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12년간의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양상의 변화

        하종 ( Jong Ha ),최순필 ( Soon Pil Choi ),이원현 ( Won Hyun Lee ),유승석 ( Seung Suk Yoo ),김현진 ( Hyun Jin Kim ),김태효 ( Tae Hyo Kim ),이옥재 ( Ok Jae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1

        목적: 화농성 간농양은 흔한 복강내 감염질환으로, 항생제 및 다양한 중재적 시술이 도입된 이후 임상양상에 많은 변화가 있어 왔다. 저자들은 최근 12년간 화농성 간농양으로 입원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의 임상양상의 변화를 알아보고, 합병증과 관련된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약 12년간 경상대학교 병원에 입원하여 화농성 간농양 진단하에 치료를 받은 157예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를 1기(1995년~2000년)와 2기(2001년~2006년 7월)로 구분하여 임상양상을 비교하였고, 합병증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또한 감염경로에 따라 담도계와 비담도계로 구분하여 임상양상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70대 이상의 고령이 1기에 비해 2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기 11.1%, 2기 25.9%, p=0.019). 성별분포, 임상증상 및 징후에 시기별 변화는 없었다. 12년간 담도계가 변함없이 가장 흔한 감염경로였으며(1기 52.8%, 2기 54.1%), 담도계 수술 및 처치가 중요한 원인인자였다. 특발성은 1기에서 41.7%, 2기에서 43.5%로 특발성군의 가장 흔한 기저질환은 공히 당뇨병이었다(1기 26.7%, 2기 27.0%). 비담도계군에 비하여 담도계군에서 환자의 고령, 농양의 재발, E. coli 감염 및 공기담도조영상이 많았다(p<0.05). K. pneumoniae가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으며(1기 29.6%, 2기 35.7%) E. coli는 1기보다 2기에 증가를 보였다(1기 10.6%, 2기 25.9%, p=0.045). 농양강의 평균크기는 1기에 비해서 2기에 감소하였다(1기 6.54±2.66cm, 2기 5.54±2.15cm, p=0.013). 1기, 2기 모두 경피적 배농술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고, 수술을 시행한 예는 1기, 2기에 각각 6.9%, 1.2%뿐이었다. 재발은 1기보다 2기에 증가하였다(1기 4.2%, 2기 12.9%, p=0.049). 12년간의 사망률은 0.6%로 1기, 2기에 각각 0%, 1.2%였다. 증상발현부터 입원까지의 경과일수(1기 8.3±5.8일, 2기 6.5±4.8일, p=0.044), 해열기간(1기 7.9±6.9일, 2기 5.7±5.0일, p=0.02), 재원기간(1기 25.8±9.9일, 2기 20.3±7.6일, p=0.0002)은 1기보다 2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체 합병증의 발생률은 36.3%로 시기별 변화는 없었다. 합병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SIRS) 인자 2개 이상, 혈소판 감소(≤80,000/mL), 저알부민혈증(≤3.0 g/dL), 고빌리루빈혈증(>2.0 mg/dL), AST 증가(>200 IU/L), ALT 증가(>200 IU/L), K. pneumoniae가 배양되는 경우, 농양강내 가스존재 등이었다. 결론: 화농성 간농양은 최근 고령의 노인환자가 증가하였으며 담도계가 가장 흔한 감염경로로 담도계 질환뿐만 아니라 내시경적 담도계 처치 및 외과적 수술을 포함한 담도계 시술이 화농성 간농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K. pneumoniae가 변함없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으며, E. coli도 최근 다시 증가를 보였다. 증상발현 후 병원방문이 최근 빨라졌고, 농양강의 크기, 해열기간, 재원기간도 짧아졌다. 따라서 담도계 처치 시 감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담도계 병력을 가진 고령자에서 화농성 간농양의 조기 발견 및 빠른 호전을 위해 관심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clinical features of pyogenic liver abscess have chan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and interv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nges in the clinical features of pyogenic liver abscess during the recent 12 year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57 cases with pyogenic liver abscesses that were treated at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July 2006. The period was divided to 1 (1995-2000; 72 cases) and 2 (2001-July 2006; 85 cases). Results: Prevalence of patients with an age over 70 increased significantly in period 2 compared to period 1 (p=0.019). The biliary tract was the most common portal of entry during the 12 years, and biliary procedures were the important causative factors. Compared to the non-biliary group, the biliary group was older and it had a higher frequency of recurrent abscess, Escherichia coli infection, and air-biliary gram (p<0.05). Klebsiell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and the frequency of E. coli was increased in period 2 compared to period 1 (p=0.045). Only 6.9% and 1.2% of the patients during period 1 and 2, respectively, were treated surgically. The overall mortality was 0.6% (0% vs. 1.2%, respectively). The interval from onset to admission, the size of the abscess cavity, the time to defervescence and the hospital stay were shorter in period 2 than in period 1 (p=0.044, p=0.013, p=0.02 and p=0.0002, respectively). Conclusions: Recently, pyogenic liver abscess affects the elderly, and biliary procedures are its important causative factor. E. coli is still a common pathogen in relation to the biliary portal of entry. The elderly patients with biliary problems need better medical attention to avoid the development of pyogenic liver abscess, and for making an early diagnosis and achieving a better outcome. (Korean J Med 74:37-50, 2008)

      • KCI등재

        속폐쇄근에 발생한 화농성 근염 -증례 보고

        김도영 ( Do Young Kim ),박승재 ( Seung Jae Park ),장준동 ( Jun Dong Chang ),남주석 ( Ju Suk Nam ),이상수 ( Sang Soo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4

        골격근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 근염은 범세계적으로 증가 추세 이며 특히 소아 및 젊은 성인 층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29세 남성에게서 발견된 속폐쇄근의 화농성 근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화농성 근염이 주로 하지의 근육에서 발생하기는 하지만 속폐쇄근에 국한되어 발생된 화농성 근염의 경우 진단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조영 증강 전산화 단층 촬영 검사를 통하여 진단할 수 있었으며 수술적 치료 없이 항생제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무엇보다도 화농성 고관절염과의 감별진단을 통한 빠른 진단이 중요하며, 화농성 근염의 임상 증상 및 치료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yomyositis is a primary bacterial infection of skeletal muscle and this is on the increase worldwide among children as well as young adults. We report herein on a case of a 29-year-old male with pyomyositis of the obturator internus. The fact that pyomyositis predominantly affects the muscles of the lower limb and it is confined to the obturator internus muscle has been poorly recognized. CT with an enhancement was an accurate imaging modality to image the obturator internus muscle and to ascertain the diagnosis for this case. The patient was managed with antibiotics and surgical intervention was not necessary. Pyomyositis of the obturator internus muscle needs to be differentiated from septic arthritis of the hip. The present study reports the clinical signs and treatments of pyomyostis and we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고령 환자에서의 화농성 척추염의 보존적 치료

        강동근,정순택,김동희,박형빈,문종욱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outcomes of conservative management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who were diagnosed with pyogenic spondylit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urgical treatment of pyogenic spondylitis can lead to complications in elderly patients in a poor general condition or with underlying disease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3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yogenic spondylitis and had a minimum of 12 months of follow-up. Age, sex, comorbidities, clinical symptoms, and the involved segm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diagnosis was assessed using clin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 findings. Antibiotic therapy was either specific (if positive culture results were found) or broad-spectrum cephalosporin (when the pathogenic agent was not isolated).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residual pain and neurologic deficits. Results: The mean onset time was 23.5 days (range, 3-90 days). The mean period of intravenous antibiotic therapy was 36.3 days (range, 10-90 days). All cases underwent conservative management, and 4 patients with progressive neurologic deficits due to epidural abscess underwent posterior laminectomy and abscess drainage. In all cases, the infection was successfully treated, although 12 cases reported residual lower back pain and 2 continued to exhibit minor neurologic deficits. Conclusions: In elderly patients with pyogenic spondylitis,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using antibiotics and orthosis after an early diagnosis, unless progressive neurologic symptom instability or spine deformities were noted.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발생한 화농성 척추염의 보존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고령의 화농성 척추염 환자들은 전신 상태 불량, 동반 질환의 이환이 많아 수술 후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화농성 척추염으로 진단된 후 보존적으로 치료 받고 적어도 12개월 이상 추시된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및 성별, 기저 질환, 감염의 이환 부위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진단은 임상적 증상, 혈액학적 검사, 단순 방사선 및 자기 공명 영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치료는 경험적으로 세팔로스포린을 사용하였으며, 균 동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감수성이 있는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증상 발생 후 진단까지의 기간은 23.5(3-90)일이었다. 정맥항생제의 투여기간은 36.3(10-90)일이었다. 항생제와 보조기를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모든 예에서 완치되었으며, 경막외 농양으로 진행하는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4예에서는 후방 추궁 제거 및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기간동안 재발은 없었으며, 가장 흔한 잔여 증상은 12예에서 만성 요통이었고 2예에서 부분적인 신경증상을 보였다. 결론: 65세 이상의 고령의 화농성 척추염 환자에서 진행하는 신경학적 증상이 없고 척추의 변형과 불안정성이 없는 경우 빠른 진단을 통해 항생제 사용및 보조기를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었을 수 있었다. 색인 단어: 척추, 화농성 척추염, 고령, 보존적 치료약칭 제목: 화농성 척추염의 보존적 치료

      • KCI등재후보

        결핵성 척추염과 화농성 척추염의 감별 진단

        구기형,이혁진,염진섭,박건우,이춘기,장봉순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2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make the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MRI findings.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Making an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is essential to start prompt and proper treatment. However, the clinical symptoms and MRI findings of both these illnesses can vary considerably. Material and Method: Ninety-five patients (49 men and 46 women, mean age: 54.5) who were treated 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07 and whose diagnosis was confirmed by laboratory or pathological studi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50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and 45 patients with primary pyogenic spondylitis were included. The patients with combined infection or an uncertain diagnosis were excluded. We compared the medical records and MRI findings between the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Results: The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were younger (48.2 years vs. 61.5 years, respectively) and they had a longer symptom duration (4.3 months vs 1.8 months, respectively).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the C-reactive protein (CRP)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pyogenic spondylitis (71.3/49.6 mm/hr and5.74/2.98 mg/dl, respectively). A high fever above 38 degree was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pyogenic spondylitis. Intraosseous abscess, epidural abscess, a well-definded paraspinal abscess, focal enhancement and severe destruction of the vertebral body on MRI were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Four parameters such as a symptom duration longer than 3 months, no fever higher than 38 degree, a well-defined paravertebral abscess and an intraosseous abscess were selected. 42 patients in the tuberculous group had 3 or more of these four parameter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se combined 4 parameters were 84% and 97.8%, respectively, for mak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hese 2 maladies. Conclusion: These diagnostic criteria might be useful to discriminate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even without definite laboratory or pathological results.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결핵성 척추염과 화농성 척추염의 감별은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하나 임상 경과 및 방사선학적 소견이 다양하여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임상 소견 및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이들을 감별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감염성 척추염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고 술 중 균배양 및 조직학 적 검사로 확진된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49명, 여자가 46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4.5(14~86)세이었다. 각 군에서 성별, 나이, 침범 추체수, 증상 발현 기간, 술전 임상 병리 검사 결과, 동통, 발열, 신경학적 증상 등의 임상 양상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결핵성 척추염이 50례, 화농성 척추염이 45례이었다. 결핵성 척추염에서 평균 연령이 48.2세로 화농성 척추염 의 61.5세에 비하여 조기에 발병하였으며, 평균 발병 기간은 4.3개월로 화농성 척추염의 1.8개월에 비하여 길었고, C 반응성 단백(CRP), 적혈구 침강 속도(ESR)는 화농성 척추염에서 5.74 mm/hr, 71.3 mg/이으로 결핵성 척추염의 2.98 mm/hr, 49.6 mg/이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38도 이상의 고열도 화농성 척추염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서 추체내 농양, 경막 주위 농양, 경계가 분명한 추체 주위 농양, 추체의 심한 파괴는 결핵성 척추염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조영 증강시 부분적이고 다양한 조영 증강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3개월 이상의 이환 기 간, 38도 이상의 발열이 없는 경우의 임상 소견과 경계가 분명한 척추 주위 농양, 추체내 농양과 같은 방사선학적 소 견을 종합하여 이러한 4가지 항목 중 3가지 이상을 만족시키는 경우가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된 50례 중 42례이었 고 진단의 민감도는 84%이었고, 특이도는 97.8%이었다. 결론: 이러한 진단 기준은 배양 검사나 조직학적 검사가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 진단에 유용하 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화농성 요추부 척추 감염의 수술적 치료: 동시에 시행한 후방 소파술과 추체간 유합 및 기기 고정술

        나화엽,이영상,최준철,김우성,송우석,노현민,김세준,김완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1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outcomes of surgical treatment for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Objectives: To report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using a one stage posterior approach.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through a one stage posterior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1999 and June 2005,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12 patients with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treated by simultaneous posterior debridement, autogenous iliac bone graft and pedicle screw fixation.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pain level, neurological status,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radiology findings. Results: The clinical symptoms improved in all cases after surgery. There was no case of the infection recurring. The mean time for postoperative antibiotics and hospitalization was 6 weeks and 41.6 days, respectively. Radiological bony fusion was observed at 5.5 months on average. The mean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nd final follow-up sagittal angles were 4.6, 8.6 and 6.9º . Conclusion: One stage posterior interbody fusion and instrume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can provide radical debridement, bone graft and immediate stability without prohibiting the control of infection. Therefore, it can be used in selected cases. 연구계획: 수술적으로 치료한 화농성 요추부 척추 감염 환자 중 후방 도달법으로 동시에 후방 소파술, 추체간 유합술 및 기기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 지금까지 화농성 척추 감염의 수술적 치료는 철저한 병소 제거가 용이한 전방 도달법을 선호하고 금속 기기의 사용을 꺼려하였다. 그러나, 저자들은 후방 도달법 만으로 병소를 제거하고 골 이식술과 금속 기기 고정술을 동시에 시행함으로서, 수술에 따르는 위험도를 줄이고 요추부전만을 회복하며, 조기 보행을 가능하게 하였는 바, 이러한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요추부 화농성 척추 감염에 대하여 후방 도달법으로 병소 제거 및 자가골 이식술과 후방 기기 고정술을 동시에 시행한 12례(남자5례, 여자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4.5세(47세-74세) 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1년(1년-5년)이었다. 수술 전후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인 골 유합과 시상각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전례에서 임상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감염이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수술 후 항생제 사용기간은 평균 6.5주 이었으며, 수술 후 입원 기간은 평균 41.6일 이었다. 방사선상 골 유합이 관찰된 시기는 평균 5.5개월 이었다. 이환부의 시상각 교정은 술 전 평균4.6도 전만각에서 술 후 평균 8.6도, 최종 추시에서 평균 6.9도 전만각을 보였다. 결론: 요추부의 화농성 감염의 수술적 치료시 후방 도달법만으로 척추체 전방 농양, 추체 및 추간판의 병소를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추체간 골 이식 및 기기 고정술을 시행하여 수술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조기 보행이 가능하고, 감염의 재발 없이 양호한 골 유합과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바, 이는 요추부 화농성 척추 감염환자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화농성 척추염에 대한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결과의 비교

        홍창화(Chang-Hwa Hong),이상우(Sangwoo Lee),김우종(Woo-Jong Kim),소재완(Jaewan S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목적: 최근에 항생제 발전과 더불어 화농성 척추염에 관하여 내과적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저자들은 화농성 척추염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의 각각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고자 였하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화농성 척추염 진단하에 입원 치료를 받은 60명(남자 28명, 여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 대하여 수술 시행 여부, 수술 방법, 영상의학적 검사 결과, 이환 부위에 따른 재원 기간, 정맥 항생제 사용 기간, 혈액 검사상 정상화에 소요되는 기간과 추시 과정에서 잔여 증상의 유무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관련성은 독립표본 t 검정과 Mann-Whitney U-검정, Pearson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pearman 상관계수를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비교에 있어서는 재원 기간과 정맥 항생제 사용 기간, 혈액 검사상 정상화에 소요되는 기간, 잔여 증상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화농성 척추염에 있어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 치료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반응이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ith advancements in antibiotics, the ability to treat pyogenic spondylitis is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outcomes between conservative and operative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28 males and 32 females) with pyogenic spondylitis, who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between February 2008 and June 2016,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ype of treatment – conservative or operative treatment, method of surgery, radiographic parameters, location of the affected spine. Clinical parameters as durations of hospital stay, intravenous antibiotics use, normalization in laboratory findings, and residual symptoms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independent-sample t-test, Mann-Whitney U-test, Pearson’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intravenous antibiotics use, normalization in laboratory findings, and residual symptoms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operative treatment groups. Conclusion: In treating pyogenic spondylitis,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choice, and operative treatment can be chosen in refractory cases.

      • 포스터 발표 : 간 ; Klebsiella pneumoniae가 간농양에서 차지하는 임상적 의의

        이은주 ( Eun Ju Lee ),김봉준 ( Bong Jun Kim ),장병익 ( Beyong Ik Jang ),김태년 ( Tae Nyeun Kim ),정문관 ( Moon Kwan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기원전부터 알려진 간농양은 크게 아메바성 농양과 화농성 농양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화농성 간농양은 담도계를 통한 감염이 가장 흔한 감염로이고, E.coli가 가장 흔한 원인 균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Klebsiella pneumoniae가 주요한 원인 균주로 떠오름에 따라 화농성 간농양은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K. pneumoniae에 의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화농성 간농양으로 최

      • KCI등재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의 살모넬라균에 의한 화농성 근염

        윤형구(Hyung Ku Yoon),조덕연(Duck Yun Cho),한수홍(Soo Hong Han),김재화(Jae Hwa Kim),김정열(Jung Ryul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화농성 근염은 횡문 골격근의 세균 감염을 말하며 원인균의 대부분은 포도상 구균이다. 살모넬라균에 의한 화농성 근염은 전체 화농성 근염의 1% 미만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다른 원인균에 의한 회농성 근염에 비해 기존 질환 동반이 있는 경우, 면역력이 결핍된 경우, 소아 및 고령에서 발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예후는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살모넬라균에 의한 서혜부의 화농성 근염을 경험하였기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Pyomyositis is a bacterial infection of the skeletal muscle with Staphylococcus aureus being the most common pathogen. Pyomyositis by salmonella is quite rare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the total pyomyositis, and has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a poor prognosis compared with those of the typical pyomyositis caused by other bacteria. Among these differences, an older age, other combined diseases, and an immune deficient condition are factors predisposing a patient to pyomyositis by salmonella. We experienced a very rare case of pyomyositis by salmonella at the inguinal area in a multiple myeloma patient.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ed in South Korea.

      • KCI등재

        원발과 담관 화농간농양의 임상 특성 비교

        최혜영 ( Hye Young Choi ),천갑진 ( Gab Jin Cheon ),김영돈 ( Young Don Kim ),한군희 ( Koon Hee Han ),김광석 ( Kwang Seok Kim ),나병규 ( Byung Kyu Nah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4

        목적: 원발과 담도관 화농간농양의 임상 양상을 확인하여 두 군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에서 2004년까지 5년간 병원에서 화농간농양으로 치료받은 119명의 환자를, 82예의 원발과 21예의 담관 화농간농양의 두 군으로 나누어 증상, 신체검사 소견, 검사실 소견, 세균 검사, 동반 질환, 농양 특징, 치료 방법과 치료 성적, 합병증과 예후를 후향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 간의 임상 증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농양의 특성에서는 크기 외에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담관군에서 원발군에 비해 농양의 직경이 5 cm 미만인 경우가 더 많았다 (48% vs. 16%, p=0.004). 원발군보다 담관군의 농양 배양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100% vs. 69%, p=0.006), 특히 E. coli는 농양(28% vs. 75%, p=0.014)과 혈액 배양(23% vs. 4%, p=0.035) 모두에서 담관군에서의 양성률이 높았다. 양 군 간의 사망률 차이는 없었으나, 합병증과 재발을 동반하지 않은 임상 호전율은 담관군에 비해 원발군에서 높았다(92.7%vs. 66.7%, p=0.001). 결론: 원발과 담관 화농간농양군을 비교해 볼 때, 양 군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임상 특성을 나타내나, 담관군이 원발군에 비해 크기가 작았고, 높은 농양 배양 양성률을 보였으며, 합병증과 재발을 동반하지 않은 임상 호전율이 낮게 나타났다. Back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ryptogenic and biliary pyogenic liver abscess by comparing the clinical aspect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Of 119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2000 to 2004, 82 subjects with cryptogenic liver abscess and 21 with biliary absces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clinical symptoms. The characteristics of abscess were similar except the size of abscess. The size of abscess less than 5 cm in diameter was more common in billiary group than in cryptogenic group (p=0.004). Compare to cryptogenic group, biliary group had more positive culture test from abscess (100% vs. 69%, p=0.006). Especially, E. coli isolated from abscess culture (28% vs. 7%, p=0.014) and blood culcure (23% vs. 4%, p=0.035) were more common in biliary group than in cryptogenic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the two groups (biliary vs. cryptogenic: 4.8% vs. 0%, p=0.204). However, the rate of clinical improvement was higher in cryptogenic group than in biliary group (92.7% vs. 66.7%, p=0.001). Conclusions: Biliary liver abscess had similar clinical characteristics to cryptogenic origin. Biliary liver abscess had smaller abscess size and more positive abscess culture rates than cryptogenic abscess. Improvement rate without complication and recurrence was higher in cryptogenic group than biliary group.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238-24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