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치료 사례 연구 현황을 통해 본 ‘자기서사 진단’ 방법과 발전 과제

        김혜미(Hye Mi Kim)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문학치료 임상 사례 연구를 통해 자기서사 진단의 현황을 살핀 것이 목적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분야의 자기서사진단 사례는 제외한 것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다양한 방식의 자기서사진단 방법을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자기서사 진단의 방법의 방향성을 타진할 수 있는 준비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임상사례 연구를 통해 미루어 확인한 바, 자기서사 진단은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이다. 두 번째, 작품의 서사적 반응을 통한 자기서사 진단이다. 첫 번째인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에도 두 가지의 진단 방법이 드러나고 있는데, 이는 기초서사영역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진단과 MMSS 자기서사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진단이다. 두 번째, 작품의 서사적 반응을 통한 자기서사 진단에도 두 가지 방법이 드러나고 있다. 이는 바로 설화 각편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과 문제 상황에 따른 문학치료 프로그램 설계와 자기서사 진단이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 현황을 전반적으로 확인하였을 때, 문학치료에서 내담자의 자기서사 진단에 대한 제안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자기서사 진단의 양적 연구의 부족 현상이다. 내담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작품들이 있지만,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작품이 적지 않다. 특히 ‘기초서사영역 자기서사진단검사지’ 혹은 MMSS에 수록된 작품들이 그렇다. 이러한 작품들에 대한 반응을 통합하여 양적 연구로 확대할 수 있다면 진단에 대한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다고 본다. 두 번째, 작품 제공의 기준 및 진단의 명확성 제고이다. 진단검사지를 활용한 진단이 아니라면 작품에 대한 선정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작품 선정 자체가 내담자의 현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기준점이기 때문이다. 작품의 선정이 수련감독을 동반한 슈퍼비전을 통하여 선정되어야 함에도 임의적 선택으로 지고 있다. 진단 또한 작품의 선정과 연동되어 있기에 슈퍼비전을 통해 이루어진다면 더욱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epic of self diagnosis through literature therapy case studies. In this article, various methods of epic of self diagnosis are summarized and provided. The reason is to prepare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method of epic of self diagnosis. In this paper, a case study was identified. Epic of self diagnosis is largely divided into two directions. First, it is the epic of self diagnosis using a the epic of self test paper. Second, it is the epic of self diagnosis through the narrative reaction of the work.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uggestions for the diagnosis of the client's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y. First, there is a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related to the epic of self diagnosis. There are various works that are provided to clients, but there are not many works that are used as the core.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ith works included in the 'the epic of self test' or MMSS. If responses to these works can be integrated and expanded to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ity in diagnosis can be secured. Second, it is to enhance the criteria for providing works and the clarity of diagnosis. Unless a diagnosis is made using a diagnostic test strip, the selection criteria for works should be clear. This is because the selection of works itself is a reference point for diagnosing the client's current condition. The selection of works should not be made arbitrarily by a literary psychoanalysis counselor, but through supervision. Diagnosis is also linked to the selection of works and if it is made through supervision, a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made.

      • KCI등재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

        이근영 ( Lee Geun-y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경험서사 창작 과정에서 창작의 소재이자, 자신의 경험에서 문제적 사건을 발견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고 보고, 그 원인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한 사유의 부족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개념을 경험서사 창작교육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을 통해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문학치료학에서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인간을 서사적 존재로 보는 관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독자가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삶의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드는 이야기를 의미한다. 자기서사 개념은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 번째는 독서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창작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수 있다. 두 번째는 작품을 읽으며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또 다른 자기의 모습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대화적 (dialogic)이다. 세 번째는 불완전한 자기서사를 작품서사를 통해 수정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삶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상 검토된 자기서사의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의의를 토대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의 구성’-‘자기서사의 촉발’-‘자기서사의 수정’이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독자는 작품을 읽으며 한 인물이나 여러 인물의 서사를 종합하여 작품서사를 구성한다. 이 단계는 이어지는 자기서사의 촉발에 영향을 주어, 독자의 무의식에 자리하던 자기서사를 현실화하게 도와준다. 독자는 자기서사 촉발 단계에서 현실의 문제를 마주하게 되고, 다시 작품서사를 통해 자기서사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학습자들이 작품을 통해 자신이 미처 생각지 못했던 기억과 현재 자신의 모습을 정면으로 마주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자기서사를 창작하도록 이어진다는 점에서 경험서사 창작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ailure of learners to discover problematic events for writing experiential narratives as a problem situation faced by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and examines the concept of 'the epic of self' in literature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o solve this I did. In literary therapy, self-narrative is a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narrative of works, and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eing humans as narrative beings. and readers discover their own fundamental problems based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make it into the epic of self.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he following significance could be found. The first is an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learners' writing. The second is dialogic in that he discovers another image of himself while reading the work. Third,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change learners' attitudes of life through 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epic of self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analyzed based on the creativ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experiential narrative of the epic of self reviewed abo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pic of self of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largely composed of 'composition of the epic of literary work'-'trigger of the epic of self'-'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is structure of the epic of self contributes greatly to the expansion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in that it helps learners lead to natural the epic of self writing by confronting memories they had not thought of through the literary work. In the process of such educational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feel the joy of reading literature and writing narratives.

      • KCI등재

        간략식 자기서사와 정서반응형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상관관계 연구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본 연구의 목표는 `정서반응형 자기서사진단검사`와 `간략식 자기서사진단 검사`의 비교를 통해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결과가 일관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 종류의 자기서사 영역별로 간략식 자기서사진단검사의 결과와 5점 리커트 척도인 정서반응형의 점수 간의 일치 및 불일치의 빈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서사영역의 네 가지 진단서사의 경우 두 도구 간 결과는 일치하는 빈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보다 2배 이상 높았고, 남녀서사영역의 경우 세 가지 진단서사에서 일치 빈도는 5배 이상 되었다. 또 부부서사영역의 문항에서는 네 종류의 진단서사의 일치 정도는 2배 이상 되었다. 부모서사영역의 경우는 네 가지 진단서사의 일치 빈도는 2배 이상 높았다. 열여섯 가지 진단서사 가운데 열 가지 진단서사는 대체로 두 검사의 결과가 일치했지만, 나머지 여섯 가지 진단서사는 불일치 또는 간략형의 결과와 정서반응의 점수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일치했다. 가장 높은 불일치 빈도를 보인 것은 자녀감싸기 진단서사였다. 이유는 두 종류의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작품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정서반응형에서는 <장모가 된 며느리>를 사용한 것과 다르게 간략식에서는 <거짓 장례로 개가시킨 딸>로 변경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동일한 설화를 사용했음에도 피검자들이 자신의 자기서사와 유사한 진단서사에 대해 낮은 점수를 준 경우도 있었는데 <역적 누명과 회초리>가 그것이다. 양상이 다르긴 하지만 불일치에 관여하고 있는 변인은 문화적 요소라 추론했다. 또 감싸기라는 서사의 경우 그 서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진단서사의 교체보다는 진단서사의 문항을 추가함으로써 표층과 심층의 자기서사를 모두 포착해 낼 필요성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두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만 피검자의 자기서사와 다른 진단서사에 대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내 복에 산다>, <고부곡어황천>, <호랑이 눈썹>, <지붕에 소 올리기>의 네 종류 진단서사가 해당된다. 이 네 가지 서사의 공통점은 진단서사에 대한 피검자들의 비호감이 높은 작품들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정적인 평가만큼이나 호감의 일치 빈도도 높은 진단서사의 경우 서로 다른 방향의 자기서사를 지닌 내담자를 한꺼번에 포착해내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if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and the “Brief Epic of Self Test” are consist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on and daughter epic realms, the coincidence frequency of the two diagnostic tools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In the man and woman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Additionally, in the husband and wife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In the father and mother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Ten out of 16 diagnostic epics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and the Brief Epic of Self Test matched with each other. The highest frequency of inconsistency was on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The reason for the mismatch of the diagnostic results is that the two tests comprised different epics.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we used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 epic, while in the Brief Epic of Self Test, we used the Fake Funeral for the Widow`s Daughter epic. The mismatch between the two tests in terms of epics of protecting children was attributed to cultural differences. Whip and Virgin also reported inconsistent diagnostic result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Cultural differences led the clients to misunderstand the relationships that appeared in the narrative. However, the epics of protecting must be able to transcend norms. Therefore, inconsistencies in diagnostic epics are suggested to be resolved by adding a diagnostic epic rather than replacing it. This would also enable us to diagnose both superficial and deep epic of the self. In the diagnostic epics My Own Good Fortune, Tears of My Husband`s Soul, Tiger`s Eyebrows, and Cow and Roof, the results of the two diagnostic tools matched, but the responses did not match for the 10 other types of diagnostic epics. The results were similar for the above-mentioned four diagnostic epics because the clients highly disliked the epics. However, most of the clients who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 Cow and Roo>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selected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in the Brief Epic of Self Test. The remaining three diagnostic epics were favorable only by non-favorable frequency. In other words, the three diagnostic epics may be useful for diagnosing clients with a different kind of epic of the self.

      • KCI등재후보

        서사수필 창작에 나타나는 자가치료성 고찰-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창작을 중심으로-

        박태진 ( Park Ta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18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a study on the value of self-therapy appeared in epic-essay`s creative writing through focusing on a case of < an old man cutting a club > written by Yoon, Oh-young. To fulfill this aim,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rules of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and divided the epic of self into two kinds of epic of self, namely there are epic of self that comfort and epic of self that is discomfort. Also, this study examined that recognition, emotion, and aesthetic region operate in his mind, when a writer write narrative-essay. And this study examined that there are many therapeutic mechanism playing the role for self-treatment when a writer write narrative-essay too. Finally, this study inquired the property of self-treatment appearing in < an old man cutting a club > written by Yoon, oh-young through the result of above many kinds of examina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four meanings appeared in education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First, there is founded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that is appropriate for writing epic of self. Second,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happen in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So, the property of self-treatment appearing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is important in literary curriculum focusing on process of education. Third,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can solve not only the problems cognitive problem and emotional problem but also aesthetic problem. Especially, solution for aesthetic problem in mind is very important value against disease of material civilization. The last,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promote self-development and self-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in literary education. 이 논문은 문학 창작교육의 관점에서 서사수필의 일종인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창작을 사례로 문학치료학적 `자기서사`를 서사수필로 창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먼저 서사수필 창작의 규약을 살폈다. 문학 창작의 주체의 입장에서 창작의 중요한 소재이자 제재로 등장하는 자기서사를 쾌의 자기서사와 불쾌의 자기서사로 분류했다. 또한 자기서사가 서사수필로 창작될 때 치료의 영역을 인지와 정서적 영역은 물론 심미적 영역이 작용함을 살폈다. 그리고 서사수필을 창작할 때 자가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료 기제도 조사해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을 고찰하였다. 이 결과 서사수필 창작에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에 대한 고찰은 문학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서사수필 창작에서 나타나는 자가 치료적 가치는 창작 교육에서 유용하다는 점이다. 그동안 문학 창작교육에서 이러한 치료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 했다. 둘째, 서사수필 창작의 자가 치료 가치는 학습 작가가 직접 써보는 창작활동의 과정에서 발현되기에 과정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가치가 있다. 셋째, 서사수필 창작의 치료 가치는 창작 주체의 인지· 정서적 치료뿐만 아니라 심미적 치료를 지향한다. 이에 심미적 치료 가치는 물질문명의 병폐를 극복할 수 있는 심미적 가치를 고양할 수 있다. 끝으로 서사수필 창작의 치료 가치는 자기 발달과 자기완성의 교육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서사수필 창작에서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은 문학 창작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문학교육에서 적극 수용할 교육 내용이다.

      • KCI등재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안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8 No.-

        자기서사는 문학치료학을 고유의 방법론을 가진 학문으로 정립하게 하는 핵심적 개념이며, 이에 대한 자기이해, 즉 자기서사 알기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빠질 수 없는 과정이다. 그래서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 진단검사도구들을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개발해 왔다. 학계에 보고되고 상용된 대표적 진단도구들은 `연쇄전개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자유연결형 자기서 사진단검사도구`,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정서반응형 자기서사 진단검사도구`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사도구들이 개발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각검사도구들의 장단점을 논하며,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각 검사도구들의 문제점과 시행착오의 결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어진 서사적 상황, 즉 인물, 배경, 제재가 되는 사건 등을 한 세트의 문항에서 통일할 것, 둘째, 참여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도록 선택지를 간결하게 할 것, 셋째, 일관된 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서사능력보다는 자기서사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 넷째, 문학치료사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야 할 것 등이다. 이러한 개선 방향을 바탕으로, 기존의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지만 이를 간략히 변형한 `간략식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서사적 상황의 통일성을 갖추기 위해 하나의 진단서사에 대해 한 가지 선택을 하게 하였다. 이로써 선택 이후에 선택과 상관없이 다른 서사적 상황과 조우하게 되는 혼란을 줄이려하였다. 다음으로 직관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위해 한 번의 선택으로 하나의 서사가 완료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자기서사 형태 파악이라는 진단 목표에 정합적인 진단지 구성을 위해 네 가지 선택지를 마련하였다. 즉, 서사적 문제 상황과 그 해결 사이에 존재하며 서사의 성격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분기점에서, 가르기, 밀치기, 되찾기, 감싸기 방식으로 서사가 진행하는 네 가지 경로를 제시한 것이다. 이로써 참여자가 품은 자기서사 형태를 쉽게 분별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이로 인해 이 검사도구는 자기서사 진단의 결과도 거의 실시간적으로 보고될 수 있을 정도로 표준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Self-Epic” is a key concept that makes it possible to establish “Literary Therapy” as a unique theory. Almost all literary therapy programs included diagnosis as an essential aspect.. In this study, I examined various existing self-epic diagnostic tools and analyzed the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improving them. Cosequently, I proposed the “Brief Epic-Analyzing Self-Epic Diagnostic Tool” which is a transformed and simplified version of the existing “Epic-Analyzing Self-Epic Diagnostic Tool.” The newly developed tool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It is convenient for many target users such as students in a class; it facilitates selection with intuition; it is appropriately swift for testing, and the test results can be standardized.

      • KCI등재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 그리고 치료작업

        홍재범 ( Hong Jaebeom ) 겨레어문학회 2020 겨레어문학 Vol.65 No.-

        이 논문은 내담자의 자기이야기와 이를 담화의 과정을 거쳐 표현한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서사학의 이야기와 서사의 관계와 동일하다. 서사학의 분석 대상이 허구적 구성물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는 서사치료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왜냐하면 내담자의 주요문제를 내담자가 언어화하는 내용에 근거하여 파악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내담자는 상담가에게 자신이 살아온 삶, 사실이나 사건에 대해 정리되지 않은 정보를 쏟아놓게 된다. 내담자에 의해 언어화된 모든 정보는 내담자의 머리 속에 존재하는 자기이야기의 편린들로 자기서사를 구성하는 내용들이다. 치료사가 일반적인 상담가들과 변별되는 지점은 내담자의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내담자가 언어화된 자기서사를 통해 자기이야기를 반성적으로 대상화하고 자신의 문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자기이야기를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서사적 자극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프로이트의 엠마 치료작업은 이러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내담자는 자기이야기를 말이나 글 또는 그림이나 사진, 영상 또는 몸 등을 표현 매체로 삼아 외화시키게 된다. 즉 내면의 것을 타인이 눈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를 선택해 담화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양한 표현 매체 중 특히 기왕에 산출된 문자텍스트를 도구로 활용하여 치료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를 ‘문학치료’로 간주해 왔다. 이러한 문학치료가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통찰이 필수적이다. 이때 담화의 방식을 문자적 외화로 국한시키는 것은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제한적 효과에 멈추게 된다. 언어화를 포함한 다양한 담화의 방식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의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심리치료의 본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counselee's self-story with self-narrative which is ex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discour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is essentially the same as story and narrative in narratology.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analysis of narratology is a fictional compositio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occupy a key position in narrative therapy. This is because the main problem of the counselee has to be identified based on the contents which the counselee verbalizes. The person in charge will pour out unorganized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life, facts, or events to the counselor. All the information verbalized by the counselee is the content that composes self-narrative with the convenience of the self-story that exist in the counselee's head. The point at which therapist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general counselors should b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ee's self-story and self-narrative and provide narrative stimuli so that the counselee can reflectively target the self-story and imagine and realize a self-story that can overcome his or her own problem situation through a verbalized self-narrative. Freud's Emma therapeutic work is an example of this relationship. The counselee will use the self-story as a medium of expression, such as words, writings, pictures, photographs, images, or bodies, to externaliz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iscourse will be carried out by selecting various media so that others can perceive what is inside. Among the various expressive media, the use of specific written text previously created as tools to perform therapeutic activities has been regarded as ‘literature therapy’. In order for these literary treatments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insight in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is essential. At this time, limiting the method of discourse to literal externalization stops in the limited effect of bringing about changes in the inner circle. Exploring how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unselee through various discourse methods, including verbalization, could contribute to achieving the original goal of psychotherapy.

      • KCI등재

        필기체(筆記體) 자기서사(自己敍事)의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중심으로

        안득용 ( An Deuk-y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자기서사(自己敍事)는 자신의 존재 흔적을 남기고, 자아와 세상에 대해 증언하며, 과거의 선택을 정당화하고자 서술한다. 조선 중기를 지나며 다양한 장르로 그 영역을 확장하던 자기서사는 장르의 친연성 때문에 필기(筆記)와도 교직하여 새로운 자기서사 장르를 형성했는데, 그것이 필기체 자기서사이다. 본고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저술된 필기체 자기서사인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대상으로 삼아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필기체 자기서사의 서술 동기와 전개 양상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서술 동기는 단편의 자기서사보다 넓은 지면에 자신의 삶을 대별할 수 있는 사안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점, 필기 장르의 특성 상 온갖 이야기를 자유롭게 기록할 수 있다는 사실, 즉 포괄성과 유연성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아울러 동일한 주제나 유사한 사건을 하나의 기사로 묶어 서술할 수 있다는 장점 역시 필기체로 자기서사를 서술한 동기이다. 둘째, 필기는 대체로 일상의 사소한 사안에서부터 첨예한 정치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을 수 있다. 따라서 그 전개 양상 역시 공(公)과 사(私) 양 측면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다만 조선 중기를 지나면서 여타 자기서사와 마찬가지로 사적인 측면이 부각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식의 「서후잡록」은 그의 「택구거사자서(澤?居士自敍)」, 「자지속(自誌續)」 등과 함께 삼부작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그 규모는 「서후잡록」이 압도적으로 큰데, 포괄적이면서 유연한 필기의 장르적 성격과 자기변명을 위해 다양한 이야기를 한 지면에 풀어놓은 지점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한다. 이식의 「서후잡록」은 `고립자신(孤立自信)`과 `문예(文藝)`를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그는 이처럼 주변인, 경계인으로서의 자기형상을 왜곡 없이 정확하게 형상하기 위해 내적 정합성과 기사 간의 유기성을 적극 활용하여 철저히 자신을 변명했다. 다만 이식의 자기변명 역시 그가 서술한 여타 글이나 동일한 사안에 대해 다른 이들이 남긴 기록과 비교해 보면, 기억의 착오나 과장과 축소의 과정을 거치며 일정하게 왜곡된 사례가 있어서 서술의 사실성을 꼼꼼히 살펴보아야 했다. 이로써 보자면, 「서후잡록」이 새로운 내용·형식의 필기체 자기서사 장르를 개척했다는 점은 가치 있고, 자기서사에서 자기변명을 본격적으로 시도했다는 사실 역시 의미 있다. 다만 과도한 자기변명으로 인해 자신의 삶을 냉정하게 돌아보며 반성하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보였다는 점, 그 사실성 역시 의심해 볼 법하다는 사실 등은 한계라고 할 수 있다. Self-Narratives are written for leaving existence, giving testimony of self and world, and justifying their choices. Self-narratives and miscellaneous writings made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similarity of those genres. I studied on self-form and self-justification in Lee, Sik(李植)`s Seohujaprok(敍後雜錄) which was first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This report researched self-form and self-justification in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describe motives of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had great diversity, flexibility, and organization by topic. Second, miscellaneous writings contained various contents. So there were public and private contents in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But the private contents were stood ou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Lee, Sik`s Seohujaprok, taekkugoesa`s jaseo(澤?居士自敍), and jajisok(自誌續) organized a trilogy. But Seohujaprok was thickest, because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had great diversity, flexibility. Lee, Sik`s Seohujaprok focused on the isolation and the literature. He justified his choices by making good use of inner matching and inner correlation. I knew that Lee, Sik`s self-justification was distorted by mistake of memories and exaggeration and reduction of memories. So I scrutinized his self-narratives, and compared his self-narratives with another self-narratives. To conclude, Lee, Sik`s Seohujaprok was worth, because this self-narrative developed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and tried to self-justification in earnest. But there was no self-examination in this self-narrative. That is the problem in this self-narrative.

      • KCI등재후보

        시인을 만든 시 - `자기서사`의 실제적 예. 2

        한명희 ( Han Myeong 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4 No.-

        문학치료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문학 작품을 읽게 하는 것이 하나이고 문학 작품을 직접 쓰게 하는 것이 또 다른 하나이다.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치료되기도 하지만 문학 작품을 씀으로써 치료되기도 하는 것인데, 후자가 분명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지만 체험적으로 이야기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경우는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어느 정도 치유되었고, 문학 작품을 씀으로써 그것을 굳힐 수 있었다고 믿고 있다. 물론 이 두 가지는 무의식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시인이(혹은 필자가) 어떤 증상이 어떤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또는 씀으로써 치유되었는지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 필자는 `나를 시인으로 이끈 시`들을 통해 자기서사를 정리해 보았다. 김광균의 <설야>, 신경림의 <갈대>, 아폴리네르의 <미라보 다리>,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에 얽힌 기억과 기억의 오류를 말함으로써 여기에 얽힌 필자의 근원적 상처가 무엇인지 추측해 보려고 하였다. 이미 필자는 다른 글- <내가 통역되는 세상에 도달할 때까지>에서 `나는 왜 시인이 되었나`하는 것을 스스로 탐색해 본 바가 있다. 이 두 편의 체험적 자기서사를 통해 필자는 `자기서사` 연구가 가지는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게 되었다. 첫 번째는 자기서사가 가지는 불확실성이다. 작가나 시인들은 `자기서사진단검사 도구` 등을 활용한 검사자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자기서사를 찾아낼 수 있는 존재들이라고 생각된다. 그들이 쓴 작품은 비록 `자기서사`라 직접적으로 담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자기서사를 드러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자기서사가 얼마나 진실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작가, 시인들이 자기서사를 드러내는데 비교적 저항이 약한 존재들이라고는 하지만, 그들 역시 직접적인 방식으로 자기서사를 드러내는 경우는 드물 것이고 상징이나 은유에 의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자기서사 역시 해석의 오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니까 `자기서사`를 찾아내는 작업은 몹시도 불확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서사와 관련하여 제기할 수 있는 문제점은 자기서사가 지닌 유동성이다. 필자는 이전에 쓴 글 「내가 통역되는 세상에 도달할 때까지」에서 “제가 쓴 시에 대한 저의 생각도 수시로 바뀔 수 있으므로 여기에 쓴 얘기들이 언제까지 유효할 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건 2008년 1월 21일 오후 세시 저의 시에 대한 생각은 여기까지입니다”라고 한 적이 있다. 자기서사도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그리고 실제 바뀌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기서사가 이렇게 불확실성과 유동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서사`의 진단 없이는 문학치료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다. 자기서사 진단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 literary treatment is to "cure patient`s psychological disorder by literature". For this, we need 3 elements- patient with psychological disorder, curer to treat this patient, literature as a tool to cure. Let us think about a special patient. The patient can be a writer or a poet who is a final producer of medicine for a literary treatment. They producea literary work which is a medicine to cure a literature. However, they themselves can be a patient.When we are in mental conflict, generally, we make a literary work and are indulge in it as well as find a way to free ourselves from the conflict. So, in a sense,a poet or a novelist is a patient or a medicine producer or a curer. At this time, a creative writer uses both an appreciative treatment and a creative treatment. In this work, I, as a producer of work as well as a patient, want to search for "myself-description". Especially, what I want to handle in this work is a poem which made what I am now as a poet. So, the main subject of this work is a statement by experience that reveals which poems led me to be a poet.We do often fin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 of a patient`s self-description between a literature which he likes and a literature which he does not like. Accordingly, it is an important part of self-description to say poems which attracted me as a patient or a creator. I explained memory and mistake in memory on 4 poems which led me to be a poet - Kim Kwangkyun`s < Snowy Night >, Shin Kyunglim`s < Reed >,Apollinaire`s < (Le)pont mirabeau >, Han Yonguon`s < Lover`s Silence >. And I mentioned 2 problems in self-description - "Uncertainty" and "Flexibility". The accurate diagnosis on "Self-description" is a key to the "Literary Treatment". However, as "Literary Treatment" is uncertain andflexible it is true that the accurate diagnosis is not easy.

      • 여성 자기서사체의 인식

        박혜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여성문학연구 Vol.8 No.-

        When we deal with women's experiences and feminine identity represented in the literary texts, we need to take interest in the writing mode of self-narrative by women. In this paper, I emphasized the importance and meaningfulness of self-narratives by women, and presented several important issues on the study of self-narratives by women. Self-narrative is a kind of writing mode in which teller tells one's own story on condition that it is real, and reflects one's life as a whole, and asks its meaning. But 'reality' or 'truth' in self-narrative is something which is insisted and constructed as it is by writer. And ‘I’ which is represented in the text is nothing but 'memorable I' or ‘tellable I' So various kind of fiction or falsehoo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could be intervened in the text of self-narratives. Therefore we need to keep close watch on the relations between reality and fiction or the relations between truth and falsehood in self narratives. Moreover in male-oriented society, self-narrative by women could have fiction peculiar to women. Besides I presented following issues, and tried to describe the answers briefly. The differences between self-narrative by men and by women. Various aspects of feminine identities represented in the self-narrative texts, The importance of oral self-narratives by women. The meaning of working women's self-narratives. Tradition and modernity in the Korean women's self- narratives, and etc. 이 글은 여성의 자기서사적 글쓰기 양식의 중요성과 의의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면서 여성의자기서사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들을 한국여성의 자기서사를 중심으로 생각해보았다. 주변적 존재로서의 여성의 경험과 정체성을 문제삼을 때, 우리는 필연적으로 비제도권문학이나 비주류적 문학창르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없고 그런 점에서 여성의 다양한 차기서사적골쓰기 양식을 자기서사 로 확고하게 개념화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자기서사' 는 화자가 자신에 관한 1야기를 그것이 사실이라는 전제에 입각하여 진술하며, 자신의 삶을 전체로서 회고하고 성찰하며 그 의미를 추구하는 특징을 갖는 글쓰기 양식이라고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서사' 는 단일한 장르개념이 아니며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그런데 자기서사에서 '사실'" 혹은 잔실 이란 작자에 의해 그렇게 간주되고 주장되며 재구성된 것에 불과하며, 자기서사에 진술된 '자기' 라는것도 작자가 "기억하고 있는 자기 내지는"기억하고 싶은 자기, '남에게 말할만한 자기 에 불과하다. 그런 점에서 자기세사에는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종종의 허구가 개입되기 마련인바 자기서사 연구는 사실 자체보다 '사실과허구 내지는 '진실 혹은 거짓말' 의 복잡한 연관에 보다 주의를 기물일 필요개 있다. 더구나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여성의 자기서사는 여성적 상황의 특수성으로 말매암아 여성 특유의 허구개개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도 유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외에도 남성의 자기서사와 여성의 자기서사에서 '자기의 존재방식은 어에벨게 다른가 여성의 자기서사에 내타난 여성책 정체성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국문학사에서 구슨의는 무엇인가 등동 여성의 자기서사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을 제기하고 간략한 해답을 모색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역적 누명과 회초리>를 활용한 문학치료 활동과 그 주변서사에 대한 진단적 해석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6 No.-

        이 논문에서는 문학치료학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인 특정한 자기서사와 인간관계 내의 문제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을 염두에 두었다. 이에 알코올 중독 환자들을 대상으로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활용한 문학치료 활동을 통해 얻어진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활용한 문학치료 활동의 진행 과정에 대해 간략이 소개하였고 다음으로는 남녀가르기서사인 <역적 누명과 회초리>에 대해 환자들이 구성해 낸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환자들의 자기서사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역적 누명과 회초리>의 주변서사를 확정했다. 그 다음으로는 환자들의 자기서사가 지닌 문제들을 진단했다. H(40대, 남자)의 경우는 <상사병으로 죽은 원귀와 화운정>과 가까웠다. 이 환자의 자기서사는 자기 선택에 대한 믿음과 확신이 부족하다는 것, 상대 이성의 소망을 배려한 여유는 없다는 것, 또 다른 이성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해도 성공적인 관계 맺기가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전망이 없다는 것이 문제점들이 있었다. K(40대, 남자)의 경우는 <신립장군과 원귀>와 가까웠다. 이 환자의 자기서사에는 거절당해도 자존감을 잃지 않는 처녀와 같은 인물을 찾아 볼 수 없으며, 영원한 사랑에만 무게를 둘뿐 사랑의 유동성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으며, 상대방도 선택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는 않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J(40대, 남자)의 경우는 <양산백과 추양대>와 가까웠다. 이 환자의 자기서사에는 자신의 선택과 부모의 명령에 사이에서 갈등이 심각하며, 새로운 이성을 만날 가능성은 염두에 두지 않으며, 몰입과 집착과 순응 사이에서 죄의식이 심하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M(50대, 남자)의 경우는 <상사뱀 풀어준 남명선생>과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이 환자의 자기서사에는 이별에 대한 두려움이 많고, 선택에 대한 부담감이 크고 위축되어 있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Y(60대, 남자)의 경우는 <여우구슬>과 가까웠다. 이 환자의 자기서사에는 상대에 대한 진실된 마음보다는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남녀 사이에서는 누구라도, 언제든지 다른 가능성도 생겨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고려가 적으며, 이성에 대한 분노가 자신에게 향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This study diagnoses and interprets Epic Analysis Type the epic of self test`s result. This study uses < Whip and Virgin >(the epic of dividing the opposite sex) in Epic Analysis Type the epic of self test. Literary therapy was performed to alcohol patients in ** seoul municipal hospital, using Epic Analysis Type the epic of self test. The results are a follows Case 1(H, man) : Epic of H is similar to < enmity-ghost and Hwaunjung >. The epic is formed by Epic Analysis Type the epic of self test. In case 1, it is problem that opponent´s wish is not considered. Case 2((K, man) : Epic of K is similar to < General Shin Lip and enmity-ghost >. In case 2, it is problem if K is rejected, he loses self-regard. Case 3(J, man) : Epic of J is similar to < Yang, San-Baeg and Chu, yangdae >. In case 3, choice of J and command of parent are conflicted. Case 4(M, man) : Epic of M is similar to < Sangsa snake and Nammyeong >. In case 4, fear of farewell is too great. Case 5(Y, man) : Epic of Y is similar to < Fox Jewel >. In case 5, 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true he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