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봉진(Kong, Bong-Jin) 국제지역연구학회 2012 국제지역학논총 Vol.5 No.2
중국 당국은 영토보존과 민족단결을 위해 단일민족국가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중화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내세우고 있고, 이 두 가지는 오늘날 중국의 주요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에 담겨진 실질적인 의미가 무엇이고, 한국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에서 대처방안을 어떻게 모색해야 하는지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중화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총괄하여 ‘중국민족주의’라고 지칭하였다. 중국 정부는 중화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면서 대내적으로 역사와 문화를 정립하고 있다.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이미 한국고대사를 왜곡해왔는데, 최근에는 중국내 조선족의 문화를 중화민족의 문화로 간주하는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중국의 중화민족주의 역사관과 문화관은 중국의 문화제국주의적 행태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전국에 애국주의교육시범기지를 설립하면서 중화민족문화를 강조하고 있고, 중국 소수민족의 문화를 중화민족의 문화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민족주의 행태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은 너무 소극적이고 감성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중국의 중국민족주의에 대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한 국가 혹은 한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인식하고 해석할 때 나라마다 중대한 이데올로기가 존재한다. 중국이 중화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통해 역사와 민족 및 문화를 해석할 때 국경을 초월하고 민족을 초월하는 ‘중국민족’ 혹은 ‘중화민족’이라는 인식을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을 한국은 간과해서는 안된다. 한국에서는 역사인식 혹은 역사관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국과 같은 중국민족주의 사고는 아니더라도 한국 역사와 민족 및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해석을 할 수 있는 관점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is growing evidence of Chinese nationalism in China.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rengthening Chinese nationalism(中國民族主義). China has been the highlight of sino-centrism(中華主義) and patriotism(愛國主義). Through this, distort or deny Korean nationality, Korea’s culture and history in China. First, I deal with history viewpoint of Chinese nationalism and cultural viewpoint of Chinese nationalism. Second, I deal with China’s patriotism and new patriotism(新愛國主義). Third, I deal with influence of Chinese nationalism in Korea. Fourth, I proposed some countermeasures of Korea. In conclusion, we must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Chinese nationalism and patriotism. And, we must implement a number of measures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the strengthening Chinese nationalism.
최영춘,이충훈 한중법학회 2018 中國法硏究 Vol.35 No.-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한국에서 중국으로 진출한 기업은 사업의 수행을 위해 중국에서 건물을 임차할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중국의 임대차제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중국은 계약법에서 건물의 임대차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민법에서 임대차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지만 임차인을 특별히 보호하기 위한 특별법인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을 시행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중국계약법에서는 임대차에 관하여 특징적인 규정을 두고 있는데, 중국 계약법 제230조는 “임대인이 임대건물을 판매하는 경우, 판매하기 전의 합리적인 기간 내에 임차인을 통지해야 하고, 임차인은 동등한 조건으로 우선구매권을 향유한다.”고 규정한 임차인의 우선구매권을 규정하고 있다. 임차인의 우선구매권에 관하여 입법 초창기에는 우선매수권제도가 필요했으나 오늘날 동 제도의 입법취지는 더 이상 초창기만큼 뚜렷하지 않고, 또 규정 역시 추상적인 부분이 많아 실무에서 이를 적용하는데 혼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등과 관련하여 중국내에서도 비판적인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두 번째로 중국계약법 제229에서는 “임대물이 임대기간 내에 소유권 변동이 발생한 경우, 임대계약의 효력에 영향 주지 아니한다.”는 매매는 임대차를 깨뜨리지 않는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대해 채권인 임차권이 물권인 소유권이 우선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고 당사자들 간에 건물임대차계약이 합법적으로 성립되면 바로 대항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이익균형 내지 제3자의 이익 보호 측면에서 미흡하여 건물임대차계약의 등기를 대항력의 요건으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세 번째로 “계약법”을 비롯한 건물임대차계약과 관련된 중국 법제는 주택건물과 상가건물의 구분이 없다는 점이다. 이 경우 임차목적이 다른 주택과 상가에 대해 동일 규정이 적용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중국은 건물임대차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규범화하기 위하여 주택도농건설부가 2017년 5월 19일에 “주택임대와판매관리조례 의견수렴고”를 공개하였다. 그러나 “의견수렴고”상의 내용은 기존의 규정과 크게 다르지 않아 건물임대차제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With the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ea is active, Korean companies in China often lease building in China to carry out their business. So the understanding of building lease legislation in China is necessary. In China, the building lease legislation is provided in CONTRACT LAW. But in Korea, although the CIVIL LAW is providing about the building lease, legislate the special law -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and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to protect lessee. The special provision of building lease legislation which provided in China’s CONTRACT LAW is the Article 230 and Article 229. First, China’s CONTRACT LAW Article 230 provides “The lessor intending to sell a leased house shall notify the lessee within a reasonable period of time prior to the sale, and the lessee has the priority to purchase the house under equal conditions”. So Article 230 provides lessee’s priority to purchase right. At the beginning of the legislation, the priority to purchase right is necessary, but it is no more necessary today. And the provision abstract, so it is hard to enforce in judical practice. Therefore several China’s scholars also claim it is need to review the necessity of keeping the lessee’s priority to purchase right. Second, China’s CONTRACT LAW Article 229 provides “A change in the ownership of the leased object within the lease term shall not affect the validity of the lease contract”. This Article called ‘Kauf bricht nicht Miete’. About the ‘Kauf bricht nicht Miete’, if the lessor and lessee make building lease contract legitimately, the contract effect the opposing power directly. So it is need to provide the registration as a requirement of opposing power. Finally, China’s CONTRACT LAW express ‘leased house’, so it is not separate ‘house’ and ‘commercial building’. The commercial building’s feature is not similar with the house. So it is not apposite to apply the same rule to house and commercial building. Meanwhile, in order to regulate the house lease market, the Ministry of Housing and Urban-Rural Develop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MOHURD) proposed “THE DRAFT REGULATIONS ON CONTROL OF HOUSE LEASE AND SALES” on May 19, 2017. But the regulations in DRAFT is not different with existing regulations, so it is hard to settle the problem basically.
시장권의 재편과 상품유통망의 변화 ― 1880년대 중국의 설탕시장 분석 ―
정영구 명청사학회 2018 명청사연구 Vol.0 No.49
1880년대는 중국재래당업의 전성기라고 할 만큼 생산량과 수출량이 많았던 시기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연구가 수입설탕, 수출입현황, 그리고 제당업의 쇠퇴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기 때문에 중국 설탕생산량이 급증하는 1880년대를 중국시장의 시장권과 관련시켜 연구한 연구 성과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런데 개항이후 30여 년이 흐른 1880년대에는 중국의 설탕시장은 해외시장의 영향을 강력히 받았고, 전통적인 시장질서가 무너지면서 시장권이 개항장을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으며, 중국 설탕의 생산량과 유통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더욱이 이 시기 교통혁명이 일어나 운수업의 주체가 중국 정크선에서 서양식 증기선으로 바뀌고 있었고 중국 주요지역에 전신이 설치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설탕 유통망의 변화를 자세히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연해무역시장권이 개항장시장권으로 재편되던 1880년대의 중국의 설탕시장은 여전히 중국설탕, 그중에서도 흑설탕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외국설탕수입량은 그 수량이 많지 않았지만 꾸준히 증가했다. 그런데 설탕유통망을 검토해보면 연해시장권의 유통망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교통수단이 발전하면서 이출입구조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기존의 연해시장권 유통망이 상해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뉘어 북부-상해, 상해-남부, 상해-장강유역의 3가지 유통망이 섞여있었다고 한다면 이 시기의 설탕유통망은 설탕생산지를 배후지로 하는 개항장인 산두, 타구, 하문, 광주 등에서 주요 설탕 소비지인 한구, 상해, 천진, 지부 등으로 설탕을 직접 운송하는 직항항로를 다수 포함한 것이었다. 이는 증기선 사용이 보편화되고 이에 따라 그 운임이 하락한 것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 시기 중국설탕은 내수를 위주로 유통됐지만 국제설탕시장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을 수는 없었다. 아직은 근대세계체제에 본격적으로 편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설탕생산지가 속해있는 영남권과 복건연해권만이 수출과 관련하여 국제설탕시장과 직접적으로 접촉했을 뿐이고 나머지 설탕소비지가 속해있는 항구의 경우는 홍콩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했다. 다만 국제설탕시장의 설탕 단가 폭락으로 인해 중국설탕의 대외경쟁력은 상당히 약해졌는데 이 약화된 경쟁력은 이 당시 중국 재래당업의 구조 안에서는 회복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 시기 중국설탕은 비록 내수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갔지만 중국설탕의 주요 성장 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해외시장을 상당부분 상실했고, 유통에서의 손실을 蔗糖農家가 책임져야 하는 불합리한 생산구조를 개선하지 못하여 농가가 경작지를 이탈하는 현상이 이 시기에 이미 발생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후에 발생하는 중국제당업의 쇠퇴는 이 시기에 이미 맹아를 품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On Chinese sugar market, the 1880s was very important period. In this period, a lot of Chinese sugar was produced and exported to the point of being called golden age. According to Chinese Economic yearbook in 1934, China came in 5th among sugar produced nations in the world until 1880s, but it was dropped under 10th by competition with European beet sugar and javanese cane sugar and the cession of Formosa. Since than because of imported refined sugar mostly made in Hongkong, Chinese sugar industry was collapsed. But many Chinese sugar researcher did not interest in this period, they mainly interested in 1890s when Chinese sugar production was rapidly reduced and trade balance of sugar changed in red. Heretofore great part of researcher have studied imported sugar, trade situation, and disintegration of Chinese sugar industry, so there is hard to fine researches linked Chinese marketplace in 1880s. In 1880s when it has been more than 30 years since opened Chinese port by foreign power, Chinese sugar market was influenced by international sugar market, as traditional market system was collapsed, Chinese marketplace were reorganized centering around open ports, and Chinese sugar output was steadily increasing. Thus studying about this period is not meaningless. Furthermore it started a traffic revolution in costal area, main agents of transportation business were changing Chinese junk to foreigner steamship, and telegraphic communication was installing between open ports. This being so, Changing shape of trade order would appear in any way in this period. Beside, 10 years later, because Chinese sugar industry's golden age was rapidly gone, embryo of decline would exist in this period. In this paper, it inquires minutely into Chinese sugar market in 1880s, thereby it will check for reorganization of a Marketplace and the change in a circulation network of commodities.
중국 조선족기업과 우리나라 기업과의 교류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김정희(Kim Jeonghee)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0 디아스포라 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세계각지에 분포되어 많은 경제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우리나라 한상들 중에서 가장 우리나라와 근접한 위치에서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는 중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국은 거대한 내수시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조선족이 보유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국내기업들이 빠르고 안정적인 중국진출을 꾀할 수 있으리라고 보여 진다. 따라서 중국조선족기업들과의 교류활성화를 위한 연구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중국조선족의 경제활동 및 국내기업과의 교류동향 그리고 한상의 경제 활용효과 및 중국조선족기업들의 네트워크 활동 등을 조사하였고, 좀 더 현실적인 중국조선족과의 교류를 위한 방법 도출이 요구되어진다고 보고 중국조선족의 한국에의 투자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상대회에 참석한 한상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전남대 세계한상문화연구단이 제8차 세계한상대회를 참가해서 중국조선족과 전남도의 4개의 지방자치단체간의 양해각서를 체결하는데 교량역할을 담당하면서 중국조선족의 국내투자 및 무역업무를 증대시키고 또 국내중소기업들의 수출활로를 모색할 기반을 조성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조선족 기업인들에게 국내의 시장상황을 상세히 소개해주고 그들의 상황을 국내기업들에게 잘 설명해주어 한상들의 국내기업과의 연계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키고 교류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Korean businessmen are engaging in commercial activities around the whole world, but this study will focus on China which is the nearest country to Korea. Because China has a huge domestic market, if we can effectively make use of the network of Joseon Ethnic people, Korean companies could enter into Chinese market quickly and smoothl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how to expand the exchanges with Chinese Joseon Ethnic companies. This study surveyed Chinese Joseon Ethnic businessmen"s commercial activities, trends of exchange with Korean companies, effects of Korean businessmen"s economic utilization and activities of Chinese Joseon Ethnic companies" network by using of literature survey. Because it need to find a way to exchange with Joseon Ethnic companies practically,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Joseon Ethnic businessmen"s investment in Korea, we also did a survey targeting on Korean businessmen who presented at The 8th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will give out the results after analyzing. Research Group for Global Korean Business and Culture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ented The 8th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did a role as a bridge assisting Joseon Ethnic companies and 4 Local self-government from Chonnam Province signing on the MOU. This Group also increased Joseon Ethnic"s domestic investment and trading businesses, and it formed the basis to grope the outlet of SME"s export. In order to attract each other"s attention and exchange with each other to make Korean enterprises have active activities with domestic enterprises, this study will give theoretical basis by introducing domestic market to Joseon Ethnic businessmen in detail, and the situation of Joseon Ethnic companies to Korean enterprises.
류청익 대한무용학회 201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2 No.-
中國是一個古老的文明國家, 顯現這種悠久的文明應是中國古典舞蹈的文化功能。中國古典舞的身體應是中國曆史文化的集中體現, 是中國人身體美學與審美理想的集中體現, 是中華民族文明化高度的表征。然而, 由於中國曆史上宮廷消亡, 主要依附於其生存的雅舞藝術--也卽能구被後人稱爲古典舞的活態舞蹈大多失傳, 如何重建中國古典舞蹈藝術一直是當代舞蹈家탄精竭慮的課題。如何在浩如煙海的文化遺存中?到中國古典舞文化體現與重現的依據?當代中國古典舞蹈建設由敎育入手, 芭뢰舞的科學性給中國20世紀50年代的舞蹈家們提供了科學範本: 타讓中國舞蹈家동得身體的黃金分割比例帶來的美感; 동得了舞蹈家的身體從第一個動作開始就是爲了離開地面和戰勝地心引力做好准備; 타敎會了中國當代舞蹈敎育家如何循序漸進地訓練演員, 也敎會了中國舞蹈家如何一步一步地規範身體的動態。但是, 對於中國民族舞蹈的身體動作語言體系建設來說, 似乎조到了一條通往成功的捷徑, 也掉進了一個美麗的陷井: 中國舞蹈家更多關注的是科學層面的動作-生物解剖學和力學意義上的動作, 而在一定程度忽略了文化主體的身分……本文首次提出中國民族舞蹈語言體系建設的醫理問題, 幷將目光投向以《黃帝內經》爲代表的中國醫學典籍, 探尋中國人對身體本原的認識, 呼喚中國民族舞蹈建設返回身體的原典。
영재교육(超常敎育)제도의 고찰을 통한 현대 중국사회의 이해
임연정 중국인문학회 2015 中國人文科學 Vol.0 No.60
一個國家的敎育制度是這個國家的核心組成部分,也是這個國家重要思想的具體體現。所以,通過對一個國家敎育制度的考察,能夠知道這個國家的現狀以及夢想。鄧小平是中國 政治曆史影響極爲深遠的人物,鄧小平提出的“三個面向”敎育思想在中國全社會尤其是敎育界引起了廣泛持久的討論。中國超常敎育也是以“三個面向”爲指導思想,它以1978年中國科技大學的創辦少年班爲開端。雖然中國超常敎育的曆史不久,但是能直接反映中國現在的社會狀況以及中國人民的思想。所以,本文首先對中國超常敎育的概念以及現狀進行考察,然後,基於中國超常敎育的特點,加深對現代中國社會的認識和理解,即如下: 第一、當今中國以道德休養的方式,追求社會和諧; 第二、在現代中國社會蔓延著人性回歸的趨勢; 第三、中國非常注重國際化人才的培養; 第四、中國人民對生活質量的要求越來越高。
토인비(Toynbee)의 문화도전원리로 본 글로벌 시대 중국 조선족 문화
우린훙(吳林鴻),인윈전(尹允鎭)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아시아문화연구 Vol.60 No.-
중국 조선족이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해 온 조선인, 또는 그 후예들 가운데서 중국에서 국적을 취득한 사람을 가리키고, 중국 조선족 문화란 그들이 한반도에서 이주할 때, 가지고 온 문화와 그 후, 중국에서 생활하면서 새롭게 창조한 여러 가지 문화, 즉 중국의 실정에 맞게 형성된 물질문화, 제도문화, 행위문화와 정신문화를 말한다. 이를테면, 중국 조선족은 중국에 이주해 온 후, 주로 농업생산에 종사하면서 도작농경생활을 기반으로 한 여러 가지 제도와 행위규범 및 정신문화를 창출하였는데 이것을 중국조선족 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개혁・개방을 계기로, 중국 조선족 문화는 여러 가지 면에서 준엄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대에 들어 전례없는 거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에 일부 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중국 조선족 문화 위기”란 바로 이것을 지적하는 것이다. 개혁・개방은 중국 조선족 문화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다주었고 이것을 통해 중국 조선족은 경제적인 풍요를 비롯하여 국제적인 안목, 시장 의식과 기타 여러 가지 새로운 관념과 의식들을 얻었다. 그러나 그것은 문제의 한 측면, 다른 한 측면에서 이 역사적인 “도전”에서 중국 조선족들은 많은 전통적인 우세를 상실하고 있는데 거기에는 전통적인 농업, 전통적인 인구우세, 전통적인 민족문화우세와 우리민족의 고유한 진취심 등이 망라되어 있다. 이것은 글로벌 시대 중국 조선족 문화가 시급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중국 조선족 문화는 이 도전에서 얻은 것을 잘 이용하여 중국 조선족 문화의 역사적인 도약을 이룩해야 한다. Korean-Chinese refers to Korean people who 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China or their descendants who acquired Chinese nationality in Chin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Chinese culture refers to the various cultures newly created in China on the basis of the culture they brought when they 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ir material culture, system culture, behavior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For example,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f the Korean-Chinese in China on this land and the various institutional forms, code of conduct and spiritual culture based on this agricultural production can be called Korean-Chinese culture.However,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t has been faced with severe challenges from various aspects, and the challenges from the age of globalization are unprecedented.Now some people refer to this “cultural crisis” as the crisis of Korean-Chinese culture.In this “crisis”, Korean-Chinese culture has lost many traditional things and traditional advantages, such as traditional agriculture, traditional population advantages, traditional national cultural advantages and various cultural enterprising spirit. However, in the face of this historic challenge, the Korean-Chinese culture has calmly responded. While losing some traditional advantages, it has gained economic wealth, international perspective, market awareness and new ideas. This is a cultural basis for the resurgence of Korean-Chinese culture in the new situation. It is on this basis that the Korean-Chinese culture calmly responds to various challenges, reappears the glorious style of the past, and achieves a historic leap forward.
한재균 중국인문학회 2015 中國人文科學 Vol.0 No.60
중국어와 한국어는 어음계통이 다름으로 인해 자음, 모음의 수나 발음 방법이 각각 다르다. 특히 중국어에는 매 글자마다 중국어만의 독특한 성조가 있는데, 성조에 따라 그 의미가 각각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초학자들에게는 중국어의 발음이나 성조가 무척 생소해 숙달되려면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은 우선 한국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중국어 성모(f, r)를 예로 들어 구체적인 발음방법과 발음요령을 상술하였다. 특히 중국어발음 [r]을 중국어발음 [l] 및 한국어발음 ㄹ[r]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적 상세히 고찰하였다. 아울러 여러 가지 발음교육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논증하였다. 첫째, 한국어발음에는 없는 한국학생들이 잘 틀리는 몇 가지 성모(f, zh, ch, sh, r, z, c, s)을 예로 들어 손시늉을 통해 그것들의 발음부위와 발음방법을, 필요하면 중국어 및 한국어 유사발음과 비교하여 쉽고 정확하게 터득하는 요령을 재미있게 구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학생들이 틀리기 쉬운 중국어 발음오류를 줄이는데 많은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둘째, 한국어발음에는 없는 한국학생들이 발음하기 어려운 단 운모(ü)을 예로 들어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한국어 유사발음을 응용하여 쉽고 생동감 있게 터득할 수 있도록 상술하였다. 아울러 중국어 4성의 발음요령을 한국어 유사발음과 비교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4성의 발음방법을 쉽고 재미있게 터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손바닥 촉각 감지를 통한 중국어발음[f]와 [p]의 발음차이 및 발음요령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아울러 검지로 콧방울을 가볍게 두드리는 방법으로 [m]과 [n]의 발음차이 및 발음요령도 설명하였다. 넷째, 교수가 중국어자모의 크기를 판서를 통해 형상화 시켜줌으로써 학생들이 입의 벌리는 정도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특히 권설음을 발음할 때는 이미지가 살아있는 끝이 치켜 올라간 화살표를 통해 발음 요령을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이 혼자서도 자연스럽게 발음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을 그림을 그려 생동감 있게 설명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재미있는 문구나 잰말놀이 등으로 발음하기 어려운 중국어 발음을 쉽고 재미있게 터득 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 중국어 발음은 중국어 학습에 가장 기본이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중국어 발음에 친숙해지지 않으면 중국어에 흥미를 잃어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수는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학생들 각자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연구하여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초급단계에서 중국어발음에 친숙하도록 지도함으로써 그들이 중국어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이등연 중국인문학회 2013 中國人文科學 Vol.0 No.55
19세기말,서구와 일본 등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근대적 체제를 갖춘 중국문학사가 등장한 이후,黃人·林傳甲 등 중국학자가 쓴 중국문학사도 이어 출간되었다. 이후 20세기 백년을 거쳐 지금까지 通史를 비롯해 각종 단대사․장르사․비평사 등 다양한 문학사가 끊임없이 이어져 그 수가 1,000 여 종을 넘는 상황이다. 필자는 그동안 한국과 중국 대륙, 서양에서 출간된 통사체 문학사를 검토 대상으로 삼은 일련의 문학사 관련 논문을 통해 각 시기 또는 장르의 문학사 특징을 검토해왔고, 이 연구 역시 앞 논문들과 동일한 맥락에서 기획된 작업이다. 이 논문에서는 1950년대 이래 臺灣에서 출간된 주요 문학사 20여종을 검토 대상으로 삼아 그 편찬 체제와 서술 시각의 변천 과정과 특징을 분석해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기 臺灣에서 출간된 주요 문학사들은 편찬자가 구체적으로 언급했는지 여부를 떠나 절대다수가 교재용 문학사다. 둘째, 서술 시기와 범주 면에서 이들 문학사들은 대부분 原始文學에서 淸末까지를 다루었고,劉必勁《中國文學史綱》, 蘇雪林《中國文學史》, 江增慶《中國文學史》등 일부 소수 문학사에서만 新文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20세기 초창기 문학사에서 논쟁이 되었던 ‘雅俗兼容’문제와 관련해 臺灣에서 출간된 문학통사들은 대부분 시, 산문, 소설, 희곡 등 각 장르의 변화과정을 함께 다루었지만, 여전히 예외도 있었다. 예컨대, 李鼎彝《中國文學史》에서는 詞와 戲曲 장르를 서술 범위에 넣지 않았다. 또한 최근 출간된 龔鵬程《中國文學史》에서는 소설과 희곡에 관한 내용이 詩文에 비해 훨씬 소략하여 비중의 차이가 드러난다. 姜渭水《中國文學史》는 ‘中國哲學大綱’·‘中國語言文字學大綱’·‘宋明理學大綱’ 등 章節을 포함시키면서 적지 않은 관련 도표를 제시하여 ‘文學’의 범주를 벗어났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넷째, 50년대 이래 臺灣에서 출간된 절대다수 문학사는 시대구분 면에서 기본적으로‘전통적’王朝分期法을 따르면서“一代有一代之文學”관점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1950년대 이래 중국 대륙과 臺灣은 정치상황이 크게 달랐기 때문에 두 지역에서 출간된 문학사의 史觀 또한 정치 체제의 이데올로기 영향이 강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臺灣의 주요 중국문학사에서는 이러한 이데올로기 강조 측면이 대륙과 비교해볼 때 뚜렷한 편은 아니다. 일부 편찬자가 문학사 서문이나 관련 회의에서 唯物史觀에 반대하고 民生史觀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실제 문학사 서술에서 이러한 관점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경우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소극적’ 반발 형식 또한 주목해볼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중국 식품안전관리의 제도상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한 법적 연구 - 블록체인 활용론을 중심으로 -
김은영 한중법학회 2018 中國法硏究 Vol.35 No.-
세계적으로 식품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그로 인한 우려와 더불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커져 왔다. 특히, 식품 산업의 국제화 전략, 식품의 수출입이 자유로워지면서 식품안전 문제는 한 국가 내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 문제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중국 또한 다양한 국가와 식품교역을 진행하고 있고, 식품 산업이 진출하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 정부는 다양한 식품안전법 및 관련 규정들을 제정하고 개정하면서 자신들의 식품안전 제도 및 이력추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행정기관과 기업과의 특수 관계 및 법률제도의 미비와 국제적 기준과의 상이한 시스템 등으로 인해 식품교역에 관한 바람직한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았다. 멜라닌유제품 사건, 농약만두 사건, 돼지클렌부테롤 사건 등 식품안전에 치명적인 사건들이 발발하면서 중국은 여전히 식품안전에 있어서 부정적인 국가라는 이미지를 국제적으로 심어주게 되면서, 빠른 시스템 변화를 촉구받고 있다. 최근 RFID와 같은 국제적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을 몇몇 기업에서 시행하면서 그 변화를 시작하고 있고, 중국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들도 동참하고 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의 한계점은 이미 인식되어 왔으나, 식품안전 시스템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월마트와 청화대학교에서 공동으로 최근 시행한 블록체인 도입을 통한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의 시범은 획기적인 변화라 할 것이고, 국제사회에서 첫 번째 시도일 것으로 보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중국의 식품안전을 보장하는 면에서 좋은 긍정적 신호이고, 중국으로 진출할 한국 식품산업도 그 변화를 인지하고 맞춰 나가야 할 것이다. 중국 내부에서 식품안전과 관련하여 일어나고 있는 위 긍정적 변화들은 한국을 비롯한 외국 기업들의 중국과의 식품교역에도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Worldwide issues surrounding food safety have increased continuously. The importance of food safety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because it is not only an domestic issue but an international one through the free export and import of food products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international strategies for food industry. China also has been in food trade with other various countries, and has broadened its food industry abroad. Thus, the Chinese government has established its own food safety system and traceability system by enacting and revising various food safety rules and its related regulations. Nevertheless, there is little to expect the actual useful effects, through the lack of special relations and legal systems up to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s of China’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businesses, and systems and the international ones. With the outbreak of cases that are fatal to food safety, such as the case of ‘melamine milk product’, the pesticide dumpling case, and the pig clenbuterol case, China has been demanded to change rapidly its image from the negative image in food safety. Recently, several companies have prepared for their own food history tracking systems, such as RFID, and the Chinese government is joining their efforts. Although the system’s limitations have already been recognized by people, the positive sign for the improvement in food safety system is likely to appear here and their.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midst of this trend, the performance of food history tracking systems by the way of introduction of ‘blockchain’ jointly conducted by Wal-Mart and Chunghwa University was the first step to be implement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 will guarantee China’s food safety, by that he Korean food industry will make inroads into China more easily. This article will help foreign companies including Korea to advance actively into the Chinese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