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왕양명의 ‘지행합일(知行合一)’ 論이 교정상담에 갖는 함의

        김우성,김영희 아시아교정포럼 2015 교정담론 Vol.9 No.3

        모든 사람에게는 천리(天理)를 스스로 아는 근원의 지(知 = 앎)가 있다. 이 근원의 앎(知)을 본성의 마음이라 하고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은 이를 양지(良知)라 일컫는다. 따라서 천리를 스스로 아는 양지는 천리의 행(行)을 저절로 일으킨다. 이것이 ‘지행합일(知行合一)’ 사상이다. 그래서 ‘양지’에 극진히 다하는 치지(致知)가 천리의 이치를 그대로 밝히는 격물(格物)이 된다. 이 모든 논거는 심즉리(心卽理) 철학에 기반을 두고 있고 ‘지행합일’론과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원리가 된다. 교정상담은 사람의 본원적 본성을 함께 통찰・이해・공감함으로써 한 사람의 인간관, 자연관, 세계관을 인간 본래 휴머니즘의 가치관으로 정립해가는 자기실현에 있다. 자기실현은 본래 본성의 마음을 밝힘에 있다. 자기밝힘(self- enlightenment)은 천리(天理)의 본성(本性)인 양지(良知)를 참된 마음, 참 나(眞我)로 아는 것이다. 따라서 ‘치양지(致良知)’는 모든 사람이 함께 도모해야 할 본연의 진리이며 소명이다. 치양지(致良知)는 천리를 구현하는 자기실현이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을 교정상담의 함의로 제안한다. 마음의 본성은 특정 장소와 지식의 틀에 구속받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지행합일(知行合一)’론에 대한 개념 정리, 성의(誠意)의 관점에서 본 ‘뜻’에 대한 구조, 작(作)과 생(生)의 관점에서 본 교정 상담의 태도와 본질 검토, 그리고 지행합일의 성의를 구축하는 실천 방법을 제시한다. Everybody has the source of knowledge which naturally knows the Principle of Nature(天理). This knowledge of the source is the mind of human nature. Wang-yangming(王陽明, 1472-1528) called it the Innate Knowing(Liangzhi, 良知). This i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ory. Therefore, the gaining of knowledge which is trying devotedly to reach the Innate Knowing could be ‘studying things(格物)’ which reveals the reason of the Principle of Nature as it is. These reasons are based upon the principles of ‘the Mind is Reason(心卽理)’ Philosophy. These also become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ory and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The goal of correctional counseling is the self-realization to metamorphose one’s own view of humanity, nature and a view of the world into innate humanistic values through discernment,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human nature. Self-realization is self-enlightenment. Self-enlightenment is to know ‘the Innate Knowing’. The reason behind the Principle of Nature as the True Mind. Therefore, the self-cultivation of the Innate Knowing is the inborn truth and vocation which all men must seek because self-cultivation of the Innate Knowing(致良知) is the self-realization to realize the Principle of Nature. Therefore, I propose that Wang-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a meaningful implication for correctional counseling.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is not restricted to space and frame of knowledge. I would like to develop four subjects in this paper in order. Firstly, I would like to study the concept of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Secondly, I will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will(意).’ Thirdly, I will consider the attitude and essence of correctional counseling from the point of ‘doing(作)’ and ‘life(生).’ Finall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Innate Knowing’ by ‘sincerity(誠意)’ which is one of the plan of actions.

      • KCI등재

        하린의 지행합일신론 연구

        황종원(Hwang, Jong-won)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6

        이 글은 하린의 지행합일신론(知行合一新論)이 동서철학 융합의 측면에서 어떤 특징과 의의를 지니는지 밝히기 위해 쓰였다. 우선 하린의 지행합일론이 서양철학의 어떤 것을 흡수해 전통 지행합일론을 새롭게 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하린이 이른바 자연적 지행합일론에서 의식적 활동과 생리적 활동으로 지(知)와 행(行) 개념을 규정하고, 스피노자의 심신평행론(心身平行論)을 응용해 지행합일의 함의를 재해석해, 서양철학의 연구 성과를 중국의 지행합일론이 흡수하도록 했음을 밝혔다. 또 명시적(顯, explicit), 암묵적(隱, implicit)이라는 심리학적 용어를 차용해 지와 행의 수준을 둘로 나눔으로써 중국 전통 지행합일론을 포함하는 가치론적 지행합일론에서의 지개념을 ‘분명한 의식과 불분명한 행위의 합일체’로, 행 개념을 ‘분명한 행위와 불분명한 의식의 합일체’로 보다 엄밀히 규정할 수 있었음도 밝혔다. 또 하린이 스피노자의 심신평행론을 흡수했기 때문에 전통적 지행합일론에서 지와 행의 발동이 비동시적이라고 분명히 할 수 있었다는 점도 발견했다. 다음으로 하린이 자신의 지행합일론을 근거로 왕양명과 주자의 지행관계론중에서 어떤 점을 부각시켰는지, 또 어떤 점을 다소 곡해하거나 비판했는지 살피면서 이들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하린과 왕양명은 모두 교육원칙의 측면에서 지와 행의 균형을 강조한다는 점, 지와 행의 본래적 합일을 말한다는 점, 지와 행을 동일한 하나의 과정의 두 측면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러나 왕양명이 지와 행의 상호 포용적 관계 및 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하린은 지와 행의 명확한 개념적 분립 및 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하린과 주자는 주지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띤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하린이 시종 지의 주도성을 강조하는 데 반해 주자는 지만큼 행도 중시했다는 점에서 다르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하린의 지행합일에 관한 논의는 서구의 심신관계론을 중국화했다는 점, 전통 지행합일론의 함의를 세밀하게 재규정하고 비판적으로 계승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다만 지나친 주지주의적 경향으로 인해 행의 의미가 지나치게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되었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He Lin’s new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irst, I analyzes which Western Philosophies He Lin’s theory absorbed to make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ew.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at He Lin defined the concepts of knowing(知) and doing(行) with conscious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his so-called doctrine of the natural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applied Spinoza’s parallelism to re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allowed the research results on Western philosophies to be absorbed into China’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lso, borrowing psychological terms, ‘explicit (顯)’ and ‘implicit (隱)’, he divided the levels of knowing and doing into two. He also says that the concept of knowing in doctrine of the axiological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cluding China’s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the union of clear consciousness and unclear behavior’ and the concept of doing can be defined more strictly with ‘the union of clear behavior and unclear consciousness.’ Also, it has been found that since He Lin did absorb Spinoza’s parallelism, he could make clear the generation of Knowing and doing was non-simultaneous in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Next, based on his own theory, He Lin analyzed which aspects were stressed in Wang Yangming and Zhu Xi’s theories of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nd examined which points were rather distorted or criticized to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He Lin and Wang Yangming were similar in that they both stressed the balance of knowledge and action in relation to the principles of education, they talked about the intrinsic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they thought knowing and doing were two aspects of a single process. But they were also different because Wang Yangming stressed mutually tolerant 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nd the importance of action, while He Lin emphasized clear conceptual division of knowledge and ac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lso, He Lin and Zhu Xi were similar as they strongly tended to be intellectualistic, but they were different, too, because He Lin constantly stressed the initiative of knowledge but Zhu Xi emphasized action as well as knowledge. Discussion over He Lin’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above is regarded significant in that it made the Western theori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body into Chinese’ and redefined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precisely and transmitted it critically. Yet, it is sorry that his excessive intellectualistic tendencies made the meaning of action something minor.

      • KCI등재

        주자(朱子)와 양명(陽明)의 ‘지(知)와 행(行)’에 관한 2019년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정확성

        문성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2

        주자와 양명의 ‘지(知)와 행(行)’에 관한 견해는 주자, 양명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이다. 그래서 고등학생들이 공부하는 검정 “윤리와 사상” 대부분의 교과서가 이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9년 현재 고3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중 천재교육 교과서는 “주희의 지행병진과 달리 양명은 지행합일을 강조하였다.”라고 하여 주자의 지행병진과 양명의 지행합일을 완전히 대조시켜 기술하고 있다. 지학사와 교학사 교과서는 지행병진과 지행합일을 각각 주자와 양명의 입장으로 비교하여 기술하고 있다. 2019년 현재 고2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중 교학사 교과서는 지행병진과 지행합일을 각각 주자와 양명의 입장으로 비교하고 있고, 미래엔, 비상교육 교과서도 지행병진은 주자에만, 양명은 지행합일만 기술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학교 현장의 많은 학생들이 양명은 ‘지행병진이 아닌 지행합일’을 주장한 것으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양명은 “전습록”의 여러 부분에서 ‘지행병진’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행병진’은 ‘지와 행’에 관한 양명의 핵심 입장인 것이다. 조속한 시일 내에 교과서 관련 부분의 수정이 이루어져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정확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view of Chu Hsi and Yang-ming on ‘Knowledge(知) and Action(行)’ is one of their core thoughts. This is the reason that most of the authorized high school textbooks, “Ethics and Thoughts”, deal with this subject. The textbook published by Chunjae Education Inc., under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which is studied by current high school seniors in 2019, provides a completely contrasting description of Knowledge and Action of Chu Hsi and Yang-ming by defining “unlike Chu Hsi saying knowledge and action always require each other, Yang-ming emphasiz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 textbooks published by Jihak Publishing Co., Ltd. and Kyohak Publishing Co., Ltd. don’t provide a marked contrast similar to the Chunjae Education textbook, but they give a comparative description of the parallelism of knowledge and action an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the views of Chu Hsi and Yang-ming respectively. The Kyohak textbook, under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currently studied by high school juniors in 2019, compares the parallelism of knowledge and action as the view of Chu Hsi an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the view of Yang-ming. The textbooks published by Mirae-n Co., Ltd. and Visang also give the description of the parallelism of knowledge and action only under Chu Hsi, while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described only under Yang-ming. This leads many students to misunderstand that Yang-min insisted ‘not the parallelism of knowledge and action but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However, Yang-ming highlighted ‘the parallelism of knowledge and action’ in several parts of “Chuanxilu”. ‘The parallelism of knowledge and action’ is the core opinion of Yang-ming. Relevant parts in the textbooks should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accurate knowledge through their textbooks.

      • KCI등재

        从西方现代实践哲学视角观王阳明“知行合一”的本质和意义

        李??(Li, Hong-jun)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1

        지행관계문제는 중국고대로부터 철학자들이 보편적으로 관심 가졌던 기본범주이다. 왕양명도 “지” “행”을 자신 학문의 중요 범주로 삼았다. 왕양명의 지행관에 대하여 비록 학계에서 많은 담론이 있었고 또한 전문적으로 왕양명의 실천철학을 주제로 한 연구성과가 있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공간을 남겨두고 있다. 본 논문은 서양 현대 실천철학적 시각에서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의 내재적 본질과 현대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왕양명의 지행관은 당시 “言行不一”, “知行脫節”의 시폐를 해결하고자 제기하였다. 왕양명의 “지행합일”의 내재적 본질을 한마디로 개괄하면, “내외합일”, “지행합일”, “주객합일”, “체용합일”의 양지본체의 “발” “용”이라고 하겠다. 서양 현대 실천철학적 시각에서 왕양명의 “지행합일” 현대적 의미를 세개 방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의 제기는 중국 명대에 이미 서양 현대 실천철학적 사고를 하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에는 현대 인류가 추구하는 “자유”에 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셋째,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은 제4차산업혁명이 동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s one of the basic issues that have been widely concerned by philosophers since ancient times. Wang Yangming is no exception. He regards it as an important category of his own learning. There are a lot of discussions about Wang Yangming’s “view of knowledge and action” in the academic world, as well as the research results on Wang Yangming’s practical philosophy, but there are still some unsatisfactory aspects. This paper investigates Wang 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in order to grasp the internal essence and significance of Wang 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rom the macro perspective. Wang Yangming’s concept of knowing and doing was put forward to solve the problems of “words and deeds are different” and “knowing and doing are disjointed” at that time. The inherent nature of Wang 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n be summarized as: it is “the unity of inside and outside”,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the unity of body and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Wang 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lready had similar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thinking in the Ming dynasty. It possesses “freedom” component of modern pursuit and the wisdom of effectively cop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후보

        『傳習綠』에 나타난 陽明의 易學觀

        林炳學(Lim Byeong-ha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9

        본 論文은 『傳習綠』에 나타난 陽明의 易學觀을 고찰하였다. 양명은 『周易』의 학문적 논리체계를 자신의 心學의 학문체계 안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이론체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易學的 사유방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논증하고 있다. 먼저 『周易』은 聖人에 의해 저작된 經典이며, 『周易』을 지은 목적은 天理를 보존하고 人欲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聖人이 지은 『周易』은 바로 자신의 心體를 밝히고 있기 때문에 聖學의 학문은 經典의 문구에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經典을 통해 밝히고자한 성인의 뜻을 자신의 마음과 일체화시켜 자신의 心體를 自得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양명이 良知와 知行合一을 설명하면서 『周易』의 용어와 개념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良知를 설명하면서, 繫辭下篇 제7장을 인용하여 良知의 ‘隨時變易性’을 설명하고, 重天乾卦( )의 乾元을 良知의 본체로 규정하였고, 良知의 궁극적 경지를 繫辭下篇 제5장에서 밝힌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염려하는가’(何思何慮)로 설명하고 있으며, 양지의 體用에 있어서는 繫辭上篇 제10장의 ‘寂然不動’과 ‘感而遂通’을 인용하고 있다. 또 知行合一을 설명하면서는 山天大畜卦( ) 大象辭를 인용하여 옛사람의 말과 행위를 많이 아는 것이 덕을 기르는 것으로 知行合一의 공부라고 하였으며, 知行合一은 곧 學行合一로 「說卦」에서 밝힌 ‘이치를 궁구하여 본성을 다 실현하여 천명에 이른다.’는 것을 여러 곳에서 인용하면서, 이것이 바로 知行合一의 경지임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양명의 易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라 할 수 있는 ‘蓍龜와 易’에서는 蓍草와 거북이 모두 易道를 표상하고 있다고 하여, 朱子와는 다르게 易學의 학문체계에 대하여 밝히고 있다. 이는 漢代 이후 象數易學과 義理易學으로 나누어진 두 갈래의 易學이 모두 자신의 心學의 학문체계에서 하나로 귀일됨을 밝힌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d on The Ch’uanhsilu(傳習綠) appeared Yangming’s view of the Book of Changes. Yangming logical scheme of the Book of Changes, the academic study of their acceptance into the system,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ir way of thinking through the Book of Changes are concrete demonstrations. First, the Book of Changes is authored by an Sage. Purpose built to the Book of Changes Justice(天理) to preserve that was intended to remove Desire(人欲). The understanding of an Sage are awaken your mind Mind body(心體). The contents of the key Conscience(良知) to Wang-Yangming’s and the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is described. The Book of Changes has been cited as a key information. The the second volume of Xici(繫辭) is describing Conscience(良知) quotes. Illustrate the ‘Variation of time(隨時變易性)’ of Conscience. Qianyuan(乾元) of Drawer Qian(重天乾卦) was The Noumenon of Conscience. The Science in action(學行合一) was the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Read all the documents(?究) principle to realize the nature of it leads to Destiny(天命)’ was quoted in several places. This is a state of the Knowledge and Action says. And Hetu-Luoshu(河圖洛書) symbolized the god(神), the dunce(蓍), the tortoise(龜), the number(數) etc. in the Book of Changes. There are the Providence of Hetu-Luoshu and Hexagrams(卦爻)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Book of Changes. Namely, The study of the Book of Changes divide Yi-li-I(義理易) and Hsiang-shu-I(象數易). Wang-Yangmin has integrated these two. New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Changes is Wang-Yangming’s interpretation.

      • KCI등재

        知行合一의 관점에서 본 왕양명의 심 본체론

        박길수(朴吉洙)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5

        이 글은 왕양명의 지행합일 사상과 심 본체론의 관계를 다룬 것이다. 본론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지행합일 사상을 다룬 부분에서는 그것의 시대적 · 사상적 배경과 주요 내용 및 특징을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행이 통합되었을 때 지(知)의 본질과 특징이 어떻게 전환되는지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그리고 심 본체론을 서술한 부분에서는 지행합일의 전제 아래 심신의 다양한 기능과 속성들에 대한 왕양명의 견해들, 곧 지향성, 감각, 지각, 그리고 양지 등에 대한 견해들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그가 제시한 지(知)의 본질과 특징이 체화된 인지, 실천지, 그리고 자기지를 가리킨다는 점을 해명하였다. 왕양명이 이처럼 지행합일 사상을 최종적으로 치양지라는 체용일원의 본체로 발전시킨 까닭은 심성론의 관점에서 본체와 공부를 근본적으로 통일하여 지행이 이원화될 수 있는 가능성과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entering on elucidating the relation between ‘Knowing and Action is One’ and ‘Original Mind’ theory in WangYangMing’s philosophy. The body part is consisted of two main contents. the first part is described as the ma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about the contemporary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Knowing and Action is One’ theory. Here author try to how knowing’s nature and characteristic change in detail when knowing and action are integrated into one. The next part is about WangYangMing’s ‘Original Substance’ theory. He discussed about the correlation of mind-body, and presented various views about mind-heart‘s original substance and functions, namely sense, feeling, perception, intentionality, Liang-Zhi(the innate moral sense) and Liang-Neng(the innate moral action ability) on the basis of the single unity of knowing and action. Through this course, he explained knowing as a sort of embodied recognition, or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to this, the true reason he presented ‘the mind’s substance and function originally has one source’ argument, and at the same time explained the unity of knowing and action with that, is to emphasize on acquiring the self-knowledge in the course of study, and further fundamentally to dissolve the separability of knowing and action.

      • KCI등재후보

        由北宋儒家天人合一看環境倫理困境

        蘇子媖,(Tzu‐,Ying Su, 소자영),번역: 최진규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20 No.-

        북송유학자 장재(張載), 명도(明道), 이천(伊川)은 학설전환기에서 유가사상의 계승자 및 전개자이며, 당대 환경보호 문제의 해결에 응용하는 것으로, 북송유학자의 "천인합일(天人合一)" 관점과 그 외에 "천인불합일(天人不合一)" 학자의 관점의 차이점이 돌출적으로 나타나며, 이 두 개의 다른 해결책은 각자 직면해야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전통유가 의 "인간을 천지(天地)와 서로 합 한 부분으로 보는" 학자의 당면한 환경보호 문제의 해결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이미 천인합일을 했기 때문에, 어떤 환경보호라도 우리가 지금 할 수 없으니, “지행분리(知行分離)”의 문제가 있는가, 없는가? 그 외에 "인간을 천지와 서로 합한다고 보지 않는" 학자에게 나타나는 해결해야 할 문제는, 인간을 자연 밖에서 분리된 종으로, 인간이 어떻게 학습하며 자연과 서로 기거하는가, 자연과 어떻게 화해관계를 건립하는가, 일방적 소망의 망상에 빠지지 않을까? 이와 같이 두 개의 관점은 소통할 방법이 없는 관점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자연지천(自然之天)"과 "도덕천(道德天)"에 대한 유가내부에 유래한 전적(典籍)의 구분은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 중 "일(一)"의 정의(定義)는 이 둘의 문제해결을 위해 하나로 조화시키려 하면서 반복적으로 넘나든다. 아울러 또 나아가, 유가 학자는 전통적 사명을 잇는 동시에 당면한 환경보호의 의제를 또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北宋儒者張載、明道、伊川就學說轉換上是儒家思想的繼承與 開展者,應用於當代環境保護問題的解決上,突顯出北宋儒者「 天人合一」的觀點與另外「天人不合一」學者觀點上的分歧,而出 現兩種不同解決所需面對的困境。傳統儒家「把人看做與天地相 合的一份子」的學者,其表現出來在面對環境保護問題的解決困 境為:既然天人合一,為何環境保護我們現今做不到,是否有「 知行分離」的問題?另有「不將人視為與天地相合」的學者表現出 來的解決困境為:人作為自然之外的類別,人如何學習與自然 相處?與自然建立和諧關係?是否會落入一廂情願的妄想。 如此兩個看似無法溝通的觀點,卻可以藉由儒家內部對於「自然 天」與「道德天」的區分,與天人合一思想中「一」的定義,回過頭 來把這兩個解決困境做一個調合。並更進一步說明儒家學者在 承接傳統使命的同時,面對環境保護議題還能如何做。 We have two positions with regard to our relationship with Nature. Either we are an integral part of Nature or we are separated. They post for us the dilemma that while we recognize our unity with nature but could not protect our environment as it implies. Is there a separation of knowing and doing, so that we fail? Is it just idealistic to establish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 We seem to have a dilemma of living harmoniously and flourishing with nature. The heir of Confucianism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holists, shares a universal holistic view of man and Nature. In contrast to those claiming the separation of human species from all other living thinks, the separatists, Song Confucians provide an argument and justification for the unity and distinction of human being with Nature. The Song Confucians draw the distinction between the Heaven (kingdom) of Nature and the Heaven (kingdom) of Morality and the defining feature of unity in the thesis of unity of man and nature. The two intermingled into one when it come to our praxis in real live situations. It provides the key for the solution of our dilemma. In this paper, I would draw some further implications on how we could make better solutions and actions for the present day environmental issues.

      • 鄭霞谷對陽明 「知行合一」 說的理解

        林月惠 한국양명학회 2005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조선 유학사 발전에서 양명학은 주자학의 권위에 제한을 받아 전래 초기부터 강력한 배척과 오해를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주자학의 거두 退溪 李滉1501-1571)의 양명 시장 비판은 치명적인 충격을 주었다. 그러나 陽朱陰王의 학술적 환경 속에서 17세기 양명학자 霞谷 鄭齊斗(1649-1736)가 받아들인 양명 사상은 이미 성숙해 있었다. 그는 양명의 주요 사장은 정확히 꿰뚫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의 양명에 대한 이해와 해석은 한국 양명학 이론의 특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본 논문은 陽明의 ‘知行合一’說에 대한 霞谷이 이해를 예로 들면서 退溪의 陽明 ‘知行合一’說 비판과 대비하여 霞谷의 문제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가 어떻게 退溪의 한계를 뛰어넘어 ‘心卽理’라는 본체론에서 직접 陽明의 ‘知行合一’說을 했는지, 또 ‘良知’와 ‘知識’ ‘知覺’에 대한 명확한 분석, ‘良知良能’의 해명, ‘體用-源’觀의 활용 측면에서 그의 사상의 義理의 깊이를 드러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아리스토텔레스 지행론의 교육학적 해석

        김혜영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20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기초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지행론을 교육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지행합일에 이르는 교육의 과정과 지행합일의 개념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드러내고, 그것이 도덕 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행합일로 나아가는 마음의 발달 단계를 성품의 덕과 지성의 덕으로 구분한다. 성품의 덕은 전통에 참여하여 훌륭한 본을 모방하고, 그것을 습관화하여 길러지는 것으로 이는 이성에 순응하도록 하는 과정이자 이성을 인식하기 위한 입문의 과정이다. 지성을 위한 교육은 변화하는 현상 이면의 단일성의 원리인 ‘형상’을 보도록 하는 일이며, 정교한 사고가 가능하도록 이성을 도야하는 일이다. 이성은 그동안 관례적으로 행하고 있던 행위의 진정한 의미를 되돌아보는 일을 통하여 전통과 관례 안에 표현된 삶의 원리이자 우리의 삶이 조회되어야 하는 궁극적인 기준을 드러낸다. 인간이 가진 고유한 기능인 이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일, 곧 ‘덕’이란 이러한 삶의 원리를 인식하고, 그것이 곧 진정한 자기 자신임을 깨닫는 일이다. 세계의 궁극적이고 절대적 기준이자 우리 자신의 본바탕에 관한 이해로서의 본체적 지식을 온전히 자신의 마음으로 삼아 그 마음의 자연스러운 실현으로서 올바른 행위가 드러나도록 하는 일이야말로 지식과 행함 사이에 아무런 간극이 없는, 참된 의미의 지행합일이라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지행론은 근본적 의미에서 지행합일에 이르는 교육을 설명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왕양명 지행합일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지행합일의 정당화 논리를 중심으로 -

        선병삼 ( Sun Byeong Sam ) (사)율곡연구원 2024 율곡학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왕양명의 지행합일설을 정통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일목요연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삼아 두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먼저 2장에서는 지행합일설을 제출하는 과정을 추적했다. 왕양명이 37세에 용장에서 심즉리를 깨달은 후에 다음 해 38세에 여전히 적소에 있으면서 지행합일을 제창했다고 『연보』는 밝히고 있다. 그런데 『연보』를 읽어보면, 왕양명이 지행합일을 제창한 어떤 연유에 대한 전후 설명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보』의 기록을 세밀하게 살펴보면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 곧 심즉리설을 지행합일을 가지고 풀어냈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3장에서는 지행합일의 정당화 논리를 살펴보았다. 지와 행이 합일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수긍이 가지만 지와 행 본체(本體: 본래 모습)가 합일되어 있다는 왕양명의 주장은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 따라서 지행합일을 비판하는 전형적인 입장을 ‘알아도 안 한다’와 ‘알아야 한다’는 두 명제로 정리하고, 왕양명이 어떻게 자신의 지행합일을 정당화 하는지 살펴보았다. This paper addresses two main topics as a primary objective to provide clear guidance to readers who wish to thoroughly understand Wang Yangming's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oncept. First, in Chapter 2, the process of presenting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traced. It is revealed in the historical records that Wang Yangming expound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while still in Longchang at the age of 38, the year after he awakened to Xin-Ji-Li(sincerity in his heart) at the age of 37. However, although the historical records do not provide any explicit explanation for the reason Wang Yangming present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reveals clues. Consequently, it becomes possible to interpret that Wang Yangming expound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based on his theory of Xin-Ji-Li.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justification logic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While the suggestion for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seems reasonable,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claim that knowledge and action are originally united, as argued by Wang Yang-ming. Therefore, we summarized the typical stance critiquing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two propositions: 'even if you know it, it is not necessary for you to do it’ and after knowing it, and then you can do it,’ and looked into how Wang Yang-ming justifies his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