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儒敎)의 자아(自我)와 수양(修養)

        崔一凡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8 No.-

        본 논문의 목표는, 유교의 자아 개념의 철학적 의미를 수양(修養)의 기제(機制)와 연결해서 진술함으로써 오늘날 양자택일의 문제로 인식되는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서 그것을 현대의 생태철학적 의미로 재해석하는데 있다. 유교가 지향하는 바는 개인과 공동체 간의 유기적 관계로서, 이는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사이에서 갈등하는 현대인들의 이분법적 사고에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간극을 극복하는 유교적 기제는 바로 수양(修養)이라는 유교의 독특한 자기완성(self-realization)의 길이다. 또한 오늘날 생태철학에서 새롭게 정립한 자연과 인간의 관계는, 유교가 일찍이 시도한 자아수양의 궁극적 경지인 천인합일(天人合一), 곧 인간우주동형동성(人間宇宙同形同性, anthropocosmic)의 철학적 의미와 소통할 수 있다. 즉 유교는 자아수양을 통해, 서구 계몽주의 정신의 특징인 세속적 휴머니즘, 곧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고 주장하는 배타적 휴머니즘을 극복하고 진정으로 자아와 공동체 사이의 소통, 인류와 자연의 조화, 인간과 하늘의 상호성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這篇文章的目標爲陳述儒敎自我槪念的哲學意義和修養的關聯性, 以解決個人主義和共同體主義的兩者擇一問題, 進而用現代的生態哲學的觀點把它的現代意義再闡釋. 儒敎志向個人與共同體間的有機的關係. 而這個觀點爲現代人給解決二分法思考的新方法. 爲了克服個人主義與共同體主義的間隙, 儒敎具有特色的自己完成(self-realization)的 修養方法. 儒敎的自我修養的窮極境界是天人合一, 而今日生態哲學定立的自然和人間的關係是與儒敎天人合一思想相通的.所以儒敎含有人間宇宙同形同性,(anthropocosmic)的哲學意義, 而且通過自我修養的實踐, 克服西歐啓蒙主義的世俗人間主義. 然後儒敎發見眞正的自我與共同體間的疏通, 人類與自然的調和, 人間與天道的相互性.

      • KCI등재

        자아분열의 철학과 자아통합의 철학 ‐ 라캉과 정제두를 중심으로

        양선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2024 공존의 인간학 Vol.0 No.12

        인간은 몸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욕망의 존재이다. 인간은 몸에서기인한 육체적 욕망뿐만 아니라 사회에 적응하는 사회화와 사회적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욕망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인간 욕망의 기원은 인간의 몸에서 기원하는 부분도 있지만 대부분 사회에서 형성된 욕망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지닌 욕망의 본질이 무엇이며어떻게 탄생하고 해소될 수 있는지를 동양의 철학자인 정제두와 서양의 욕망 이론가인 라캉의 관점을 고찰하고, 인간의 욕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라캉의 관점과 정제두의 관점을 비교하면서 성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라캉에 의하면, 인간의 욕망은 사회적 산물이며 사회적 산물인 욕망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인간 욕망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즉 그는 인간의 욕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참된 자아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라캉은 인간이 사회성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언어를 학습하면서 사회적 욕망을제어하라고 요청지만, 언어를 학습하면서 인간은 언어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욕망이 습득되며 인간이 언어를 학습하는 가운데인간의 고유한 존재의 본질적 모습을 상실하게 된다. 조선의 유학자 인 정제두에 따르면, 유학의 인간관은 인간의 몸(형기)에서 기원한 육체적 욕구와 사회적 삶에서 기원한 욕망을 제어하고 통제하기 위해서자아통합적인 수양 방법을 제시한다. 수양이란 대다수 인간이 지닌육체성에서 비롯된 욕구와 사회적 삶 가운데 형성된 욕망에 지배를받는 소인의 삶의 태도에서 벗어나서 군자의 자세로 전환하라는 명령이자 요청이다. 이러한 진행을 위해서 라캉은 언어적 방법을 강조하지만 라캉의 언어적 방법은 인간의 존재와 언어의 불일치 때문에 자아의 분열을 초래하지만, 정제두의 수양론은 결코 쉬운 방법은 아니지만 자아를 분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몸에서 기인한 욕망적 자아에서몸에서 기인한 자아를 제거하고 순수한 본래적 자아로 인도하는 자아통합의 방법이다. Since humans have a body, they are beings of desire. Humans have social desir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socialization and social language that is needed to adapt to society as well as physical desires arising from the body. This is because the origin of human desire is mostly social-formed desires, although there are parts that originate from the human body. I would like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what the nature of human desire is and how it can be born and resolved by examining the perspectives of Jeong Jae-du, an Eastern philosopher, and Lacan, a Western desire theorist, and comparing the perspective of Lacan, a philosopher, to solve the problem of human desire with the perspective of Jeong Jae-du, a Confucian scholar of Joseon. According to Lacan, human desire is a social product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human desire in order to guide desire, which is a social product, on the right path.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move human desire, h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ursuing the true self of human. Lacan is asked to control social desire while learning language while human beings learn social language in the process of learning sociality, but as humans learn language, humans learn not only language, but also social desire, and as humans learn language, they lose their essential form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Jeong Jae-du, a Confucian scholar of Joseon, the human view of Confucianism suggests a method of self-integrated cultivation to restrain and control physical needs originating from the human body and desires originating from social life. Cultivation is an order and request to switch to a gentleman’s attitude, away from the attitudes of small people's lives that are dominated by desires arising from the physicality of most human beings and desires formed in social life. Lacan emphasizes linguistic methods for this progression, but Lacan's linguistic methods lead to self-division because of the discrepancy between human existence and language, but Jeong Jae-du's cultivation theory is not an easy way to divide the self, but rather a method of self-integration that removes the body-derived self from the body-derived desire self and leads to the pure original self.

      • KCI등재

        퇴계의 수양학(修養學)

        김기현 ( Ki Hyun Kim ) 퇴계학연구원 2011 退溪學報 Vol.129 No.-

        퇴계는 인간이 도덕성을 천부적으로 타고났다고 믿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의 실현을 낙관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도덕적 실존의 불안과 인간의 가변성에 대한 자각을 깊이 갖고 있었다. 그의 수양학은 이러한 인식 위에서 진행된 사람됨의 공부였다. 그러므로 그것은 그의 사람됨의 크기를 보여주는 지표가 될 것이다. 수양의 정신은 물론 퇴계에게 고유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유가 공통의 것이었다. 유학의 시초로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는 그것을 공자가 자아의 닦음을 강조하고, 또 맹자가 도덕심의 기름을 주장한 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모두 인간의 본래적 자아를 회복하려는 데에 목표를 둔다. 닦음과 기름의 정신은 존재 개방의 노력이기도 하다. 원래 사람은 자신의 존재를 넓힐 수도 있고 좁힐 수도 있다. 존재의 결정권은 물론 개개인에게 달려 있다. 말하자면 사람은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어간다. 닦음과 기름의 정신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끊임없이 개방하여 남들은 물론, 만물까지 아우르려는 것이었다. 퇴계의 수양학에 담긴 존재론적인 의의가 여기에서 드러난다. 퇴계는 자아의 닦음과 기름을 마음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마음이야말로 세계의 입법자요 삶의 출발점이라는 사실을 그는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가 기르고자 했던 것은 일상의 도덕적 품성만이 아니었다. 그는 궁극적으로 마음을 하늘 땅 만큼이나 광대하게 가지려 하였다. 그는 이를 위해 무욕을 추구하고 감정과 사려의 오염을 제거하며, 더 나아가 내면 깊은 곳의 맑은 순수의식을 현전시키려 하였다. 퇴계는 또한 도덕의 수행을 통해서 자아를 기르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그는 사랑과 의로움, 예, 지혜의 덕으로 자아를 길러나갔다. 그는 사랑으로 사람들과, 더 나아가 만물을 자신의 존재 안에 아우르고 보살피려 하였다. 또한 그는 의로움으로 삶을 완성하고, 예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진리에 따른 삶을 살고자 하였다. 퇴계의 수양학은 궁극적으로 우주적 생명정신을 자기 안에 길러 만물을 아우르면서 그들의 생성을 돕고 그들과 더불어 조화롭게 사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의 우주적 생명정신은 자타의 분단과 격절을 거부하고 물아일체 의식 속에서 만물과 생명을 교감 상통하고 서로 어우러지는 화해와 공생의 삶을 이상으로 추구하였다. Although Toegye believed human beings are born with morality, he was not optimisic about its realization. Rather, he was deeply recognizing the uncertainty of moral existence and the variable nature of human being. His study of self-cultivation was o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Therefore, it would be the indicator of his personality. Of course the spirit of self-cultivation is not native to Toegye. It has been a common feature of Confucianism. We can see it from the fact that Confucius stressed self-cultivation and Mencius underlined to foster morality in the origin of Confucianism. The objective of these are to recover human moral nature. The spirit of self-cultivation is another mean of an endeavor to open human existence. A human being can widen or narrow its existence. The decision of existence depends on the individual. That is, a man becomes what he intends to be. In this sense, the spirit of self-cultivation intends to embrace all creatures by opening one`s existence. This shows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Toegye`s study of self-cultivation. Toegye first started self-cultivation from his mind. He was well aware of the fact that the mind is universal lawmaker, as well as the starting point of one`s life. It was not only the daily moral nature that he intended to cultivate. He ultimately tried to have his mind as extensive as the heaven-earth. He, therefore, tried to pursue unavariciousness, remove the contamination of emotion and thought. Moreover, he attempt to make the pure consciousness appear. Toegye also tried to cultivate self by moral discipline. For instance, he cultivate self by love, righteousness, courtesy and wisdom. He attempted to embrace the universe as well as other people by love. Furthermore, Toegye tried to complete the life by righteousness, keep human dignity by courtesy and live with the truth. Toegye`s study of self-cultivation finally pursued harmonized life with the universe by cultivating the universal life spirit. His life spirit denied the separation of subject and object, seeked life of reconciliation and commensalism in the sense of mutual sympathy among all creatures.

      • KCI등재

        生態學的 觀點에서 본 東洋思想의 人間觀

        최일범(崔一凡)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7

        이 논문의 목표는 동양사상의 전통적 인간관을 현대 철학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동양사상 중에서 먼저 인간과 자연의 상응(相應), 일체(一體)를 주장하는 생태적 의미가 내포된 인간관으로서, 중국 한대(漢代)의 기일원론(氣一元論)에 근거한 천인상응(天人相應)의 인간관으로부터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인(仁)사상에 근거한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인간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불교와 노자의 사상에서도 역시 인간의 내면적 성찰을 통한 만물일체의 인간관을 발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동양사상의 만물일체론은 단순히 인간과 만물의 동등하고 평등한 생명 가치를 확인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인간의 자연에 대한 주체성을 분명히 한다. 곧 인간의 주체적 자아수양을 통해 자연만물의 가치를 온전히 실현할 책임이 인간에게 부여되어 있음을 명백히 제시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동양사상의 주체적이고 자아수양적 인간관은 현대 생태철학에서 논란이 되는 인간의 위상에 대해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명 조식의 선비정신과 작가의식

        류해춘(Ryoo, Hae-Choon)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3

        남명 조식(1501-1572)은 16세기 산림의 처사(處士)로서 선비정신의 모범을 보인 대표적인 인물로 존경받고 있다. 조선시대 선비는 유학의 실천을 본업으로 하면서 지성과 인격을 갖춘 지식인을 의미한다. 이 글은 도학(道學)의 선비정신으로 무장하여 평생을 유생(儒生)과 유일(遺逸)을 거쳐 유현 (儒賢)으로서 치열하게 살아간 남명 조식과 그의 문학세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남명의 일생은 첫째, 도학(道學)의 선비인 유생(儒生)으로서의 시기(1세-37세), 둘째 염퇴(恬退)의 선비인 유일(遺逸)로서의 시기(38세-60세), 셋째 산림의 처사(處士)인 유현(儒賢)으로서의 시기(61세-72세) 등의 세 시기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시각은 기존의 연구에서 놓친 남명의 자기완성을 위한 학문경향과 선비정신의 성장과 변화 그리고 작가의식의 양상을 선명하게 설명하여 줄 것이다. 남명의 문학세계는 재도지기(載道之氣)의 문학관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문학이 뜻을 전하기만 하면 되는 문장이라고 단정하지는 않았고, 심성을 기르는 중요한 구실을 하는 도구라고도 보았으며, 다른 선비들처럼 문학이 사람을 그르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시로 인해 사람이 스스로 그릇된다는 시각을 지니고 있었다. 남명이 유학자로서 추구했던 일생은 문학작품 속에서 1)자아성찰과 심성수양, 2)현자피세와 출처의식, 3)현실비판과 애민정신 등의 작가의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남명은 재야의 정치인으로 산수자연에서 민본정치인 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어려운 현실정치에 간접적으로 참여하여 애민정치를 이루고자 하였다. 남명의 문학에 나타난 이러한 작가의식은 도학의 인격을 갖춘 선비정신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NamMyeong(1501 - 1572) was highly respected as a pries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he was highly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howed a good example of the spirit of pre-eminence because of his high level of scholarship and virtue. Sunbi refers to intellectuals who have intellect and personality while taking the practice of studying as their main business in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literary world of Nammyeong who lived as YuHyun(유현) after his life through Confucianism and Nobility, accepted with the spirit of preaching. The life of Nammyeong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age as the confucianism of the Dohak (from 1 to 37 years), the uniqueness of the confucianism (from 38 to 60 old), and as an intellectual of the confucianism(61 to 72 years old). Nammyeong did not think that literature was the only sentence to convey the meaning, especially to him that literature was a more important excuse for cultivating the mind, and it was not like the other poetry, there was. The life that Nammyeong pursued as Confucian scholarship is realized in literary works by 1) self-reflection(자아성찰) and cultivation of mind(심성수양), 2) escape of nature(피세현자) and source consciousness(출처의식), and 3)as criticism of reality(현실비판) and exorcism(애민정신). This chapter discusses these topics. The world of literature created by Nammyeong focuses a lot on revealing the author "s philosophy of philosophy to literature. These meteorological and philosophical thoughts in the literature of NamMyeong reflect well the character of Sunbi(선비) who has the character of the doctrine. NamMyeong had a spirit of pre - eminence to participate in real politics in order to realize a virtuous politician.

      • 『순언(醇言)』의 본체논(本體論)과 자아수양공부논(自我修養工夫論) 연구(硏究)

        윤금자 ( Geum Ja Yu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15 청소년과 효문화 Vol.26 No.-

        The system of 『Suneon』consists of theory of Substance and theory of Cultivation and theory of Governing. Through rSunconJ ,Yulgok tried to harmonize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and that of Lao-tzu. Yulgok made a point that in the joint point of Lao-tzu``s philosophy and Confucianism there were mattcr of Self-Cultivation and care for others. The paper focuses on ``the theory of Substance`` and ``the theory of Cultivation`` I would like to study how the matters of !.ao-``lU and the points of Yulgok harmonize with through matters of Self-Cultivation among the subjects of Lao-tw. In rSunconJ ,Tao GfD and Self-Cultivationl of Lao-tzu has great worth in construCting post-modern life and civilization. The first is ro make dear the meaning ofTao. The second is to study the Stn.rCtUTC of the body and the mind, which is the philosophical basis of Self-Cultivation, assumes the StnlCture of monism, ``Ine third is (0 study of Lao-tzu``S logics that the Ixxly and the mind should be cultivated at the same time and the fact that Yulgok received th(;se in his Confucianism. I..ao-tzu thinks the radical causes of human being``s problem arc the greed and the discrimination knowledge. The g reed and the discrimination knowledge bring forth the artificiality and fabrication. Lao-tw insisted that the anificiality and fabrication bring forth a lot of pains (0 the human mind. For t``SSCntial method of eliminating personal greed and discrimination knowkdge, Laozi (````lTIphasizcd that XuJingXim(虛靜心) and Wu-Wci(無爲). Wu-Wei is the highest state of mind that we arc able to attain through the cultivation. Lao-tzu and Yulgok conceived that mature human is someone who keeps the Tac(viture) as it is and who is the fully functioning person. And humans achieve the perfection of Self through Self-Cultivation, they come to wallk on the way of Saints. For Lao-tzu and Yulgok, a saint in understood as a ethical person who has perceived the truth of being a man united with the true na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옥동(玉洞) 이숙(李숙)의 사회시(社會詩)를 통해 본 조선조(朝鮮朝) 도학자(道學者) 사회시(社會詩)의 一 양상(樣相)

        ( Jea Hwuan Yoon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이 글은 玉洞 李숙의 社會詩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글이다. 社會詩를 “작가의 비판정신이 작품 창작의 기저를 이루고 있으며, 예술에 대한 관심보다는 사회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개인적인 생활 · 체험 · 희노애락의 감정보다는 개인과 상대적인 개념인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시적 반영의 대상으로 한 시”로 정의하였을 때 옥동의 사회시는 그의 시문학 세계 안에서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옥동의 시문학 작품 전체 741題 1,302首 중 9題 13首의 시 만을 사회시로 간주할 수 있다. 옥동의 사회시 13首는 크게 두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경향은 인간에 의해 이루어진 현실의 부조리를 비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 사회를 掩襲하는 자연 재해에 의한 삶의 疾苦를 토로하는 것이다. 두 경향의 시 모두 인간의 삶, 특히 가난하고 힘없는 민중의 삶을 위태롭게 하는 요소들에 대한 시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사회시의 영역 안에 다루기에 충분하지만, 두 경향의 시들은 본질적인 차이를 지닌다. 첫 번째 경향의 시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사회 현상이라는 점에서 그와 같은 행위를 하는 인간을 교화함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것이지만, 두 번째 경향의 시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은 자연 재해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를 통해 극복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따라서 옥동은 첫 번째 경향의 시에서와 달리 두 번째 경향의 시에서는 비판보다 현실적인 삶의 疾苦를 묘사하여 탄식하고 안타까워하는 정서를 시 속에 표출하는데 주목하였다고 보인다. 이와 같은 옥동의 사회시는 시적 형상화의 방법에서도 특징적인 모습을 보인다. 옥동 사회시의 특징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화 방법은 대체로 다음 세 가지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은 상호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 반대로 유기적인 결합 과정을 거쳐 옥동의 사회시를 만들어 내고 있다. 옥동 사회시의 첫 번째 특징으로는 諷刺와 寓意를 배격한 직설적 묘사, 두 번째 특징으로는 구체적 비판 대상의 排除, 세 번째 특징으로는 절제된 詩語와 제어된 감정 표출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도덕적 수양을 강조하고 도덕적으로 완성된 사회가 이상적인 사회라고 생각한 옥동의 의식을 반영하기에 가장 적절한 기법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만큼 옥동의 비판 의식이 현실과는 멀어진다는 문제를 지니고, 사회시의 사회성과 비판성을 약화시킨다는 문제를 지닌다. 도학자로 자처하고 세상의 현실과 일정한 거리를 두었던 옥동이 얼마 되지 않는 양이기는 하지만, 사회시를 창작했었던 것은 그가 세상에 대해 느끼고 있었던 책임의식의 결과라고 생각된다. 스스로를 세상을 교화해야 할 책임이 있는 학자라고 생각했던 옥동은 세상의 부조리, 현실의 질고에 대해 눈감을 수 없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수양 의식을 훼손할 수도 없었다. 따라서 옥동은 자신이 인지하고 용인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최대한의 비판의식을 토로하여 사회시를 창작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옥동의 사회시는 사회시 일반에서 볼 때 비판의식의 약화와 사회개혁 의지의 부족함이 문제될 수 있겠지만, 도덕적 이상사회의 현실적 구현을 추구했던 조선조 도학자 사회시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다. This writing is objected to analyze Okdong Lee Seo`s social poem. If social poem is defined as social poem has writer`s mind of criticism in the base, and has more interesting of society than art itself, and express critical recognition of society than personal feeling about life, experience and emotion, Okdong`s social poem takes small part in his literature world. Only 13 poems with 9 different titles out of Okdong`s total writing 1,302 poems with 741 different titles can be considered of social poems. Okdong`s 13 social poems can b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The first one is the criticism of irrationality made by people, and the other is express people`s suffering by hardship from natural disaster. Both parts expressed people`s life especially the poetic response to against the factors risking the life of the poor public, but two different type`s poems has essential differences. The object of criticism from the first type`s poem was an artificial social phenomenon and education to overcome people`s misbehavior, but the second type of poem objected natural disaster can`t be overcame. So the second type`s poem is more focused to express more the feeling of sadness caused by people`s suffering from their life than criticism. And Okdong`s social poem has distinctive part in poetic imagery way. Poetic imagery ways in Okdong`s social poem has three different parts. Even these three different parts is considered as inter-contradiction, but they made Okdong`s social poem through the process of closed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s. The first characteristic from Okdong`s social poem is direct expression without any satire, the second one is excluding the detailed object of criticism, and the last one is expression of well controlled poetic words and feeling. All these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proper way to express Okdong`s mind that emphasis of moral cultivating and completed society in morally can be the most ideal society, but this idea has much more gab from the real and weakness of social criticism in his social poem. Okdong belived himself as moralist and stayed away from the real life, but he wrote small number of social poem because he might have feeling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real life. Okdong believed that he was a scholar and teacher who had the responsibility to educate people so he couldn`t ignore irrationality of the world. But Okdong couldn`t damage his cultivated mind so he might write social poem to express his criticism within his recognized and allowed limitation. In this point, Okdong`s social poem can be considered that it has weakness in criticism and a little less willing of social reformation, but it can be the typical social poem by moralist who pursuing ideal society in moral.

      • KCI등재

        이광수의 감정론

        김행숙 상허학회 2011 상허학보 Vol.33 No.-

        실제적인 정치적 가능성이 봉쇄된 식민지 현실에서 이광수의 계몽적 기획은 ‘감정론’의 양상을 보인다. 감정 양식의 변환을 주장한다는 것이 새로운 자아정체성이나 미학을 요청하는 것이면서 나아가 사회적인 관습과 제도를 문제 삼는 방식일 수 있다는 것을 이광수의 텍스트는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이광수의 계몽담론이 제출한 세 가지 핵심과제에 있어서, 즉 1)새로운 ‘주체성’을 모색하고, 2)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인간관계의 ‘친밀성’을 재구축하고, 3)근대문학의 ‘문학성’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감정론’의 위상과 의미와 효과를 살폈다. 이광수는 감정의 ‘해방/규율화’에서 자아의 ‘해방/규율화’를 찾았다. 그가 상상한 감정의 주체에게는 ‘해방과 규율화’라는 모순적인 이중의 요구가 비약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광수에게 감정은 가족, 연인, 친구 등의 ‘작은 공동체’뿐만 아니라 식민지 현실에서 그 실체가 모호한 ‘국가공동체’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사유하는 데 있어서도 본질적인 요소였다. 그는 감정의 재배치에서 공동체의 구조변동을 구상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광수는 ‘감정’을 매개로 ‘근대문학’의 ‘문명론’적 차원과 ‘미적 자율성’의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에게 미적 자율성의 문제는 이를 제한하는 인격과 수양이라는 도덕적인 문제를 접합한다. 감정교육과 문학교육은 이광수의 계몽담론에서 결정적인 위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Enlightenment conception of Lee, Kwang-Soo can be called as Emotion Project. Lee has insisted that structure of ‘Emotion’ has to be newly made to achieve modernity. He asserted new ‘Identity’, re-constructed ‘friendliness’ of human relationship, and sought ‘literary Value’. Text of Lee, Kwang-Soo enables us to think about basic meaning and possibility which are possessed by ‘Structural changes of emotional domain’.

      • KCI등재

        1920년대 한일 이상주의 문화운동의 딜레마에 대한 일고찰 -"수양동우회"와 "新しき村"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정연욱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3 日本語敎育 Vol.65 No.-

        1920年代の世界のパラダイムは理想主義であった.日本と植民地朝鮮も例外ではない.代表的な現象が理想主義的文化運動の胎動である.日本では、武者小路實篤によって 「新しき村」が表われ、朝鮮では李光洙によって 「修養同友會」という民族運動團體が表われた.武者小路實篤と李光洙は、同時代を生きた人物ではあるが、人間的交流をもっているわけではない.それにもかかわらず、類似な文化運動を起こしたということは、何らかの共通した裝置が動いていたということになる.この裝置がトルストイと夏目漱石である.武者小路實篤と李光洙はトルストイの非暴力思想と、夏目漱石の自己本位的思想を受け入れて、自我完成を成し遂げようとした.將來的には民族あるいは人類の發展に繫がると考えていたのである.問題は自我完成の方式がエリ-ト中心的であったということである.武者小路實篤と李光洙は、自らが優れたエリ-トであった.そのため、彼らの言說は優れた理想ではあったが、現實には寄り付けなかった.彼らは自我完成の資格を文化的エリ-トに限定して、一般民衆を排除した.自らがもっているエリ-トの特權意識が動いて現實と理想の衝突を調整できなかったのである.

      • KCI등재

        유가 심성론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위한 시론

        최일범(Choi, Il-Beom)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9

        이 논문의 목표는, 유학(儒學)의 심성론(心性論)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유학의 심성론의 본의(本意) 및 그 현대적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분석심리학이란 Freud의 정신분석학의 기반위에 Jung이 구축한 현대 심리학의 한 체계를 가리킨다. 지금까지 유가의 심성론은 주로 철학의 한 분야인 인식론의 범주에서 해석되어 왔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인식론이란 앎이 무엇인지, 앎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앎의 조건이 어떤 것인지, 보편타당한 앎이 어떤 것인지를 연구한다. 즉 인식론이란 앎의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적 탐구인 것이다. 철학과 달리 분석심리학은 원래 hysteria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심리치료법으로서 인지적 기능(사고의 장애), 감정적 기능(정서적 고통), 또는 행동적 기능(행동의 부적절성)에서 생기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을 개선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유가의 심성론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자는 필자의 제의는 유가의 심성론을 현실적, 구체적, 경험적으로 인간의 심리문제를 분석하고 치료하는 학문으로 이해하자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유학의 심성론과 공부론이 단순히 철학적 인식론이 아니라 심리치료의 의미를 의외로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유학의 심성론의 이론과 공부론, 수양론의 실천이 심리학 특히 분석심리학의 이론 및 실천과 깊은 유사성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불교의 止觀공부나 禪수행은 이미 승단이라는 특수한 종교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뇌와 정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과학으로 알려져 있다. 유학의 심성론, 敬공부 역시 이와 같이 현대과학에 의해 재해석될 수 있고, 그뿐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불교보다 현대 과학에 더 깊은 영향을 주고 새로운 길을 밝혀줄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y to interpret the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n the point of analytic psychology and clarify the modern significance of it. It is the system of modern psychology developed by Freud and Jung that the analytic psychology in this paper mentioned. Until now,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s a part of epistemology in philosophy. But Confucianism seek realistic, concrete, and empirical world. Therefore, we have to interpret this theory for an practical aim. It is why this report assert to interpret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as a method of psychotherapy, especially in the point of the analytic psychology. Buddhistic Zen asceticism has been a new science healing human pathological phenomenon, like hysteria, and analysing the relation of human brain and mind. Why Confucian Piety asceticism should not be a new level fusion of Confucianism and modern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