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품서사`개념의 분화, 확대와 오용 양상

        범효춘 ( Beom Hyo-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의 `작품서사`개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문학치료연구 에 발표된 글을 중심으로 문학치료학의 발전과 함께 생성된 신 용어개념 중, `작품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그 분화와 오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문학작품의 `작품서사`란 줄거리 개념보다 더 근원적인 것으로, 작품의 저변에서 구조화되어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작품으로 형상화된 서사”, “문학작품의 바탕에서 작품을 운영하는 서사”이며, 문학치료의 치료와 진단의 도구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다양한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 용어들은 문학치료학에서 정립해가고 있는 개념과 대비하여 종종 다소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작품서사`개념의 확대와 분화 생성의 양상이며, 또 하나는 `작품서사`개념의 오용의 양상이다. 먼저 문학치료 연구자들의 새로운 연구에는`이미지서사` `수업서사` `무용서사`와 같은, 문학작품의 `작품서사`와 동급의 위치에 해당하는 새로운 서사개념을 생성하여 `작품서사`의 의미를 기존의 `작품서사`, 즉 문학작품의 `작품서사`보다 더 큰, 포괄적인 개념으로 상향 확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작품서사가 가진 성격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단주서사`와 `서번트 리더십서사` `미래민족사관서사`와 같은 `작품서사의 하위개념`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서사개념과 서사용어들이 분화되어 파생되고 있다 문학치료연구자들의 연구에서 `작품서사`의 개념이 오용되고 있는 사례의 대부분은 `작품서사`를 그 개념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거나. `텍스트`나 `작품` 또는 `핵심내용`등의 의미로 혼돈한데서 비롯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changing pattern of using terms of LiteraryTherapeutics especially focused on the terms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As Literary Therapeutics has been developed, the terms and idea of the Literary Therapeutics are adapted to other various areas. I tried to find out the changed or wrong term use in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the papers of 『Journal of Literary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atternof changed term`the epic of literary work` could be categorized by three types. First,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extended to the higher level,`the epic of the work` by using the terms of the same level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such as `the epic of a film`, `the epic of dance work` and `the epic of classroom lesson`. Second,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specialized to the lower levelby using the terms, such as `Dan-Joo epic`, `leadership epic` and `the nationalistic view of history for the future and the epic`. Third, in several studies, there are some confusions in using terms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 think they derive misunderstanding from the original meaning of`the epic of literary work` as `text`, `core idea` or `narrative`.

      • KCI등재

        임권택의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조응관계

        김영빈 ( Kim Young-b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문학치료학은 문학이 인간의 실존성을 다룬다는 관점에서 문학과 인간을 동일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삶에 적용되는 `자기서사`와 문학에 적용되는 `작품서사` 개념을 기초로 한 문학치료학이 발전되어왔다. 또한 문학치료학은 서사예술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수용성을 가지며 영화치료학에도 유효하다. 이때 서사 주체가 창작자일 경우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다. 임권택이 격변의 한국현대사를 관통하며 성장한 후 우연의 인과로 영화감독이 되어 보여주었던 삶과 작품과의 관계는 문학치료학이 규정하는 자기서 사와 작품서사와의 밀접한 조응관계를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1962년에 <두만강아 잘 있거라>로 감독 데뷔한 후 11년 동안 삶에 대한 긍정의 전망이 없는 가운데 만든 50편의 영화들은 자기의지의 작동이 없는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 생의 반려를 만나 세계관의 변모를 거친 이후 만든 작품들은 그에 걸 맞는 서사 양상의 변모를 보여주었다. 임권택의 1980년대와 그 이후는 그의 삶의 궤적과 <짝코>, <길소뜸> 등의 작품에서 보이듯, 수십 년 동안 단련하고 성장해온 그의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삶에 대한 긍정, 성숙된 세계관으로 회피와 유랑의 근원이었던 한국현대사를 정시(正視)하면서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등가적 개선을 이룬 것이다. 성장기로부터 오늘날까지의 그의 삶과 작품이력은 문학치료학의 네가지 영역과 네 가지 수준의 서사척도의 조건과 특질들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In literary therapeutics, a human being is considered literature. The epic theory of literary therapeutics has two main concepts, “the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From a literary therapeutics perspective, a human life is organized by the epic of self, and literary work is realized by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se two concepts can be useful for film therapy, especially when the agent of the epic is the creator themselves. The relation between Im Kwon-taek`s life and his films show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the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Ever since his directorial debut in 1962, he only made hopeless stories for 11 years. However, after his view of the world changed, he showed a positive outlook on life through his films such as Two Old Men, Mismatched Nose and Kilsodeum. An improvement in the epic of self influenced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change in Im Kwon-taek`s films verified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his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His life and film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epics and epic scales in literary therapeutics.

      • KCI등재후보

        작품서사의 개념 체계와 유용성에 대한 해명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이 논문에서는 문학치료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작품서사이론이 어떤 체계 속에서 형성되어 왔으며, 목표로 하는 바는 무엇인지, 그것의 유용성은 어떤 것인지를 밝히려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작품서사라는 개념 체계가 형성되어 온 과정을 정리하였는데, 작품서사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관련이 있는 새로운 서사이론에서부터 작품서사 개념을 체계화하게 된 문제의식과, 작품서사의 특성, 기왕의 작품 연구와 작품서사 연구의 차이점에 대해 살폈다. 3장에서는 진단 도구의 개발 논리에 대한 의문점 이라는 논문을 중심으로 작품서사에 대한 오해들을 해명하고 그 유용성을 밝혔다. 이 글에서는 작품서사에 대해 크게 네 가지의 의문을 제기하였다. 첫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인생`에 대한 것이었다. 그 글에서는 작품과 인생이 상관이 있다고 해도 될 것을 굳이 작품서사와 자기서사가 본질적으로 같다고 한 것에 의문을 제기했었다. 그런데 그것은 문학치료학에서 작품과 인생의 상동관계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려 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서사를 분석 도구로 삼았고, 서사의 핵심을 인간관계로 봄으로써 문학 연구 자체가 인생의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했음을 밝혔다. 두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작가`에 관련된 것이었다. 그 글에서는 작가를 넘어서는 작품서사의 존재를 의심했다. 작품은 작가에 의해 계획되는 것인 만큼 독자는 작가의 의도를 쫓아 감상하기만 하면 된다고 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견해는 작품의 실제 수용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작품은 독자와의 교류 속에 존재하며 또 작가가 한 편의 작품을 생산할 때에도 이야기의 자초지종에 대한 맥락이 먼저 형성된 이후에야 플롯(plot)과 같은 구성을 기획해서 전개시켜 나갈 수 있다고 보고 있음을 밝혔다. 세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치료`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 글에서는 문학작품이 종교적 경전이 아닌데 본질을 치료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런데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작품서사나 자기서사는 작품과 인생을 궁극적으로 규정하는 총체적인 구조나 체계와 유사한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변하게 되면 행동이나 대인관계에서 큰 깨달음이 따른 다는 것을 밝혔다. 네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감동과 위로의 원천`에 대한 것이었다. 그 글에서는 장면, 묘사, 인물의 생각, 표현 등도 감동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런데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적 구성요소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본다. 이것들은 독자들의 정서적 자극을 증폭시키고 몰입을 이끌어 낼 수는 있지만 변화로 이끌 수는 없다고 본다. 한 장면이 감동적인 것은 사실은 장면의 앞과 뒤가 채워지고 맥락을 갖춘 하나의 서사가 환기됨으로써 가능한 일임을 밝혔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system and utility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chapter 2, I examine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has been developed for decade. In chapter 3, I answer the questions which Professor. Shin had brought up in Problems in Logic of Diagnosis Means . Professor. Shin brought up four questions. First one is about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life. He has doubts about an intrinsic attribute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He wants to know why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essentially same. In literary therapeutics, human is literature, human is epic. `literature` is not only understood as `the result of human activity.` ,but `human` itself. It gives new point of view on human. In literary therapeutics, we see our `life` as a `literary work`. So, we can apply same method on both `life` and a `literary work`. Therefore, we can approach to the foundation of our life using same method of approaching to the foundation of a literary work. Second one is ab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author of the literary work. Professor. Shin has his doubts on existence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He said the literary work is made by intentions of the author, so the readers only have to appreciate the literary work by following the author`s intention. However, in his view, the actual interaction between the literary work and the readers wasn`t concerned. The literary work can only be in existence with interacting with the readers. The third one is about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a cure. Professor. Shin has his doubt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really a cure. From the literary therapeutic point of view, the original function of literature is a `cure`. In literary therapeutics, `epic` is defined as `the story of a formation, a crisis, and a recovery in human relation`. Human relation is the core of epic. So, we focus on our `epic` when we have a problem in our life. The reason we have problem is because of our epic. When the epic of self has a problem, it will affect our life too, expecially human relation. The fourth one is about a source of being moved. Professor. Shin said that a scene, description, and an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can be the source of deep emotion. However, in literary therapeutics, those elements are not enough. Those elements cannot change the readers fundamentally. When we can organize the epic of literary work, we can be moved by the epic.

      • KCI등재

        노계가사에 대한 일고찰 ― 문학치료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

        김은희 ( Kim Eun-hee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1

        이 글은 문학치료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박인로의 <누항사>와 代作인 <사제곡> 그리고 노년의 작품인 <노계가>를 연결시켜 강호가사라고 하는 동일성 위에서 드러나는 그의 내면변화를 살펴보았다. 문학치료 서사이론에 의하면 문학작품의 근저에는 작품서사가 있고, 작가 및 독자의 내면에는 자기서사가 있으며,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간극과 불일치가 자기서사의 변화를 추동하고, 다시 작품서사의 변화를 유도하면서 작품이나 인생에 대한 이해가 변화·성장해간다고 본다. 이 때, 자기서사의 변화 및 성장은 자기서사의 보충·강화·통합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며, 자기서사의 건강성을 획득하게 된다고 본다. 이에 이 글은 노계의 자기서사가 변모·성장하는 과정을 작품서사와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누항사>에는 갈등의 서사로서, 현실(궁핍한 삶)과 당위(안빈낙도와 오륜-유가적 이념)의 거리라는 분열된 자기서사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 자신의 처지와 상황, 고통을 밖으로 드러내는 일은 치유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바, <누항사>(가사) 창작을 통한 갈등의 토로는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성찰은 자기서사의 핵심을 발견하게 하고, 이를 통한 카타르시스가 가능해지면서, 갈등극복의 기반이 되고 있다. 退老 사대부의 자족적인 삶, 인간과 자연, 이념의 조화를 내재한 작품서사 <사제곡> 代作은 박인로에게 전형적·이상적인 사대부의 내면을 자기서사에 수용·통합할 수 있게 한다. 유교적 당위의 세계를 표현·제시해 보면서 <사제곡>은 노계에게 당위·理想의 서사로 작용, 만족감·자부심의 회복에 기여하며 넉넉한 자기긍정으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바, 궁극적으로 자기서사의 건강성 회복에 기여한다. 극복·완성의 서사인 <노계가>에 이르면, 이제 박인로는 자신만의 안빈낙도, 만족감과 자부심으로 가득한 강호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작품서사를 통해 수용·통합된 자기 긍정, 진정한 자기 정체성을 찾아낸 늙은 사대부의 자기서사가 표출되어 있는 것이다. <노계가> 창작은 궁극적으로 현실과 이상의 갈등 해소-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통합의 결과로서 치유에 도달한 지점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것처럼 박인로는 가사창작을 통해 내면적 치유에 도달할 수 있었던 바, 갈등의 서사인 <누항사>가, 당위·理想의 서사인 <사제곡>이라는 작품서사를 통해 보충·강화되었으며 <노계가>라는 통합단계를 거쳐, 긍정적인 자기서사의 변화를 이루게 되는 바, 변화된 자기서사-극복·완성의 서사에 기반한 작품서사를 창작함으로써 갈등의 근본적 해소, 치유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Park In-ro’s inner changes revealed on his works < Noohangsa >, < Sajegok > and his late work < Rogyega >. According to the narrativ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re are narratives at the base of literary works. There are self-narratives at the inner side of writers and readers, and the gap and discrepancy between self-narratives and narratives of the work give impetus to the changes of self-narratives. And understandings of work and life changes and grows. At this moment, the change and growth of the self-narrative are possible through the supplementation, strengthening, and integration of the self-narrative, and it is the treatment to acquire the healthy of the self-narrative.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and growing the self-narrative of Ro-gye in relation to the narrative of the works. As a narrative of conflict, < Noohangsa > reveals a perception of divised self-narrativ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reality(poor life) and oughtness (Anbinnakdo and oryun-Confucian ideas). It is the first step of healing to reveal one's situation, position and suffering. The exposing of conflict through the creation of < Noohangsa >(Gasa) makes it possible to reflect. Reflection allows the possibility of catharsi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essence of self-narrative, and it becomes the basis for overcoming conflict. The narrative < Sajegok >, which embodies the harmony of human, nature, and ideology, allows Park In-ro to accept and integrate typical and ideal inner aspect of the gentry into the self-narrative of the work. While expressing and presenting the world of Confucian righteousness, < Sajegok > acts as a narrative of the righteousness and ideal to Ro-gye, contributes to recovery of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enables a change to ample self-affirmation. And the process contribute to healing the devised self-narrative eventually. When it comes to the overcoming and completing narrative, < Rogyega >, Park In-ro is arriving at a ‘Gangho’ awareness of his own ‘Anbinnakdo’, full of satisfaction and pride. Self-narrative of an old gentry is revealed in the work. The creation of < Rogyega > resolves conflicts between reality and ideal - it is the point where reaches to healing as a result of the integration of his self-narrative and narrative of the work. Park In-ro was able to reach internal healing through the creation of Gasa, and the narrative of conflict, < Noohangsa >, was replenished and strengthened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righteousness and the ideal, < Sajegok >. After undergoing a consolidation phase, it is resulting in a positive change of self-narrative in < Rogyega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healing has become possible by creating a narrative of a work based on the changed story of self-narrative and overcoming and completion.

      • KCI등재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

        이근영 ( Lee Geun-y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경험서사 창작 과정에서 창작의 소재이자, 자신의 경험에서 문제적 사건을 발견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고 보고, 그 원인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한 사유의 부족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개념을 경험서사 창작교육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을 통해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문학치료학에서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인간을 서사적 존재로 보는 관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독자가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삶의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드는 이야기를 의미한다. 자기서사 개념은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 번째는 독서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창작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수 있다. 두 번째는 작품을 읽으며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또 다른 자기의 모습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대화적 (dialogic)이다. 세 번째는 불완전한 자기서사를 작품서사를 통해 수정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삶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상 검토된 자기서사의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의의를 토대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의 구성’-‘자기서사의 촉발’-‘자기서사의 수정’이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독자는 작품을 읽으며 한 인물이나 여러 인물의 서사를 종합하여 작품서사를 구성한다. 이 단계는 이어지는 자기서사의 촉발에 영향을 주어, 독자의 무의식에 자리하던 자기서사를 현실화하게 도와준다. 독자는 자기서사 촉발 단계에서 현실의 문제를 마주하게 되고, 다시 작품서사를 통해 자기서사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학습자들이 작품을 통해 자신이 미처 생각지 못했던 기억과 현재 자신의 모습을 정면으로 마주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자기서사를 창작하도록 이어진다는 점에서 경험서사 창작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ailure of learners to discover problematic events for writing experiential narratives as a problem situation faced by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and examines the concept of 'the epic of self' in literature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o solve this I did. In literary therapy, self-narrative is a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narrative of works, and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eing humans as narrative beings. and readers discover their own fundamental problems based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make it into the epic of self.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he following significance could be found. The first is an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learners' writing. The second is dialogic in that he discovers another image of himself while reading the work. Third,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change learners' attitudes of life through 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epic of self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analyzed based on the creativ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experiential narrative of the epic of self reviewed abo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pic of self of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largely composed of 'composition of the epic of literary work'-'trigger of the epic of self'-'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is structure of the epic of self contributes greatly to the expansion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in that it helps learners lead to natural the epic of self writing by confronting memories they had not thought of through the literary work. In the process of such educational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feel the joy of reading literature and writing narratives.

      • KCI등재

        자기서사' 발견과 동일성 회복의 글쓰기: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연구

        서덕순(Seo, Duk-Soon)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학만의 독특한 개념인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개념을 인문학적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문학치료학이 작품분석의 방법론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설화뿐만이 아니라 만화나 게임과 같은 서사 유형 또한 문학치료학의 '진단서사'로 유용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는 만화적/게임적 서사 구조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작품의 주인물이 만화적/게임적 서사를 '진단서사'로 활용하여 '자기서사'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서사'로 나아가는 과정이 작품의 주 내용을 이루고 있어, '서사지도' 개념을 활용하여 작품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서 '작품서사'로 기능하는 다양한 서사들, 즉 친구 H의 이야기, P교수의 이야기, <세일러문>과 <파워레인저> 이야기들은 모두 K에게 '진단서사'로도 기능한다. K는 소설의 전개 속에서 분절적 지점마다 이러한 '진단서사'를 접하면서 자신에게 내재된 '자기서사'와의 거리감을 표명하면서 그에 공감하거나 혹은 반감을 느낀다. H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반감을 느끼고 P교수의 이야기에는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면서 일종의 서사지도를 형성하게 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심리적 이상을 발견하는 식이다. 여기서 K의 심리적 이상이란 주변의 인물들이 빅브라더의 명령에 의해 자신을 속이고 있다는 일종의 망상증인데, 다양한 '작품서사'를 접하는 가운데 주변의 인물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이 잘못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문제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발견함으로써 K는 '완전한 나'를 회복할 기회를 얻게 된다. 그 기회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원으로의 회귀를 의미하기도 하고 '기원'과 원형적으로 닿아있는 '죽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작품서사'로 등장했던 수많은 주변 인물들과 작별하고 K는 죽음, 혹은 재탄생을 맞이한다. 이는 인지하지 못했지만 K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던 '자기서사'의 완결이자 새로운 '자기서사'로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수많은 주변 인물들의 등장은 '자기서사'의 경험적 재구성이며 이를 통해 K의 분열적 정체성은 경험을 통합하는 '서술적 정체성'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find a possibility as to whether literary therapy can be utilized as methodology of literary work analysis by reinterpreting a concept of 'epic of self' and 'epic of literary work', a peculiar concept only in literary therapy, from humanistic context. Also, this paper proposes a viewpoint that a narrative type such as a cartoon or game as well as a folktale can be utilized as 'diagnosis epic' in literary therapy. In Choi Inho's 『Familiar Others' City』, cartoon/game-style epic structure is positively utiliz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comprise of the process in which main characters discover 'epic of self' by using cartoon/game-style epic as 'diagnosis epic' and, through this, proceed into 'healthy epic', so that this is convenient to analyze by utilizing a concept of 'epic map'. In 『Familiar Others' City』, various epics which function as 'epic of literary work', that is, all of a story of friend H, a story of professor P, stories of <Sailormun> and <Power ranger>, etc. function to K as 'epic of literary work'. K, as he contacts such 'diagnostic epic' at every segmental point through development of a novel, expressing a sense of distance from 'epic of self' inherent in self, sympathizes with or feels hostility to it. Feeling hostility toward H's story and recognizing professor P's story as it is, he forms a kind of epic map and finds his psychological ideal in it. Where, K's psychological ideal is a kind of reticulosis that persons around him deceives self by order of Big Brothers, in the midst of contacting a variety of 'epics of literary work', he gets to realize that it is not persons around him but the very himself who was wrong. By discovering causes of problems from self, K gets to have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recover 'complete self'. The opportunity, as examined before, means a reversion to the origin, and also means 'death' connected to 'the origin' circularly. Departing from lots of persons who appeared as 'epic of literary work', K greets death or re-birth. Though not realized, this can be completion of 'epic of self' inherent in the self of K and a turning point of new 'epic of self'. Appearance of lots of surrounding figures is experiential re-composition of 'epic of self' and, through this, the segmental identity of K is able to proceed to 'identité narrative' of integrating experiences.

      • 영화 <라스트 홀리데이>의 작품서사와 조지아의 문제 해결 과정

        박재인(Park, Jai-In)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09 영화와문학치료 Vol.1 No.-

        영화 <라스트 홀리데이>는 인물의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이 주목되는 작품이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이 인물의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을 뚜렷하게 밝힐 수 있는 방법론이기 때문에,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방식으로 <라스트 홀리데이>의 작품서사를 분석함으로써 주인공 조지아의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을 명확히 드러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라스트 홀리데이>의 작품서사가 어느 서사 영역의 어떤 양상의 작품인지를 밝히기 위해, 서사의 주체인 조지아가 대하는 ‘세상’은 어떠한 성질의 대상인지 파악하였다. 그리고 오진 사건 전후의 조지아의 ‘세상’을 대하는 태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라스트 홀리데이>의 작품서사는 남녀서사 영역에 속하며 이성되찾기서사 양상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2장의 작업을 바탕으로 조지아의 문제와 그 해결과정을 뚜렷하게 드러내기 위해, 남녀서사의 ‘선택’의 문제와 관련지어 검토하는 작업을 하였다. 오진 사건 전의 조지아는 ‘나의 소망’보다는 ‘세상의 법칙’을 중심에 두고 ‘선택’하는 문제를 지녔던 인물이다. 오진 사건 후에 조지아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지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나의 소망’을 중심에 두고 과감하고 용기 있게 ‘선택’하게 되었다. 조지아의 문제 해결 과정에는 ‘나의 소망’에서 부수적인 것들부터 시작하여 소망의 핵심인 ‘요리’와 ‘숀과의 사랑’을 과감하게 선택하는 점차적이고 단계적으로 ‘선택’을 시도하는 특징이 드러난다. 이것이 바로 조지아의 문제해결 과정이다. 이로써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방식으로 작품을 분석할 때에는, 서사의 주체가 겪는 문제가 우리 삶의 어떤 문제이며 그 인물이 그 문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대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즉, 인간관계에 주목하여 작품을 분석하는 일이 인물의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을 명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film <Last holiday> is worthy of notice for the main character"s problem and the solv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pic of <Last holidays> through literary therapeutics and theory of epic. Because from the literary therapeutic point of view, the main character"s problem and the solving process in the film <Last holiday> can be clarified more clearly. In chapter 2, I grasp the character of "the world" which the main character is confronting for analyzing the realm of the epic of this film. Then I compare the main character"s two different attitudes before and after the announcement of her time-limited life.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epic of the film <Last holiday> belongs to the realms of man and woman epic, and more specifically, it"s the epic of recovering the opposite sex. In chapter 3, based on the result from chapter 2, I examine the main character"s problem and the solving process related to the problem of choice in the realms of man and woman epic. Before the main character was announced a time-limited life, she made her choice focus on the world"s principle rather than her own desire. However, after she was announced a time-limited life, she realized that she cannot hold off pursuing her desire anymore, then decided to act on by her own desire. During the solving process of her problem, it is shown that she chooses for her desire step by step. She started with concomitant desire, and eventually she accomplishes her essential desire for cook and love boldly.

      • KCI등재후보

        시인을 만든 시 - `자기서사`의 실제적 예. 2

        한명희 ( Han Myeong 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4 No.-

        문학치료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문학 작품을 읽게 하는 것이 하나이고 문학 작품을 직접 쓰게 하는 것이 또 다른 하나이다.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치료되기도 하지만 문학 작품을 씀으로써 치료되기도 하는 것인데, 후자가 분명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지만 체험적으로 이야기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경우는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어느 정도 치유되었고, 문학 작품을 씀으로써 그것을 굳힐 수 있었다고 믿고 있다. 물론 이 두 가지는 무의식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시인이(혹은 필자가) 어떤 증상이 어떤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또는 씀으로써 치유되었는지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 필자는 `나를 시인으로 이끈 시`들을 통해 자기서사를 정리해 보았다. 김광균의 <설야>, 신경림의 <갈대>, 아폴리네르의 <미라보 다리>,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에 얽힌 기억과 기억의 오류를 말함으로써 여기에 얽힌 필자의 근원적 상처가 무엇인지 추측해 보려고 하였다. 이미 필자는 다른 글- <내가 통역되는 세상에 도달할 때까지>에서 `나는 왜 시인이 되었나`하는 것을 스스로 탐색해 본 바가 있다. 이 두 편의 체험적 자기서사를 통해 필자는 `자기서사` 연구가 가지는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게 되었다. 첫 번째는 자기서사가 가지는 불확실성이다. 작가나 시인들은 `자기서사진단검사 도구` 등을 활용한 검사자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자기서사를 찾아낼 수 있는 존재들이라고 생각된다. 그들이 쓴 작품은 비록 `자기서사`라 직접적으로 담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자기서사를 드러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자기서사가 얼마나 진실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작가, 시인들이 자기서사를 드러내는데 비교적 저항이 약한 존재들이라고는 하지만, 그들 역시 직접적인 방식으로 자기서사를 드러내는 경우는 드물 것이고 상징이나 은유에 의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자기서사 역시 해석의 오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니까 `자기서사`를 찾아내는 작업은 몹시도 불확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서사와 관련하여 제기할 수 있는 문제점은 자기서사가 지닌 유동성이다. 필자는 이전에 쓴 글 「내가 통역되는 세상에 도달할 때까지」에서 “제가 쓴 시에 대한 저의 생각도 수시로 바뀔 수 있으므로 여기에 쓴 얘기들이 언제까지 유효할 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건 2008년 1월 21일 오후 세시 저의 시에 대한 생각은 여기까지입니다”라고 한 적이 있다. 자기서사도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그리고 실제 바뀌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기서사가 이렇게 불확실성과 유동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서사`의 진단 없이는 문학치료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다. 자기서사 진단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 literary treatment is to "cure patient`s psychological disorder by literature". For this, we need 3 elements- patient with psychological disorder, curer to treat this patient, literature as a tool to cure. Let us think about a special patient. The patient can be a writer or a poet who is a final producer of medicine for a literary treatment. They producea literary work which is a medicine to cure a literature. However, they themselves can be a patient.When we are in mental conflict, generally, we make a literary work and are indulge in it as well as find a way to free ourselves from the conflict. So, in a sense,a poet or a novelist is a patient or a medicine producer or a curer. At this time, a creative writer uses both an appreciative treatment and a creative treatment. In this work, I, as a producer of work as well as a patient, want to search for "myself-description". Especially, what I want to handle in this work is a poem which made what I am now as a poet. So, the main subject of this work is a statement by experience that reveals which poems led me to be a poet.We do often fin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 of a patient`s self-description between a literature which he likes and a literature which he does not like. Accordingly, it is an important part of self-description to say poems which attracted me as a patient or a creator. I explained memory and mistake in memory on 4 poems which led me to be a poet - Kim Kwangkyun`s < Snowy Night >, Shin Kyunglim`s < Reed >,Apollinaire`s < (Le)pont mirabeau >, Han Yonguon`s < Lover`s Silence >. And I mentioned 2 problems in self-description - "Uncertainty" and "Flexibility". The accurate diagnosis on "Self-description" is a key to the "Literary Treatment". However, as "Literary Treatment" is uncertain andflexible it is true that the accurate diagnosis is not easy.

      • KCI등재

        문학치료학과 역사적 트라우마

        정운채(Jeong, Un cha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5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이 어떠한 기본 개념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명히 하고, 문학치료학에서는 역사적 사건의 충격과 트라우마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고 있으며, 문학치료학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원리는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밝혀보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학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으로는 텍스트, 서사, 인생살이, 자기서사, 작품, 작품서사 등이 있다. 둘째, 인생살이는 자기서사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인생살이의 곡절들이 자기서사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셋째, 작품은 작품서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작품서사는 자기서사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지만, 작품서사가 오히려 자기서사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넷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기왕의 자기서사가 이 충격을 해석해낼 수 있다면 건강한 인생살이를 유지할 수가 있다. 다섯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기왕의 자기서사로는 이 충격을 감당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인생살이의 충격을 고려하여 자기서사가 조정될 수 있고, 이렇게 조정된 자기서사가 인생살이의 충격을 해석해낼 수 있다면 역시 건강한 인생살이를 유지할 수가 있다. 여섯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기왕의 자기서사로도 이 충격을 이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기서사의 조정에 의한 새로운 자기서사의 마련도 용이하지 않게 되면 인생살이의 충격은 이해할 수 없는 인생살이의 용종으로 남아 트라우마가 형성된다. 일곱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이 충격에 의하여 자기서사가 조정되기는 하지만 건강하지 못한 자기서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불합리한 신념이 생길 수 있는데, 이 불합리한 신념 역시 트라우마가 된다. 여덟째, 작품서사는 인생살이가 조정하지 못한 자기서사를 조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조정된 자기서사에 의하여 그동안 해석해 내지 못했던 충격을 해석해냄으로써 트라우마는 극복될 수 있다. 아홉째, 작품서사는 인생살이에 의하여 형성된 건강하지 못한 자기서사를 건강한 자기서사로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변화된 건강한 자기서사가 인생살이를 재해석함으로써 트라우마가 된 불합리한 신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basic notions of literary therapeutics, and reveal the principle of overcoming historical trauma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ext, the epic, life, the epic of sel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are the core notions of literary therapeutics. Second, life is found on the epic of self. However, circumstances in life can change the epic of self. Third, literary work is found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influenced by the epic of self. However, sometimes, the epic of literary work can change the epic of self likewise. Fourth, if one"s epic of self can interpret a shock from a historical event well, one can maintain healthy life. Fifth, if one"s epic of self fail to interpret a shock from a historical event, one"s epic of self needs to be adjusted. If one succeed to adjust the epic of self for interpreting the shock well, one can also maintain healthy life. Sixth, if one fail to adjust the epic of self for interpreting the shock well, one would suffer from trauma. Un-interpreted shock would be causing for trauma. Seventh, when the epic of self is adjusted because of a shock from historical event, unhealthy epic of self can be formed. This unhealthy epic of self is causing for one"s unreasonable belief, and eventually trauma. Eighth, when circumstances in life fail to adjust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literary work can adjust the epic of self. Based on the adjusted epic of self, one would be able to interpret the shock well, and finally overcome trauma. Ninth, the epic of literary work can change the unhealthy epic of self to the healthy epic of self. The healthy epic of self can re-interpret the shock well, and make one to overcome the unreasonable belief.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영화 『박쥐』의 창작과정

        김소연 ( Kim So-ye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박찬욱의 새로운 『테레즈 라캥』읽기의 전환으로서 영화 『박쥐』를 통해 자기서사를 추적하는 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박찬욱의 자기서사를 내밀하게 알기 위해서는 소설 『테레즈 라캥』과 영화 『박쥐』의 작품서사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은 연구자의 몫이라 생각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영화 창작자가 자기서사에서 누락된 부분을 영화 창작을 통해 건강한 자기서사를 유도할 수 있는 대상물을 만들어낼 것이라 추정했다. 그것의 결과물로 소설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에는 없었던 것이 영화 『박쥐』에는 신부에서 뱀파이어로의 전환설정의 서사가 나타나 있었다. 때문에 박찬욱이 『박쥐』에서 왜 A에서 B로의 전환 설정의 서사를 만들어 놓았는지 밝혀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었다. 이 글의 논의를 풀어가기 위해 연구자는 문학치료적 입장에서 실마리를 찾아보았다. 논의의 과정은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가 변형되어 제작된 영화 『박쥐』를 통해서 추출하는데, 새로운 경험을 함으로써 자기서사를 보충하는 단계, 잠재되어 있던 내면을 자극하여 일깨워 자기서사를 강화하는 단계, 현실에서는 금지된 영역을 탐색하여 자기서사를 통합하는 단계로 나아가면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소설 『테레즈 라캥』의 구조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우선 박찬욱 감독이 『테레즈 라캥』을 어떻게 읽었는지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자가 이 같은 작업을 진행한 이유는 박찬욱이 『테레즈 라캥』을 읽었을때 작품의 서사에는 없는 새로운 인물을 『박쥐』에 투입시켜 신부가 되는 과정, 뱀파이어가 되는 과정, 죽는 과정 등을 보여줌으로써 자기서사를 만들어간 것이라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3장에서는 박찬욱이 『테레즈 라캥』을 읽은 결과물을 영화 『박쥐』로 전제하고, 이것을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영화 『박쥐』의 창작과정을 따라가려고 했다. 『테레즈 라캥』과 『박쥐』의 기본 서사의 골격은 같은 맥락으로 흐르고 있지만, 박찬욱은 이 지점에서 『테레즈 라캥』과는 변별점을 둘 수 있는 것을 창출하려고 했다. 그것이 뱀파이어로의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박찬욱은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를 통해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것을 자신이 창출한 대상물을 투입시킴으로써 자기서사로서 보충하려고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그것의 작업으로 문학치료적인 입장에서 실마리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테레즈 라캥』의 작품서사가 변형되어 제작된 영화 『박쥐』를 통해 박찬욱은 자기서사에 누락된 부분을 보충해 주고, 때로는 미약한 부분을 강화시켜 주면서 분열, 갈등하고 있는 부분을 통합해 주어 자기서사의 변화를 유도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방법론으로 문학치료의 세 가지 단계를 빌려오게 된 것이다. 우선 제일 단계는 작품서사를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함으로써 자기서사를 보충하는 단계, 제이 단계는 작품서사를 통하여 드러나 있지는 않지만 잠재되어 있던 내면을 자극하여 일깨워 자기서사를 강화하는 단계, 제삼 단계는 작품서사를 통하여 현실에서는 금지된 영역을 탐색하여 자기서사를 통합하는 단계이다. 이 세 가지 단계로 나아가면서 박찬욱은 자기서사를 통합해 나갔다. This manuscript analyze Park Chan-wook`s narrative as new reading < Therese Raquin > with his movie < Thirst >. To achieve this, I compared the < Therese Raquin > with the < Thirst >, and I had assumed Park would created the object which has been able to suggest it for healthy narrative. < Thirst > has shown itself to switch from priest to vampire, but < Therese Raquin > has not shown that. It is significant why Park has made this narrative with literary therapeutic perspective. This discussion centered on the movie < Thirst > are variations of the novel < Therese Raquin >. I outlined for this manuscript. Park supplemented his narrative through new experience, has strengthened it reminded inner side, and merged it explore forbidden territory in the real world. I checked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 Therese Raquin > in chapter 2. First of all, this manuscript is focusing on Park`s reading the < Therese Raquin >. Because I had supposed Park makes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process of adding new character in < Thirst >. I study the creative process of < Thirst > within the framwork of literary therapeutics in chapter 3. The < Therese Raquin > and < Thirst > are of the same framework of basic epic but of different character like vampire. Park tried to replenish a lack of the < Therese Raquin > by the epic of self through adding new character created himself. In other words, Park satisfy the missing part for the epic of self, and change the epic of self to integrate division and conflict through the < Thirst > are made of mutated epic of the < Therese Raquin >. Then I borrow three ways of literary therapeutics in terms of methodology. The first way is supplemented the epic of self by new experience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second way is strengthening the epic of self to remind inner side. The second way is to merge the epic of self that explore forbidden territory in the real world. Park merged the epic of self with three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