, pattern, inscriptions, and combination when actually used through the mid-Western Zhou dynasty (1046-771 B.C.). Researchers in Western academia argue that these changes occurred due to the ritual 'revolution' or 'reform' intentionally carried out by the Western Zhou royal household. This paper observes a series of changes in the ritual bronze vessels since the mid-Western Zhou period and reviews the main point of argument on the ritual r eform theory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theory seems very attractive because various vessel changes were made relatively widely and intensively over a specific period. It is not that the Western Zhou royal family did not have an environment or opportunity to reform the system. However, these seemingly revolutionary changes actually took place at a gentle pace. In addition, systematic regulations are not clearly and regularly confirmed amid various vessel changes. This case, which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political history, is not handed down as a record, is also an obstacle to accepting this argument. Therefore, even though the theory of ritual reform to explain the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ritual bronze vessels due to a kind of reform led by the royal family is interesting, the argument cannot be satisfactorily proven. Behind the theory lies a reflection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Western Zhou history.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Zhou history considers that the royal authority was tarnished due to the failure of King Zhao's southern expedition and that afterward, the royal family soon entered a long decline. However, such thoughts are often contrary to the mid-and late Western Zhou aspects that can be seen in the inscriptions on the ritual bronze vessels at the time. The theory of ritual reform is meaningful in that it assumed the reorganization of the royal family's social and political order in the late Western Zhou, thereby enabling an overall re-evalu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Zhou history. However, changes in the ritual bronze vessels cannot be interpreted as reforms led by the royal family. It is also clear that its state order was forced to be dismantled beyond recovery in the late Western Zhou period. Rather than ritual reform, it would be a more consistent interpretation to think that progress of the cultural traditions, worldviews, human views of the people who led the ritual v essels culture, and changes in social order were gentle but acting in a specific direction, gradually leading to the wide range of variations in the ritual br onze vessels at that time.

      • KCI등재

        논문(論文) : 공수(功守)의 부단한 전환: 생태환경 요소가 서주(西周)와 융족(戎族)간의 전쟁에 미친 영향

        장치앙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4 No.-

        본고는 생태 환경적 요소가 서주(西周)와 서북 융족(戎族) 간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문헌자료와 청동기 명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융족이 순수한 유목 민족이라는 기존 견해를 재검토하여 정주 생활적 요소도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바로 반농반목(半農半牧)의 생활방식으로 이는 당시 생태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보았다. 예컨대 상대(商代) 후기는 전신세(全新世) 온난기 말기로 지금보다 따뜻하여 농업 문명 위주의 정주 생활 방식의 활용 범위가 진한(秦漢)시기 보다 넓었을 것이다. 따라서 서북 융족의 생활방식도 단순히 유목적 요소만 있었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 다음으로는 서주와 서북 융족 간 대표적 전쟁을 살피고 생태 환경적 요소가 전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체적인 경향은 온난한 기후일 때 정주 농업경제에 기반 한 서주가 비교적 주도적 위치를 점하였고, 한랭 건조한 기후일 때는 융족이 공세적이고 서주가 방어적으로 되었다고 보았다. 특히 한랭 건조한 기후로 인한 생태환경 악화는 서주 농업경제의 근간을 흔들었으며, 이는 서주의 융족에 대한 통제력 약화를 불러왔다고 판단했다. 서북의 융족 역시 생태 환경이 악화되자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서주를 더욱 압박하였고, 결국 융족과 신후(申侯)의 연합공격으로 서주는 동쪽으로 수도를 옮기는 결과(洛邑으로의 천도)를 초래하였다고 분석했다. The wars between Zhou people and northwest minorities were the significant historical phenomena in the Western Zhou dynasty, the outcomes of the wars directly influenced the history development of the Western Zhou dynasty. Based onanalysis of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archaeology materials, we can find the offensive and defensive posture constantly changing in the wars between Zhou people and northwest minorities. Research shows that the deterio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after [he Holocene warm period had direc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economy, and shaken the foundation Western Zhou Dynasty relied on, and affected the wars`` trends. Because of arid climate, The West Zhou regime gradually lost its economic power to against the Northwest Minorities, Its capital was forced to shift from west to east, until king Ping (1p.:□}moved the capital to Luoyang, lead the Western Zhou dynasty to perish.

      • KCI등재

        平頂山 유적과 西周시대의 應侯

        김정열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0

        최근 平頂山 유적 발굴보고서가 발간되었다. 이 보고서는 河南 서남부 平頂山市 경내에서 발견된 서주 ‘應侯墓地’와 그 출토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應侯는 周公이 封建한 제후 가운데 하나로 『左傳』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응후에 관련된 청동 예기가 세상에 유전되어 왔으므로 서주시대에 응후가 실제 존재한 것은 사실로서 신뢰되어 왔다. 그러다가 최근 ‘應侯墓地’가 平頂山市에서 확인되고, 그곳에서 발굴되거나 혹은 도굴된 유물들이 대거 소개되어 응후에 대한 보다 풍부한 자료가 확보되기에 이른 것이다. 지금까지 발굴 조사된 서주시대 제후의 묘지 가운데 이처럼 풍부한 자료를 전하는 것은 많지 않다. 게다가 연속되는 시간 좌표 위에 위치하는 수대의 제후 무덤이 특정한 공간 좌표 위에서 확인되고 거기에서 상당량의 유물이 출토된 사례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때문에 평정산 유적은 서주시대 제후의 존재 양상을 통시적이며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희귀한 자료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평정산 유적 출토 자료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서주시대 應侯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고찰하고, 그것을 동 시대 제후의 기능 및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초석으로 삼기 위해 작성되었다. 평정산 유적에서 발견된 무덤은 周系 喪葬禮俗의 전형적인 특징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응후가 주 왕실의 일족에서 나왔다는 문헌사료의 기록은 정확하다고 생각된다. 다만 응후가 서주 전기에 지금의 평정산 일대에 封建되었다는 전통적인 이해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무덤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그 형태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속성으로 미루어 보아 일러도 서주 전ㆍ중기의 과도기 이상으로 소급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응후가 이 지역에 최초로 입식한 시기는 대개 주 왕실이 남방 경영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기 시작한 서주 중기의 이른 단계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평정산 유적에서는 출토된 청동기 명문에는 서주시대 응후의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응후는 평정산에 봉건된 서주 중기 이래 주 왕실의 남방 경략을 충실히 수행하였으며 이 역할은 서주 왕실의 몰락에 임박한 서주 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일반적인 이해에 따르면, 서주 중기 이래 왕실과 제후의 관계가 점차 소원해지고, 각 지역에 정착한 제후는 한층 더 재지세력화 됨에 따라 왕실의 지방 통제가 무력화되며, 그것은 이윽고 서주 국가의 해체로 이어졌다. 그러나 적어도 응후의 경우에서는 그와 같은 ‘보편적인’ 현상을 찾아보기 어렵다. 응후 관련 청동 예기 명문이 전하는 정보를 검토하면, 주 왕실은 남방 경략의 거점으로 응후를 封建한 그때부터 몰락에 이르는 후기까지 그에 대한 통제력을 잃지 않았다. 應侯에게서 관찰되는 서주시대 제후의 존재 양상이 應에게만 국한되는 비교적 특수한 경우일까? 아니면 서주 제후의 성격에 나타나는 역사적 성격 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하는 것일까? 앞으로 주목해 보아야 할 과제이다. Recently, the report on Pingdingshan site was published. It charted the tomb of Yinghou in th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and its excavated texts, which discovered in the Pingding city, south-west Henan. Yinghou was one of the Chinese Feudal lords, that is, feudalized duke of Zhou, and remained his records in Zuo Zhuan. It was argued that Yinghou existed actually since the his ritual vessel survived from a world. Then, the tomb of Yinghou was recently excavated in Pingding city, in where excavated or robbed relics greatly discovered and voluminous materials on the Yinghou was secured. There is not much to have voluminous materials among these tombs of the Chinese feudal lords, excavated by this time, in th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Moreover it was an rare case that the several generation of tombs of Chinese feudal lords located in the sequence of time coordinate were verified on the specific spatial coordinate and the many of relics was excavated in those tombs. Therefore, the Pingdingshan site was rare material to understand diachronically presence aspect of Chinese feudal lord in th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This paper aimed to understand the function and character of the contemporary Chinese feudal lord through using these materials excavated in Pingdingshan site and considering over the several problems in th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The tomb excavated in Pingdingshan site had typical features of funeral culture in Zhou. Therefore,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which recorded Yinghou was one of the Zhou dynasty, seem to be true. But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about traditional ideal that Yinghou was feudalized in Pingdibgshan in the former part of Western Zhou dynasty. Because given their qualities of forms, the relics excavated in this tomb were difficulty to relate back to beyond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middl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decide the first time of his entering this region to early-mid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when Zhou dynasty took off its cost to manage southern region. The inscription of ritual vessel excavated in Pingdingshan site involved the material which allowed us to grasp the activities of Yinghou in th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From this, after the middle of th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when he feudalized in Pingdingshan, he carry out his duties to manage southern region faithfully and continued his duties in the latter part of the Western Zhou dynasty, impending collapse of its dynasty. According to general idea, after the middle of Western Zhou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sty and feudal lord became alienated and the control power on the local of dynasty was incapacitated because Chinese Feudal lords settled in each region became the local gentries, in the end led to dissolution of Western Zhou. In the case of Yinghou,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se ‘general’ phenomena. Giving consideration to inscription of ritual vessel related to Yinghou, the Zhou dynasty was never lost control over Yinghou from feudalizing Yinghou as a strategic reference of managing southern region to latter period when its dynasty collapsed. Was the presence aspect of Chinese Feudal lords in Wetern Zhou dynasty which was found in Yinghou limited merely in Yinghou as relativelty particular situation? Otherwise, is it requested the consideration on the historical change of characters over Chinese feudal lord in Western Zhou dynasty? They are the themes which we should pay attention.

      • KCI등재

        서주(西周) 분봉제에서 자연환경에서 기인한 문화와 지연정치 위기

        장지앙 중국사학회 2016 中國史硏究 Vol.101 No.-

        서주(西周)의 분봉(分封)은 두 가지 중요한 목적을 갖고 있었는데, 하나는 은상(殷商)을 멸망시킨 이후 획득한 동부 영토를 지속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경영하기 위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분봉을 통해 사방의 오랑캐를 막아내고 서주의 국가적 안전을 지키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생태 지리 환경적 요소의 영향을 받아 분봉도 두 가지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첫째, 분봉이 다원적 정치 문화를 촉진하고 핵심적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와서 왕조 내부에 문화적 원심력으로 작용하였는데, 이는 정(鄭)· 위(衛) 등 “난세지음(亂世之音)”의 형성 및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기물들의 특징이 아주 잘 설명해 준다. 둘째, 분봉이 제후국과 중앙정권 간에 지리적 공간적 분리를 가져오고 서로 다른 지연 정치적 중심의 형성을 가속화하여, 서주 중·후기부터 제후의 빈번한 월권 행위의 등장과 군사적 역량상의 분산이 왕실지역의 안전보장력을 크게 떨어뜨려 중앙정권의 안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서주의 역사적 발전 과정은 제후가 서주의 통치에 거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잘 보여 주는데, 즉 주나라 사람들의 동천과 분봉이 초래한 역량 분산 그리고 서부 변경지역에 대한 방비의 약화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The enfeoffment of the Western Zhou Dynasty had two main objectives: one was to enduringly and deeply supervise eastern regions obtained from Shang dynasty; the other was to safeguard its border and guarantee internal security. But because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factors,the enfeoffment system also had contributed to two questions: the first was enfeoffment promoted pluralistic political culture, and this produced the alienation of core values, brought culture centrifugal force to the dynasty, the "degenerate and vulgar culture "in Zheng (鄭) and Wei (衛), as well as different features of the archaeological discovery in different regions demonstrate this. The Second was enfeoffment caused the geographical separation between the seigniors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different geopolitical centers, seigniors arrogation frequently occurred at the later of Western Zhou Dynasty; likewise, dis-centralization of its military power also caused security force in the Royal region greatly reduced, posed a threat to both the royal safety and the stability of st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shows that the second factor has had a huge impact on Western Zhou dynasty’s rule, due to the military power dispersion and the weak defense in the western border region, at fall of Zhou Dynasty, its capital had to move eastward to Luoyi(洛邑).

      • KCI등재

        서주(西周) 사도(司徒)의 재검토

        김동오 ( Kim Dongoh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0 No.-

        20세기에 들어와 활발해진 西周 金文 자료의 발굴과 연구는 전래 문헌에 기반한 西周史 연구에 새로운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그중 周王의 冊命을 기록한 금문은 관제사 연구의 중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서주 이래 三公의 일인으로 최고위관인 司徒(□土)는 토지·농경과 인민 교화를 관장하는 民政官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의 기본적인 근거는 儒家 經典인 『周禮』였다. 서주 금문 자료를 분석해보면 이러한 인식에 일대 수정을 요구한다. 本稿에서는 서주 사도를 중심으로 그 본래성격을 살펴보았다. 司徒가 토지와 농경을 관장한다는 근거로 제시되는 금문에는 사도뿐만이 아니라 司馬, 內史 등 다양한 관직들이 등장한다. 이는 토지와 농경이 사도의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직무는 아님을 말해준다. 오히려 사도가 六師와 八師 같은 군사조직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은 그 본질적인 성격이 군사적인 데에 있음을 반영한다. 사도의 藉田 관리 역시 농경 그 자체가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軍事儀禮적인 것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서주춘추시기의 문헌 자료와 금문 자료들을 살펴보면 사도의 從軍 기록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사도의 山林川澤 관리 직무도 농업을 보조하는 경제적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군사적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도가 등장하는 금문 자료들을 시기에 따라 일별해보면 서주 중기를 기점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전시기의 자료들이 보다 군사적인 성격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데 반해 후기에 접근할수록 직무가 점차 변화해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周禮』에 기술한 민정관으로서의 사도는 후기의 변화된 이미지에 맞추어 묘사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춘추시기의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주 사도가 가지고 있었던 군사관으로서의 성격이 대체된 것이 아니라 이를 유지하면서 민정관적 요소를 흡수한 것이다. Since the 20th century, a new bronze inscriptions has been continuously excavated and a new review of the existing thinking has been requested. Situ(司徒) was the most representative high officer and one of the Three Dukes(三公) in ancient China. So existing researchers translate it into Minister of education, because it was responsible for the land and the education as based on the traditional documents, especially Zhouli (周禮). However, if you look at the bronze inscriptions, you need to review it at that point. In this paper, I would described true character of the Situ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bronze inscriptions. When we examines the bronze inscriptions that Situ governs land and agriculture, there are other officials, such as Sima(司馬) and Neishi(內史) etc. as well as apostles. This indicates that the affairs of agricultural affairs are not the exclusive jurisdiction of Situ. What is more important to note is that the Situ was set up under the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Western Zhou dynasty, which indicates that it has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fficers. In fact, the records of Situ fought in several war can be found in the bronze inscriptions, and also can be found in the text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Situ controled mountain, forest, stock farming, not for economic use but for military affairs.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Situ in early Chian was essentially military posts.

      • KCI등재

        ‘玁狁方興’ -서주와 험윤의 전역 기록 검토

        이유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玁狁은 西周王朝의 서북쪽에 있었던 초원 민족계 집단으로, 문헌에서는 犬戎이라고도 불렸다. 서주 시기, 험윤과의 전역과 관련된 기록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험윤은 주로 농한기에 주를 침입했다. 둘째, 험윤과 서주의 전쟁은 주로 涇河 河谷의 교통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중국 학계 일각에서는 험윤을 호전적인 ‘기마민족’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관련 기록을 검토해 본 결과, 당시 험윤의 주력은 전차병으로, 전문적인 기마군단은 아니었다. 넷째, 서주와 험윤의 전역은, 주로 험윤의 공격을 격퇴하는 ‘擊退戰’과 험윤을 정벌하여 그들의 복종을 이끌어 내려는 ‘對外征伐戰’의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다섯째, 험윤과 서주의 전쟁은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일진일퇴의 길항관계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장기간 이어진 양자 간의 관계는, 험윤이 주를 공격하여 周幽王을 살해하고, 서주를 멸망시키면서 일단락되었다. Xianyun (玁狁, also known as 犬戎Quanrong) is a grassland ethnic group that resided at the Northwest of the Western Zhou Dynasty(西周王朝, 11th century to 771 B.C.,). After reviewing the military campaign records related to the Xianyun during the Western Zhou Era,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ollowing trends and characteristics. First, the Xianyun generally invaded during the agricultural off-seasons. Second, the battles between the Western Zhou and Xianyun surrounded the roads of Jinghe (涇河) river valleys (河谷). Third, although some Chinese scholars consider the Xianyun as warlike “horse-riding people,” after reviewing the related records, the major Xianyun army weren’t professional “cavalry”, but were moved by chariots at that time. Fourth,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Zhou, the battles with Xianyun were normally in the forms of “withdrawal battles (擊退戰)” to repel the invasion by the Xianyun or the “external punitive expeditions (對外征伐戰)” to conquer the Xianyun. Fifth, in consideration of these findings, the wars between Western Zhou and Xianyun were definitely not one-sided but were of rivalry with repeated ebb and flows. However, this all came into a halt when Xianyun murdered King You of Zhou (周幽王).

      • KCI등재

        서주시대 지역정치체의 성격 : 산시(山西) 남부 패국(覇國)의 사례

        김정열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1

        2007년 중국 산시성 이청현 다허커우에서 발견된 패국묘지는 다수의 청동기 명문 자료를 포함한 풍부한 유물을 통해 서주시대 중기 패국에 관한 다양한 역사정보를 전하고 있다. 현재까지 패국묘지 및 무덤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출토유물 연구, 청동기 명문 연구및 묘지의 역사적 성격 연구 등 다양한 문제가 중국학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 가운데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패국묘지의 성격에 관한 것이다. 패국묘지가 제공하는 역사정보는 당시의 천하에 널리 존재한 지역정치체의 성격과 서주왕조의 관계에 대한구체적인 이해에 매우 유용한 사례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패국의 성격에 대해 중국학계에서는 지금까지 채읍설, 제후설, 부용설 등이 제기되었지만, 패국묘지에서 출토된 청동기 명문은, 패국이 서주왕조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는 자립적인 소국,즉 당시의 술어로 말하면 방의 하나였음을 알려준다. 방은 나름대로의 통치조직과 군사조직을 갖추고 있었으며 때에 따라 서주왕조에 위협적인 존재로 변신할 수 있었다. 따라서서주왕조는 방을 자신들의 통제하에 묶어두어야 했다. 서주왕조는 왕 스스로 또는 측근의중신을 자주 지방에 파견하여 각종 의례활동을 거행하고 여기에 방군을 초치함으로써 방과의 관계를 유지했다. 하였다. 다만 주왕의 통치가 의례적 차원에만 머문 것은 아니다. 서주왕조는 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패국묘지에서 출토된 청동기 명문의 기록에는 그 주요한 수단 가운데에 재판을 통한 이해관계의 조정이 포함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서주왕조는 방과 방 사이 또는 방 내부에서 벌어진 분쟁에 개입하여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방을 통제하였다. 이때의 조정은 기존 질서를 해치지 않고 온존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서주시대 천하질서의 핵심적인 문제는 방과 방군, 그리고 그들과 서주왕조의 상호관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주시대의 방과 방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패국묘지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명문 가운데는 서주 중기경 방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흔치 않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앞으로 이 묘지에 관련된자료가 추가될수록 방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 더욱 깊어질 것이다.

      • 연구논문 : 『시경(詩經)』 "한혁편(韓奕篇)"을 통해 본 정략결혼(政略結婚)과 문물교류(文物交流) 연구

        엄광용 ( Gwang Yong Eom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09 문명교류연구 Vol.1 No.-

        문명의 교류는 크게 인적 교류와 물적 교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인적 교류 없이 물적 교류는 이루어질 수 없다. 사람의 왕래가 있어야만 그로 인한 물적 교류 또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중 문명교류에 있어서 가장 오래된 사건은 『시경』 ``한혁편``의 ``한``과 ``서주``간에 외교전술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정략결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은 ``고조선``을 말한다. 즉 고조선과 서주는 기원전 9-8세기에 ``정략결혼``을 통한 문물교류의 물꼬를 텄으며, 처음에는 사신이 오고가는 ``관무역`` 형태를 유지하다가, 서주 멸망 이후 춘추시대로 접어들면서 ``사무역`` 형태로 바뀌어 활발한 무역 활동이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보면 『시경』 ``한혁편``에 나오는 고조선(한)의 군주 ``한후``와 서주 선왕의 고종사촌 여동생 ``한길``의 ``정략결혼``은 한중 문물교류의 시발점이 되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에 이와 같은 ``정략결혼``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서주와 변방의 사이(四夷) 간의 역학관계가 크게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당시 서주의 사정은 급박하였다. 동·서·남·북 사방을 사이에게 둘러싸인 상황에서 내부적으로는 군주의 폭정으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하던 때였다. 폭정의 원흉이었던 군주 여왕이 망명하고 나서 14년간 공화정이 실시되었고, 그가 죽고 나서 그의 아들 선왕이 즉위하였다. 그는 사이 중에서 가장 멀리 있는 ``동이``로 대표되는 고조선과 정략결혼을 통한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가까이 있는 서·남·북의 ``삼이``를 공략하는 이른바 ``근공원교``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고조선과 서주는 ``정략결혼``을 통한 외교관계 수립하였으며, 이 사건은 관무역을 실시하면서 한중간의 문물을 교류하는 계기로도 작용하였다. 고조선은 주로 서주에 호랑이나 곰의 가죽인 문피를 수출하였으며, 서주에서는 견직물 종류가 고조선으로 유입되었다. 서주가 멸망하고 춘추시대가 되면서 제후들이 ``칭왕``을 하며 천하의 패권을 다툴 때 고조선은 연나와 제나라 등과 사무역 형태로 활발한 무역 활동을 펼쳤다. 크게 육로와 해로를 통한 무역로가 형성되었는데, 고조선은 문피를 주로 수출하였으므로 필자는 임의로 이 교통로를 ``문피로드``라고 명명(命名)하기로 하였다. 이 ``문피로드``는 실크로드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고조선을 위시한 한반도 지역과 중원대륙을 잇는 무역의 길로 정착되었다. The oldest accident in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s ``marriage of convenience`` occurred due to diplomatic tactics between ``Han`` and ``Western Chou(Seoju)`` of ``Hanhyeok Part`` of 『the Book of Odes』. Here, ``Han`` means ``Old Jeosun``. Namely, the Old Jeosun and Western Chou started cultural exchange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in the 9~8th century before Christ, and first, it maintained an ``official trade`` form that envoys came and went, but while it entered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fter collapse of Western Chou, it changed to a ``private trade`` form and thus active trade activities had been carried out. It is judged that the dynamics between Western Chou and four frontier barbarian countries largely influence as the background that the ``marriage of convenience`` like this could be achieved at the time. The situations of Western Chou was urgent at the time. It was that the mind of people was internally agitated due to tyranny of a ruler in situations surrounded by four barbarian countries in four directions of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After the queen, who was a tyrant, exiled herself, a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was carried out for 14 years. And after the queen died, King Seon, her son, ascended the throne. He established an diplomatic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with Old Jeosun represented as ``East barbarian country`` located most remote among four barbarian countries and attacked three barbarian countries of the East, South and North located near. With the background of this epochal situations, Old Jeosun and Western Chou established an diplomatic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and this case acted as a momentum tha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carried out through execution of official trade. Old Jeosun usually exported leather(Munpi) of tigers or bears to Western Chou, and the silk fabrics of Western Chou were flowed into Old Jeosun. This ``Munpi Road`` is related to the Silk Road, and it was settled as a trade road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Area including Old Jeosun to the continental midfield.

      • KCI등재

        서주(西周)시대의 남방(南方) - 청동기(靑銅器) 명문(銘文)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본 지리적 환경과 봉건(封建) -

        민후기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6 No.-

        這篇文章分析了西周時期南方(湖北, 重慶 四川, 湖南, 安徽, 江蘇, 浙江, 江西)關聯考古遺址和靑銅器銘文出土地, 在這個過程中, 收集了湖北省的41個遺址和54個靑銅器的出土地, 重慶的39個遺址, 四川的29個遺址和2個靑銅器的出土地, 湖南的16個遺址和11個靑銅器的出土地, 安徽的23個遺址和6個靑銅器的出土地, 江蘇的25個遺址和9個靑銅器的出土地, 浙江的21個遺址和2個靑銅器的出土地, 江西的19個遺址和1個靑銅器的出土地. 分析資料的結果如下.第一, 西周王朝的初期封建是一種軍事作戰. 西周王朝設置了軍事据点性格的封建國, 掌握了平地和盆地, 與此同時, 他們把他們的敵人逐出了山地和濕地方面. 這一過程, 封建國擔當了以最前方的軍事部隊, 戰車的中間寄着地, 管轄周邊的植民司令部等的机能.第二, 西周王朝的對現在的湖北地域進出積極進行了. 反面, 對重慶 四川, 湖南, 安徽, 江蘇, 浙江,江西方面的進出幾乎實現不了

      • KCI등재

        논문 : 서주(西周)청동기(靑銅器) 장(藏)을 통해 본 주원(周原)

        김혜진 ( Hye Jin Kim ) 한국고대학회 2012 先史와 古代 Vol.36 No.-

        이 논문은 서주 역사상 周原이 차지한 공간적인 성격을 究明하기 위해, 주원에서 발견된 다수의 서주 청동기 교藏과 그곳에 매장된 청동예기를 분석한 것이다. 주원은 陝西省 關中渭河분지의 서부인 渭北황토 고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岐山縣과 扶風縣을 ``狹義의 周原``으로, 2003년 周公廟가 발견된 일대를 포함한 지역을 ``廣義의 周原``이라 인식하고 있다. 주원은 中國社會科學院·北京大學考古系·陝西考古硏究所와 같은 중국 고고학계의 주도로 수많은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大周原考古學``이라는 용어가 제시될 정도로 발굴 성과가 매우 풍부한 지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원 지역의 성격 파악을 위한 전반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대부분이 先周시대에 관련된 연구이거나 특정 문제를 다룬 단편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정리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주원에 밀집되어 있는 교藏에 주목하여, 두가지 방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작업은 외적분석 즉 고고학 자료 분석으로 교장 자체에 대한 연구이다. 교장의 출토 정황을 통해 형태, 매장 깊이, 출토 지점, 교장의 수량, 출토 유물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장 자체의 성격과 주원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원인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작업은 내적분석으로 청동기 명문을 범주화하는 작업이다. 명문을 통해 파악할수 있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인적 정보[族徽, 日名, 姓] 특정 가문에 대한 정보 인물들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정보(혼인) 사회상에 대한 정보(송사와 재판, 상속, 토지소유양상) 신분과 지위에 대한 정보(관직)로 그 항목을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몇 가지 사실을 살펴 볼 수 있었는데 첫째, 주원은 周에 기원을 둔 집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족속들도 공존하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가문들의 혼인이 거시적으로는 서주의 통치기반을, 미시적으로는 주원 구성원들의 기반을 유지하는 근간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셋째, 사회상에 대한 정보를 통해 주원이라는 공간에서 삶을 영유했던 사람들의 생생한 역사와 함께, 주원은 여러 가족들에 의해 그 토지가 잘게 나누어지고, 구획된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三有司, 史, 師, 膳夫와 같은 관직 명칭은 주원에 거주했던 구성원들이 중앙정부에서 고위 관직을 역임했음을 보여주어, 이들의 비교적 높은 지위와 신분을 추론케 해준다. 이상의 모든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주원의 지역적 성격에 대해 다양한 성격의 구성원들이 거주한 서주 시대 유력 가문들의 본향이었을 것이라는 결론을 제출하였다. This thesis tries to study the spacial characteristics of Zhouyuan in Western Zhou history, analyzing many bronze vessels and their inscriptions unearthed from the caches in the region. Although many scholars have worked on Zhouyuan, most of their studies seem to have been focused on specific issues such as the search for the pre-dynastic capital of Zhou. However, this study pursues a synthetic approach toward the many bronze caches and their contents. First, as the external approach, an archaeological analysis deals with the caches themselves, focusing on the excavated situations, the layouts the location of artifacts, their quantity,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artifacts. This analysis distinguishes the caches of Zhouyuan from those of other regions, proving that the "theory of social change" would be more appropriate than other proposed theories on the production of the Zhouyuan caches in the late Western Zhou period. Second, the internal approach relies on the analysis of bronze inscriptions from the caches in Zhouyuan. This leads to study various social aspects of the people in the region such as the lineage relations, the marriage system, the lawsuits, the inheritance, the land ownership, the official positions, and so on. The proposed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Except for the people of Zhou, groups of people formerly affiliated with Shang resided in Zhouyuan; 2) various marriage alliances supported the sovereignty of Zhouyuan and the Western Zhou state as well; 3) The Zhouyuan region was divided by various lineages and sub-lineages based on the lands they owned. 4) Several official titles such as scribes (shi 史) and three supervisors (sanyousi 三有司) indicate that the people with these titles assumed important positions in the central government, enjoying relatively higher social statu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propose that Zhouyuan was the home of many prime lineages in the Western Zhou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