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조대 전교축(傳敎軸)을 통해 본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의 문서 등록(謄錄)체계

        명경일 ( Kyung Il Myung ) 한국고문서학회 2014 古文書硏究 Vol.44 No.-

        본 논문은 최근에 承政院日記 의 문서 등록 체계를 보여주는 자료인 傳敎軸이 발견된 것을 계기로, 승정원의 출납 문서가 어떤 과정을 거쳐 承政院日記 에 등재되었는지 밝히는 내용이다. 매일의 承政院日記 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일자와 날씨, 승지와 주서의 좌목, 국왕의 위치와 經筵·常參의 시행 여부를 기재한 부분이다. 두 번째는 승정원에서 출납한 문서를 베껴놓은 부분이다. 세 번째는 국왕이 참석한 의례 또는 신료를 인접하는 자리(筵席) 등에서의 국왕과 신하의 언동에 대한 기록이다. 첫 번째 와 두 번째 부분은 당일 입직했던 주서가 등재했고 세 번째 부분은, 해당 연석에 입시했던 주서가 각각 맡아 등재했다. 승정원 출납 문서 및 주서의 草冊을 謄錄하여 承政院日記를 편찬하는 작업은 실시간 또는 매일 단위로 진행 된 것이 아니었다. 정조대에 承政院日記 은 한 달 단위로 편찬 되었는데, 주서는 맡은 분량의 일기를 다음달 20일 전까지 꾸며서 납부(修納)해야 했다. 承政院日記 가 일정한 주기에 따라 편찬되었기 때문에 승정원에서는 기록물의 중간 관리 방편으로 매일 傳敎軸을 만들었다. 즉 전교축은 承政院日記를 편찬하기 위해 만든 문서철로서, 편철된 문서의 순서가 같은 날 承政院日記 의 등재 순서와 일치한다. 또한 전교축은 문서를 承政院日記 에 등재할 때 일어나는 기록의 형태 변형까지 반영하고 있다. 즉 승정원의 문서철인 전교축의 형태 역시 承政院日記 의 문서 등록 구조에 맞추어 편철했던 것이다. 또한 전교축은 承政院日記를 편찬하는 기간 동안 원 문서가 갖고 있는 고유 가치를 보존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이와 관련한 전교축의 역할은 대략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현용문서의 역할이다. 둘째 역할은 원 문서에 담긴 정보를 보존하여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셋째 역할은 승정원 이외에 여타 관아의 기록물 생산에 자료를 제공하는 왕명 기록의 집합 소 같은 역할을 했다. Completed The Daily Record(承政院日記) was composed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the date and the weather was recorded. In the second part was recorded Seungjeongwon(承政院) sent and received document. In the third part, the King`s words and actions were recorded. Juseo(注書) who has worked all night on that day wrote the first and second parts. And Juseo (注書) who has been in place of king and his servants wrote the third parts. The Daily Record was not compiled in real time. It was compiled in units a month. Juseo had to finish his parts of The Daily Record Before the 20th of next month. Servants working in Seungjeongwon had to bind ``The Archives of King`s command(傳敎軸)`` every morning. It is an archives that something like a document file. The structure of ``The Archives of King`s command`` is same as The Daily Record`s structure. And it has preserved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ocument during the compilation of The Daily Record.

      • KCI등재

        19세기 후반 당파 정치와 당파 기록물의 이중성 ― 승정원일기(초)와 조보(초)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김덕헌 ( Kim Deok-he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5 No.-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정치 운영의 실상을 보여주는 승정원의 비공식 기록물을 찾아내어 이 시기의 관직 임용에 당파적 안배가 여전히 작용한 사실을 밝힌다. 이와 함께 공식적으로는 이 같은 사실을 드러내지 않으려했던 이 시기의 정치 행위와 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사실을 담고 있는 『승정원일기』의 초고와 『조보』의 초고와 같은 비공식적 기록물을 공식적 기록물과 비교하고 그 차이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작업 자체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것은 이 시기 정치사 및 정치문화 연구에서 텍스트 활용 및 비판과 같은 기초 연구가 충실하지 못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관직 임용에서 당파적 안배가 중요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기록물에는 이것을 일체 드러내지 않은 것은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특히 이것이 이 시기의 『실록』과 『승정원일기』의 인사 기사에 당파를 일체 언급하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에 놓여 있는 것은 흥미롭다. 선행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일련의 비공식 기록물은 19세기 후반 관직 안배에서 출신 가문만이 아니라 소속 당파도 뚜렷하게 인지하는 정치적 역학 관계에 주목해야 함을 알려준다. 이와 함께 이러한 사실을 공식적으로는 철저하게 은폐하는 경향도 주목되는데, 이러한 정치 문화는 역사 연구에서 중요한 논제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관심을 모으지 못했다. 이렇듯 이 연구는 기록물 생산에서 드러난 이중성을 포착함으로써 추후 19세기 후반 정치사와 정치 문화를 새롭게 논의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und unofficial records of Seungjeongwon, which show the reality of political oper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revealed the partisan arrangement still played a major role in the office appointment in this period. Also focuses on the politics and politic culture of this period which it did not officially reveal. To do this unofficial records such as the draft of Secretary's Diary and the draft of Chobo which contain this fa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public record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work, this is because studies on text use and criticism in political and political culture in this period are not faithful. It is a prominent feature of this period that it is not revealed in official records, although partisan appointment was important in official appointment. This is similar to not mentioning a single faction in Silok and Seungjeongwon Diary's personnel articles at this time. The unofficial records which was not noted in the preceding study, indicates that not only the family but also political partisa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late 19th century government administration. This political culture has not received any attention even though it was an important thesis in history research. This study will discuss political history and political culture of the late 19th by revealing the duality of records production.

      • KCI등재

        조선 후기 삼복(三覆) 제도 연구

        조윤선(Cho, Yun-seon) 한국법사학회 2021 法史學硏究 Vol.64 No.-

        삼복 제도는 사죄수의 형을 집행하기 전에 1차[초복(初覆)], 2차 재복(再覆)], 3차(삼복(三覆)]에 걸쳐 다시 심의하고 살피는 과정이다. 상복(詳覆)은 ‘자세히 심의하고 살피는 일’이라는 일반적인 문자상의 의미와 ‘의정부에서 담당하는 심의’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 사료에서는 반드시 의정부와 상복을 같이 연결하여 쓴다. 계복(啓覆)은 삼복에 대해 왕에게 보고하는 절차, 삼복 전체를 아울러 의미하며, 같은 의미를 가진 조계(朝啓)는 상참(常參) 한 뒤 이른 아침에 하기 때문에 조계라고 하였다. 고복(考覆)은 지방의 살옥의 처리 절차인 동추(同推) → 고복 → 친문(親問) → 결안(結案) → 계문(啓聞) 중 관찰사의 친문 전 단계이며, 서울의 죄수 역시 형조에서 고복을 거친다. 형조 4사 9방 중의 하나인 상복사(覆覆司)는 사죄[大辟]를 상복(詳覆)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삼복은 조선 전기의 경우 매달 수시로 의금부와 형조가 번갈아가며 시행하였으나 16세기 이후에는 《육전조례》의 규정처럼 대체로 추분 이후 동지에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삼복의 날짜는 구기(拘忌), 국기(國忌), 납향 대제(臘亨大祭)의 재계(齋戒)를 피해 별다른 일이 없는 날로 길일(吉日)을 택해 정했으나 공일(空日)을 찾기가 쉽지 않아 실제 시행되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형조에서 계복할 만한 건을 공사(公事)로 만들어 형 집행 3개월 전에 의정부에 보고하면 의정부에서 상복하고 이를 다시 형조에 내려보내면 이 문안을 형조 판서가 정서하여 승정원에 들이고, 이 문서를 가지고 삼복을 진행한다. 승지가 추안을 진독(進讀)하고, 고복문서, 감사의 친문문서, 대명률의 조율(照律)을 읽고, 왕과 신하들이 죄에 대해 검토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재복(再覆)은 형조 삼당상이 개좌하여 진행하고, 재복 후 빠른 시일 내에 삼복이 이어지며, 조율대로 결정이 되면 형조에서 계동을 기다려 행형(行刑)한다. 형조가 세 차례 삼복의 전체적인 과정을 담당하였다면, 승정원은 초복 · 삼복 진행의 의례적 절차를 담당하였고, 의정부의 대신, 양사의 낭관, 육조의 장관, 한성부 당상 등은 초복 · 삼복에서 왕과 함께 실직적으로 옥안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특히 19세기에 비변사가 의정부에 합속되고 의정부의 위상이 강화되면서 계복, 재결하는 시임 대신의 임무는 막중해졌다. 《승정원일기에서 영조 41년까지는 비교적 1년마다 계복이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삼복 시행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정조 초반 3년을 제외한 18세기 중반 이후 삼복이 시행되지 않게 된 이유는 삼복의 날짜를 잡기가 힘들다는 점, 상복 자체가 신중과 정밀함을 요하는 힘든 일이어서 왕과 신하들에게 부담이 적지 않았다는 점, 게다가 겨울에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더욱 시기적으로 효율적이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사고나 자연재해, 이상 재변, 질병이 돌거나 왕의 건강이 좋지 않은 이유 등으로 인해 연기나 취소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형옥의 적체가 심해지고 감옥 안에서 죄수가 형집행 전에 죽는 경우가 많아졌으므로 사죄수의 검토, 석방 등의 효과는 같으면서 계절에 구애받지 않는 소결, 심리가 그 대안이 되었다. 소결이나 심리는 모두 절차나 형식, 횟수의 제한이 없다는 점 등 계복에 비해 훨씬 융통성이 있었다. 사죄수의 검토, 감사(減死), 석방, 공옥(空獄) 등의 효과는 소결이나 심리에서도 기대할 수 있었다. 19세기 법전인 《육전조례》에서 소결과 심리 관련 조문으로 구성된 ‘심리’ 항목이 독립적으로 마련된 것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Sambok[三覆] system is to consider whether the crime of condemned criminal is certaint before the execution. It’s done three times, and called Chobok[初覆], Jaebok[再覆], Sambok[三覆]. This system is done to be careful about the death penalty. Sangbok[詳覆] has two meanings, one is the text meaning of examine the crime in detail, the other means that the Uijeongbu[議政府] investigates crimes. The same meaning as Sambok[三覆] is Jogae[朝啓] and Gobok[考覆]. The name Jogae[朝啓] was given because it started early in the morning, and Gobok[考覆] is one of the processes of judging murder in the provinces. As a Hyeongjo department, Sangboksa[詳覆司] is in charge of various tasks for the death penal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ambok[三覆] was implemented several times every month. But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Sambok[三覆] was implemented once a month in winter except for december of the lunar, when it was very cold. Sambok[三覆] was held to avoid events like ritual ceremony [臘亨大祭] of the country, but as it’s hard to choose a good day, it could not be implemented. Seungji will read the sinner’s document, When start the sambok, Seungjil[承旨] read the sinner’s documents, Gobok[考覆] documents, Gamsa[監司] directly investigated documents and the articles of the Ming code. Next, King and vassals have a meeting about the sinner’s sins. This process is to examine deeply whether it is really a murder crime. Hyungjo[刑曹] selected murder cases that could be reviewed and made it into a documents, and sent to the Uijeongbu[議政府] three months before the sentence is executed. The Uijeongbu[議政府] reviews these documents and sends it back to Hyeongjo, and Hyeongjo sends it to Seungjeongwon[承政院] to make it a material for the Sambok[三覆] meeting. In the 19th century, after the Bibyeonsa[備邊司] was incorporated into the Uijeongbu[議政府], Uijeongbu’s status has increased and the duties of the Daesin[大臣] in charge of Sambok have become more important.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Sambok[三覆] was rarely practi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In reality, until the mid-18th century, Sambok[三覆] was practiced once a year every winter. This fact can be confirmed in the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The reason why the Sambok[三覆] was not held is that it is difficult to set a date, the winter weather is not appropriate for the meeting, Sangbok[三覆] is a difficult task tha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and because of accidents, natural disasters, or diseases etc. As a result, many prisoners have been imprisoned for a long time, also died in prison. Therefore, Simri[審理] or Sokyeol[疏決] was selected as an alternative. In the survey of death row, the discharge of prisoners, empty the prison, Simri[審理] and Sokyeol[疏決] are much more effective and flexible than Sambok[三覆]. The articles of 《Yookjeonjorae[六典條例]》 consist of Simri[審理] and Sokyeol[疏決] are reflects this fact.

      • KCI등재

        儀軌를 통해 본 『英祖實錄』의 편찬 체계

        강문식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4 No.-

        The compilation of Yeongjo Sillok(英祖實錄) passed throught 5 steps. The first step was making an extract from Sijeonggi(時政記). It was the step extracting articles which would be included to Sillok from Sijeonggi. The second step was writing first manuscripts(初草) and third step was writing second manuscripts(中草). The first and second manuscripts were writt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xtraction from Sijeonggi. The fourth step was test printing and proofreading of the printed manuscripts which were called Cho-gyeon(初見, copy of first test printing) and Jae-gyeon(再見, copy of second test printing). The last step was printing the original copy and binding books. The officials of Sillok-cheong(實錄廳) consisted of Chongjaegwan(總裁官, head of Sillok-cheong), Dangsangs(堂上, senior officials) and Nangcheongs(郎廳, working-level administrators). The real supervisor of compilation of Sillok was the Dangsang of Docheong(都廳堂上). Dangsang of Docheong demanded both great learning and excellent writing skill, so the incumbent Daejehak(大提學) who was in charge of national science and education must be appointed as Dangsang of Docheong. The officials of Sillok-cheong received preferential treatments such as exemptions of going to their original offices, attending the public meetings and ancestral rites and so on.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that used for compilation of Sillok were Sijeonggi and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because Sijeonggi was the base of the manuscripts of Sillok and the most articles from other materials were already written in Sijeonggi and Seungjeongwon-ilgi. On the other hand, in Yeongjong Daewang Sillokcheong Uigwe there is no clear record about using Sacho(史草, chronicler's drafts) and they were not included in the objects of Secho(洗草, washing off the manuscripts). I think it shows that Sacho were not the main materials for compiling Yeongjo Sillok but the subsidiary materials that supplement the Sijeonggi and Seungjeongwon-ilgi. 본고는 『英宗大王實錄廳儀軌』의 분석을 통해 『英祖實錄』의 편찬 체계를 검토하였다. 『영조실록』의 편찬은 ‘時政記 刪節→初草 작성→中草 작성→시험인쇄 및 校讎→正本 인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시정기 산절은 時政記에서 실록에 수록할 내용을 抄出하는 것으로 실록 원고의 기본 골격을 만드는 작업이다. 시정기 산절이 완료되면 그 내용의 토대 위에서 『承政院日記』 등 여타 자료들을 참고하여 初草와 中草를 작성하였다. 중초 작성 후에는 이를 조판하여 시험인쇄 및 校讎를 실시했는데, 이때 만들어진 시험인쇄본이 ‘初見’과 ‘再見’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영조실록』의 원고는 정본 인출 전까지 ‘初草→中草→初見→再見’의 단계를 거쳤다. 『영조실록』의 편찬관은 總裁官 및 都廳과 각 房의 堂上ㆍ郎廳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실록 편찬을 실질적인 주관한 이는 都廳堂上이었다. 도청당상에는 당대의 학문과 문장을 대표하는 관료인 時任 大提學이 임명되는 것이 관례였다. 실록청의 당상과 낭청에게는 실록 편찬 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本司로의 출근이나 入直의 면제, 公會 참석 및 祭官 차출 면제, 파직된 낭청의 임시 軍職 임명 등 각종 특혜가 부여되었다. 동시에 이들에게는 맡은 편찬 분량을 반드시 완수해야 하는 책임도 주어졌다. 『영조실록』 편찬에 이용된 자료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시정기와 『승정원일기』였다. 시정기는 산절의 대상으로 실록 원고의 토대가 되었으며, 또 시정기와 『승정원일기』에는 자료의 성격상 여타 자료들의 내용 중 상당 부분이 이미 실려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기존 연구에서 실록 편찬의 중심 자료로 강조되었던 家藏史草는 『영종대왕실록청의궤』에 이용 관련 기록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또 실록 편찬 이후 시행되는 洗草의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점들은 가장사초에 대한 기존 통설에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