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無姓層의 존재형태와 姓貫획득 경로

        김경란(Kim Kyung-ran)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0

        이 글은 朝鮮後期에 접어든 시점까지 상당수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진 無姓層의 존재형태와 그들이 有姓化과정에서 姓貫을 획득해 나간 구체적 실태에 대해 주목한 것이다. 慶尙道 丹城縣의 사례를 토대로 조선후기 무성층의 존재형태와 성관 획득경로에 대해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무성층을 姓貫즉, 姓과 本貫을 완전하게 갖추지 못한 존재로 전제했을 때 호적대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무성층의 유형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姓만 기재되어 있고 本貫을 갖추지 못한 유형이다. 둘째, 姓은 기재되지 않고 本貫만 기재된 유형이다. 셋째, 姓과 本貫이 모두 기재되지 않은 유형이다. 奴婢를 비롯하여 계층적으로 下層에 속했던 무성층은 조선후기를 경과하면서 급격하게 유성화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무성층이 어떤 경로를 통해 성관을 획득했는가의 문제를 검토할 때 두 가지의 경우가 예상된다. 즉, 혈연적인 연관성이 있는 성관을 획득하는 경우와 혈연적인 연관이 없는 성관을 취하게 되는 경우로 대별하여 볼 수 있다. 호적기록을 바탕으로 무성층의 성관획득 경로를 확인할 수 경우는 대부분 父姓, 祖姓등을 따른 사례 즉, 혈연적 연관성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父姓, 祖姓을 곧바로 칭하지 못하고 시간이 흐른 뒤에 조상의 성관을 칭하는 사람들은 주로 노비 직역을 가진 ?子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즉, 良妾소생인 庶子의 경우 父의 姓貫을 곧바로 호적대장에 기재했던 것에 비해 賤妾소생인 ?子의 경우 곧바로 부의 성관을 칭하지 못했다. 얼자를 비롯한 ?孫들이 성관을 획득하는 시기나 방법은 조금 편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무성층들이 부성, 조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변화가 일어났던 사실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로 奴婢였던 무성층들이 완전한 성관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良役化경향이 나타났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성관을 획득한 노비들은 一般 軍役을 비롯한 良役으로 職役이 바뀌어 기재되고 있었고, 이들의 四祖職役역시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성관획득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던 사례의 상당수가 혈연적 연관성을 가졌던 것에 비해 主人姓을 따른 사례는 상대적으로 소수였던 사실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호적기록을 통해서 성관획득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보다 확인할 수 없는 사례가 더 많았다. 무성층의 대다수를 차지했던노비에 대한 기록은 다른 직역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특히 혈연적 기반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유성화 과정에서 기존의 성관, 특히 김해 김씨를 비롯하여 단성현의 대표적 성관을 칭하는 경향이 강했던 것으로 파악되며, 이러한 경향은 단성현의 大姓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cific situation how the class with no surnames, who were known as numerous in number to the point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d existed and achieved the surname and origin from the process of having their own surnames. It is understood that the class with no surnames were classified in the lower class has rapidly changed to have their own surnames as experiencing the late Joseon Dynasty. For the cases that could confirm the routes of achieving surname and origin of the class with no surnames based on the family register, most of them were following the surname of the father or ancestors, which means the correlation between blood ties. It has been appeared that most of the people who had the surnames of the ancestors after a certain time as not having immediately were the children of concubines with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of a servant. Furthermore, the fact, which the case of following master’s surnames was relatively few in number compare to the majority who had the correlation between blood ties, could be figured from the cases that could confirm the routes of achieving surname and origin. However, there were more cases that could not confirm the routes of achieving surname and origin than that could be confirmed. Most of the class with no surnames was servants. The records on servants are comparatively rough from the people with other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and especially, they were difficult to find the root of blood ties. They are identified to have their own previous surname, especially naming the representative surname of the region they live in, while having surname and origin. This tendency seems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representative surname of Danseonghyeon.

      • KCI등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Surname System in Late Chosŏn

        Kim Kyungran(김경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1 No.1

        조선후기는 현대 한국인의 성관체제의 형성과 관련하여 매우 의미있는 변화가 이루어졌던 시기였다. 이 시기 성관체제의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상은 급격한 有姓化 현상이 나타나 많은 無姓層이 새롭게 성관을 갖게 된 것이다. 즉,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아직 성관을 갖지 못한 많은 無姓層이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무성층은 어떤 존재였으며, 성관을 갖게 된 사회적 배경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해명은 현재 모든 한국인이 어떤 경로를 통해 성관을 갖게 되었는가에 대한 문제와 직결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조선후기의 유성화 현상과 그러한 현상이 나타난 사회적 배경을 구명하고 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과 300여년 전인 17세기 후반 무렵 조선의 무성층은 전 인구의 절반 가량을 점하고 있었다. 18세기를 경과하면서 무성층은 빠르게 성관을 가진 유성층으로 변화해 갔고, 그 결과 19세기 전반 무렵에는 인구의 대다수가 성관을 갖게 되었다. 18세기의 급격한 유성화는 당시 국가의 노비정책에서 그 직접적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즉 양역자원 확보를 위한 국가의 정책과 완전한 양인화를 꾀한 노비들의 의도가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이해된다.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the late Chosŏn (Joseon) dynasty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surname system we know today. The most noteworthy change of the surname system during this time was a dras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had newly acquired surnames.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re was quite a large population of the “surname-less class (無姓層)” until the late Chosŏn dynasty. Who were these people who made up the surname-less class? What kind of social background allowed the people of the surname-less class to acquire surname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related to the question of how all Koreans came to have their surnames today.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is phenomenon of surname acquisition by the surname-less class and the social background which allowed this phenomenon to take place. The members of the surname-less class numbered about half of the population of Chosŏn only about 300 years ago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people who belonged to the surname-less class quickly began to acquire surnames, and as a result, most of the population of Chŏson had surnames by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rapid decline in the surname-less class population was directly related to the government’s policy on slaves (nobi). It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s policy to secure sufficient manpower for public service and the slaves’ intention to erase any trace of their former status after becoming yangin.

      • KCI등재

        조선시대 성균관대사성의 출신배경 실태

        정덕희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5 No.-

        In this study, the notable analysis results of family background of Sungkyunkwan(成均館) Daesasung(大司成) in the Choseon Dynasty are as follows: In the Choseon Dynasty, Daesasung assumed extreme partiality to the extent of being produced only from a few Sungkwan(姓貫) excluded most of them. Sungkwan means the family names and origins. Considering 20 Sungkwan which were only 13.6% out of all Sungkwan occupied 62.3% of Daesasung, the result also suggested that there was extreme partiality within Sungkwan produced Daesasung. In the first half of 16th century, the occupancy rate of Daesasung coming out of distinguished Sungkwan sharply contrasted with that of coming out of minor Sungkwan, which were 62.9% and 8.6% respectively. It was the result that Sarimpa(士林派), a scholastic bureaucrat group, which was the local nobility of non-distinguished family was predominantly appointed to Daesasung. I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the number of reappointment of Daesasung was an average of 2.8 times, which was relatively higher than an overall average of 1.7times in the Choseon Dynasty. In this period, the term of office for showing ability of Daesasung was also relatively long comparing to other periods. In the Choseon Dynasty, the native residential districts of Daesasung were 68 places, which were only 20.5% out of all 332 counties and prefectures. There was also extreme maldistribution within the native residential districts produced Daesasung in that 10 places which were only 3.0% out of all counties and prefectures including Seoul produced 92.8% of Daesasung. In Seoul, while the occupancy rate of candidates of Munkwa(文科), that i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43.0%, that of Daesasung was 86.6%. Also, the occupancy rate of Daesasung in each province excluding Seoul was 0.00%~4.6%. This result suggested that Daesasung in the Choseon Dynasty was very continuously and exclusively possessed by the nobility living in the capital. The final government post of fathers of Daesasung was the Civil Service to the extent of taking up 99.1% overwhelmingly. Going into details of Kwanpoom(官品) which is the Civil Service by official ranks, the senior grade of the second rank was the most as 29.3%, the junior grade of the second rank was 23.4%, the senior grade of the first rank was 15.8%, and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rank was 13.0%. Cumulative ratio over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rank reached to as many as 84.4%. Also, most Daesasung were sons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over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rank. 이 글은 조선시대 대사성의 출신배경으로서 姓貫, 출신 거주지, 부친의 사회적 지위 등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출신배경이 대사성의 임용과 어떠한 관련이 있었는가를 계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을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보았다. 이 글에서 활용하는 계량적 방법은 사회과학 일반의 통계적 분석과 다른 의미를 가진다. 즉, 후자가 단순히 어떤 특수한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면, 전자는 역사적 현상의 장기지속(Long Duration)에 따른 변화과정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장기지속에 따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계량적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그것은 곧 系列史가 되는데, 이는 측정 가능한 역사적 사실들을 시리즈(Series)로 만들어 각기 서로 다른 준거에서 계열화함으로써 片鱗化된 문헌으로부터 그 의미를 도출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대사성 및 성균관과 관련된 연구들을 通時的(Diachronic) 시각에서 조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과 『고종순종실록』 등에서 성균관 관제가 정해진 태조 원년(1392년 7월 28일)부터 직제 개정이 이루어진 고종 31년(1895년 7월 2일)까지 대사성을 역임한 인물 1,249명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조선문과방목』을 통해 확인된 이들 대사성의 출신배경을 시리즈로 만들어 빈도분석과 차이검증을 시도하였다. 조선시대의 대사성은 대다수의 성관들이 배제되고 소수의 성관에서만 배출되는 극심한 편중성을 띠었다. 그리고 대사성을 배출한 성관들 내에서도 13.6%에 지나지 않는 20개 성관이 전체의 62.3%를 차지함으로써 심각한 편중성을 나타내었다. 조선시대 대사성의 출신 거주지는 68곳으로서 전체 332개 군 · 현의 20.5%에 불과할 정도로 지역적 편재가 심각하였다. 그리고 대사성을 배출한 출신 주거지 내에서도 편재성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서울을 포함한 전체 군․현의 3.0%에 불과한 10곳에서 대사성 총 인원수의 92.8%를 배출하였다. 그리고 함경도는 대사성을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였다. 대사성 부친의 최종 관직은 문관이 99.1%를 차지하여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를 관품별로 보면 정2품이 29.3%로 가장 많았고, 종2품 23.4%, 정1품 15.8%, 정3품이 13.0%의 순서이었다. 그리고 정3품 이상의 누적비율은 84.4%에 이르렀다. 조선시대의 대사성은 주로 서울 출신으로서 당상관 이상 고위 관료의 자제들이 임용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16세기 전반은 아주 예외적인 현상으로 族勢가 미약한 성관 출신자들이 대거 대사성에 임용되었다. 이로써 보면, 사림파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16세기 전반의 제한된 시기 등을 제외하면, 조선시대의 대사성은 정치권력의 기득권을 지속적으로 재생산하였던 거족 및 유력 가문들에 의하여 거의 독점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同姓마을의 형성과 洞約의 성격 변화 : 慶尙道 丹城縣 法勿也面 洞案의 분석

        김경란(Kim, Kyung R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4 No.-

        조선후기에는 同姓마을이 급격하게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향촌사회의 지배구조 및 지배조직에도 변화가 초래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洞約(洞契)의 변화였다. 동성마을이 확산됨에 따라 상당수의 동약이 族契化하면서 그 운영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고, 이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이 글의 목적이다. 조선후기 慶尙道 丹城縣 法勿也面에서는 몇몇 有力 姓貫들을 중심으로 동약이 시행되었다. 그런데 商山 金氏에 의해 동성마을이 형성됨에 따라 법물야면의 동약은 인적인 구성과 지역적 범위에 변화가 초래되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8세기 초반 무렵 법물야면의 동약을 주도했던 상산 김, 무송 윤, 진주 유씨 등은 단성현의 유력 성관들이었고, 이들 사족가문에 의해 법물야면의 동약이 시행되었다. 법물야면의 동안은 양반층이 중심이 된 上洞案의 성격을 갖고 있었지만, 1730년대 이후부터는 일부 中庶層의 참여도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상산 김씨의 庶子들을 비롯하여 이천 서씨 등 계층적으로 중서층에 해당하는 새로운 성관이 동안에 기재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동안 기재인물의 거주지 역시 18세기를 경과하면서 평지촌, 내당촌으로 집중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평지촌, 내당촌은 상산 김씨의 동성마을이 형성되었던 촌락이었고, 법물야면의 동약을 주도했던 성관 중에서 동성마을을 형성했던 성관은 상산 김씨가 유일하였다. 상산 김씨의 동성마을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법물야면의 동약은 상산 김씨의 족계적 성격으로 변모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후기 법물야면의 동약 시행과 관련된 자료로 18세기 중반에 작성된 『洞內穀物息利有司姓名冊』과 19세기 전반에 작성된 『許廳案』이 현전하고 있다. 『有司姓名冊』과 『허청안』에 기재된 인물들은 법물야면의 동약을 운영하는 실무적인 역할을 했던 존재로 파악할 수 있다. 이들은 신흥 세력들로서 계층적으로는 中庶層에 속하였다. 이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성관은 경주 최씨였다. 경주 최씨는 상법촌에 집거하며 동약 운영에 참여하는 등 사회적 성장을 이루었던 신흥세력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에 들어 상동안과 별도로 허청안이 작성되고, 여기에 법물야면의 신흥세력이었던 경주 최씨가 대거 기록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19세기 법물야면의 동약은 18세기와는 달리 신흥 세력들을 『허청안』으로 분리하여 그 명부를 작성하였다. 이는 19세기 이후 신분제적 위기를 느낀 양반사족들이 상하합계에서 상계, 하계를 분리하려는 경향이 법물야면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던 것으로 볼 수 있다. 18세기 이후 평지촌, 내당촌을 중심으로 동성마을을 확대시켜 갔던 상산 김씨는 법물야면의 동약을 족계화하였고, 새롭게 성장한 신흥 세력과 일반 촌락민을 허청안과 하동안으로 분리하면서 신분제적 질서를 정비하는 동시에 이들에 대한 지배적 영향력을 유지해 나가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ongyak (Village Covenants) was implemented centered on a few influential families in Beommurya-myeon, Danseong-hyeon, Gyeongsang-do Province. However, with the formation of consanguineous villages by the Sangsan Kim family,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faced many changes in terms of the population composition and regional scope. The Sangsan Kim family, Musong Yun family, and the Jinju Yu family, who led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were major influential families in Danseong-hyeon. Although the Dongan (list of names) from Beommurya-myeon was mainly a list of superior names focused on the noble class, it started to include some names from the middle class from the 1730s. The residential areas of those who were listed in the Dongan also became focused in the Pyeongji-chon and Naedang-chon areas during the course of the 18th century. Pyeongji-chon and Naedang-chon were areas where the consanguineous villages of the Sangsan Kim family were formed. Among those who have led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the Sangsan Kim family was the only family who formed consanguineous villages.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sanguineous villages of the Sangsan Kim family,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seems have changed to represent the family tree of the Sangsan Kim family. The Sangsan Kim family, who had expanded the consanguineous villages centered on the Pyeongji-chon and Naedang-chon areas from the 18th century, transformed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into its family tree. The family also classified newly rising powers and general residents into Heocheongan and Hadongan to organize the status-based order, and intended to maintain their controlling pow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충숙왕대의 征東省官

        金蘭玉(Kim, Nan-Ok)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1 No.-

        King Chungsuk(忠肅) had difficulty in exercising his royal authority during his reign due to intervention of King Chungsun(忠宣), the ex-king, at the beginning; ibsungchaekdong(立省策動)-the schemes for establishing Jeongdonghangseong (an institution of Mongo for interfering in Goryeo affairs)-and the recollection of the king’s rights in the middle phase; and restriction in his power by abdication and re-accession to the throne in relation to King Chunghae in his late reign. Under the reign of King Chungsuk, most of the Jeongdong-sungwkan officials who were Goryeo had not only some connection to the Yuan but also a strong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king, and the position of sungkwan was succeeded even in some families. The Goryeo sungkwan(省官) officials sought for keeping the king safe and secure, while their counterparts of the Yuan did not. The Yuan sungkwan officials tried to apply the Yuan legal system to Goryeo, an attempt that provoked a strong opposition; took the lead in ibsungchaekdong. Above all things, the original roles of officials in Jeongdonghangseong were not clearly shown in activities of the Jeongdong-sungkwan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suk; it is uncertain whether their political behaviors were performed under the position of Goryeo officials or as the stance of officials in Jeongdonghangseong. Moreover, it is doubtful whether Jeongdonghangseong was effective on controlling or subjugating Goryeo, for most the Goryeo sungkwan officials supported King Chungsuk.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what were the ways of mediat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ontrolling Goryeo in the period of establishing Mongol-Goryeo relationship.

      • KCI등재

        조선후기 평민 同姓마을의 형성과 특징- 大丘府 解北村 廣里의 丹陽 禹氏 사례

        김경란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8

        The clan villages in Daegu prefecture began to form purposefully in the late 18th to mid-19th century, and more than a few villages also emerged in the late 19th to 20th century. Among those villages were those that can be defined as commoners’ clan villag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Danyang Woo clan’s village in Gwang-ri, Haebukchon village. The Danyang Woo clan was not of the typical nobility (Yangban in Kore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reover,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nobility in Gwang-ri, which was village of the Danyang Woo clan. In fact, Gwang-ri was originally a typical commoners’ village, which was inhabited by ordinary people with different family names and clan seats, rather than those of the upper class. Since the 19th century, the Danyang Woo clan, who occupied the majority of middle-class occupations, rose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class before any of the other family names in the village. The intention of the Danyang Woo clan in raising the social status through the rise in position was consequently a factor of the formation of a clan village. The Danyang Woo clan of Gwang-ri shared one genealogy derived from a common ancestor. This conflicts with the existing understanding that the members of a commoners’ clan village had no blood relation to each other or that they originated from various genealogies. It seems that the Dangyang Woo clan of Gwang-ri lived for generatio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maintained an exclusive blood relation.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the Danyang Woo clan of Gwang-ri, the entity of the formation of clan villages evolved into positions of the nobility and even the commoner since the 19th century. It seems that the formation of the commoners’ clan village was mainly attributed to ordinary people’s orientation toward the upper class which appeared in the overall kindred order of the late Joseon period. 『慶尙道大丘府戶籍大帳』의 기록에 의하면, 대구부의 동성마을은 주로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에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19세기 후반~20세기에 형성된 마을도 적지 않았다. 그리고 여기에는 평민 동성마을로 규정할 수 있는 마을들이 포함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解北村 廣里의 丹陽 禹氏 동성마을이다. 해북촌 광리에 형성된 단양 우씨 동성마을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특징들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해북촌 광리에 거주했던 단양 우씨는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양반이 아니었으며, 그들의 동성마을이 된 광리에서는 양반을 찾아 보기 어렵다. 광리는 본래 상층양반이 거의 거주하지 않았고, 여러 姓貫을 가진 평민들이 거주한 전형적인 민촌이었다. 마을의 규모 역시 18세기 중반~19세기 후반까지 50~80호 정도를 유지한 작은 마을이었다. 中層職役者가 대다수였던 단양 우씨는 19세기 이후 마을 내의 다른 성관들에 앞서 上層職役으로 상승하였다. 직역상승을 통해 사회적 위상을 높이려는 단양 우씨의 의도는 결과적으로 동성마을을 형성할 수 있었던 하나의 요건이 되었을 것이다. 한편, 광리의 단양 우씨는 공통의 祖先에서 비롯된 단일한 계보를 가진 사람들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평민 동성마을내의 구성원들은 혈연적 연관성이 없거나 또는 여러 계보에서 비롯되었다는 기존의 이해와는 상충된다. 광리의 단양 우씨는 오랜 기간에 걸친 世居로 혈연적 연관성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양반 동성마을은 유력성관이나 가문과 중첩적으로 통혼권을 형성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평민층이었던 광리 단양 우씨의 통혼 양상은 일반적인 양반 동성마을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양반 동성마을처럼 특정 성관과 중첩된 혼인관계를 맺지 않았으며, 혼인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양상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또한 단양 우씨 배우자의 출신촌락 역시 특정 마을에 집중되어 있지 않았다. 평민 동성마을의 통혼양상은 양반마을의 그것과 확연하게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광리 단양 우씨의 사례에서 볼 수 있었듯이, 19세기 이후 동성마을의 형성주체는 양반 뿐 아니라 평민층으로까지 분화되었다. 평민 동성마을은 광리 단양 우씨의 경우처럼 구성원들 사이에 밀접한 혈연적 연관성을 가진 마을도 있었다. 이러한 평민 동성마을의 형성은 조선후기 친족질서 전반에 나타났던 일반민의 상층지향성이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여겨진다. 그러나 평민 동성마을은 동일 성관의 血緣的 集居라는 측면에서 외형적으로 양반 동성마을과 유사하였지만, 그 내부적인 구성은 다른 측면들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改名의 증가와 그 사회적 의미

        김경란(Kim, Kyung-Ran)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4 No.-

        改名은 글자 그대로 이름을 고쳐 바꾸는 것이다. 이름은 개인을 외부에 표현하는 매개이며, 따라서 이름을 바꾸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 행위이자 선택일 수 있다. 그런데 개명이 특정 시기의 상황과 관련되어 이루어졌다면 개명을 단순히 개인적인 선택으로만 규정할 수 있을까? 조선후기에 작성된 慶尙道 丹城縣의 戶籍大帳에는 개명기록이 다수 남아있다. 특히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에 개명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 내용을 분석해 보면, 계층적으로 상층에 속하는 사람들과 소수의 특정 姓貫을 중심으로 개명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18세기 이후 개명의 증가가 몇 몇 특정 성관에 주도되었다는 점은 개명이 개인적 선택의 결과가 아닌 특정 성관의 집단적 행위였을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특정 성관에 의한 집단적 개명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그 이유는 무엇이었는지의 문제를 상주 김, 안동권, 합천 이씨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18세기 이후에 시기별로 가장 많은 개명을 했던 성관은 주로 동성촌락 등의 특정 촌락에 집거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개명한 사람들은 혈족관계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 개명의 증가는 상당 부분 개인적 선택이 아닌 집단적 행위의 결과물이며, 당시의 개명은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의 사회적 의미는 무엇일까. 그 해답은 그들이 개명한 구체적 이름을 확인함으로써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이 개명한 이름에서는 일정한 계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行列字의 적용을 위한 개명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경우의 개명은 개인의 선택이 아닌 집단적 행위였으며, 개명을 결정하는 것은 門中이었을 것이다. 개명이 증가하기 시작한 18세기는 父系 중심의 친족질서가 성립되어 갔던 시기이다. 부계 중심의 친족질서의 성립은 문중의 결성을 가져왔다. 문중은 부계집단의 族的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였고, 그 중 하나가 항렬자의 통일 및 확대적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항렬자의 확대는 동족내부의 결속과 질서를 강화하는 주요한 수단이었다. 이를 통해 개별 문중은 친족집단의 족적 결합을 강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조선후기에 개명이 증가하였던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Renaming refers to a literal change of the name. A name is a medium by which an individual identity is expressed to the outside. Therefore, renaming can be an extremely personal act and choice. In the case where renaming occurs in connection with a particular event or time, can it be defined only as a personal choice? There are many records of renaming in the family registers of Danseong County, Gyeongsang province which was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Renaming had increased sharply, particularly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8th to the mid-19th centu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mily registers, renaming primarily occurred among higher social class, and a small number of families and clans with specific surnames. The fact that the increase in renaming after the 18th century was led by certain specific family names and clan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renaming was not a result of personal choice but a collective act of the respective group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and why collective renaming by specific family names and clans was performed, with a focus on Sangju Kims, Andong Kwons, and Hapcheon Lee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renamed family names and clans since the 18th century concentrated on people who gathered in villages of the same family name, and the renamed people were related by blood. From the changed names, it can be seen that renaming was performed to apply generation characters. In conclusion, renaming can be seen as a collective act rather than a personal choice, and it may have been determined by the relevant clan. The family order, centered on the paternal line, was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frequency of renaming began to increase. Correspondingly,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clans. Clans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tribal solidarity of the paternal groups. One undertaking seems to have been the unification and expanded application of generation characters. The expansion of generation characters was a significant measure in strengthening the solidarity and order within the same tribe. This suggests that the major cause of the increase in renam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ttributed to enabling individual clans to strengthen the tribal solidarity of family groups.

      • KCI등재

        朝鮮 後期 鄕校의 靑衿儒生과 在地士族의 動向 : 羅州 『靑衿案』 分析을 中心으로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조선후기 향촌사회 권력구조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재지사족 중심의 사회지배체제가 18세기 이후에는 크게 바뀌어 갔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18세기 이후 사족지배체제는 더욱 강화되어 갔다는 견해도 있다. 아직까지는 어떤 견해가 확실히 옳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특정 시기 특정 지역에 대한 보다 많은 지역적 사례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나주의 청금안을 중심으로 재지사족의 실태와 동향 그리고 추이를 사례 연구로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주의 청금안을 살펴보면 1713년 『계사안』에서 1892년 『임진안』까지 입록되어 있는 유생의 총 수는 3,062명이다. 이 중 입록인원이 100명 이상인 주요 성씨는 순서대로 李, 金, 鄭, 羅, 柳, 林, 吳, 崔씨 등이다. 이들 여덟 성씨를 합한 인원이 2,509명으로 전체 입록인원의 81.93%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성씨는 전통적으로 나주를 지배해 왔던 주요 성씨들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결국 나주의 지배층을 이루고 있던 재지사족들이 청금 안에서도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청금유생으로 입록될 수 있는 자들은 나주에서 재지사족으로 상층 지배성관이라는 것이다. 다음으로 19세기 이후의 청금안 자료를 살펴보면 시대가 지날수록 다양한 성관과 인물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촌사회 지배 세력인 양반 사족의 외연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향촌 사회 지배세력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나주를 본관으로 하는 토성 중심의 전통적 지배성관이 여전히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지배 사족의 위상은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한편으로 이러한 청금유생과 과거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마시나 문과에 많은 합격자를 배출한 성관과 청금안에 많이 입록되어 있는 성관이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는 과거 합격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공고히 했던 유력 지배 성관이 조선후기로 갈수록 청금안에 입록하여 향교를 장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국 나주를 지배해 왔던 주요 재지사족의 위세와 비중은 결코 줄어들지도 크게 변화하지도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촌 사회를 지배해 왔던 재지사족들은 시대가 흐르면서 향리층을 비롯한 향족들의 도전 속에서 보다 다양한 세력을 끌어들여 그 지배세력의 범위는 확대하였으나 그 주도권은 잃지 않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were many changes in power structure of country societ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nobility(Yangban) who controlled country society strived to keep their vested rights, and a national country school(HyangKyo) achieved fixed function for their effort. The nobility also made a draft of ‘ChungkumAn(靑衿案)’ of HyangKyo to strengthen their vested rights and solidarity. The study of the country nobilit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has antagonism between durability and variability of social position related to a status system. Therefore, certain regional and periodic case study is more demanded than researcher’s subjective opinion. This study tries to grasp existence aspect and transition of the nobility who controlled the vested rights centering around ‘ChungkumAn’ of HyangKyo in Naju area. ‘ChungkumAn’ means list of a student to Confucianism. Therefore, listed in this ‘ChungkumAn’ was the list of the nobility who study to Confucianism in Naju HyangKyo in that time. Analyzed results of 'ChungkumAn' written in 18th century are listed below. This study found that listed individual ages are minimum 22 and maximum 49. When they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ir name was eliminated from ‘ChungkumAn’. and their record of apply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all ‘YouHak'(幼學). Furthermore, government post of their farther who already passed away was recorded as all ‘HakSang’(學生). Analyzed result of references written after 19th century is that number of individual and family name increased as time went by. Record of 1892 listed 233 individuals and 38 family names. After that 430 individuals and 69 family names in 1912, 582 individuals and 75 family names in 1930, and 936 individuals and 97 family names in 1941. This shows that the nobility who controlled power in country society expanded as time went by. This means that there was changes in controlling force in country society. However, in careful examine, there were not much of changes or decreasing of major family which controlled Naju area. After all, The family of nobility which controlled country society expanded their sphere of force structure, but they never lost their leadership.

      • KCI등재

        조선시대 전주이씨 장천군파(長川君派)의 잡과 진출

        이남희(Lee, Nam H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6 No.2

        전주이씨 하면 일반적으로 조선의 왕실, 그리고 핵심적인 양반 성관(姓貫)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씨만 보고서 양반으로 분류해버리는 것은 심각한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전주이씨 가계 가운데서도, 구체적으로 사료를 검토해보면 일반적으로 중인들이 응시했던 잡과에도 응시해 합격자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전주이씨 가계의 잡과 합격 현황을 살펴본 다음, 잡과에 진출한 전주이씨 집안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제2대 임금 정종(定宗)의 제13남 장천군파(長川君派) 이택기 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잡과에 합격했다는 것은 기술관으로서의 입지를 보장해줄 뿐만 아니라, 고위직 기술관으로 진출할 수 있는 관직의 길을 담보해주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검토를 통해서, 같은 성관이라 할지라도 파(派)를 달리하면 그 후손들의 신분과 위상이 미묘하게 달라지게 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왕실의 후손들 가문에서 잡과에 진출해 잡과중인 가계를 형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잡과중인 형성 과정에서 전주이씨 가계가 어떤 비중과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조선 왕실 후손들이 잡과시험을 통해 잡과중인 집안으로 변모하여 생존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시대, 특히 후기의 경우, 성관만으로 신분, 양반과 중인 등을 단정지울 수는 없는 것이다. 같은 성관이라 하더라도 파(派)에 따라서 후손들의 신분과 위상이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이후의 사회적 신분과 사회변동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례 연구와 더불어 다양한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분석,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Jeonju LEE is known as the surname of the royal family and a prominent Yangban class of the Choson Dynasty. However, not all Jeonju Lee’s were Yangbans.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historical literature, this report was able identify that even within the in Jeonju LEE family, there were Chungin’s(中人) who successfully passed the Chapkwa(雜科)-proving that it is erroneous to conclude one’s social status with one’s surname. This paper focuses on the Jeonju Lee family that took the Chapkwa.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Lee Taeg-ki, the 13th son of the King Jung-jong, and his family. Lee Taeg-ki was an official Chinese translator adalso Jangcheongun-pa(長川君派). Passing Chapkwa guarantees not only a position as a government techno-official, but also the route for a high ranking official. This study proves that even family members with the same surname had different social standing and status. Additionally, this paper found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Jeonju Lee family in the process of forming Chapkwa-Chungin(雜科中人) and how they survived by becoming a Chapkwa-Chungin family. It is impossible to assume/conclude one’s class(Yangban, Chungin) by one’s surname in the late Choson Dynasty, because social status and social standing of descendants were differentiated by Pa(派). Therefore, in order to truly understand the social standing and social change in late Choson Dynasty, one needs to conduct specific case studies in diverse angles and spectr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