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趙翼의 『大學』 연구와 『大學困得』의 특징

        강문식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49 No.-

        Cho Ik(趙翼)'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經學) were done centering around the Four Books(四書). Among the Four Books, the first book which Cho Ik started his research was Daehak(大學). Cho Ik studied Daehak during all his lifetime. Daehak Gondeuk(大學困得) was the result of Cho Ik's study of Daehak and he revised it continuously. As the revisions of Daehak Gondeuk were repeated, Cho Ik made his opinions more concrete and elaborate. On the whole, the contents of Daehak Gondeuk were based on Zhuxi(朱熹)' Daehak Jang-gu(大學章句). But at some parts like Seong-eui chapter(誠意章), Cho Ik had different opinions from Daehak Jang-gu because Cho Ik thought that junior scholars must investigate the deep meanings which senior scholars could not research completely. Cho Ik thought that researching the principles of Governing the State(治國) w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studying Daehak. He also thought that sharing likes and dislikes with people was the core of Governance which governors must have and for sharing likes and dislikes with people governors have to practice the sincerity of the will(誠意) to get rid of their selfish desires. It showed that Cho Ik assumed the sincerity of the will to be the stating point for Governing the State and the World(治國平天下). Cho Ik asserted that treatment of property(處財) and bureaucratic recruitment(用人)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Governance and he presented tax reduction and appointment of noble-hearted person(君子) as concrete methods. These sorts of theory for Governance became the theoretical basics of Cho Ik's assertion of Daedong tribute tax(大同法) and reform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科擧制)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조익의 經學 연구는 四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大學』은 四書 중에서도 그가 가장 우선적으로 연구한 경서이다. 『大學困得』은 조익이 40여 년 간 『大學』을 연구한 성과가 집약되어 있는 저술로, 전반적으로 볼 때 朱熹의 『大學章句』에 근거하면서 이를 부연ㆍ심화하는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한편으로 조익은 先儒가 완전히 밝히지 않는 문제를 깊이 탐구하여 새로운 성취를 하는 것이 후학의 임무라고 생각하였다. 조익이 「誠意章」에서 『大學章句』와 다른 해석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이와 같은 그의 학문관에서 비롯되었다. 조익의 『大學』 이해는 연구가 지속됨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致知-誠意의 선후 관계, 致知와 敬의 관계 등에 있어서 초기에는 『大學章句』와 다른 입장을 보였다가 점차 『大學章句』의 해석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또 「誠意章」의 ‘自欺’에 대한 해석도 『大學困得』 개정이 거듭될수록 더욱 정밀하게 정리되었다. 특히 「大學困得後說 下」에서 조익은 朱熹의 서간에 수록된 ‘自欺’의 용례들을 근거로 자신의 해석이 『大學章句』와는 다르지만 주희의 만년 정론과는 다르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그가 『朱書要類』 편찬 과정에서 주희의 서간문을 면밀히 연구한 성과가 뒷받침된 결과였다. 조익은 ‘治人’을 『大學』 공부의 귀결점으로 생각했다. 특히 그는 ‘治國’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조익의 관료로서의 정체성이 반영된 결과였다. 그는 ‘백성들과 好惡를 같이하는 것’을 治國의 요체로 규정한 다음, 통치자가 백성들과 好惡를 같이하기 위해서는 私欲을 제거하는 誠意 공부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그가 誠意 공부를 治國․平天下의 성패를 결정짓는 經世의 출발점으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이어 그는 ‘處財’와 ‘用人’을 經世의 핵심 요소로 상정하면서, 각각의 구체적 방법으로 ‘賦役을 가볍게 하는 것’과 ‘君子의 등용’을 제시했는데, 이는 그가 인조대에 大同法 실시, 科擧制 개혁 등을 주장하는 데 있어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 KCI등재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의 지식 세계와 그 영향

        정호훈 ( Jeong Ho Hun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노수신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은 노수신 개인의 사상을 담고 있는책이자 16세기 후반 조선 사상계의 성과와 과제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 책에는 중국과 조선에서 나온, 『대학장구』와는 시각을 달리하여 『대학』을 이해하는 주요한 글들이 실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대학』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모아 둔 지식의 보고였다. 『대학집록』은 간행된 이후 조선에서 널리 유통되지 못했다. 육왕학(陸王學)에 대한 비판과 금제가 심해지면서 자유로운 유포가 쉽지 않은 형편이었다. 이 상황에서 『대학집록』은 『개정대학(改正大學)』, 『대학집람(大學輯覽)』의 두 형태로 변신하며 조선 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했다. 『개정대학』은 『대학집록』에 실려 있던 왕수인의 글, 권근의 글,『대학보유』에 대한 노수신의 발문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로 만든 축소본으로, 이언적과 학적 인연이 깊은 옥산서원에서 간행했다. 『대학집람』은 이단상(李端相)이 편찬했으며, 『대학집록』을 비롯 이언적의 『대학보유(大學補遺)』, 중국과 조선의 대학에 관한 학설을 두루 집성했다. 『대학집록』의 확대판이라 할 수 있다. 두 책 모두 『대학장구』와는 다른 견지에서 『대학』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집으로서, 관심 있는 학자들에게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7세기 중 후반, 고본 『대학』을 활용한 윤휴의 새로운 『대학』 이해와 학문 활동은 아마도 이러한 여러 학술 정보의 축적과 직ㆍ간접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Daehak jimnok (大學集錄) by Noh Susin comprises several essay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Daehak in China and Joseon different from the views of Daehak janggu. In this light, the book is a collection of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that allow a new interpretation of Daehak. Daehak jimnok could not reach wide readership in the 17thcentury Joseon. As criticism and prohibition of the study of Lu-Wang(陸王學) grew stronger, the book could not be freely circul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Daehak jimnok was transformed and came to be known among Joseon scholars in two versions: Gaejeong daehak (改正大學) and Daehak jimnam (大學輯覽). Gaejeong daehak is an abridged version of Daehak jimnok whereas Daehak jimnam is an expanded version. Both version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interested scholars as sourcebooks allowing to understand Daehak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at of Daehak janggu. It is likely that the new understanding of Daehak by Yun Hyu (윤휴) who used the old version of Daehak and the scholar’s academic activit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century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is accumulated scholarship.

      • KCI등재

        회재 이언적의 『대학장구』 편차 개정과 16-17세기 조선 학계의 찬반론 고찰

        강보승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5

        Hoejae revised Zhu-xi’s Daehak Janggu in two respects. First, he combined the two passages from main chapter[知止而后有定…慮而后能得’ and ‘物有本末…則近道矣’] and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 from chapter 5 to make chapter 4. He thought that all the passages written above explain ‘格物致知’ and should be in the same chapter. As a result, the stucture of Daehak Janggu changed into one main chapter and nine other chapters. Furthermore, Hoejae suggested his own opinion on Daehak. He opposed Zhu-xi who saw 明德․新民 as the Alpha and Omega of 物 and took 知止․能得 as the beginning and end of 事. He thought that Zhu-xi interpreted 物 and 事 in too narrow senses. Hoejae also translated ‘慮’ as ‘to think’ instead of ‘to so things with the greatest care. Besides, he argued that ‘中’ and ‘至善’ have the same meaning and emphasized that 仁 is the foundation of 治國 and 平天下. The result was Daehak Jangguboyu published in 1794. Chang Hyun-Gwang and Lee Su-Gwang who were famous Joseon scholars supported Daehak Jangguboyu. They were suspicious of Zhu-xi’s Daehak Janggu and Kyukmulbojun, curious about returning Daehak to its original form. Toegye argued that Hoejae made mistakes in three ways when he was revising Daehak Janggu, First, Hoejae destroyed the structure of study-result-epilogue. Second, The newly-made chapter 4 actually had no meaning of ‘格物致知’ as it was meant to be. Third, 本末 should not be used as a mean to explain ‘格物致知.’ Yulgok approved of Hoejae’s picking up passages of ‘聽訟’ to constitute the epilogue of the main chapter. However, he maintained that the meaning of ‘慮’ should remain as Zhu-xi suggested. At the same time, Yulgok argued that 仁 needs not be emphasized to be the foundation of chapter 治國․平天下, because it is the essence of the whole chapters. In Hoejae’s opinion, ‘格物致知’ is not such thing as to face 物 and study the principle inside of it to recognize the eternal verity. it is simply to know that there are the Alpha and Omega of 物 and the beginning and end of 事. However, both Toegye and Yulgok were against Daehak Jangguboyu because they thought that interpretation of Hoejae showed some problems in study and result in terms of the viewpoint from Kyukmulbojun. 회재는 주자 『대학장구』의 편차를 두 측면에서 개정하였다. 첫째, 『대학장구』 경문(經文)의 두 개 절(‘知止而后有定…慮而后能得’, ‘物有本末…則近道矣’)을 격물치지의 전문으로 보아 전5장의 ‘차위지본(此謂知本)’, ‘차위지지지야(此謂知之至也)’와 함께 전4장으로 재구성하였다. 둘째, 『대학장구』 전4장 “聽訟…” 절을 경문의 맺음말로 보아 경문 맨 뒤로 옮겼다. 이에 자연히 전체 편차가 경1장과 전9장으로 재편되었다. 이어 『대학』 해석에서도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 주자가 명덕․신민을 물(物)의 본말로 삼고지지(知止)․능득(能得)을 사(事)의 종시(終始)로 삼아 물과 사를 편협하게 해석하고 있다고 보았고, ‘려(慮)’를 ‘처사정상(處事精詳)’이 아닌 ‘생각하다’로 해석하였다. ‘중(中)’과 ‘지선(至善)’은 같은 뜻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으며, 『대학장구』에서 명확히 언급되지 않은 인(仁)을 치국․평천하의 근본이라고 강조하여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담은 회재의 『대학장구보유』에 여헌 장현광과 지봉 이수광이 찬성한다. 이들은 주자의 『대학장구』 체재와 「격물보전」에 회의적이고, 『고본대학』을 회복함에 관심을 보이며, 학문적 성향도 퇴계‧율곡에 비해 자유롭다. 퇴계는 회재가 삼강령과 팔조목의 공부-공효-결어 구조를 깨뜨렸고, 새로 구성한 격물치지장에는 격물치지의 의미가 없으며, 본말로 격물치지를 설명해서는 안 된다는 세 가지 논거로 회재의 견해를 반박한다. 율곡은 ‘청송(聽訟)’ 절을 경문의 결어로 옮긴 것에는 찬성한다. 그러나 공부의 관점에서 볼 때 주자의 설대로 ‘려’를 ‘처사정상’의 의미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명시되지는 않았어도 『대학』 전체의 핵심이 인(仁)이므로 구태여 인을 치국․평천하장의 골자로 강조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회재가 보기에 격물치지는 물(物)에 나아가 그 이치를 궁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활연관통하여 궁극의 이치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물에 본말이 있고 사(事)에 종시가 있음을 아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퇴계와 율곡은 주자의 「격물보전」에 기초하여 ‘공부의 내용과 그 효과’라는 관점에서 회재의 『대학장구』 편차 개정에 반론을 제기한 것이다.

      • KCI등재

        한국에서 『대학』 번역의 양상에 관한 고찰

        이영호(Lee, Young-ho),서혜준(Seo, Hye-jo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1 No.-

        朱子가 고본대학의 편장의 순서를 달리하고 格物致知補亡章을 창작하여 경문에 넣어 『대학장구』를 이룬 이후로, 주자의 『대학장구』는 전방위적으로 비판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고본대학으로 돌아가자는 학자와 주자의 『대학장구』를 일부 수용하되 그 편차를 달리하자는 학자, 그리고 격물치지보망장의 존폐여부로 견해를 달리하는 경학자들로 인하여 매우 다양한 견해가 제출되었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한국에서의 『대학』주석과 번역도 그 양상이 단일하지 않다. 본고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의 『대학』 번역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왕조에서 『대학』의 표준 번역서는 宣祖 대에 완성된 교정청본 『대학언해』였으며, 이는 19세기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 『대학』 번역의 주류를 차지하였다. 『대학언해』의 번역저본은 주자의 『대학장구』였다. 그리고 그 성립 과정에서 주요한 자료적 토대가 된 것이 퇴계 이황의 釋義와 율곡 이이의 諺解였다. 한편 근대의 『대학』 번역은 1932년 8월에 출간된 『언해대학장구』에서 시작된다. 이 번역서는 일단 조선의 『대학언해』의 전통을 계승하지만, 『대학언해』에는 직역만 있음에 비해, 『언해대학장구』는 ‘직역’, ‘훈고’, ‘의역’의 세 층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언해대학장구』는 주희의 『대학장구』를 저본으로 삼았지만, 또한 여타 주석서를 참고하였으며, 특히 근대 일본의 번역서도 참조하였다. 『언해대학장구』가 출간된 시점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학』 번역은 그 양의 집적이 많은데, 크게 ‘『대학장구』의 번역’, ‘고본대학의 번역’, ‘『대학』 경문의 번역 및 해설’로 나눌 수 있다. 주자학이 대세였던 만큼 한국에서는 『대학장구』를 근간으로 하는 번역이 대세였지만, 고본대학 또는 왕양명의 『대학』 주석을 수용한 『대학』 번역도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한국의 경서 번역이 주자학 일변으로 전개되지 않았으며, 다채로운 양상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Since Zhu xi changed the order of Gobondaehak(古本大學) s chapters and created GyeokmulChijiBomangjang(格物致知補亡章) and put it in the scriptures to write Daehakjanggu(大學章句, Zhu xi s Daehakjanggu has been criticized from all directions. In this process, a wide variety of views were presented by scholars who wanted to return to Gobondaehak, scholars who wanted to partially accept Zhu xi s Daehakjanggu with its variations, and scholars who have different views on maintenance or abolition of GyeokmulChijiBomangjang. Under these circumstances, aspects of the commentary and translation of Daehak in Korea are not uniform.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translation of Daehak(大學) in Korea from the Joseon period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 In the Joseon period, the standard translation of Daehak was Daehakeonhae(大學諺解). It was a version of Gyojeongcheong(校正廳) and is completed in the SeonJo(宣祖) era. It occupied the mainstream of translation of Daehak on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19th century. The original script of translation of Daehakeonhae was a Zhu xi s Daehakjanggu and the material base of Daehakeonhae was Eonhae(諺解) by Toegye(退溪) YiHwang (李滉) and Yulgok(栗谷) Yiyi(李珥). Meanwhile, the modern translation of Daehak begins with EonhaeDaehakJanggu(諺解大學章句) published in August 1932. This book inherits the tradition of Daehakeonhae of the Joseon period. But while Daehakeonhae has only a literal translation, EonhaeDaehakJanggu consists of three layers: literal translation , exegesis , and liberal translation . And while EonhaeDaehakJanggu was based on Zhu xi s DaehakJanggu, it also referred to other commentaries, especially modern Japanese translations. From the time when EonhaeDaehakJanggu was published to the present, many translations of Daehak has been accumulated and it can be classified mainly as a translation of DaehakJanggu, a translation of Gobondaehak , and a translation and commentary of Daehak. Because of the domination of doctrines of Zhu xi, translation based on DaehakJanggu was a general tendency in Korea. However, translations of Daehak that accommodated Gobondaehak or Wang Yangming s commentary on Daehak were also flourishing. This shows that the transl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in Korea was not developed entirely by doctrines of Zhu xi and contained a variety of aspects instead.

      • KCI등재

        Understand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nse of Place of Daehak-ro Cultural District in Seoul

        Yoonku Kwon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6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0 No.3

        Sense of place (SOP)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an effective strategy through which to pursue sustainable place development. However, many urban spaces have not usually considered the contribution of built-environment factors to SOP and SOP’s contribution to people’s willingness to revisit for sustainable plac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SOP at Daehak-ro, one of the most famous cultural district and tourism sites in Seoul, Korea. Through this study, the sociocultural factor was found to mak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Daehak-ro’s SOP, and SOP was itself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n-physical factors could be most important to developing an SOP in urban environments. This study will eventually lead to better understanding of developing SOP, and will contribute to Daehak-ro becoming more sustainable than at present.

      • KCI등재

        『大學』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이언적(李彦迪)과 이이(李珥)의 해석 비교 - ‘격물치지’와 ‘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이원석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5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Daehak,(『大學』) Lee Eun-jeok(李彦迪),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defined the term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格物致知) as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key principles or virtues from political and social norms and their institutional forms. He further argued that more important than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is to gain a single and comprehensive principle which penetrates all the core principles or virtues, through ‘reasoning’(思). Lee Yi(李珥) expressed concern that the idea of ​​acquiring a single, comprehensive principle through ‘reasoning’ could approach the practice of Zen Buddhism or the theory of Lu Jiuyuan(陸九淵) and Wang Shouren(王守仁). Based on Zu Xi’s Daehak-janggu(『大學章句』), he argued that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itself is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enlightenment(得), saying that a separate intellectual maturation process, such as ‘reasoning’ is not necessary, and that a separate stage of ‘enlightenment’ should not be placed as a final stage. Meanwhile, Lee Eun-jeok said that the core purpose of Daehak is to encourage the King to restore his virtue of benevolence(仁) through the practice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us lead to government of benevolence. He was more concerned with the restoration of the King's virtue of benevolence and the execution of his virtuous governing than with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e can confirm from various literatures that Lee’s claim affected Lee Hwang(李滉) and No Sushin(盧守愼). According to Lee Yi, the misconception that the core purpose of Daehak is making the king restoring virtues through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as originated from not knowing that the core content of Chapter 9 and 10 of Daehak i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others by analogizing my situation.”(絜矩之道) Lee regarded the core purpose of Daehak as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hich support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others by analogizing my situation” on an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asis. Especially noteworthy is that Lee Yi showed a different political-philosophical point of view from Lee Hwang, in that he thought that anyone could be a virtuous person as long as he restored ‘Myongdeok(明德)’. While, Lee Hwang was mainly concerned with restoring the virtues of the King. 이언적(李彦迪)은 『대학』의 재편정(再編定)을 통해, 정치ㆍ사회적 규범 및 그 제도적 형식으로부터 핵심 원리 또는 덕목을 구별해 낼 줄 아는 것이 격물치지의 원의라고 규정했다. 그는 한 발 더 나아가 그런 앎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유[思, 慮]를 통해 제반 핵심 원리 또는 덕목을 관통하는 단일하고 포괄적인 원리, 즉 도(道)를 체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이(李珥)는 사유를 통하여 단일하고 포괄적인 원리를 체득한다는 구도가 선불교 또는 육왕학의 실천론에 접근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주희의 『대학장구』에 바탕을 두고서, 격물치지 자체가 이치의 철저한 궁구이자 체득임을 주장함으로써, 격물치지 이외에 사유와 같은 별도의 지적 숙성 노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또한 별도의 체득[得] 단계를 깨달음의 완성 단계로 상정하면 안 됨을 말하였다. 한편 이언적은 『대학』 전체의 핵심 종지가, 왕으로 하여금 격물치지의 실천을 통해 어진 덕성을 회복하도록 함으로써 어진 정치를 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격물치지가 아니라 임금의 어진 덕성 회복과 어진 정치의 실시를 더욱 중시했던 것이다. 이언적의 이런 주장이 이황과 노수신에게 영향을 끼쳤음을 여러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이에 따르면, 왕으로 하여금 격물치지를 통해 어진 덕을 갖게 함을 『대학』의 핵심 종지로 보는 견해는, 『대학』 제9장과 제10장의 핵심 내용이 사실 ‘혈구(絜矩)의 도’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 결과 성립한 오해였다. 이이는 『대학』의 핵심은 혈구의 도를 존재론적ㆍ인식론적으로 뒷받침하는 격물치지라고 보았다. 특히 눈여겨 볼 점은, 이이는 격물치지를 통해서 명덕(明德)을 밝힌 사람이야말로 어진 사람이라고 하여, 왕의 어진 덕성 회복을 위주로 사유했던 이언적는 다른 정치철학적 관점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 KCI등재

        대학로 연극인들의 세대별 공연 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최샘이,민윤경 한국예술경영학회 2022 예술경영연구 Vol.- No.64

        Since the establishment of ‘Arko Arts Theater’ by the ARTS COUNCIL KOREA in 1981, the area around Dongsung-dong and Hyehwa-dong in Jongno-gu has been called ‘Daehak-ro’ and has become the center of the performing arts. However, there were not many studies that analyzed how Daehang-ro Theater Artist experienced and understood the policies implemented to revitalize the region and the changes in the commercial environment.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 experience of theater activities of the Theater Artist staying in Daehang-ro while engaging in the theater culture of Daehang-ro as a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opportunity to enter and settle in Daehak-ro has changed over time from informal and unsystematic inflow through private networks to visible and systematic entry through official recruitment and platforms. Second, unlike the past when certain economic achievements followed the experience of revitalizing Daehak-ro, the current there is only the satisfaction of self-realization of Theater Artist, so the economic requirements as a job are ambiguous. Third, gentrification in cultural and commercial districts is a chronic phenomenon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1980s, and all research participants felt the problem of gentrification. Lastly, the factors of change in Daehak-ro could be summarized as migration through ‘leaving Daehak-ro’, securing a stage through the expansion of public theaters, and political rights as workers. 1981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 예술극장’의 설립 이후, 종로구 동숭동·혜화동일대가 ‘대학로’라 불리며, 공연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지역 활성화를 위해시행된 정책들과 상업 환경의 변화를 대학로 연극인은 어떻게 경험하고 이해하였는지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본 연구는 대학로 연극 문화에 종사하며 대학로에 머물고 있는 연극인들의 연극 활동 경험을 내러티브 방법으로 논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실질적인 주체인 연극인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대학로에 유입 및 정착 계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사적 네트워크에 의한 비공식적, 비체계적인 유입에서 공채 및 플랫폼을 통한 가시적이고 체계적인 진입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로 활성화 경험에 대해 확실한 경제적 성과가 따라오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자아실현을 만족하는데 그치고있어 직업으로서의 경제적 요건이 모호하다. 셋째, 문화 상업지의 젠트리피케이션은 80년대부터 이어진 고질적인 현상이며, 모든 연구참여자가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성을 느끼는 상황이었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대학로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대응들은 탈 대학로를 통한 이주, 공공극장 확충을 통한 무대 확보, 노동자로서 정치적 권리 부여 등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상기 내용을 토대로 연구자는 대학로와연극인들의 안정적인 공연 활동을 위해 제언하였다.

      • 윤휴(尹鑴)의 『대학』 해석과 그 정치적 성격

        정호훈(Jeong, HoH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4 다산과현대 Vol.7 No.-

        이 글에서는 윤휴(尹?)의『대학』 해석의 성격에 대해 논의했다. 윤휴는 주희의 『대학장구』 체제를 부정하고, 고본(古本) 『대학』에 기초하여 『대학』을 이해하려고 했다. 이 점은 윤휴가 주자학 보다는 양명학의 문제 의식을 더 인정했음을 보여준다. 윤휴의 『대학』 해석은 다음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격물(格物)의 의미에 대해 윤휴는 명덕·친민의 일을 ‘정의(精意) 감통(感通)’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격물을 사물의 리를 궁진(窮盡)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대학장구』의 이해와 비교된다. 둘째, 인식 실천의 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선천의 지적 능력, 양지(良知)의 함양에 있다고 보고 그 방법으로 신독(愼獨), 근독(謹獨)을 중시했다. 셋째, 명덕의 내용을 효제(孝悌)로 이해했다. 주자의 해석에 비해, 주의적(主意的) 주정적(主情的) 면모를 가지고 있으며, 그 실천성을 일상의 생활 속에서 간이하게 확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넷째, 『대학』의 학문 주체를 군주로 설정했다. 이 점은 『대학』이 군주·사서(士庶) 가릴 것 없이 성인이 되는 나이에 익히는 책이라는 주자의 이해와 다르다. 정치의 주체로서 군주의 역할을 크게 강조하는 점을 볼 수 있다. 다섯째, 군주 혹은 국가의 책무로 민의 재생산을 적극 보장해야 할 것으로 강조하였다. 윤휴는 ‘천하일가(天下一家)’의 정치론에 근거하여, 군주의 정치는 민을 자식을 양육하듯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민에 대한 도덕적 교화와 경제적 보호가 동시에 실현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윤휴의 이러한『대학』 이해는 군권을 강화하고 국가가 민의 재생산을 적극 책임져야 한다는 정치이념의 학문적?경학적 근거를 『대학』에서 구하는 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17세기 조선의 정치사상사적 과제와도 연관하여, 군주권 혹은 국가권력을 강화, 이를 중심으로 조선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의 모순과 문제를 해결하자는 방향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 점에서 그의 생각은 강상 명분 질서의 확립?유지를 사회 운영의 대전제로 설정하고 사대부를 비롯한 지배세력 개개인의 심성 상에서의 도덕성의 실현(성인화)을 매개로 이를 실현할 수 있다고 여기던 주자학과는 여러 모로 달랐다. In this thesis, I have researched Yun Hyu(尹?)’s political idea in interpreting on the Daehak(大學). He is a politician and an expert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 in 17th century Chosun Dynasty. Yun Hyu tried to understand the thought of the Daehak, not according to the Daehakjanggu(大學章句) which Zhu Xi compiled, but depending an old book of Daehak. this fact indicate that Yun Hyu was influenced by Wang Yangming. In annotating the Daehak, Yun Hyu emphasize that the duty of state or king is to reproduce the life of people. He thought that a statesman manage the country both to educate and live people comfortably. He had attached importance to the authority of a monarch and adding the concept of ‘humane government’ that it lacked. The political theory of ‘a nation=a family’ and the notion of an ancient statute are the main achievements of his work. Yun Hyu’s interpretation of the Daehak is the product of effort to secure the basis of textual study that state or king should retain the capability to reproduce the life of people. At thi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he had a critical mind of former ages and also digested a new ideology and developed it as a kind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ecause his ideology took a different line, the majority of the nobility could not accept it. However, he laid the foundation for overcoming orthodox NeoConfucianism.

      • KCI등재

        『大學衍義齊家篇諺解』에 대하여

        박철민 국어사학회 2024 국어사연구 Vol.- No.38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lation background, bibli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xt in order to introduce Daehak-yeonui-jegapyeon-eonhae(大學衍義齊家篇 諺解, 대학연의제가편언해), one of the Korean Old Book. This book was translation by royal order in 1727(the 3rd year of King Yeongjo’s reign of the Joseon Dynasty), So that the Crown Princess, the women in the royal court, can read it, by Sigangwonchanseon(侍講院贊善, 시강원찬선: An official at an institution that educates the crown prince in Joseon) Kim Gan(金榦). This book is the first document to translate the provisions of the Daehak-yeonui (大學衍義) to Korean word order. The original text is presumed to be Daehak-yeonui printed with metal type called Musinja. Kim Gan’s great-grandson, Kim Jong-jeong, is presumed to have been the translator of Gon-beom(壼範), the royal Korean literature,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s connection with the Joseon royal family’s Korean litera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극문화 공간 대학로를 텍스트로 독해하기 -1980년대 『한국연극』에 반영된 ‘소극장·공연법·문예회관·문화거리’ 구성 담론을 중심으로

        양세라 한국드라마학회 2019 드라마연구 Vol.0 No.59

        This paper borrowed the concept of defining a specific space as a 'machine' and read the 'Daehak-ro' space as a theater culture city-text. This paper is an read of the cultural space ‘Daehak-ro’, which has the meaning of a street of drama and a cultural city. This college road was established as a cultural street in the 1980s. This cultural space was the place where cultural policy was practiced in the 1980s. Interestingly, theater and cities, theaters and cities became important mediators under the rule of a dictatorship.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space of the cultural space ‘Daehakro’ where cultural policy could be practiced in the 1980s. The data based on this paper is the discourse and record of small theater in Hangug-yeongeug(Korean theater magazine) in the 1980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course of small theater in the 1980s, I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space of this era and the contents that formed the identity of the theater culture and the social group of the theater. In this paper, I describe the history of the hegemony composition of the theater association. They were a social group who tried to practic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ater based on the accumulated experience of theater centered on small theater. They reconstructed the identity and hegemony of the theater social group as a result of cultural policy in the 1980s. This paper describes the historical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group, a theater group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alization of the cultural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creation of a cultural city space Daehak-ro. 이 글은 대학로를 연극의 거리, 극장의 거리로 인식하는데, 여기에 작용하고 관계하는 개념의 실체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 동시대 대학로라는 장소와 공간에 작동하는 요소를 구체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동숭동 대학로는 제도적인 공공극장이 존재하고 제도권 밖 소극장과 연결되면서 연극문화 공간이라는 개념을 만든다. 우리 시대에 대학로는 시민을 위한 공공적, 기능적 장소개념과 접속, 연결되어 연극도서관이나 연극센터 등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공간-기계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본에 민감한 상업공간과 연결되면서 이 공간은 소비도시 공간-기계로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웃하는 공간의 성격에 따라 이 도시가 소유하고 반영한 공간의 의미는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대학로는 제도적 극장 아르코 예술극장과 제도적 영역 바깥에 있는 소극장을 연결해 연극문화 공간-기계로 작동하고 있다. 연극사적으로 1980년대 연극공간은 민중, 대중연극인 마당극을 통해 대학, 대학의 광장 등 열린 공간을 떠올려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상대적으로 소극장을 극장주의 연극이 실행된 공간이자, 폐쇄적인 극장형식으로 구성된 대학로라는 공간을 이해할 수 있는 배치를 보여주는 대학로 공간지형관계로 보았다. 이 공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국가의 제도적 틀 안에서 극장을 이해하고, 정부정책에 의해 연극문화를 재현하는 공간으로 ‘대학로’가 설명되고 재생산된 공간 구성사를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대학로’ 도시공간이 여전히 동시대 일상공간으로 존재하기에, 유기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때문에 연구자는 단순히 정책적으로 재현된, 창조된 대학로만이 아닌, 재현공간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그것은 제도적 측면에서 연극문화 공간으로 재현하는 데 숨겨진 측면, 즉 소극장 혹은 문화거리-공간 형성과정에서 이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방식을 통해 이 공간을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우리가 관계하는 구체적인 공간을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이나 실천의 흐름을 절단하고 채취하는 기계’로 규정한 개념을 차용하여 대학로 공간을 텍스트로 독해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