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한국유학사상(韓國儒學思想)에서 법문화(法文化)의 일단(一端)

        송영현 ( Young Hyun S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한국의 유학사상은 다양한 영역에서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는 법적인 측면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유학사상과 법의 연관성을 떠올릴 때 우리는 전통적 법문화를 헤아려야 한다. 법문화를 법이념의 집합체로 상정해 우리의 유학사상에서 살피는 새로운 의미에서의 가치론적 태도는 유학에서의 인간존중 사상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고귀한 인간을 자명한 원리로 받아들인 인간존중 사상의 발현은 제도적 장치로 구현되기 이전에 인간이 스스로를 수기(修己)하는 타자에 대한 배려의 덕목이었다. 흔히들 현대 한국 사회가 보유한 구조적 문제점과 그로 말미암은 다양한 부작용을 찾아내면서 그 원인 가운데 하나로 서구사회가 경험했던 오랜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지 못한 점을 꼽곤 한다. 그리고 이를 지금의 시점으로 환치시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계화의 시대에서 빚어지는 현재의 문제점으로도 대입해 논의를 이어나가기도 한다. 이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유학사상의 힘을 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 법의 이념 속에 내재한 인간존중 사상은 그 무엇보다 유학의 기초였고, 인간을 바라보는 다채로운 사상의 일단은 유학의 토대가 되는 것이었다. 이렇듯 유학에서 민본(民本)과 위민(爲民)의 전통은 새롭게 조선시대에 이르러 싹을 틔운다. 조선은 외래 학문인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아 조선성리학으로 토착화하는데 성공했고, 그 사상적 토대 위에서 조선의 고유문화를 창출했다. 선성(善性)을 천부로 이르고, 인간을 귀히 여기며 존중하는 사상적 기초는 또 다른 면에서 평등정신의 토대가 된다. 법은 평등을 전제하며 한 사회와 개인을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실천을 촉진시키는 구조의 일부이다. 따라서 법에 내재한 법 정신, 그리고 그것이 발현되는 법문화의 체계와 함께 어우러져야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유학사상에서의 공동체의 조화를 이끄는 공동체 지향성은 바로 개별적 인간을 바탕에 두고 이 세상을 다함께 만든다는 맥락에서, 유학사상의 한 논점은 규범으로서 도덕의 출발점을 찾고 도덕의 확대된 형태로서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는 법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개별적 존재로서 한 사람만이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따라야 하는 것으로, 그로부터 한 사회의 법문화가 형성된다고 할 때 우리의 전통 유학사상에서 찾는 법의식의 발현으로 빚어지는 법문화는 의외로 현대인들에게도 크나 큰 시사점을 줄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의 법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을 설정해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중심이 되어 하늘의 길과 인간의 길이 같다는 유학적 견해는 법의 실천적 다스림의 모습을 상정할 때 나타나는 민본의 정신을 띠게 되는데 이 또한 인간존중 사상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셈이다. 수많은 고난 속에서도 결코 인간의 귀중함을 생각하는 마음을 잃지 않았던 우리 겨레는 평범한 백성일지라도 민본사상의 범주 내에서 생각했다. 도덕과 인의를 원리로 삼은 유학사상은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평등사상을 축조시키는 자양분이 되는데, 이를 법문화의 단초로 보아 사상과 제도의 괴리 없는 실천력을 확보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유학사상은 규범적인 의미에서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법의 하나로 황금률을 중시했고, 현실의 암울한 처지와 굴절된 상황은 오히려 인간적인 면을 강조하게 만들었다. 법 정립에서도 그 밑바탕에는 인간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렇듯 우리의 의식 속에 배양되어 쌓아올린 법문화 또한 인간존중과 평등을 덕목으로 삼은 유학사상에 크게 힘입게 되는 것이다. Once thinking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Confucius philosophy and Law, we should consider traditional legal culture. Assuming the legal culture as an assembly of ideologies of law, we could find the new axiological attitude in our Confucius philosophy which was stemmed from Confucius` human dignity thought. The manifestation of human dignity thought which respects all man was virtue of consideration on others who disciplines his own mind and body before it was materialized by institutional strategies. Frequently, people regard the reason of Korean society`s structural problems along with various other side effects originated from that as the lack of enough time of Modernization which Western societies have experienced. Also, they interchange that with the present globalized world where changes are prevail and then keep proceeding there discussion. We could get Confucius philosophy as a solu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humanistic ideology being inherent in the ideology of law was the basic idea of Confucius philosophy and the first step of seeing human beings was the foundation of Confucius philosophy. Thus, the tradition of “people centered idea” that think people should be the first and foremost and the idea that a ruler should serve the people first were newly started in Joseon Dynasty. Joseon Dynasty adopted foreign Neo Confucianism as heritage of its nation and succeeds to naturalizing Joseon Confucianism. Also, on the basis of that, it created Joseon Dynasty`s native culture. The foundation of ideology claiming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respecting humans is also ground of equality in other aspects. The law premises equality and it is part of promoting actions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protecting one society and individual. Therefore, it can only achieve true meaning in case of harmonizing together with the spirit of law annotated in law itself and system of legal culture where the spirit of law appeared. In Confucius ideology, directivity of community leading the harmony between communities is founded on individual persons. In the context of creating the world together, Confucius` point can find the starting point and understand the law as a method of protecting society with shape of enlarged form of ethics. If the society`s legal culture where people admits the law as not only one individual should follows but also every human beings should follow altogether was created, legal culture shaped by manifestation of our traditional Confucius philosophy would imply valuable suggestions to contemporary people. This is because it could set the directions where the modern law should aimed at. The Confucius view which focused on humans and considers God`s way and human`s way are both same stands out the characteristic of “people oriented idea” which usually appeared in time of supposing politics as same as law`s practical governance. This also shows humanistic ideology. Korean ethnicity who never lost the mind of valuing human`s dignity thought in the scope of people oriented idea regardless of they were just mere people.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re the slavery still existed, the Confucius philosophy which is thorough on the ethics and the principle of phosphoric raised the idea of equality. This could be seen as an initial point that establishes power of execution without any disjunction between ideology and system. The Confucius philosophy consider the golden rule as important to guarantee human`s right and it made the society even put an emphasis on humanitarian aspect even in the dark circumstances. It is human who is seated in the foundation of establishment of the law. Thus, our legal culture was cultivated and developed by our consciousness also was greatly influenced by Confucius philosophy which puts high value on human dignity and equality.

      • KCI등재

        탈인간중심적 법학의 가능성

        양천수(Chun-Soo Y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6

        현대사회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은 법학에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말할 수 있다. 첫째,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규제영역이 등장한다. 둘째, 과학기술은 기존의 법학이나 법체계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고방식을 던져준다. 이러한 새로운 사고방식은 한편으로는 기존의 법체계와 충돌해 규제갈등을 야기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기존의 법체계에 수용되어 법체계가 새롭게 진화하는 데 기여한다. 이 글은 이러한 새로운 사고방식으로서 ‘탈인간중심적 사상’에 주목한다. 이러한 탈인간중심적 사상은 아직까지 우리 법체계가 바탕으로 삼는 ‘인간중심적 법사상’과는 다른 사고방식을 추구한다. 인간중심적 법사상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법체계를 설계한다. 이 글은 이러한 인간중심적 법사상이 <주체-객체 모델>, 자유의지, 행위중심적 사상, 인간중심적 생명 개념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달리 탈인간중심적 사상은 주체를 확장하여 인간적 주체 대신 체계를 법체계의 중심으로 이해하고, 행위 대신 소통으로 법체계를 설계한다. 또한 자유의지는 허상이라고 비판하고, 인간중심적 생명 개념을 해체한다. 그러면 이러한 탈인간중심적 사상은 법학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 글은 행정법학을 예로 하여 이러한 탈인간 중심적 사상이 행정법학에 어떻게 수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런데 이 글에 따르면, 우리 행정법학은 이미 탈인간중심적 사상을 상당 부분 수용하고 있다. 이 글은 행정법학이 체계 관념과 소통관념을 상당 부분 수용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국가로 대변되는 법인 개념과 행정계획, 권력적 사실행위의 처분성이 이를 잘 예증한다. 물론 여전히 미흡한 부분도 있는데, 이 글은 그 예로서 집단적 권리를 언급한다. 또한 법정책적인 측면에서 체계이론이 강조하는 ‘기능적 분화’를 행정법학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Science technology that has developed greatly in a modern society has become a serious challenge to the law. This can be said in two respects. First, new regulatory region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emerge as scientific technology advances. Second, scientific technology gives us new ways of thinking that the existing law and legal system did not recognize. These new ways of thinking conflict with the exiting legal system, leading to restrictions and conflict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are accommodated by the existing legal system, contributing to the evolution of the legal system. This article addresses post-anthropocentric thought which is one of the new ways of thinking. These post-anthropocentric thought pursues the ways of thinking that are different from ‘anthropocentric thought’ on which our legal system is still based. Anthropocentric legal thought designs the legal system based on humans. This article argues that this anthropocentric legal thought is composed of <subject-object model>, actions-centered thought and anthropocentric life concept. On the contrary, post-anthropocentric thought regards the system, not the human subject, as the center of the legal system, by expanding the human subject. Furthermore, it criticizes that free will is just an illusion, deconstructing anthropocentric life concept. What significances does the post-anthropocentric thought have for administrative law?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ddress how post-anthropocentric thought can be accepted by the administrative law. However, according to this article, our administrative law has already accepted a large portion of the post-anthropocentric thought.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 administrative law accommodates itself to the systems and communications concept. The judicial person concept represented by a state, administrative plans and authoritative factual actions illustrate this well. Of course, there are still inadequate parts, so this article makes a reference to the collective right as an example. In addi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administrative law needs to accept the thesis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emphasized by the systems theory.

      • KCI등재

        법 : 사상과 규범

        이재룡(Lee Jae-Ryong) 한국국학진흥원 2003 국학연구 Vol.3 No.-

        사상은 이론과 실천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사상사는 일관된 의미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만큼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일관된 맥을 지녀야 한다. 법사상은 스스로 형성된 수범자 일반의 공존적 삶의 방식이다. 한국에서의 유교적 법문화의 정착에는 특성이 있다. 교육제도나 형사제도 등에서는 유교적 법사상이 확인되지만 토속적 속성이 강한 행정조직체계나 민사관계 중에는 문화적 특수성이 강하게 배어있다. 그러므로 유교의 보급과 유교적 법사상의 정착을 동일시해서는 안된다. 한국역사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유교적 제도와 사상의 정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만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는 유교적 법사상의 전체가 입체적으로 그려질 수 있다. 유교적 법사상연구를 위한 시대구분에는 학문적 사상적 정착과정과 제도나 생활의례生活儀禮로서 정착과정을 고려하면서 유교적 법제도가 한국의 고유한 법제도에 침투해서 정착되고 있는 정도를 가늠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유교사상의 한국적 토양에의 정착화와 그에 따른 유교적 법제도가 수립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전반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는 총론적인 글이 하나의 장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삼국시대ㆍ고려시대ㆍ조선시대, 그리고 구한말을 적절히 안배해야 할 것이다. 이때 그 기준과 범주를 분명히 해야 한다. The thought connects the theory and the practice. Therefore, the history of thoughts shall bear general and integrated vein to support consistent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Legal thoughts is a way of coexisting life formulated by itself and generalized among the followers. There is a specific character in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legal culture in Korea. Confucian legal thought can be dearly identified in educational system and criminal system, however, in the administration system and civil justice system, where native attribute prevails, the cultural peculiarity plays a significant role. Thus the propag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legal thought should be discriminated. The overview of the Confucian legal thoughts in accordance with the facts of history can be drawn up from all angl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institution and thoughts along with change of the times is sufficiently understood. As for the division of the times for the study, one should consider scientific and ideological, and daily life's ceremonial progress in settlement of the Confucian legal thoughts, when measuring the extent of propagation of the Confucian legal thoughts into the native legal system. A section should be provided solely for describing historical progress of Confucian legal system taking root in Korean native atmosphere.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e Koryo dynasty, Lee dynasty, and later end of Lee dynasty should be adequately proportioned, while the standard and category of the division clearly defined.

      • KCI등재

        한비자의 법치사상에 대한 현대적 고찰

        신주호(Shin, Joo-Ho) 경희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3

        Han Fei Tzu is called as the originator of the School of Law among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rule by law, the rule by strategy, and the rule by power were compiled with the way of ruling characterized as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and pursuing the national prosperity and the military power. The School of Law compiled by Han Fei Tzu was originated from the thought on the social relation. According to him, a human essentially tends to pursue its selfish interest making the public interest swindled if it is left at that and letting the nation thrown into confusion. He preaches the control of the greed of the people and subjects with prize and punishment to establish the nation s stability and order. According to Han Fei Tzu, a human is originally selfish so that the pursuit for personal profit cannot be restricted if it is not controlled by law. Hence, if law is clear, a clever man cannot deprive an unclever man of something, a strong man cannot harass a weak man, and majority cannot suppress minority. Governing by law doesn t make a weak man damaged and can protect minority s right. The fair application of law was emphasized. Legislating the right law takes precedence to enforce the law strictly. Han Fei Tzu uses many people s wisdom since all the ways of the world cannot be known with one person s wisdom. Han Fei Tzu s thought emphasizing the rule by law to achieve the national prosperity and the military power with the reign of peace is useful for the country operation and the organization control. Especially, the emphasis on collecting public opinions, establishing legislation, and enforcing it fairly is the precursor of the modern constitutional thought. Han Fei Tzu lived the unfortunate life of death in prison. However, the Qin Dynasty unified China on the basis of the constitutional thought so that the utility of the rule by law was verified. Han Fei Tzu s strategy on the rule by law has a lot of things not suitable as the ruling technique in the democratic era when the nation is the sovereign. However, the legalist thought emphasized by him has considerably effective contents. There is a room for considering Han Fei Tzu s legal and political thought today. Law is not universal. However, in order to apply it for justice, any personal feelings should be excluded. The equal and fair application is the same in the past and at present. The law disregarding people s livelihood and the mechanical application of law may cause resistance easily. The legal vitality needs to be maintained by steadily reviewing the validity of the law to reflect the state of a period and people s livelihood and by checking the specific validity in the law application process. If the principle of democracy is overemphasized, constitutionalism is neglected. On the contrary, if the formal constitutionalism is overemphasized, democracy may be neglected. The law so called by Han Fei Tzu is different from the law of the modern democracy making the today s nation be the host. The law at that time was the means and method for the ruling of monarch. Hence, if law and strategy are used, the ruling of monarch can become more perfect. Han Fei Tzu tends to be well evaluated in the disorderly modern society in which law is not observed well and law consciousness is rare. The thought of the School of Law presenting the realistic and specific alternative is highlighted once again by providing a lot of wisdom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Han Fei Tzu s legalist thought is noticeable in the sense that the insight for seeing through the other person by considering his thought is learned and that the most realistic and the most fundamental method can be obtained to establish the stable society by criticizing and understanding his thought. 한비자는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사상 중 법가의 창시자로 불린다. 난세에 왕권을 강화하고 부국강병을 추구하는 통치방법으로 법치(法治)와 술치(術治) 세치(勢治)를 집대성하였다. 한비자가 집대성한 법가(法家)는 사회적 관계성에 대한 고찰에서 비롯됐다. 인간에게는 본질적으로 사리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그대로 두면 공익을 편취해 나라가 혼란에 빠질 수 밖에 없다고 봤다. 나라의 안정과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선 상과 벌로 백성과 신하들의 탐욕 을 제어해야 한다고 설파한다. 한비자는 사람이 본래 이기심을 갖고 있어서 법으로 통제하지 않으면 사사로운 이익의 추구를 억제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래서 법이 분명하면 영리한 자가 어리석은 자에게서 빼앗지 못하고, 강한 자가 약한 자를 괴롭히지 못하며, 다수가 소수를 억누르지 못한다. 법으로 다스린다면 약자가 피해를 입을 일이 없고, 소수자의 권리도 보호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법의 공평한 적용도 강조했다. 엄격한 법집행을 위해서는 올바른 법을 제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한비자는 한 사람의 지혜로는 세상일을 다 알 수 없기 때문에 여러 사람의 지혜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부국강병과 태평성대를 이루기 위해 법치를 강조한 한비자의 사상은 지금도 나라운영이나 조직 관리에 유용하다. 특히 여론을 수렴하여 법제를 만들고 이를 공평하게 집행하도록 강조한 점은 현대 법치주의 사상의 원조격이다. 한비자는 옥사하는 불운한 삶을 살았지만 진나라가 법치사상을 바탕으로 중국을 통일하였으니 법치의 효용성이 입증된 셈이다. 한비자의 법술은 제왕의 통치술로써 국민이 주권자인 민주주의 시대에는 어울리지 않은 부분도 많지만 그가 강조한 법치사상은 지금도 유효한 내용이 적지 않다. 한 비자의 법의 정치사상은 오늘날에도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법이 만능이 되어서는 안 되겠지만 정의를 위해서 적용할 때는 어떤 사사로움도 배제되어야 하며, 평등하고 공정하게 적용되어야 하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민생을 외면한 법과 기계적인 법적용은 반발을 불러 오기 쉽다. 시대상황이나 민심을 반영하기 위한 법 자체의 정당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는 동시에 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도 구체적인 타당성을 점검하여 법의 생명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겠다. 민주주의 원리를 과도하게 강조하다보면 법치주의가 무시되고, 반대로 형식적 법치주의를 너무 강조하면 민주주의가 무시될 수 있다. 한비자가 말한 이른바 법이란 것은 오늘의 국민을 주인으로 하는 현대 민주주의의 법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그때의 법이란 군주의 지배를 위한 수단이며 방법인 것이다. 그러니 법과 술을 아울러 사용하면 군주의 지배는 더욱 완벽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법이 잘 지켜지지 않고 법의식이 희박해지는 어지러운 현대 사회에서 한비자는 새로이 높게 평가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법가의 사상은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많은 지혜를 줌으로써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그의 사상을 들여다봄으로써 상대를 꿰뚫을 수 있는 통찰력을 배우게 되며 그의 사상을 비판하고 이해함으로써 안정된 사회를 이룩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며 근본적인 방법을 얻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한비자의 법치사상은 주목할 만한 사상이라 생각된다.

      • 사계 김장생의 법사상과 효사상에 관한 고찰

        김용길 ( Kim¸ Yong-kil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21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7 No.-

        사계 김장생은 송구봉에게서 학문적 바탕과 예학을, 이율곡으로부터 이학과 경세를 배웠고, 여기에 토정의 애민의식과 위민의식, 우계 성혼의 몸가짐을 하나로 융화시켜 일원화하여 자신의 예학과 경학으로 귀결시킴으로써 다양한 학문을 접하고 조선 예학을 완성하였다. 조선조는 16, 7세기에 매우 중요한 변화기를 맞게 되는데, 사상적으로는 사림파에 의하여 주자사상에 대한 학문적 가치를 재발견하여 그 성과를 이루게 된다. 정치와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무오사화(1498), 갑자사화(1504), 기묘사화(1519) 그리고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 인조반정(1623), 이괄의 난(1624),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을 겪었으며, 신진사류들은 새로운 정치세력을 형성함으로써 훈구·척신들을 물리치고 도학정치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사계 김장생(1548-1631)이 생존하였던 당시의 조선은 이처럼 내우외환으로 인하여 정치와 사회의 혼란과 경제적인 궁핍이 가장 극심하였던 시기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시기에 사계 김장생은 율곡학맥의 계승자로서 학문적 사상과 아울러 정치 사회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사계학이라는 뿌리 깊은 전통 학맥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통일법전의 시대를 맞은 조선조에는 기본적으로 대명률을 계수하여 적용하였다. 조선 초기에 입법자들은 법령이란 자연질서와 어그러짐이 없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민심에 합치된 것이라야 바람직하다는 철학적, 사상적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는 유교 국가를 전면적으로 지향하였으며, 통치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유교의 실천원리로서 삼강윤리를 강조하게 되었다. 사계 김장생의 법사상은 공법사상, 사법사상, 사회법사상, 세법사상, 형법사상, 법철학사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법철학사상은 다시 예학사상, 홍범사상, 변법사상, 자연법사상, 향약법사상, 정좌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사계는 전례문답, 상례비요, 가례집람, 의례문해 등 누구든지 늘 마땅히 지켜야 할 관혼상제에 관한 일상의 예제(禮制)를 만들어 널리 보급함으로써 인심을 맑고 바르게 하는 동시에 행동을 바르게 하여 국가의 기강은 물론 사회질서가 잘 유지되도록 하는 공법사상을 주창, 실행하였다. 특히 공사(公私)의 구별을 엄하게 하여 사의(私意)와 요행을 막도록 하고 탐욕을 가진 민심을 맑게 하여 이기심을 바로 잡을 것 등을 밝혔다. 이러한 사계의 애민(愛民), 위민(爲民)의 법사상은 그의 문집 도처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약자를 위해서 폐막(弊瘼)과 폐법을 과감히 정리해야 한다고도 하였다. 한편 사계의 효사상은 도덕적 의미의 구현과 선구자적 교화의식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고 하겠다. 조선의 예학자들은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다는 것은 그 고유한 본성을 잃지 않음에 있으며, 본성을 행하는 것이 예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가정의 가례와 일상생활에서의 각종 동작의 예행으로 부자자효와 형제자매 사이의 돈목의 도모는 물론 수기를 통해서 학문과 예행으로 신독 수양을 강화하였다. 부자지간과 사제지간에 자효(慈孝)와 경애를 넘어서 상호 상장의 관계를 이루어 서로 지기할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한다면 이는 가장 바람직한 인간관계인데, 김장생은 생애를 통하여 진정한 부자자효(父慈子孝)의 모습을 보이면서도, 이를 넘어 부자(父慈)의 새로운 전향을 보여주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나라를 통치하고 국민들을 위한 정치를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법률과 윤리가 상호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Sagye Kim Jangsaeng came across various disciplines and completed the Chosun Ritual Theor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of Chosun Dynasty was underwent a great change, and ideologically rediscovered the academic value beyond the Zhu Xi theory and got achievements. In terms of politics and society, he experienced Chosun-Japan War, Chosun-Qing War and a massacre of scholars, and Shinjin Saryu tried to introduce ethical politics by forming new political forces. The time Sagye Kim Jangsaeng(1548~1631) lives, was in a period when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and economic poverty were extreme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In this historical period, Sagye Kim Jangsaeng is the successor to Yulgok academic genealog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th academic and political society, and forms a deep-rooted academic genealogy called Sagy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ich was in the era of the Unification Law, the Grand Ming Code was basically counted and applied. The legislators had a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basis that the laws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natural order and should be matched with the public mind. For this, the Chosun Dynasty aimed to establish a Confucian state in full and emphasized Samgang ethics as a practice principle of Confucianism in order to establish a governing system. The Legal Thought of Sagye Kim Jangsaeng is divided into Public Legal Thought, Judicial Legal Thought, Society Legal Thought, Tax Legal Thought, Criminal Legal Thought, Philosophy Legal Thought. The Philosophy Legal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Ritual Theory, Hongbeom Theory, Byunbub Theory, Natural Legal Theory, and Hyangyak Legal Theory. Sagye asserted Public Legal Thought by making and spreading everyday ethical examples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that anyone should always keep,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public sentiment clear and correct and acting, so that the discipline of the nation and social order are maintained well. Sagye's Love the People, For the People's Judiciary Thoughts can be found all over his literary collection, and he said that various laws should be boldly arranged for the weak. On the other hand, Sagye's filial piety has the character of the realization of moral meaning and the pioneer sense of enlightenment. The ethicalist of Chosun thought that human beings can be human is not to lose their unique nature, and that it is ethics to perform nature. Therefore, the harmony between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was strengthened by family ethics in everyday life. Kim Jang-saeng showed true parental generosity and child's filial piety through his life, and showed a new appearance of generosity beyond this. In order to govern the country and to implement politics for the people properly, the law and ethics should be harmonized.

      • 『삼국유사』의 ‘賢瑜珈 海華嚴’의 사상적 의미

        이병욱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3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

        이 논문에서는 『삼국유사』의 ‘현유가 해화엄’(유가종의 태현과 화엄종의 법해)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의 사상적 맥락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유가종(법상종)의 태현과 화엄종의 법해’에서는 법상종의 태 (太賢)과 화엄종의 법해(法海)가 법력(法力)을 나타내 보이는데, 그 가운데 화염종의 법해가 법상종의 태현보다 법력이 뛰어남을 말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는 단순히 개인의 법력 대결이라고 볼 수만은 없다. ‘유가종의 태현과 화엄종의 법해’는 법상종과 화엄종이 서로 대립하였고, 그 결과 법상종 쪽이 세력싸움에서 화엄종 쪽에 밀린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유가종의 태현과 화엄종의 법해’의 사상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태현은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J에서 유 식(唯識)사상과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사상의 조화를 추구한다. 그에 비해 화엄종 쪽에서는 유식사상보다 『대승기신론』의 사상이 더 우월 하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런데 화엄종의 법해는 저술이 없으므로 법해와 동시대 인물이고 같은 장소 곧 황룡사(皇龍寺)에서 활동했던 표원(表員)의 화엄사상을 통해 화엄종에서는 유식사상보다 『대승기신론』의 사상이 우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법상종의 태현과 화엄종의 표원에만 국한한다면, 이 둘 사상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원효(元曉)와 법장(法藏)의 사상의 결합’이라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 이다. In this paper, I will study the meaning and thought interrelationships of Hyeonyugahaihwaeom(賢瑜?海華嚴) in 『Samgukyusa』. First, Hyeonyugahaihwaeom(賢瑜?海華嚴) represents the power of dharma of Beobsangjong(法相宗)’s Taihyeon(太賢) and Hwaeomjong(華嚴宗)’s Beobhai(法海), and it says that the power of dharma of Hwaeomjong’s Beobhai is better than that of Beobsangjong’s Taihyeon. But I do not think that it is the individual confrontation of the power of dharma. It symbolizes that Beobsangjong and Hwaeomjong are pitted against each other, and Beobsangjong is inferior ro Hwaeomjong in the influence of confrontation. Next, I will study the thought interrelationships of Hyeonyugahaihwaeom(賢瑜?海華嚴). Taihyeon pursues the harmony of the thought of Yusig(唯識) and 『The Awakening of Faith(Daiseugisinlon)』 in his writing 『Daiseugisinlonnaiuiyagtamgi(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But Hwaeomjong says that the thought of 『The Awakening of Faith(Daiseugisinlon)』. is superior that of Yusig. I ascertain that the thought of 『The Awakening of Faith(Daiseugisinlon)』. is superior that of Yusig through the Hwaeom thought of Pyowon(表員) who was the same period of person with Beobhai(法海) and was active in the same place, Hwanglyongsa(皇龍寺), because Hwaeomjong’s Beobhai has no writing. To focus Beobsangjong’s Taihyeon and Hwaeornjong’s Pyowon, this two thought have common point which represent the aspect of the union of Wonhyo(元曉) and Fa-tsang(法藏) of thought.

      • KCI등재

        보조사상과 교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향 -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

        박보람(Park, Bo Ram)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0 No.-

        이 글은 보조사상연구원 설립 30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연구원이 수행한 다양한 연구 활동 가운데 교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연구를 회고 하고 전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그 기준이 되는 개념들, ‘보조사상 연구’와 ‘보조사상연구원’ 그리고 ‘회고’와 ‘전망’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조사상과 교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둘 사이의 관계도 여러 분야에서 다룰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교학 가운데 보조 지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는 화엄교학에 초점을 맞추어 이통 현과 지눌의 화엄과 의상/법장-징관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주류 화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향을 회고하고 이에 대한 과제를 전망하였다. 지눌의 선교 관계에 대한 이통현의 영향을 논구하는 『보조사상」의 논문 들을 정리하면 세 가지 방향을 볼 수 있다. 첫째, 지눌이 법장, 징관을 중심 으로 하는 주류 화엄교학-여기에는 묵시적으로 의상도 포함된다.-의 이론 적, 현학적 경향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성기설을 위주로 받아들 였다는 설이다.([의상/법장→징관] ≠ [이통현→지눌]) 둘째, 지눌이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을 받아들였 다는 점은 첫째 주장과 동일하지만 의상의 화엄성기설을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과 분리시켜 이통현의 화엄설과 연계시킨 후 의상-이통현-지눌의 사상적 계보를 주장한다.([법장→징관] ≠ [의상→이통현→지눌]) 셋째, 지눌이 비판한 연기설 중심의 화엄설은 법장, 징관의 화엄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 경우 지눌은 주류 화엄에 대해서 비판한 것이 아니라 아류의 당시 화엄을 비판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의상과 법장, 징관의 화엄이 하나로 묶여 이통현-지눌의 화엄설과 다시 연계될 가능성이 생겨난다.([당시 아류 화엄] ≠ [이통현→지눌] ≈? [의상/법장→징관]) 이러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필자는 앞으로의 과제로서 위에서 언급한[이통현→지눌]의 화엄과 [의상], [법장→징관]의 화엄의 관계에 대한 보다 철저한 규명과 함께 [이통현]과 [지눌]의 부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paper recollects and prospects of the study on Bojo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among various research activities carried out by Bojo Thought Research Institution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 be dealt with in various field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uayan thought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had the great influence on Bojo Jinul(普照知訥). Specifically, I evaluated the results of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ayan thoughts of Litongxuan(李通玄) and Jinul and the so-called mainstream Huayan thoughts represented by Uisang,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raised the remaining tasks. There are three directions to summarize the articles of Bojo Thought which discuss the influence of Litongxuan on Jinul. The First is that Jinul criticized th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tendency of the mainstream Huayan thoughts of Fazang and Chengguan - implicitly including Uisang here - and adopted thepractical Huayan of Litongxuan.([Uisang/Fazang→Chengguan] ≠ [Litongxuan→Jinual]) The Second is the same as the first claim that Jinul criticized Fazang and Chengguan and accepted Litongxuan. However, the second argument separated Uisang’s Huayan thoughts from those of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linking Uisang’s Huayan with Litongxuan’s one, insists on the ideological lineage from Uisang to Litongxuan to Jinul.([Fazang→Chengguan] ≠ [Uisang→Litongxuan→Jinul]) The third argument is that Jinul s criticism is not about Fazang and Chengguan. In this case, Jinul was not criticizing the mainstream, but criticizing the epigone of Fazang and Chengguan at that tim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isnag/Fazang→Chengguan] Huayan will be tied together and reunited with [Litongxuan→Jinul] Huayan.([Epigone] ≠ [Litongxuan→Jinul] ≈? [Uisang/Fazang→Chengguan]) Based on these researches, I raised the necessity of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ayan thoughts of ① [Litongxuan→Jinul] and ② [UIsang] and ③ [Fazang→ Chengguan] as future tasks.

      • KCI등재

        잊혀진 척전법의 원리

        정재상(Jung, Jae-Sa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8 道敎文化硏究 Vol.48 No.-

        척전법(擲錢法)은 주역점을 치기 위해 괘를 뽑는 서법(筮法)의 하나로 고안된 방법이다. 척전법은 동전 세 개를 사용하는 방식을 택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괘를 뽑을 수 있기 때문에, 전통시대 주역점을 칠 때 널리 통용되던 방법이었다. 이 글에서는 척전법의 가장 오래된 기록인 당대 가공언(賈公彦)의 『의례소』의 내용과 관련해 제기되는 두 가지 문제를 검토해 봄으로써 척전법의 원리를 고찰한다. 첫 번째 문제는 “多 · 少”를 기준으로 하는 사상(四象) 판별법과 관련된 문제이다. 정식 서법인 본서법에서는 3변 후 얻게 되는 시책 수의 ‘많고 적음’을 기준으로 사상을 판별한다. 또한 ‘多 · 少’는 사상 판별과 관련하여 괘상(卦象)을 묘사하는 개념으로 쓰이는 것이었다. 즉 팔괘를 구성하고 있는 양효나 음효를 지칭하는 말로서, 획수에 따라 양효(⚊)가 ‘少’가 되고, 음효(⚋)가 ‘多’가 되는 것이었다. 『의례소』에 실린 척전법의 “多 · 少” 개념은 이러한 본서법의 ‘多・少’에 의한 사상판별법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는 동전 면의 판별과 관련된 문제이다. 동전의 ‘앞・뒷면’ 판별을 둘러싼 논쟁이 일어나게 된 역사적 원인은 척전법의 사상판별법과 관련이 있다. 그러한 논쟁은 척전법의 “多 · 少” 개념이 갖고 있던 본래적인 상수적 의미가 잊혀지게 되어 발생한 것이며, “多 · 少” 개념을 동전의 ‘앞 · 뒷면’으로 간주하고 이를 ‘음양’ 개념으로 치환해 이해하려는 데서 비롯된다. 『의례소』가 동전의 면을 ‘앞・뒤’가 아닌 “다 · 소”라는 표현으로 지칭한 이유는 당대의 화폐인 개원통보를 통해 해명될 수 있다. 척전법은 노양:소양:소음:노음이 나올 확률이 1:3:3:1이라는 점에서 불균등한 사상 비율을 갖는 본서법보다 실용성과 효용성이 높은 서법이다. The procedure of casting three coins is one of the main methods to get a hexagram in I-Ching divination. It is faster and easier way to get a hexagram than the yarrow-stalk method which manipulates fifty stalks. Because of its convenience, the casting-coin-method (zhiqian-fa 擲錢法) has been in common use in the traditional period I-Ching divination. This article investigates two questions evoked by Jia Gongyan 賈公彥’s mentioning about the casting-coin-method in the Sub-Commentary to Ceremonies and Rites (Yili-shu 儀禮疏) in 7th century, and delves into the principle of method in I-Ching divination. The first question is how to distinguish four patterns (sixiang 四象) of Yin-Yang - Old Yang (laoyang 老陽), Young Yang (shaoyang 少陽), Young Yin (shaoyin 少陰), Old Yin (laoyin 老陰) - in terms of “many” (duo 多) and “little” (shao 少). This article clarifies the notions of “many and little” in the casting-coin-method: this method succeeds those of the ancient orthodox divination method, in which ‘many and little’ means the divided two lines of Yin and the single line of Yang respectively, as well as the numbers of stalks as a calculation result for deciding four patterns. The second question is how to decide the “front” (mian 面) and “back” (bei 背) side of coin, which has caused great controversies. This article tra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ntroversi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first question: Many of the debates forgot certain numerical meanings existed in the original notion of “many and little,” and regarded “many and little” as “front and back” sides of coin. On top of that, “front and back” was replaced with “Yin and Yang.” The reason that Jia Gongyan addressed the either side of coin as “many and little” instead of “front and back” can be explained by its coincidence with the shape of the contemporary Tang copper coin, “kaiyuan tongbao 開元通寶,” which had ‘many’ and ‘little’ letters in each side. In conclus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validity and significance of the casting-coin-method in the history of I-Ching divination, in regard that it fixed imbalance of the original yarrow-stalk method and kept the probabilities of casting four patterns - laoyang, shaoyang, shaoyin, and laoyin - as 1:3:3:1.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 casting-coin-method is a deliberately designed method, and more advanced than the original stalk method in both practicality and effectivity.

      • KCI등재

        원효의 보법(普法), 사상적 연원과 의미

        석길암(Seok, Gil-am)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중국화엄교학은 화엄일승원교의 핵심사상을 ‘성기(性起)’ 또는 ‘법계연기(法界緣起)’라는 키워드로 표현하는데, 원효는 ‘보법(普法)’이라는 키워드에 의해서 자신의 화엄사상을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효가 사용한 이 ‘보법’이라는 키워드의 사상적 연원을 추적하고, 원효의 용례를 앞선 용례와 비교함으로써 그 의미를 좀더 명확하게 하려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보법’은 삼계교 신행(信行, 540-594)에 의해서 최상승의 가르침을 지칭하는 교판적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다시 지엄(智儼, 600-668)과 의상(義湘, 625-702) 등의 초기 화엄사상가들에 의해서 화엄일승의 사상적 핵심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성기(性起)’와 함께 사용되었다. 삼계교와 중국화엄교학에서의 용례는 각기 다른 갈래로 원효에게 수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원효 역시 이들과 동일하게 최상승의 가르침을 지칭하는 교판적 의미로서 그리고 최상승의 가르침 그 자체를 지칭하는 의미로서 사용하고 있다. 다만 삼계교와 중국초기화엄교학 및 원효가 동일하게 ‘보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에 의해 지칭하는 의미범주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삼계교에서 제3계(第三階)의 보법은 여래장불(如來藏佛)․불성불(佛性佛)․당래불(當來佛)․불상불(佛想佛) 등의 보불(普佛)을 설하는 『능가경』․『승만경』․『열반경』․『법화경』․『화엄경』․『십륜경』 등에 포함된 가르침을 지칭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중국 초기화엄교학에서 보법이라고 할 때는 화엄 별교일승의 가르침만을 그 범주로 한다. 원효의 경우, 보법은 일승만교에 판석된 가르침 곧 『화엄경』과 보현교를 그 범주로 한다. 여기에서 『화엄경』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는데, ‘보현교’가 가리키는 범위가 문제가 된다. 원효는 화엄경의 보살도만이 아니라 대승의 보살도를 폭넓게 끌어안는 개념으로서의 ‘화엄교’ 외에 ‘보현교’를 부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부터 원효의 ‘보법’은 신행과 화엄교학에서의 각기 다른 의미와 범주 설정을 수용하면서 나름대로 재규정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While Chinese Huayan thinkers express essential idea of Perfect Teaching for Single Vehicle of Huayan(華嚴一乘圓敎) as a key word of Nature Arising(性起, Xingqi) or Dharma Realm's Dependent Origination(法界緣起, Fajieyuanqi), Wonhyo does his own idea as that of Universal Law(普法, Bopeop). In this paper, I traced the ideological origin of Wonhyo's key word of Universal Law, compared his usage with the chinese, and tried to clarify its meaning. This made me conclude as follows: The term of Universal Law was first used by Xinxing (信行, 540~594) in the Three Steps Tradition(三階敎, Sanjiejiao) as a classificatory term indicating the highest teaching, and also used by early Huayan thinkers like Zhiyan(智儼, 600~668) and Uisang(義湘, 625~702), altogether with Nature Arising, as a notion representing the core idea of Single Vehicle of Huyan. These two examples of Universal Law in the Three Steps Tradition and the Chinese Huayan Tradition seemed to be accepted by Wonhyo respectively, and he used the term both as the classification of the highest teaching and as the highest teaching itself, Single Vehicle of Huyan. However, Wonhyo's Universal Law has different meaning from examples in the Three Steps Tradition and the early Chinese Huayan Tradition, although they used the same term of Universal Law. In the Three Steps Tradition, Universal Law of the third step means teachings of the Lankavatara sutra (楞伽經, Lengqiejing), the Srimaladevi sutra (勝鬘經, Shengmanjing), the Nirvana sutra (涅槃經, Niepanjing), the Lotus sutra (法華經, Fahuajing), the Flower Ornament sutra (華嚴經, Huayanjing), and the Ten-Wheel sutra (十輪經, Shilunjing), which tell Universal Buddhas (普佛, pufo) like Tathāgata-garbha Buddha (如來藏佛, Rulaicangfo), Buddha-Nature Buddha (佛性佛, Foxingfo), Future Buddha (當來佛, Danglaifo), and Buddha-Meditating Buddha (佛想佛, Foxiangfo). In the early Chinese Huayan Tradition, Universal Law comes withing the category of the teaching for Separate Single Vehicle of Huyan. Wonhyo's Universal Law means the teachings classified as Single Vehicle's Full Teaching(一乘滿敎, Ilseungman-gyo), which are the Flower Ornament sutra(華嚴經, Hwaeomgyeong) and the teaching of Samanthabhara (普賢敎, Bohyeon-gyo). Anyone has no objection to the fact that the Flower Ornament sutra is contained in Universal Law, however, the question is what the teaching of Samanthbhadra is. Wonhyo's teaching of Samanthbhadra, which he adds to Universal Law, seems to contain wide Bodhisattvas' path in the Mahayana, not only Bodhisattvas' path in the Flower Ornament sutra. These facts make us conclude that Wonhyo's Universal Law is reformed by him while accepting from different meanings and categories of Xinxing and Chinese Huayan thoughts.

      • 평등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 - 통일사상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

        아베요오꼬,김인수 통일사상학회 2021 통일사상연구 Vol.21 No.-

        「평등에 관한 법률안」(이하 ‘평등법’)은 이상민(더불어민주당) 등 24인에 의해 2021년 6월 16일에 제안된 의안이다. 이후 2021년 8월 9일에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 외 13인이 「평등에 관한 법률안」을, 그리고 2021년 8월 31일에도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 외 17명이 「평등 및 차별금지에 관한 법률안」을 각각 발의하였다. 제21 대 국회에서만 4번의 평등법 발의가 이루어진 것이다. 평등법을 통과시키려고 하는 국회의원들의 움직임도 크지만, 이에 반대하는 국회의원들과 국민들의 의지도 확고 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등법이 가정에 미칠 영향을 통일사상의 인간관으로 논의하 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평등을 위한 법률을 논함에 있어, 그 주체와 대상인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통일사상 인간관인 본성론을 중심으로 평등법의 주장들을 고찰했을 때, 그 주장들은 우리 국민들의 가정에 어떤 영향들 을 미치게 될까? 이 질문을 위해 평등법에 대한 학문적 선행연구들을 문헌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철학인 통일사상의 인간관을 소개한 후, 그 인간 관을 중심으로 평등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평등법은 모든 영역에서 차별을 없애고 평등을 도모하는 법을 표방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차별금지 항목에 성적지향이나 성별정체성, ‘제3의 성’에 대해 수용하 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성소수자들의 권리 보장과 이들에 대한 차별금지를 가장 강 력하게 지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성과 여성 외에 ‘제3의 성’을 인정하 는 평등법이 통과되어 시행된다면, 많은 문제점들이 있겠지만, 가장 우려되는 것이 이 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평등법은 ‘동성애’를 정당화시키며, ‘제3의 성’ 을 옹호하고, 무엇보다 기존의 ‘가정제도’를 붕괴시킴으로서, 하늘부모님의 창조목 적인 3대축복완성을 가정에서 실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평등법과 이로부터 파생되는 여러 문제들이 가정에 미칠 영향은 통일사상의 본 성론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통일가치론 ·통일교육론 ·통일윤리론 등의 다양한 관 점에서도 연구가 지속될 것을 기대한다. The “Bill for Equality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quality Act”) was proposed on June 16, 2021, by 24 representatives of The Minjoo Party of Korea, including Rep. Lee Sang-min. Then on August 9, 2021, Rep. Park Jumin and 13 other members of the The Minjoo Party of Korea submitted the "Bill on Equality". Once again on August 31, 2021, Rep. Kwon Insuk and 17 other members of the The Minjoo Party of Korea went on to submit the "Bill on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alone, four equality laws were introduced. Although the push from lawmakers to pass the Equality Act is strong, it seems that the will of the lawmakers and the people who oppose it are alos standing firm.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mpact of this Equality Act on the fami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from the Unification Thought. The backdrop for this perspective is because in order to discuss the law for human equality,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and objects of human beings must be preceded beforehand. When examining the arguments of the equality Act centering on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which is the perspective of the Unification Theology discussing human beings, what effect will those arguments have on the families? To look into this research question, literature review on precedent studies on the equality law were conducted, and after introducing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of the Unification Thought, which is the the philosophy of co-founders Dr. Sun Myung Moon and Dr. Hakja Han Moon, the impact of the Equality Act on the family is discussed centering on the viewpoint from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Although the Equality Act advocates for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nd the promotion of equality in all areas, in reality,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includes the acceptance of all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and the 'third gender', and guarantees the rights of LGBT people, and most of all the strongest directive to prohibit discrimination against these parties. If an Equality Act that recognizes the 'third gender' other than men and women would be passed and implemented, many problems would occurr, but the most worrisome would be the impact of this law on the family. The Equality Act justifies 'homosexuality', advocates 'third sex', and above all, breaks down the existing 'family system', making it impossible to realize Heavenly Parent's goal of creation, the three great blessings, within the boundaries of a family. We look forward for continued upcoming studies not only on the effects of the Equality Act and various problems on the family from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from the Unification Thought, but also from the various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Thought, such as the Theory of the Unification Values, the Theory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theory of Unification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