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주소싸움을 통해본 전통의 재구성과 관광

        고원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6 No.-

        The historical origin of bullfight between the rich farmer groups inside and outside Jinjuseong(castle) and the story that the bullfight was held at the sandy beach of Namgang(river) in a wish for good harvest often appear as the arguments for the identity in Jinju area. This study is a case study to understand how the tradition of bullfight went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by the change process of Jinju bullfight. Trying to maintain the tradition of Jinju bullfight, the "Jinju-type bullfight" was devised from the tradition of bullfight with long historical origins, which led to the hosting of the first national 'bullfight competition.' The procedure of bullfight holding up the traditional method has influenced not only restructuring the space of bullfight arena such as the sand constituent of the arena ground and the arena itself, but also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ules and order of modern bullfight competition. The traditional bullfight was, however, in a way, selectively reconstructed and invented through a long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This allowed establishment of material infrastructure such as the spectator area, the waiting area for the bulls, and the entrances/exits, and the commercial competitions led to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caused by the relationships of economic interests of the subjects of bullfight production and consumption such as bullfight association, the city of Jinju, and the tourists which in turn was found to ease the rules and the order within the tradition. Especially the direct agents of the bullfight, the bullfighters have objectified the fighting bulls as a means to collect the bets and participation rewards and to enhance the values through improving the winning rate, and the perspectives of the tourists were found to be deep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commercializing the tradi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ase of Jinju bullfight was intervening in the commercial production process from the aspect of competitive value advantage according to the interest groups surrounding the bullfight with the bulls as the means, and the politics of interests were constantly changing the path of marketability. Since its commercialization, the Jinju bullfight is thought to be reconstructed a new bullfight through compromise and negotiation in the aspect of marketability while still maintaining the traditional way in part. 진주지역에서는 진주성 안과 성 밖의 부농 세력들이 소싸움의 역사적 근원과 배경에 근거한 풍작을 기원하기 위해 남강 백사장에서 소싸움 판을 크게 벌였다는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이 글은 진주소싸움의 변화과정을 통해 소싸움의 전통이 어떻게 상품화 과정을 겪으면서 재구성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진주에서 소싸움의 전통이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것은 오랜 역사적 뿌리를 가진 소싸움의 전통이 ‘진주식 소싸움’을 고안하게 하였고, 그것이 최초로 전국 ‘투우대회’를 개최하도록 작용한 밑거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방식을 고수하는 소싸움의 과정은 경기장 바닥의 모래성분과 경기 울장 등의 소싸움장의 공간을 재구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현대소싸움 경기의 규칙과 질서의 제도화의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전통소싸움은 오랜 역사적 변화과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재구성되고 발명된 측면도 있었다. 그것은 현대적인 편리성에 기반을 둔 관람석이나 싸움소의 대기 장소, 출입구와 같은 장치들이 구축되었을 뿐 아니라 상설경기로 인해, 소싸움의 생산과 소비의 주체들인 소싸움 협회, 진주시, 관광객들 간의 경제적 이해득실에 따라 싸움소의 상품화 과정이 전통에 내재하는 규칙과 질서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소싸움의 직접적인 주체인 소싸움꾼들은 내기의 판돈과 경기 출전료를 챙기고 승률을 높여 싸움소의 가치를 올리는 수단으로 싸움소를 상품화하였으며, 관광객의 시선도 전통을 상품화하는 과정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진주소싸움의 사례는 싸움소를 수단으로 소싸움을 둘러 싼 집단 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상품 생산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이해타산의 정치가 상품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바꾸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진주의 소싸움은 상설화되고 나서 일부 전통성을 고수 하면서 상품성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타협과 절충을 통해 소싸움을 창조해 가고 있다.

      • KCI등재후보

        민사소송에서 소의 이익에 관한 몇 가지 문제 -법이론의 관점에서-

        우세나 ( Woo Se-na ),양천수 ( Yang Chun-soo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영남법학 Vol.0 No.44

        민사소송법학은 소의 이익을 민사소송의 소송요건으로 인정하고 있다. 판례 역시 소의 이익을 소송요건으로 인정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소의 이익을 소송요건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소의 이익이 민사소송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소의 이익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논란이 없지 않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법이론적 분석 및 논증방법을 원용한다. 특히 체계이론의 관점을 수용한다. 행정소송법과는 달리, 현행 민사소송법은 소의 이익이란 무엇인지 명문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소의 이익은 기본적으로 해석의 결과물이다. 또한 다른 소송요건과는 달리, 소의 이익은 본안판단의 대상이 되는 실체법적 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소의 이익을 별도로 인정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글은 소의 이익 개념이 그다지 명확하지는 않고, 또한 본안판단의 대상이 되는 실체법적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글은 소의 이익이 여전히 소송요건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소의 이익은 법체계가 자율적인 사회적 체계로서 작동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소의 이익을 갖지 않은 도덕적ㆍ윤리적 분쟁을 소송요건을 갖추지 않았다는 이유로 각하함으로써 법체계는 기능적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 이 글은 오늘날 소의 이익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테제를 주장한다. Civil procedure law recognizes benefit of lawsu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for civil litiga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recognizes 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too. However, there is yet controversy about the questions of whether benefit of lawsuit can be recognized as a litigation requirement for civil litigation, what is its function in civil procedure and what is its specific contents.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problems on benefit on lawsuit in civil procedure. To do this, this article uses the method of legal theory and argumentations. Especially, this article accepts the perspective of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Unlike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current Korean Civil Procedure Act does not prescribe the concept of benefit of lawsuit directly. Therefore, the concept of benefit of lawsuit is a dogmatic result of legal interpretation. In addition, unlike other litigation requirements, benefit of lawsuit is closely related to substantial legal relationship, which is the subject of civil litigation judgments. For that reason, someone argue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cognize benefit of lawsu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for civil litigation. Basically, this article agrees with the thesis that the concept of benefit of lawsuit is not clearly and it is very related to substantial legal relationships. However, this article argues that we should yet recognize benefit of lawsuit as a litigation requirement. This is because benefit of lawsuit contributes to the operation of legal system as an autonomous social system.

      • KCI등재

        번역소학 과 소학언해 번역의 특징 비교 연구

        이규필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This paper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strategy by comparing the translations of Beonyeoksohak(飜譯小學) and Sohakeonhae(小學諺解) . Sohak(小學) is a very important book, and the need for translation was recognized early on. For this reason, in 1518,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Sohak was published. It's the Beonyeoksohak . And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translation of this translation, Sohakeonhae was published in 1586. The reason why Sohakeonhae came out was that there was a reflection that the translation of Beonyeoksohak should be made anew. This is because the previous translation tried to convey the meaning, so it was not accurately translated according to the grammar.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so-called liberal translation and literal translation. Previous studies have only superficially compared these two translations. This study aims to inheri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mpare the translation methods of the Hyeonto(懸吐) and the Expletive(虛辭)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translations. The summary is as follows. Beonyeoksohak is translat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translation widely read, and Sohakeonhae is translated for the purpose of accurately conveying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he change from liberal translation to literal translation means a change in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urpose of translation. I think the Hyeonto and translation of Beonyeoksohak and Sohakeonhae are the result of such a strategy change. 본고는 번역소학 과 소학언해 의 번역문을 비교하여 그 전략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하였다. 소학 의 중요성으로 인해 그 번역에 대한 필요성은 일찍부터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1518년 최초의 소학 번역서 번역소학 이 나왔다. 그리고 이 번역문을 수정하고 보완한 소학언해 가 1586년에 나왔다. 소학언해 가 나오게 된 배경에는 번역소학 번역이 새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반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번역소학 번역문이 의역으로 되어 있어 다시 직역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선행연구는 주로 이 직역과 의역의 양상을 피상적으로 비교하는 것에 그쳤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계승하는 한편 한 걸음 더 나아가 현토와 번역문을 비교하고, 또 주요 허사의 번역 방법을 비교하여 두 번역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번역소학 은 번역문을 널리 읽게 하려는 목적에서 번역한 번역서이고, 소학언해 는 원문의 구조와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려는 목적에서 번역한 번역서이다. 의역에서 직역으로의 변화는 번역의 목적 변화에 따른 전략의 변화라는 뜻인데, 번역소학 과 소학언해 의 현토 및 번역문은 그러한 전략 변화가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 신중간계층의 소비관념에 관한 연구 : ?島와 大連을 중심으로

        孫德勝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5 No.-

        中?正在由??社??入“消?社?”的?程中,消?文化及其倡?的生活方式影?着?代中?新中???,而中?新中???的消?行?、消?模式、消??念以及由此而形成的消?文化,不??系到其自身的?展,而且??引?整?社????生活方式,甚至?系到??的?展和社?的?定。消??念是指人??其可支配收入的指?思想和?度以及?商品价?追求的取向,是消?者主?在?行或准??行消?活???消??象、消?行?方式、消??程、消???的?????价?价?判?。在消?活?中,消??念?于消?活??生的作用力尤?明?,一定得消??念?于人?的消??向有一定的引?作用,因此新中???的消??念十分?得我??注。本硏究?于新中???消??念的硏究主要?重品位?性消??念、符?消??念、???奢侈?念和超前消??念等???度。

      • 제2부 한국인의 효사상 : 『사자소학』에 내재된 효사상

        이미숙 ( Mi Sook Le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3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2 No.-

        『소학(小學)』은 고려 말 성리학의 유입과 함께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안향(安珦)과 그 문인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보급되었다. 그 결과 『소학』은 고려말 성균관(成均館)이나 향교(鄕校) 등에서 널리 교육되었으며,『소학』에 통달하여야 과거에 응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사자소학(四字小學)』은 조선사회에서『소학』이 강조되고 보급되면서 소학류의 저술도 확산되었는데, 특히 영조(英祖)는 사대부층의 자제들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들이 쉽고 간단하게 익힐 수 있는 『소학』을 편찬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였다. 이에 『사자소학』은 『소학』에 포함된 효사상을 함축하여 계승하고 있다. 또『사자소학』은 18세기 이후에 아동들이 가능한 쉽게 인성교육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기 때문에『소학』과 다르게 사자일구(四字一句)로 만들어져 아동들이 한자 학습과 기초 문장을 통해 효 사상과 효(孝)의 도리를 자연히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우리 전통의 효 사상을 수용하여 서술하였다. 『Sohak (Junior Learning)』was introduced to our country together with the inflow of neo-Confucianismand actively distributed by An Hyang and his literary persons. As a result, 『Sohak (Junior Learning)』was widely educated at the institutions like Sunggyungwan orHyanggyo (Confucian School) at the later part of Goryeo dynasty, and its importance was emerged finally to the level where people could take the examination for gwageo (High-level state examination) only after being well-versed in the 『Sohak (Junior Learning)』. As 『Sohak (Junior Learning)』was emphasized and distributed nationwide in Joseon society, writing sorts of 『Sohak (Junior Learning)』were diffused, and in this regard, especially at the age of King Youngjo 『Sajasohak (4 character Junior Learnin g)』formed the base for being able to publish easy and simple version of『Sohak (Junior Learning)』which was written not only for the children of gentry class but also for the children of ordinary people. 『Sajasohak (4 character Junior Learning)』succeeded the thought of filial piety incorporated『Sohak (Junior Learning)』in connotation form. And as 『Sajasohak (4 character Junior Learning)』was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easier personality education for children after 18C, it was made in the style of one phrase composed of 4 characters differently from that of 『Sohak (Junior Learning)』so that children could naturally learn the thoughts of filial piety as well as the duties of filial piety in easier way through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basic sentences. And 『Sohak (Junior Learning)』and 『Sajasohak (4 character Junior Learning)』 were written with the accommodation of traditional thought of filial piety of out country.

      • KCI등재

        소리 풍경 다시 듣기: “복합 청각주의”의 실현 가능성 연구

        권현석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音樂論壇 Vol.39 No.-

        Sound education, which allows participants to experience their surrounding sound environment, is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in the area of music education at various levels, according to the mounting interest in “soundscape” from around the circle of musicology. This situation requires a comprehensive educational philosophy for listening to contemporary soundscape and its practicality. Yet existing studies has paid limited attention to this topic.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present what I call “compound auditorism” as one possible philosophy for contemporary sound listening education, and explore its feasibility, based on a case study of the soundscap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mpound auditorism is a view that has a potential to meets the aim of contemporary sound listening education to realize a hearing-centric thought. The perspective emphasizes on leading participants to become subject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It is by helping them to respond to today’s compound sounds, environments, spaces through “simultaneous listening”. Compound auditorism is divided into three views based on “componential listening”, “stratal listening”, and “directional listen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listening. A case study offers one aspect of a potentiality for compound auditorism to be applied smoothly to the arena of sound education, by raising a possibility for participants to conduct three types of listening to some extent. 음악학계 안팎에서 소리 풍경에 대한 관심이 일어남에 따라 소리 풍경을 체험시키는 소리 교육이 다양한 수준의 음악 교육의 장에서 대안적인 방법으로 주목되고 있다. 그러면서 소리 청취 교육에 총체적으로 필요한 철학과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소리 연구의 세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진행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잠재적인 21세기 소리 청취 교육관의 하나로서 “복합 청각주의”를 제시하고, 인천 공항 소리 환경 체험의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실현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복합 청각주의는 청각 중심적 사고의 실현이라는 현대 소리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소리 청취 교육관이다. 이 관점은 참여자가 오늘날의 이중적인 소리, 환경, 공간적 양상에 “동시 듣기”로 부응하도록 해 이들을 현대 소리 환경의 주체로 이끌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복합 청각적 사고는 동시 듣기의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요소적, 층위적, 방향적 청취관으로 구분된다. 인천 공항의 사례 연구는 참여자들이 이러한 청취의 가능성을 어느 정도 보여줌으로써, 복합 청각주의가 소리 교육 현장에서 순조롭게 적용될 수 있는 잠재성의 일단을 선보인다.

      • KCI등재

        소 그림의 테마별 유형에 관한 연구

        김성운(Kim, Sung W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소는 형이상학적 견지에서 볼 때 인간에게 매우 철학적인 동물이다. 동서고금의 화가들은 소 그림을 통해 인간사와 자연의 연결, 자신의 정체성 표출, 소신과 의지의 웅변, 해학적 카타르시스를 창출하였다. 연구자는 지난 15년 동안 소 그림을 연구해 온 경험을 토대로 현대의 작가들에게 또 다른 상상력과 창조력을 불어 넣기 위해 강한 영감과 개성있는 소 그림들을 선별하여 테마별로 분석 고찰하였다. 테마의 주요 유형은 고향의 향수·동심·모성애·우정·사랑·놀이 등의 서정 유희 테마, 농사를 배경으로 한 농경과 휴식 테마, 민족혼 저항 분노 고통의 메타포와 소싸움에 나타난 이념 투쟁 테마, 그리고 화가의 정신적 세계를 아우르는 사유 해학 테마이다. 그 중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테마는 농촌과 자연을 토대로 발현되는 서정·유희 테마이고 이어서 사유 해학 테마 부문으로 나타난다. 농경·휴식 테마 부문의 경우, 농우는 기계문명 때문에 소의 고유 역할이 소멸되어 점차 사라지고 주로 동양화, 한국화의 범주에만 일부 나타나고 있다. 이념·투우 테마 부문은 소의 공격성을 통한 투쟁심, 민족혼의 고취, 저항, 열정, 광기 등으로 나타난다. 사유·해학 테마 부문은 소 그림을 통한 작가의 자아와 예술혼의 실현, 유머·익살 등 자유분방한 동화적 힐링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w is a very philosophical animal to people from a metaphysical standpoint. Painters of all ages and countries portrayed the following through cow paintings: linkage between human affairs and nature; self-identity; beliefs and intentions; humorous catharsis. As an artist that has explored cow paintings for 15 years, the researcher has analyzed and explored the cow paintings exuding strong inspiration and individuality by theme to improve the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other artists. The main themes of the paintings are as follows: lyrical or amusing themes of hometown nostalgia, innocence of childhood, maternal love, friendship, love, or play; themes related to farming or relaxing; metaphor of ethnic spirit, resistance, rage or pain; themes related to ideology or combat depicted through bullfighting; the mentality of artists or humor. The most frequent themes of cow paintings are lyrical or amusing themes based on rural setting and nature, followed by mentality of artists or humor. In terms of themes related to farming or relaxing, the roles of farming cows have gradually disappeared due to machine civilization; they only appear in Oriental and Korean paintings occasionally. As for ideology or bullfighting-related themes, the following are expressed through the aggression of cows: fighting spirit; ethnic spirit; resistance; passion; madness. In terms of themes related to the mentality of artists or humor; the following are expressed through cow paintings: realization of self-identity and artistic spirit of the artists; free-spirited, fairy tale-like healing with humor and wit.

      • KCI등재

        16세기 『小學』諺解의 사회 정치적 의미와 대중화

        윤인숙(Yun, In Sook)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8 No.-

        이 글은 16세기 『小學』 주해서의 간행과 『小學』 언해본의 보급 활용을 살펴보고, 이 보급이 주자학적 재편질서를 어떻게 이루어나갈 수 있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16세기에서 『小學』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5세기 주자학이 제도와 문물을 정비할 수 있는 국가적인 틀을 마련하였다면, 16세기 주자학은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실질적인 주자학적인 사회?정치질서의 재편을 이루어내고자 했던 시기이다. 『小學』 주해서 활용과 『小學』 언해본의 보급은 이처럼 16세기 정치사회적 개혁과 맞물려 이루어졌다. 『小學』 언해본은 이미 조선사회에서 보급된 두 가지 주해서를 저본으로 하였다. 첫 번째 언해본인 『飜譯小學』은 何士信의 『小學集成』을 토대로 만들어졌고, 두 번째 언해본인 『小學諺解』는 程愈의 『小學集說』을 저본으로 하였다. 이 두 가지 언해본은 주해서의 차이만큼 특징 또한 다르다. 전자의 특징은 이해 본위의 의역에 중점을 두었다면, 후자의 특징은 원문에 충실한 직역에 중점을 두었다. 이 특징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조선 사회가 『小學』언해본 간행으로 인해서 주자학적 재편질서의 범주를 확대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小學』 자체의 내용은 주자학적인 정치?사회질서가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언해는 그 의미를 보다 확산시키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plains publication of the annotated and Korean annotation of the Elementary Learning, as well as the manner was disseminated within Chos?n Society from the 16th century onward. The Elementary Learning was one of the basic Neo-Confucian primers to come out of the Sung, an anthology of selections from the Classics and other works from the historical period up into the Sung, published by Chu Hsi in 1187. This text became an important part of the Neo-Confucian core curriculum. Its value lies in the illustrations it provides of Chu Hsi"s pedagogical methods and the way it highlights the reforms he thought most important to bring about in family and community life. It touches on many different aspect of human life and society, its value and significance for various fields of study is almost unlimited. In Chos?n Dynasty, the first Korean annotation of the Elementary Learning <Beon Oyeok Sohak, 飜譯小學> was based by Xiaoxuejicheng <小學集成> which was annotated by He Shixin. The text was made the general meaning of the following passage, no a word-for-word translation. The second, Korean annotation of the Elementary Learning <Sohak Ueon Hae, 小學諺解> was formed by Xiaoxuejishuo <小學集說> which compiled by Cheng Yu of the Ming Dynasty. The text was made a literal translation. Founding through these the text was widespread dissemination amongst the public made it possible for the people of Chos?n to learn the Elementary Learning.

      • KCI등재후보

        진성이씨(眞城李氏) 가문의 『소학(小學)』 중시 전통

        허권수 ( Heo Kwon-su ) 연민학회 2020 연민학지 Vol.33 No.-

        『소학(小學)』은 고려 말기에 우리나라에 전해졌다. 유교(儒敎)를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시대에 와서 『소학』은 유교사상의 보급에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중요한 책이기 때문에 조정에서 대단히 중시하여 널리 보급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소학』은 급속도로 보급되어 중종조(中宗朝)에 이르면 조선 지식인의필독서가 되었는데, 특히 이학자(理學者)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가문인 진성이씨(眞城李氏) 가문에서도 널리 읽히고 강조되었다. 진성이씨 가문에서 소학을 맨 먼저 접한 인물은 송재(松齋) 이우(李堣)이다. 퇴계가 『성학십도(聖學十圖)』에 소학을 제삼도(第三圖)로 넣음으로써 『소학』의 위상을 최고도로 높였고, 선조(宣祖)에게도 자주 읽을 것을 권유하였다. 퇴계가 이렇게 『소학』의 가치를 높이자, 퇴계 후손들을 포함한 진성이씨 가문의 학자들은 『소학』을 특별히 중시하면서 읽는 것이 하나의 가풍(家風)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서 율재(慄齋) 이한걸(李漢杰)은 여자 인성교육(人性敎育)을 위해서 『소학』에서 여자에 관계된 내용을 발췌하고, 그것을 완전히 번역하여 『여자소학(女子小學)』을 만들었다. 조선조 5백 년 동안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여자들의 교육에 관심을 갖고서 여자들을 위한 서적을 만든 것이다. 『동학(東學)』은 양전(陽田) 이상호(李祥鎬)에 의하여 편찬되었는데, 주로 우리 선현(先賢)들의 명언이나 훌륭한 행실 등을 모은 것으로, 젊은 선비들의 수행에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 진성이씨 가문의 『소학』 중시 경향은 현세 학자인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교수에까지 이어져 대학의 한문 교과서에 『소학』에서 인용한 글을 수록했다. 이런 전통은 진성이씨 가문의 하나의 우수한 학문적 전통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Sohak(小學) written by Juja and his disciple Ruchungji, was brought to Korea in the late Goryeo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where Confucianism was the ruling ideology, it was a very useful book. Therefore, kings and servants actively have tried to spread widely at the national level. As a result, by the 15th century, Sohak became wide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mong the famous families of Joseon, the family of Toegye Lee Hwang, Jinsung Lee’family enjoyed reading this book with special emphasis. Such traditions have persisted since Toegye have been until recently. Not only did their descendants enjoyed reading Sohak, they also wrote similar books. This tradition greatly influenced the discipline and morality of Joseon. Among them, Lee Han-geul’s Women’s Sohak(女子小學) and Lee Sang-ho’s East Sohak(東學) are the most representative. If We find this kind of book and study it well, We will understand the atmosphere that emphasizes the study of Sohak at Joseon.

      • 주제발표 : 『소학(소학(小學))』을 활용한 초등학교 도덕교육 방안

        최재영 ( Jae Young Cho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소학(小學)」은 동양의 대표적인 수신서로서 핵심 내용은 남의 말에 응대하는 법, 몸가짐의 절도와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며 스승을 높이고 벗과 친하는 도리를 어린이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내용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도덕적 덕목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소학(小學)」의 교육적 의미로서 첫째, 「소학(小學)」교육에서는 어린 시절의 교육적 체험을 중요시하며 사회의 핵심적 가치를 삶에서 실천하며 살아가는 인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년기에서부터 생활 속에서 도덕적 가치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 「소학(小學)」에서는 지적·이성적 설득, 논의, 암기보다는 생활 속에서의 체험을 중시한다. 셋째, 「소학(小學)」에서는 책상 앞에서의 교과학습보다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의 자기 역할 습득을 중요시한다. 넷째, 「소학(小學)」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도덕적 인간, 곧 성숙한 인격 형성이라고 하였다. 「소학(小學)」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교육적 방법으로는 행동실천 중시, 자기교육, 단계적 학습, 수범학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학(小學)」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려는 노력은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까진 활성화·체계화 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학(小學)」을 활용한 초등학교 도덕교육 방안을 내용과 방법의 활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소학(小學)」의 내용을 적용하여 역할극 활동을 하거나, 현시대에 맞게 재구성한 「소학(小學)」교재를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겠다. 다음은 「소학(小學)」의 교육방법을 활용한 교육으로 멘토를 정하고 실천체크리스트 만드는 활동과 이를 생활 속에서 자주,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어플의 개발사례를 예상하여 보았다. 초등학생들에게 「소학(小學)」이 어려운 한자공부가 아닌, 옛 선조들의 삶의 철학과 미덕이 녹아 들어있는 책이라는 의식을 전제로 하여 다양하고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교육방법들을 부단히 교육현장에 투입한다면 「소학(小學)」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도덕교육의 훌륭한 소재, 그 이상의 무한한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Sohak」 is a representative oriental moral training book. It is concentrating on teaching how to answer, behave towards and love parents in a polite way. Also, it teaches to be respectful to elders and teachers, and to get along with friends. It focuses on the moral virtues to keep in daily life. The firs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ohak」 is it`s emphasis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childhood. Secondly, Sohak emphasises experience in life rather than intellectual, rational persuasion, discussion and memorization. Thirdly, 「Sohak」 is emphasis on learning one`s-role in relation rather than desk study. Fourthly, the ultimate purpose of 「Sohak」 is making a moral person. It is mature character formation. Educational methods of 「Sohak」 are practical action, self-education, gradual learning and setting an example. Educational effort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Sohak」 is doing. However, it is not activated and systematized yet. This study suggests separating the application of contents and method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First, role-playing activities by applying the contents of 「Sohak」. Also, education with 「Sohak」 was recomposed appropriately for the present age. Second, selecting a mentor and making a practical checklist, contemplating the development example of smartphone applications by applying the educational methods of 「Sohak」, If the application of Sohak is continued with various and interesting educational methods, it will carry infinite value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