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운채의 ‘문학치료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건강한/병든 개념을 중심으로 -

        유현성(You, Hyun-Sung),홍재범(Hong, Jae-Beo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이 논문은 한국 구비설화를 매개로 인간의 병(리)적인 서사를 치료하여 건강하게 만든다는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건강한 서사’ 개념에 내재된 논리적 오류를 재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심리적 문제의 발생과 치료에 대한 정의를 문학치료학은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제시하고, 문학치료학의 건강과 치료의 종결에 대해 논하고 이를 비판하였다. 정운채는 문학을 치료적인 입장에서 바라본다. 문학교육과 긴밀한 관련을 가진 정운채의 문학론은 보편적인 문학 개념들을 배제한 채 교육적 관점이 전제되어 ‘문학’을 보고 있다. 이러한 문학교육학적 입장의 문학론이 문학치료론과 결부되면서 치료적 과정과 그 종결이 ‘교육’과 ‘지도’로 점철되어 버린다. 이러한 입장은 확장되어 문학교육 현장을 ‘임상현장’과 동일시하는 오류를 낳게 되었다. 정운채 문학치료학은 건강을 담론화하여 ‘지도’의 의미를 갖는 담론 체계를 구사한다. 그것은 내담자를 학생의 위치로 배치하는 권위적 위계를 설정한다. 또한 그는 ‘문학치료학’의 정의에 있어서 심리치료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후반 연구에 들어서는 ‘심리치료’임을 부정하는 모순을 범한다. 그는 이러한 부정에도 불구하고 생리학과 의학의 비유적 비교를 통해 문학을 재영토화하려 시도한다. 그는 ‘좋은 문학’과 ‘나쁜 문학’의 구분 범주를 ‘학’, 즉 배움에 둠으로써 문학을 구분하며 문제는 이 구분이 ‘치료’와 접합되면서 ‘이상(오답) 문학’과 ‘정상(정답) 문학’이라는 결론을 도출한다. 그러나 중등교육 현장과 달리 치료의 영역에서 병리적인 것은 반드시 비정상적인 것이 아니다. This research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logical errors inherent in Jung Woon-chae"s literary therapy"s concept of "healthy narrative" which claims to treat and cure humans" pathological conditions through Korean oral tales as a medium. First, it suggests how literary therapy decides on the definitions of the occurrence and treatment of psychological problems, discusses the end of literary therapeutics’ health and treatment, and criticizes it. Jung Woon-chae looks at literature from a therapeutic perspective. Jung Woon-chae"s literary theory,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literature education, looks at "literature" presupposing an educational perspective while excluding universal literary concepts. Literary theory from such literature educational perspective is connected to literary therapy theory and therapeutic process and its end have been muddled into "education" and "guide." This perspective has expanded and led to errors equating literary educational field with "clinical field." Jung Woon-chae"s literary therapy discourses on health and uses a discourse system with "guidance" implicit in it. It establishes an authoritative hierarchy that places the client into the student"s position. In addition, in defining "literary therapy," he rules it as psychotherapy, but contradicts himself as he denies the claim in later research. Despite such denial, he attempts to reterritorialize literature through metaphorical comparisons between physiology and medical science. He categorizes literature by putting categorization of "good literature" and "bad literature" on "study," or learning, and draws conclusions that the problem is that this distinction joins "therapy" and is one between "ideal (incorrect answer) literature" and "normal (correct answer) literature." However, unlike the field of secondary education, what"s pathological is not necessarily abnormal in the field of therapy.

      • KCI등재후보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치료학 이론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2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의 이론적 성과를 살핌으로써 문학교육적 시사점을 찾아내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문학이 곧 인간이고 인간이 곧 문학이라는 문학치료학의 발상이 주는 시사점과 서사의 다기성이라는 핵심 개념이 주는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학이 인간이고 인간이 문학이라는 문학치료학의 발상은 문학교육의 목표와 그에 전제된 인간관에 대해 반성하게 한다. 학습자가 자기서사, 즉 고유의 이력을 가진 개인이라는 점을 자각하게 하고 문학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해 반성하게 한다. 2) 문학교육의 장에서도 양육과 순응, 선택과 지속이라는 인간관계의 핵심 문제에 대해 다뤄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적 논리에 따라 적절한 작품서사를 선정하는 등의 교육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도 주장하였다. 3) 서사의 다기성에 주목한 작품서사 읽기의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4) 마지막으로 비평교육의 차원에서 문학치료학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문학 치료 자체도 중요하지만 문학치료의 방법을 배움으로써 비평능력을 길어야 한다고 주장이었다. 어느 정도의 문학 능력을 길러야만, 살아가면서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문학작품을 스스로 찾아 읽고 자신에 대해 성찰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literature education of literary therapy, by the critical survey on the idea and basic concept of literary therapy. Especially, We have focused on the idea `human is epic, and literature is human` and the basic concept `the divergence of epic` The result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 1) The idea `human is epic, and literature is human` provide literature education to a new point of view about a human being. That is regarding a human being as a individual has own the epic of self. 2) Four basic issues like adaption, choice, continuance, bring up in human rel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literature education. 3) We proposed that using methods designed on the divergence of epic would have deepen human`s self understanding in various areas. 4) And, it is useful for student to learn about the critical method derived of literary therapeutic approach.

      • KCI등재

        문학치료 수업 모델 연구를 위한 사례 분석 - 원광대 국문과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을 대상으로 -

        박경주 ( Park Kyeong-ju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8 No.-

        이 글에서는 `문학치료`를 표방한 대학의 강좌들이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을 하면서, 그 내실을 다지는 차원에서 한 사례로서 원광대학교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의 현황을 소개하고자 했다.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은 국어국문학과 전공과목으로 개설되었는데, 수강생들의 전공을 살펴보면 국문과 학생 외에도 문예창작학과나 사범대 중등특수교육과 학생들이 다수 수강하는 편이다. 강좌를 개설할 때는 졸업생들의 진로와 관련해 조금이나마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마음이 앞섰는데, 지금에 와서 보면 이 과목이 학생들의 취업에 직결되는 형태로 도움을 주지는 못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졌고, 문학 작품이 지니는 치유적 기능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치료와 관련된 문학의 역할과 방법을 모색하는 영역 역시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이다. 졸업 후 국문과 졸업생들이 문학이라는 매개를 통해 그들의 제자들을 키워내는 위치에 서는 경우는 허다하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을 통해 익힌 내용들이 실제 수업에서 뿐만 아니라 제자들과 소통을 하는 데 있어서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구체적으로 원광대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소개한 후, 2012학년도 1학기에 진행된 `서사와 문학치료` 과목에서 학생들이 제출했던 레포트의 유형을 분석하고 그 가운데 몇 편을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학생들의 레포트에 특별히 관심을 갖는 것은 이를 통해 학생들이 `서사와 문학치료` 강의에서 인상 깊게 받아들인 부분이 무엇이고, 또 발전된 부분이 무엇인가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이 과목을 진행하면서 필자가 느낀 아쉬운 점이나 학생들로부터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을 고 민함으로써 전반적인 `문학치료` 강좌의 미래를 모색하고자 했다. Predicting that college courses claiming to be `literature therapy` will continue to increase, this analysis attempted to introduc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of Wonkwang University in terms of enriching its substance. The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was established as the major subject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ut not only th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iterature but many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or from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take this course. The primary consideration of opening this course was to give some practical help to the graduates with regard to their future career, but looking back on it now, this course does not appear to help the students directly to find employment. However, it is clear that through this class the students broadened their view of literary works and took a deep interest in the therapeutic function of literary works. The domain of exploring literature`s role and methods related to therapy is also one of the major objectives of the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Many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are in a position to cultivate their students through the medium of literature. Faced with such circumstances, it is certain that the contents that they learned through the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will be greatly helpful not only in actual classes but also in communicating with their students. Specifically, after introducing overall matters about the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of Wonkwang University, the types of the papers submitted by the students in the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during the 1stsemester of the 2012 academic year were analyzed and some of which were intensively reviewed. I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papers of the students because through this I can find out what the students have accepted impressively in the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and in what par they have made progress. Finally, I attempted to explore the future of the overall `narration and literature therapy` course by agonizing over the things to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raised by the students.

      • KCI등재

        영화 <인셉션>과 문학치료학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2 No.-

        이 연구는 <인셉션>의 주요 발상이나 개념이 어떤 문학치료적인 함의가 있으며, 그에 대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떤 접근이 이루어졌는지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영화의 `꿈`과 문학치료학의 `꿈`을 비교해 보았다. 영화에서는 공유하는 꿈과 그 속에서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인물의 생각이 변하였고, 그 삶의 계획이 이전과 달라졌다. 문학치료학에서도 남의 꿈이라도 자기 것처럼 여길 때 사람과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문학치료학은 꿈과 문학의 형성 원리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즉, 작가의 백일몽과 같은 문학작품도 심도 있게 체험하고 자기 것으로 삼는다면 독자 자신 및 독자의 삶이 변화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영화 속 인물의 서사적 삶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영화에서 인셉션의 표적 인물이 되는 피셔는, 순응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으나 아버지의 법이 너무 높아 자책하는 내향적인 인물이다. 피셔는 아버지가 죽은 후에 아버지의 뜻을 따라 회사를 경영해 보고자 하는 자기 기획을 품었다. 이러한 자기 기획도 넓은 의미에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가 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인지적, 정서적 방응이나 행동 방식을 자기서사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기초서사 영역으로 자기서사를 분류하여 문제적 상황이나 심리적 문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해준다. 셋째, 영화의 `인셉션 과정`과 문학치료학의 `문학치료 과정`을 비교하였다. 영화는 인셉션의 대상이 되는 생각이 문학적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고 보는 한편, 문학적 감동과 내면화가 정신적 변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또한, 인셉션의 과정은 기존의 자기서사에 대해 의심하고(1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쓰기 위한 힘을 기르고(2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완성하는(3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는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 변화 과정, 즉, 다른 선택 가능성에 대한 이해, 자기서사와의 거리두기, 새로운 서사의 길내기 등의 단계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film, < Inception > and th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two exist in different areas, but they share the assumptions that everybody has their own stories which direct and shape their decisions and acts. The film title, `inception` means that seeding the new idea which is formed as a story in a targeted one`s mind. Meanwhile, the literary therapy`s main process of treatment is to change the story which located in the mind and cause troubles in the real life. First, the dream is very important for the two. < Inception > uses dreams for changing one`s ideas. Dream experts, Cobe`s team plan, plot, and concrete dreams in various levels for successful inception. The literary therapy considers literatures as dreams which can make changes and substitute audience`s ideas and patterns of thinking. Second, the two have the assumption of existing stories in everybody`s mind. The literary therapy calls the stories `self-epic`, because it has the structure of `beginning, middle, and end`. And the theory provides the methods to analyze self-epics and the crucial problems of them. Thir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lf-epic` has structural homology. The process of inception start from the doubt about his existing self-epic(step 1), raising the power to write a new one(step 2), completing new self-epic by the catharsis(step 3)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literary therapeutic one: understanding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self-epic(step 1), putting some distance between his established one and new one(step 2), making new ways for fresh self-epic.

      • KCI등재

        문학치료 관점에서 바라본 박인로의 <五倫歌> 연구

        김지은 한국시조학회 2023 시조학논총 Vol.58 N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al with Park In-ro’s (1561~1642) <Oryunga> from a literary therapeutic point of view. <Oryunga> is a series of stanzas created by yangban bureaucrats belonging to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for the purpose of edifying the common people, thus following the Confucian morality denoted by ‘五倫’. However, Park In-ro's <Oryunga> captures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other 'Oryungsijo' as it is the expression of personal emotion, and it is worth noting this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part of '君臣有義' rather than being revealed in the entirety of the 25 poems. This strongly suggest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opolitical position of the writ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 of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Park In-ro's < Oryunga > by paying attention to his narrative. The writer’s self-narrative goes one step further in the method of literary therapy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therapy,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s about why a certain work had to be created and why people indulged in it. Therefore, this study will approach Park In-ro's <Oryunga>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but divide it into two aspects: personal and social literary therapy. First of all, the writer Park In-ro's life and self-narrative will be approached as literary therapy at the personal level, focusing on the confessional words revealed in the '君臣有義' item in <Oryunga>. Additionally, since this work is essentially a poem to edify the people, the study will also examine it as a tool for social literary therapy. Social literary therapy through <Oryunga> can be diachronically applied not only to Park In-ro’s society, but also to our contemporary society. This is because the Code of Five Rings can work as an important tool of literary therapy that can purify the pathological elements of our society. This study plans to expand the discussion on the status and value of Nogye's writing within the field of literatur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In short,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self-narrative of Park In-ro, and approach the creation of <Oryunga>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본 연구는 蘆溪 朴仁老(1561~1642)의 작품 가운데 <五倫歌>를 중심으로 이를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 시도이다. <오륜가>는 본래 조선조에 있어서 지배 계층에 속하는 양반관료들이 유교 도덕인 ‘五倫’으로서 피지배계층인 일반 백성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지어낸 일련의 연시조이다. 그러나 박인로의 <오륜가>는 다른 ‘오륜시조’들과는 사뭇 결이 다른 지점이 포착되고 있다. 개인적 정감의 표출이 그것인데 그 지점은 <오륜가> 25수 전면에 드러나기 보다는 특히 ‘君臣有義’ 부분에서 두드러지고 있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작가 박인로가 처한 정치적 · 사회적 입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 따라서 다른 ‘오륜 시조’들과 박인로의 <오륜가>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별적 자질의 원인 규명은 곧 작가 박인로의 서사에 주목하게 되는 근거가 됨과 동시에 그의 자기서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문학치료의 방법에서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고전문학연구는 어떤 특정한 작품이 왜 창작될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사람들이 왜 탐닉하게 되었는가, 즉 다시 말해 작가 및 작자층에 대한 연구, 그리고 독자 및 독자층에 대한 연구가 그들의 동기 내지 효과에 주목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인로의 <오륜가>를 문학치료의 관점으로 접근하되 이를 다시 개인적 문학치료와 사회적 문학치료의 두 가지 국면으로 나누어 살필 예정이다. 우선, <오륜가> 중에서 특히 ‘君臣有義’ 항목에 드러난 자기 고백적 언사들을 중심으로 작가 박인로의 삶과 자기서사를 개인적 차원에서의 문학치료로 접근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이 본질적으로는 백성들을 교화하는 목적성의 시가라는 점을 염두할 때, 이 노래가 사회에 미치게 될 효과와 善의 가치추구 및 실천은 사회적 문학치료로서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오륜가>를 통한 사회적 문학치료는 박인로가 살았던 당대 사회뿐만 아니라 오늘날 현대 사회에까지 통시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오륜의 강령은 우리 사회의 병폐적 요소들을 순화시키고 정화할 수 있는 중요한 문학치료 기제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노계문학의 문학사적 위상과 가치 등에 대한 논의는 기존의 연구 성과에 기대어 이에 동의함을 전제로 논의를 확장시켜 나갈 예정이다. 박인로라는 한 인간의 자기서사와 내면에 천착하고 이를 <오륜가> 창작 동기와의 연관성 및 상호관계성을 문학치료 관점에서 접근해 보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성석제의 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기제와 문학치료학

        전흥남(Jeon, Heung-nam)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4

        문학치료는 정상적인 심리상태를 지니지 못한 사람을 문학작품을 통하여 정상적인 심리상태로 돌려놓고자 하는 일종의 심리치료라고 할 수 있다. 문학치료는 기본적으로 문학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자신의 의사를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현실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이다. 문학 치료는 정신과 의사들의 치료방법이나 대상과도 일정한 차이를 지닐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문학치료학의 관점의 적용과 그 가능성의 탐색을 위한 시론적(試論的) 입장에서 성석제 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기제를 적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출발했다. 성석제의 소설은 해학적인 상황이나 웃음을 유발하는 장면이 많다는 점에서 문학치료학 텍스트로서 보탬이 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웃음의 기제가 문학치료학에서 독점적으로 치료적 기능에 보탬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중인물과의 동일시 효과 및 정서적 공감의 확산에 기여하는 측면에 주목한 것이기도 하다.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연구는 인문학의 영역의 확산 및 학제적 연구 그리고 인문학의 위기 타개와 관련해서 좋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이와 관련된 연구자의 관심이 기대된다. 다만,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적용은 제한적인 측면도 지닌다. 문학이 대체로 구체적 귀결점을 남기지 않는다는 사실은 문학의 가능성이기도 하지만, 특히 치료적 관점에서 볼 때 약점으로 작용하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의 하부구조를 이루고 있는 감정이나 인지를 연구함으로써 문학연구에 실용적인 전환점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고 역시 아직은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적용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가설단계에 머물러 있다.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적용 및 효용을 입증할 수 있는 개연성을 획득해 나가야 하는 과제가 주어진 셈이다. 이것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Literary therapy is a kind of psychotherapy in a sense that it intends to help people out of normal state of mind regain normal mentality through literary works. Literary therapy is for people who are able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and express their opinions at the very least. Therefore, it can be restricted or impossible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disease. It is also different from methods used by psychiatrists and their subjects to some extent. In this context, I focused on applying the mechanisms and effects of laughter found in Seong Seok-jae’s novels in order to apply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and find its possibility from a preliminary standpoint. I considered the mechanisms and effects of laughter in his novels acceptable as texts of literary therap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is at the preliminary stage of onl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confirming its possibility of appliance and effects. Moreover,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appliance of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can be restrictive. The fact that literature tends to be inconclusive works as a disadvantage regarding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actical turning-point for the literature studies by probing the emotion or cognition that lie under the literary works. In the meantime, this study o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is expected to shed some light on issues regarding the expansion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humanities, and ways of breaking the crisis of humanities.

      • KCI등재

        시조의 문학 치료적 기능에 관한 고찰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07 시조학논총 Vol.26 No.-

        시조는 우리나라 문학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장르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시조를 대상으로 거기에 나타난 문학 치료적 기능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문학과 치료는, 전자는 인간의 정서의 표현물이고 후자는 의학에 관한 것으로 그 타협점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갈등을 완화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러한 문학치료의 효과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것이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문학이 지니고 있는 효용적 가치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시조 기운데 16ㆍ17세기의 강호시조를 대상으로, 거기에 나타난 문학치료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16ㆍ17세기의 강호시조는 사림파 문인들에 의하여 창작된 시조 작품들이다. 이 시기의 사림파 문인들은 사회와 당쟁으로 말미암아 관직에서 물러나 자주 강호에 머물러야 했다. 따라서 강호시조에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고 은거하는 삶 속애서 일어나는 화자의 심경을 노래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와 심리를 문학 치료와의 관계에서 셋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불안과 우울의 정서, 둘째 안정과 조화의 추구, 셋째 무심과 평온의 구가가 그것이다. 또한 이상의 세 단계는 각각의 문학치료 효과를 거두게 된다. 첫 단계는 정화이론에 근거한 것으로써 일명 동류요법이다. 이는 이열치열과 같은 원리에 근거한 것으로, 일명 이열치열의 원리이다. 다음 단계는 조정이론에 근거한다. 감정을 적당하게 조절하고 통제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명징이론에 근거한 것으로 감정을 명료하게 나타냄으로써 문학치료를 얻게 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문학치료의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나는 단계이면서도 동시에 그 자체로 문학치료로 기능하게 된다. 문학치료의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그런 만큼 아직은 많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보다는 미래에 대한 전망이 밝은 영역이기도 하다. 본 연구가 향후 문학 치료의 연구에 한 몫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therapy effects of Korea's oldest form of literature, Sijo, and its role in the future of literatherapy. Since literature is the expression of human emotions, and therapy is related to medicine, the two seem to have little in common, but they share the function of resolving conflicts. The effectiveness of literatherapy has only recently become a matter of discussion. However, literatherapy is greatly involved with the utility value of literature. and should be taken serious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literatherapy function of the 16th-17th century Gengho-Sijo. Gangho-Sijo was created by literary men from the Sarim-school, who were removed from their posts in the government due to a massacre(Sawha) and rianly(Dangjaing), and spent most of their time away from politics. Their Sijo were mostly about life in retreat, and their mental state at that time. In relation to literatherapy, the mentality and attitudes of these scholar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is anxiety and depression, the second tranquility and harmony, and the third serenity. At the final stage, the scholars are liberated from worldly desires. Each of these phases hold the effect of literatherapy. The first stage can relate to 'theory of purgation', ISO-Prinzip, which is based on 'like cures like' which means to treat something with its own kind Fight fire with fire. The second step involves 'theory of purification', and by balancing his emotions, the scholar can achieve mental stability. In the final stage, literatherapy is acquired when the scholar expresses his emotions in a clarification (theory of clarification). At this phase, literatherapy finally has an effect, while the phase itself functions as literatherapy as well. The study of literatherapy is still at its early stages, thus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literatherapy has bright prospects, and it is my hope that this report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its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문학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개인문학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7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현장에서 개인문학치료를 진행하며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그 동안 논의된 문학치료 실행의 원리를 정리하고 치료 요인을 구체화하고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문학치료의 실행 원리와 치료 요인이 문학치료현장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실제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지속적으로 수정되는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으며 현장에서 활용되어 타당성이 인정될 때 자생력을 가진 실천학문으로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문학치료의 현장에는 네 요소가 존재한다. 서사의 재료로서 내면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참여자 개인, 그를 새로운 서사의 세계로 이끌고 상상하게 하는 문학텍스트, 참여자가 구성한 허구서사,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조력하는 문학치료사가 존재한다. 적극적 상상은 참여자로 하여금 문학텍스트를 능동적으로 감상하고 허구서사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치료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한다. ‘적극적 상상’은 참여자가 문학텍스트에서 파생된 서사를 만들고 경험하며 자기를 확장하고 타인과 세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과정이다. ‘적극적 상상’을 통해 창작되고 구체화된 허구서사는 또 다른 치료 요인인 ‘자기이해’가 좀 더 깊은 차원에서 가능하도록 한다. 문학치료사는 적절한 질문과 활동의 제안을 통해 참여자의 ‘적극적 상상’과 ‘자기이해’를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으로 문학치료사가 문학텍스트를 통한 참여자의 ‘적극적 상상’과 ‘자기이해’를 조력하는 방법이 보다 구체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인문학치료 뿐만 아니라 집단문학치료에서도 이를 조력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principles of literary therapy practice discussed so far and to clarify the treatment factors, based on the accumulated experience in conducting individual literature therapy at the literary therapy site. I wanted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practice of literary therapy and how the treatment factors work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through real examples. These tasks have no choice but to undergo a process of continuous modification and can be established as self-sustaining practical studies when they are used in the field and are recognized for their validity. There are four elements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There exists a literary therapist and a participant individual who has an inner story as a material for a narrative, a literary text that leads him to the world of new narratives and imagines them and a participant's fictional narrative. “Active imag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treatment factor in the process of participants actively appreciating literary texts and creating fictional narrative. "Active Imagination" is a process in which participants create and experience narratives derived from literary text, expand themselves, and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others and the world. Fictional narrative, created and embodied through "active imagination," makes another treatment factor, "self-understanding," possible at a deeper level. Literary therapist serves to assist participant in 'active imagin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suggestions of activities and appropriate ques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literary therapists to be more specific in how to help participants' "active imagin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literary text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various ways of activities to help not only individual literary therapy but also group literary therapy.

      • KCI등재

        신경숙 소설의 문학치료적 효과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장미영 ( Jang Mi-ye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이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자가 경험한 예술요법 상담자로서의 치료적 개입 사례를 통해, 임상환경에서 문학치료가 적극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가능성에 도전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경험한 임상현장은 크게 두 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신적 질환이 있는 경우와 신체적 질환이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문학작품을 읽는 동안 환자들이 보인 반응을 정신분석적 개념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조현병 환자의 경우는 문학작품에 자신의 내면을 옮겨놓는 과정에서 주로 추론 편견(reasoning bias)을 보이는데, 간헐적으로 자신의 현실적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통찰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반하여 신체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 암 환자의 경우는 대부분 문학작품에 자신의 심리적 상황을 부합시켜 자기이해를 증진시키려는 노력과 함께 현실적 문제를 통찰하고 삶을 재해석하는 각성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였으나 가끔은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를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자가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문학치료를 진행할 때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준비했던 것은 문학치료에 사용할 문학작품을 선별하고 이해하기 쉽게 가공하는 일이었다. 문학치료에 사용되는 문학작품은 일반적으로 경험했음직한 추억이나 과거의 기억을 불러내어 경직된 환자의 감정을 이완시켜 환자의 답답한 현재적 상황을 잠시라도 잊게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는가의 여부였다. 그런 점에서 신경숙 소설은 무척 유용했다. 신경숙 소설에는 유년기의 향수나 지나간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장면들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가 그 다음으로 고려한 것은 작품에 불안과 긴장을 야기하는 부정적인 상황이 제시되고 나아가 문제적 상황의 해결과정에서 작중인물의 상처를 위무하고 각박한 현실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내용이 전개되는가의 여부였다. 본 연구자가 담당했던 대학병원 암센터의 문학치료는 환자의 침체된 감정을 고양시키기 위한 예술요법 프로그램 중 하나였다. 암센터에서 진행한 문학치료는 치료사가 병상에 있는 환자를 방문하여 작품을 읽어주거나 아니면 극히 드물기는 하지만 치료사와 환자가 번갈아 가며 작품을 낭독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했다. 문학치료를 요청한 암 환자들은 지속적인 작품 읽기를 원했다. 신경숙의 소설에는 공적 영역에서 크게 두드러진 인물이나 이념을 다루는 거시적인 이야기가 없다. 그로 인해 신경숙 소설은 사적 감정에 충실한 인물이 등장하여 과거와 현재의 긴장관계 속에 놓인 자기 존재의 의미를 탐색하고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신경숙 소설의 특징적인 면모는 신체적 고통으로 말미암아 잠시나마 공적 영역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는 암 환자에게 새로운 정서적 통찰을 제공한다. 게다가 신경숙 소설에는 특별히 가해자로 분류할만한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신경숙 소설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서로를 연민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도 모자라 더 나아가 인물들 간에 서로 합일에 이르는 관계를 갈망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기에 신경숙 작품의 기저에는 깊은 슬픔이 내재해 있다. 암 환자들은 투병기간 동안 슬픔, 분노, 공포의 정서를 경험하는데, 문학치료는 이들이 표출하는 부정적 정서가 고정적이거나 고착화되는 것을 막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신경숙소설은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정서로 바꾸어 환자가 절감하는 불행감을 능동적으로 해소하게 만들어, 더 이상 행복감이 유발되지는 않더라도 불행감에만 휩싸이지 않게 환자의 주의력을 환기시키는 촉매로 작용하는 데 효과적인 작품이라고 평가할수 있다. This study gauges the possibility that literary therapy can be introduced to the clinical environment by reviewing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cases I experienced as an art therapy counselor. The clinical cases I dealt with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ental and physical disorder cases. Patients` responses while reading literary works can be presented through psychoanalytic concept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mental disorder, showed a reasoning bias while projecting their inner side on literary works, but intermittently showed insights into a proper understanding of reality. Contrarily, adult patients with cancer, a physical disorder, made efforts to understand themselves by applying their psychological state to literary works and moved towards an awakening by which they could have an insight into problems in reality and reinterpret life; sometimes they were involved in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 aspect I focused on the most while conducting literary therapy for schizophrenics was selecting and modifying literary works to use in literary therapy. The criteria for selection was if the work had elements that would bring up memories that the patients we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relax their stiff emotions, and make them forget about the dark reality even just temporarily. In that aspect, Shin`s novels were very useful. Her novels contain many scenes that evoke nostalgia about childhood and past memories. The literary therapy that I was in charge of in the university hospital`s patients` feelings. Literary therapy was conducted as individual therapy for a small number of patients who liked reading. Patients were introduced to the hospital`s art therapy programs and had the right to choose a program they liked or refuse it. Shin`s novels do not have macroscopic stories dealing with figures that stand out in official domains or ideologies. Instead, the author chooses to write stories about average people whose names and identities do not have to be revealed. Therefore the characters in Shin`s novels are those who are faithful to their personal feelings,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in the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pursue new values. This feature of Shin`s novels provides a new emotional insight to cancer patients who temporarily have to step outside the public domain due to physical pain. In addition, there are no characters that can be categorized as assailants in Shin`s works. Her characters are mainly those who get hurt easily and become victims, or self-sacrificial characters who try to understand others even when they fall victim to them. In particular, Shin`s novels turn negative emotions into positive ones and let patients relieve the unhappiness that they experience. Though they do not evoke happiness, her novels can be evaluated as effective works that serve as a catalyst that attracts patients` attention so they will not be overwhelmed by un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