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지동천” 이념의 19세기적 전개와 우복동 설화의 성립

        김용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1 No.-

        이 글은 속리산 속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복지동천 우복동에 관계된 설화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복동에 관계된 설화는 19세기 들어 별안간 출현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을 무려 한 세기 이상 휩쓸었다. 19세기 당시 실제로 서울부터 청주, 충주, 상주까지 이르는 중부 지역에서는 우복동을 찾아서 복락을 누리려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우복동이란 어떤 곳이며 찾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서적까지 지어질 정도였다. 현재까지도 속리산 일대에는 여기가 진짜 우복동이라고 주장하는 장소들이 여러 곳 있다. 이 글에서는 그중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동 일대가 실제 우복동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기로 한다. 먼저 18세기까지 이 일대는 불교와 유교의 영향력이 지배적인 곳이었다. 현재도 상당한 규모의 절터가 남아있다. 18세기 이곳에는 송준길의 후예들이 은거하여 생활하던 곳이었다. 노론의 핵심인물인 송준길과 그의 후예들이 조선 후기 차지하고 있던 지식인으로서의 영향력을 상정할 때 이 일대는 속리산 안팎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송씨 일가가 이곳을 떠나자 용유동은 황폐해지고 만다. 그런 상황에서 19세기 들어 이곳을 중심으로 한 복지동천으로서의 우복동에 대한 이야기가 별안간에 출현한다. 1830년대 충주에 살던 이규경은 그런 현상을 상당히 자세하게 전하는 글을 연달아 짓고 있다. 그에 앞서 정약용은 우복동 같은 허황한 이야기에 속지 말고 공부에 매진하라는 상당히 긴 한시를 짓고 있다. 두 사람이 당대 지식계에서 가지고 있던 위상으로 보았을 때 당시 우복동 현상이 아주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정약용과 이규경의 기록을 중심으로 우복동에 관계된 설화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19세기 당시 왕조의 몰락을 앞두고 횡행하던 복지동천 이념과 개벽 이념이 우복동 설화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우복동 설화는 당대인들이 단순한 설화가 아닌 사실이라고 믿고 있었기에 특별히 중요하다.

      • KCI우수등재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II)

        김순배(Sun-Bae Kim)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5

        지명의 의미와 변천은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이 소유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비중립적으로 개명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명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과정과 우리나라 지명의 차자 표기 전통을 고려하여, ‘俗離山(속리산)’과 ‘牛腹洞(우복동)’ 지명의 원초 지명으로 추정되는 ‘<SUP>*</SUP>송이산’과 ‘<SUP>*</SUP>소굿골·<SUP>*</SUP>소눈골·<SUP>*</SUP>소복골’ 등이 불교 및 풍수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과정을 거쳐 각각 불교 지명과 풍수 지명으로 음차 및 훈차 표기되어 기호화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속리산과 우복동 주변에 분포하는 주요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들은 대체로 순수한 고유지명 형태를 유지해 오거나, 혹은 고유 지명이 시대별로 유입해 온 다양한 사회 및 문화 집단들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천되기도 하였다. 특히 속리산과 우복동 지명은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과정의 궤적 속에서 변천되어 왔다. 즉 553년 법주사의 입지 이후 ‘속리산’ 지명은 불교도들에 의해 탈속적이고 불교적인 의미를 지닌 표기로 변용되었고, ‘우복동’ 지명은 조선 후기 풍수 도참사상의 영향과 풍수 지식인들의 형국론에 의해 풍수적으로 변천되었다. The meaning and transformation of place name could be biasedly renamed by certain ideology which social subjects hold.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transforming processes as ideological signs through from pure Korean names of ‘<SUP>*</SUP>Songnisan’ and ‘<SUP>*</SUP>Sogut-gol · <SUP>*</SUP>Sonun-gol · <SUP>*</SUP>Sobok-gol’ to ‘俗離山 Songnisan’ and ‘牛腹洞 Ubokdong’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of similar sounds and meanings. As a result of my research, main physical and human place names located around Sonisan and Ubokdong have not only maintained the original toponymic form as a pure Korean style, but also been transformed to various names through the processes of ideological signification by social groups from diverse dominant cultures. In particular, place names, Songnisan and Ubokdong have been ever changed through the ideological signification. In the final analysis, ‘Songnisan’ had been transformed to a Buddhist place name by Buddhists after Buddhist temple, Beopjusa was established in A.D. 553, and Ubokdong had also been renamed to a Fengshui place name influenced by geomancy and geomanc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속리산권역 우복동 이상향의 문화사적 의의와 한계

        소병철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3

        The aim of this essay is to clarify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limit of the legend of Ubok-dong, an utopian village in Mt. Songnisan region which has been of popular interest since the mid-Choseon period. Ubok-dong has been recorded and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traditional forestal utopia along with Cheonghak-dong in Mt. Jirisan. Most of the old documents tend to idealistically signalize the images of the optimal ‘refuge’ and ‘fertile land’ which Ubok-dong shares with Cheonghak-dong. According to them, Ubok-dong seems to have been widely known as a ‘hidden fertile land without any disturbing worldly affairs’ to the intellectuals and the masses of the Choseon period just like Cheonghak-dong. In short, Ubok-dong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n earthly paradise of peace and richness with the deeply hidden geographical position and the ideal agricultural condition. But for a few reasons we cannot believe that Ubok-dong as such an ideal forestal settlement has ever really existed somewhere in Mt. Songnisan region. Therefore, Ubok-dong utopia viewed from a cultural-historical perspective has both a positive significance that it was the only ‘emancipating land’ of which the helpless masses of the Choseon period could dream and a negative limit that it was nevertheless a merely ‘fantastic’ one. So I think that the rural villages in Mt. Songnisan region called ‘Ubok-dong’ should make a progressive effort to sublate the current regressive ‘legend marketing’ and transform themselves into the literally ‘paradisiacal’ communities of peace and richness in order to recover their lost utopian aura. And their inhabitants should determine jointly and carefully what ethical,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and common goods they must embody in their communities, and what sort of sense of belonging and self-identity they want to have in common. 이 글의 목적은 조선 시대 중기부터 미지의 樂土를 찾던 뭇사람의 입에 오르내린 속리산권역 牛腹洞 이상향의 문화사적 의의와 한계를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속리산권역 우복동은 지리산 靑鶴洞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 전통 이상향인 洞天福地의 한 전형으로 기록되고 구전되어 왔다. 전승된 기록들은 대부분 우복동이 청학동과 공유하는 ‘도피처’와 ‘옥토’의 이미지를 이상주의적으로 형상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우복동은 청학동처럼 당대의 지식인과 민중에게 ‘세상의 소란을 피하여 숨어살기 좋은 기름진 땅’으로 널리 알려졌던 것 같다. 요컨대 우복동은 삼재가 들지 못할 天藏地秘의 지형적 입지조건과 이상적 농경조건을 갖춘 避亂保身과 풍요의 낙토로 여겨졌던 것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그러한 이상향으로서의 우복동이 역사적으로 실재했다고 믿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복동 이상향은 무력한 조선 시대의 민중이 꿈꿀 수 있었던 유일의 ‘해방지’였다는 의의와, 그럼에도 그것은 엄연히 ‘환상적’ 해방지였다는 한계를 동시에 갖는다. 그렇다면 예부터 ‘우복동 자리’로 알려진 속리산권역 산간 마을들은 지금까지의 퇴행적 ‘전설 마케팅’을 지양하여 그곳을 명실상부한 평화와 풍요의 삶터로 탈바꿈시키려는 전향적 노력을 기울일 때에만 잃어버린 유토피아적 아우라를 되찾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을에 어떤 윤리적ㆍ미적ㆍ문화적 가치와 공동선을 구현할 것이며 어떤 종류의 소속감과 정체감을 나누어 가질지에 관하여 주민들은 서로 간에 진지한 고민들을 나누며 공동의 대응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東亞細亞의 理想鄕 武陵桃源

        金相洪 동아시아고대학회 2006 동아시아고대학 Vol.14 No.-

        This treatise investigates on the view of ideal space in the East-asia by analysing every period's poems in Chinese of China, Korea and Japan. All the East asian people in China, Korea and Japan have thought that Mureungdowon(武陵桃源) which appeared first time in Dohwawongi(桃花源記) by Do, Yeun Myung(陶淵明) is utopia itself. At last they believed Mureungdowon really exists somewhere in this world and aspire to reach at. The view of Mureungdowon in the 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two as like, ① the spiritual utopia where the Taoist hermits live ② the ideal space where the people who had escaped from the tyranny of the first Emperor of Chin empire are living still. The literati of Korea and Japan who couldn't step in Mureungdowon in China had discovered another utopias similar with Dohwawon(桃花源) in their own country like Chunhak valley(靑鶴洞), Bongnae mountain(蓬萊山), Ubock valley(牛腹洞), Sodongchun(小洞天). The reasons why Mureungdowon could be the utopia of the East asian transcending the time and the space can be explained as like ① human can not reach to Heaven during lifetime ② so they regarded Mureungdowon which can be reached in lifetime as the paradisiacal land, settling it the second best ③ but lastly anyone couldn't find the place ④ at the result of it, they described it in the form of poet or painted it instead of finding it in the real world. Consequently, Mureungdowon could be the everlasting utopia in the heart of the East asian. Repeatedly, the East asia people who had endured innumerous troubles ① had not the power to change their destiny ② but couldn't die simply ③ had amused theirselves aspiring Mureungdowon as an utopia. The Mureungdowon that Do, Yeun Myung described as the best ideal place in the world, though it was not the real, was the ideal space in the dream gave the amusement and the hope to the life and thought of the East asia peopl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풍수적 장소의 사회적 구성

        권선정(Seonjeong Kwon)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6

        본고에서는 장소의 사회적 구성 차원에서 지리산 청학동, 가야산 만수동과 함께 동천, 복지, 길지, 승지 등으로 널리 알려져 온 속리산 우복동을 사례로 그것이 풍수적 장소로 의미 구성되는 과정을 탐색해 보았다. 우복동이 풍수적 장소로 의미 구성되는 과정과 관련해 두 가지 장소화·탈장소화 과정에 주목하였다. 먼저 조선중기 이후부터 지식엘리트나 낙향한 권력엘리트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동천, 복지, 구곡 등 동양적 이상향으로서 우복동의 장소 의미 구성이다. 다음으로 18세기말에서 19세기를 거치며 기존에 지식엘리트들에 의해 구성된 동양적 이상향으로서 우복동이 풍수적 장소로 탈장소화되는 과정이다. 이것은 기존의 사회 지배층과 대비되는 일반 백성들의 길지 낙토에 대한 관념이나 조선후기 정상화되는 명당풍수가 투영된 ‘현실적 이상향’이자 풍수 명당으로서 우복동이 새롭게 장소화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have explore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eaning as a fengshui place in the case of Ubokdong in Songnisan which has been famous for the oriental utopia and the traditional ideal place like ‘dongcheon’, ‘bokji’, ‘gugok’ with Cheonghakdong in Jilisan and Mansudong in Gayas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place. In regards to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Ubokdong as a fengshui place, I focused on two stages of Ubokdong’s becoming places. First stage wa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Ubokdong as the oriental ideal place which was led by knowledge elites since the mid Joseon Dynasty. Next was just substitution process which Ubokdong as an oriental ideal place had become a fengshui place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rough the 19th century. Ubokdong as a fengshui place is a ‘realistic utopia’ projected with the idea of the long-reaching chaos and wish of ordinary people compared with the existing social ruling class. Fengshui as a cultural code had been involved in such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