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조선시대) 詩經學(시경학) 속의 朱熹(주희) 詩經學(시경학) -수용과 재해석 양상을 중심으로-

        김수경 ( Su Kyung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7 No.1

        시경학이 한국 전통 시경학에 중요한 영향을 끼쳐왔음에 불구하고, 종래 조선시대 시경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주희 시경학과는 다른 성격 내지 반대되는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주희설이 조선시대 시경학에 큰 영향을 끼친 만큼 그 수용 .해석 양상이 구멍되어야 조선시대 시경학의 전체 면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소위 ‘반주자’ . ‘탈주자’로 일컬어지는 시경학의 성격도 보다 온전히 구멍될 수 있읍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시경학에 수용.재해석된 주희 시경학의 연모를 고찰하여 조선시대 시경학의 다층적 면모를 밝히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대상 주석서는 조선시대 주희설 수용 양상이 비교적 전형적으로 드러난 8종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다. 본고에서 고찰한 조선 시경학에 드러난 주희 시경학에의 접근 시각과 道學 思想, 詩義 脈絡, 문헌 대상으로서의 측면, 우리말 언어 전환 과정 네 가지 방면이다. 본고의 텍스트 선정이 주희 중심적 주석 경향을 모두 대변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조선시대 주희설 이해 양상을 전면적으로 고찰하는 데 발판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Zhu Xi`s Hermeneutics of Shihjing has been a great impact on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Korean study of her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has mainly focused on the perspectives different from Zhu xi`s. This study trend makes a great number of texts which are regarded as hermeneutics of pro-Zhuxi remain unstudied.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investigate the hermeneutics of pro-Zhuxi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aspect of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Zhuxi`s hermeneutics of Shihjing have various facets. Based on the fact, the study categorizes four point of views such a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philological characteristics,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language conversion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The research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which so-called follow Zhuxi`s hermeneutics can give different prominence to Zhuxi`s hermeneutics according to interpreters` interest or preference.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belonging to Zhuxi`s hermeneutics also have their own diversification.

      • KCI등재

        方玉潤 『詩經原始』 연구 ― ‘淫詩’ 혐의가 제기된 시들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이남종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2

        ≪詩經原始≫는 淸 方玉潤(1811-1883)이 同治(1862~1874) 연간 저작이다. 方玉潤의 《詩經》 해석은 漢·唐代 詩經學 또는 宋代 詩經學의 울타리를 벗어나 經文 자체에서 의미를 추구하고 또 詩를 가지고 詩를 논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에 그의 저작은 崔述의 《讀風偶識》 및 姚際恒의 《詩經通論》과 함께 독립적 연구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본고는 ‘淫詩’ 혐의가 제기된 시들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詩經》의 ‘淫詩’에 대한 논의는 春秋 시기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으나 다수의 시편들에 대하여 淫詩로 규정한 이는 宋 朱子이다. ‘淫詩’로 지목된 시를 그대로 ‘淫詩’로 받아들일 것인가의 문제는 《詩序》 및 朱子 詩經學에 대한 수용과 배격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方玉潤은 ≪詩經原始≫에서 각 시편의 제목 아래에 새로 詩序를 제출하여 기존의 《詩序》를 대신하였으며, 〈自序〉, 〈凡例〉, 〈詩無邪太極圖說〉 〈詩旨〉 및 음시 혐의가 제기된 시편에 대한 釋義에서 朱子 詩經學의 주요 주제인 淫詩說을 부정하였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시경강의보유(詩經講義補遺)』 특징 연구 — 『시경강의 』와 비교를 중심으로

        차영익 중국문화연구학회 2024 중국문화연구 Vol.- No.63

        다산 정약용은 18, 19세기 초에 걸쳐 경학사의 한 획을 긋는 사람이다. 그의 경학적 특징은 청대 고증학과 한학과 송학을 겸한 경세치용적 학문이라고 정의된다. 그의 경학적 특징은 육경사서에 들어있는 경학사상을 연구하면 그의 전체적인 경학적 특징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산 경학의 전체적인 면모를 알기 위한 일환으로 그의 시경학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산의 시경학은 『시경』이 윗사람을 풍자하기 지어졌다는 관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민간가요인 국풍을 사대부가 임금을 간하기 위해 지었으며, 평천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시경강의』는 1791년 다산이 초계문신으로 있을 때 정조가 『시경』에 대해 질문한 800여 조목에 대한 답문형식으로 지어졌고, 이후 1809년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완성한 것이다. 약 20년간에 걸쳐 『시경강의』를 완성하였지만, 정조의 질문에 답한다는 한계가 있어서 다하지 못한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 위해 지은 것이 『시경강의보유』이다. 그동안 다산의 시경학에 관한 연구는 『시경강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시경강의보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본 논문은 『시경강의보유』의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다산 시경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경강의보유』는 대체로 분량이 적고 설명이 간략하여 시경강의에서 빠진 부분을 보충하는 서적 정도로 취급하여 그 가치를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다산이 『시경강의보유』 서문에서도 지적하다시피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부분의 '백 분의 일'도 말하지 못했다는 말이 조금 과장되었다 하더라도 소홀히 여길 부분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시경강의보유』를 지을 때가 다산의 후기 경학적 특징을 드러내는 시기라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들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부분들에 단서를 얻어 그 대략적인 특징을 살펴보되, 다산의 경학적인 특징과 연관시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SiGyongGangEu(詩經講義) of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was an answer sheet to JeongJo(正祖)’s 800 questions of SiGyong(詩經). DaSan stressed the exegesis of the words in SiGyong. DaSan had a critical point of view to the JuHui(朱熹)’s theory. He interpreted the preface of SiGyong as an application to the actual government, not a simple commentary. Before Dasan, Shi-Jing-Xue(詩經學) emphasized the method of edifying the people through ‘Onyudonhu(溫柔敦厚)’ and added or revealed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presented in Zhu Xi’s Collection of Commentaries of Poetry(詩集傳). Dasan’s Shi-Jing-Xue was based o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letters, and the understanding of shixu(詩序) was important. This is also applied to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from SiGyongGangEu(詩經講義). Since SiGyongGangEu(詩經講義) is in the form of answering Jeongjo’s questions, the reason why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was built was that he included what he wanted to say about Sigyeong in addition to Jeongjo’s questions.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overall meaning of Dasan’s Shi-Jing-Xu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ntents missing from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With this inten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overall meaning of Dasan’s Shi-Jing-Xue by adding the meaning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First, Dasan determines the details of the reservation of the judgment of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from the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For example, the judgment was put on hold in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which is praised or satirized, but the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confirms it as a satirical poem. Second, Dasan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yong as a a GanSeo[諫書: document in which a servant tells the king to correct wrong or wrong things]. Dasan stipulates that the duty of poetry is to satirize reality by stating old things. This characteristic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Han Dynasty’s Mosiseo[毛詩序] and was manifested in Dasan’s sense of problem at the time. In conclusion, we can get closer to the overall aspect of Dasan’s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through a broad analysis of Dasan’s Shi-Jing-Xue(詩經學).

      • 韓國 詩經學 硏究 槪況과 課題 略述

        김수경(Kim, Su-kyung)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2 동아한학연구 Vol.- No.8

        중국 대륙, 대만, 홍콩 등지의 詩經學 연구는, 이미 연구 성과에 대한 개괄 뿐 아니라 구체적이고 전면적인 논문 목록집까지 정리된 상태이며, 거의 10년을 단위로 새로운 연구 성과를 재종합하는 상황이다. 이에 비해, 韓國 詩經學 연구는 분량도 많지 않을 뿐더러 그 연구 경향이나 연구사 정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고는 韓國 詩經學 硏究 槪況과 課題를 정리·고찰하는 것을 중심 목적으로 하여, 韓國 詩經學에 대한 연구 경향을 개괄해보고, 향후 韓國 詩經學 연구가 체계화되고 다양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韓國 詩經學’이란 韓國 詩經學者의 『詩經』 연구에 대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다. 한국 학자의 中國 詩經學 硏究 또한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사정리는 中國 詩經學의 연구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논의의 성격이 다른 까닭에, 본고의 서술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고에서는 現代 韓國 詩經學의 연구 성과에 대해 특징적인 방법론·접근 각도를 위주로 하여 文學·文學史的 방면, 經學史的 방면, 實學派·考證學派의 詩經學·正祖時代의 ??詩經??講義·『詩經』의 우리말 번역 등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文集類 등에 散見한 『詩經』觀 연구·朱熹 詩經學 이해에 대한 層次 연구 등의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is essay aims to categorize the existing tendencies of studying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and to suggest the future tasks for this field. The research results of China including Taiwan, Hongkong about the Odes, and even of Japan, have been already collected and analyzed. They keep upgrading their current research results at almost every 10 year. In comparison, the study results and tendencies of studying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have rarely been aggregated or analyzed in the integrative degree.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essay tries to summariz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bout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so that we extend the width of the study field. We choose research methodology as the way of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tendencies, as we believe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is more effective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udy on the Odes. Besides the study of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there are considerable studies of Chinese commentaries on the Odes by Korean scholars. Anaylzing their research results in depth, however, is different from our study angle. It could be considered as a further research plan.

      • KCI등재

        『흠정시경전설휘찬(欽定詩經傳說彙纂)』이 서형수(徐瀅修)와 서유구(徐有□)의 『시경(詩經)』 해석(解釋)에 끼친 영향(影響)

        소잠 ( Cen Su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8 No.-

        康熙연간에 강희제의 명을 받아 편찬한 『欽定詩經傳說彙纂』은 주자학을 위주로 하면서 漢宋兼採의 詩學경향을 띤다. 이 책은 雍正5年(1727년)에 완성되어 간행반포되었고 그 다음해인 英祖4년(1728년)에 조선으로 유입되었다. 『彙纂』이조선에 수입된 후, 조선 후기 학자들은 『彙纂』 해석에 있어 이 책을 많이 참고하였고, 그 과정에서 『彙纂』은 조선 후기 시경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에 포함된 풍부한 시학 자료는 詩學書籍 이 부족한 조선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漢宋兼採적인 학술의 발전을 촉진했다.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集解體의 편찬 방식도 조선학자들이 새로운 『詩經』 방식을 闡釋탐색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모습은 徐瀅修와 徐有□一家의 시학 연구에 확연히 잘 나타나 있다. According to the The Kangxi Emperor’s order, 『HeumJeongSiGyeongJeonSeol-HwiChan(欽定詩經傳說彙纂)』 was compiled by Qing dynasty scholars. The book gives first place to Zhuzixue(朱子學), but on the other it also includes much information on Hanxue(漢學). On 1727 it was published firstly in Qing dynasty, and on the next year(1728) it was taken to Joseon at once by Joseon envoys. After coming to Joseon, it gave a deep influence on the study of 『SiGyeong(詩經)』 in Joseon. At first, from the book Joseon scholars could get much new『SiGyeong(詩經)』 study information that they did not get from other books because there were almost not other 『SiGyeong(詩經)』 study books except for 『SiJeonDaeJeon(詩傳大全)』 in Joseon at that time. Secondly, the amount of information on Shi jing stud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idea which accepted a melange of Songxue(宋學) and Hanxue(漢學) on 『SiGyeong(詩經)』 study. Thirdly, the JipHaeChe(集解體) stuty style of 『HeumJeongSiGyeongJeonSeolHwiChan(欽定詩經傳說彙纂)』 also has an effect when Joseon scholars looked for new way or style to study 『SiGyeong(詩經)』. These phenomena can easily be seen from the 『SiGyeong(詩經)』 study of Seohyeongsu(徐瀅修) and Seoyugu(徐有□)’s family

      • KCI등재

        논문(論文) : ≪시경≫의 음악성에 대한 조선시대 학자들의 논의와 활용

        김수경 중국어문연구회 2012 中國語文論叢 Vol.0 No.55

        本論文的主題是有關韓國朝鮮時期學者對≪詩經≫音樂觀的試論。理解他們的觀點不僅可以更爲全面地了解韓國詩經學,還可以了解個別學者或個別學派堅持某種觀點的經學傾向。從這樣的問題意識出發,本文考察了韓國朝鮮後期集中出現對≪詩經≫音樂性的關注現象。爲了有效把握學者的觀點,本文的敍述,就圍繞與≪詩經≫音樂性問題有密切關系的兩個≪詩經≫學爭論,卽鄭聲論與≪詩≫入樂不入樂論,來進行展開。本文沒有全面涉及有關≪詩經≫音樂性的論題,暫且圍繞下面幾個論題進行硏究,以作爲以後深入硏究朝鮮學者對≪詩經≫音樂性認識的基礎。對≪詩經≫樂譜與實際演奏這一方面的深入硏究,需要考察先秦禮樂制度以及中國、朝鮮的禮樂文化。本文因個人能力與時間不足,在此只做了簡單的介紹,把타(?)作爲日後的硏究課題。

      • KCI등재

        論≪詩經疾書≫的學術文獻價値

        백승석 영남중국어문학회 2011 중국어문학 Vol.0 No.58

        朝鮮朝 李瀷의 ≪諸經疾書≫중 하나인 ≪詩經疾書≫는 ≪毛詩序≫와 ≪詩集傳≫의 속박에서 벗어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詩經≫주석서로, 당시 서양문명과 淸朝의 새로운 학풍의 영향 하에 기존의 성리학과는 다르게 해석하여 저자의 經世致用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李瀷은 明·淸代에 중국으로부터 朝鮮에 전래된 많은 전적들을 근거로 하여, 朱熹의 주석을 맹종하지 않고, 여러 이론들을 취하여 세밀하게 연구한 뒤에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시경≫의 六義와 淫詩에 대한 검토·史書에 대한 고증·頌詩 부분에 대한 의혹과 탐구 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익의 견해는 근거가 있고 이치에 맞는 字句 해석을 통하여 드러나고 있는데, ≪시경≫연구에 또 다른 학술 문헌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이밖에도 ≪시경질서≫의 중요한 가치 중의 하나는 후대 중국문학에 미친 ≪시경≫의 영향에 대하여 새로운 자신의 견해를 밝힌 점이다. 즉 이익은 杜甫와 蘇東坡의 시문을 ≪시경≫과의 대비를 통하여 그 근원적 관계를 밝혔는데, 이 같은 결과는 지금까지 누구도 발견하지 못한 독특하고 선구적인 것으로 후대의 ≪시경≫연구에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자못 크다 하겠다. 요컨대, 이익의 ≪시경질서≫는 중국 이외 지역 학자의 저작으로, 중국 역대 ≪시경≫연구의 장점을 흡수하고, 아랫사람들의 의견이라도 참고할 만 한 것은 받아들이는 등의 독특한 연구 시각과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는데, 이 같은 이익의 연구 성과는 전체 ≪시경≫연구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 그 학술 문헌적 가치를 살필 수 있겠다.

      • KCI등재

        茶山・舫山 詩經說이 지닌 복고적 성격과 그 경학사적 의미-「周南」과 「召南」을 중심으로-

        홍유빈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60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reconsider of 茶山 丁若鏞 and his grandson, 舫山 尹廷琦’s 詩經學. in terms of restorative perspective. In fact, restoration in 詩經學 means 毛詩說 of Han dynasty and 魯・齊・韓’s 三家詩說. And 舫山 also succeed 茶山’s this restorative pattern in his 詩經說. The previous researchers thought 丁若鏞’s 詩經學, which based on mainly 諫書論, had political characteristics. However, when we see the commentary of 周南 and 召南 in this paper,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refer 毛詩序 and 三家詩 and there were scholarly characteristics with little political characteristics. 詩經講義補遺, which was considered as 丁若鏞’s the latest part, had 諫書論’s suggestion, however, since 丁若鏞 had plenty of time in exile period and he studied about the ancient commentary such as 毛詩序 and 鄭玄’s theory. Therefore, this suggestion may put 丁若鏞 and 尹廷琦’s works in the field of scholarly works. On the other hand, 尹廷琦, who succeeded in 丁若鏞’s 補遺說, used more various and vast works such as 先秦諸家’s theory. And he approached 西漢今文學 with more restorative aspect in ancient commentary. And these restorative trends are as same as 詩經學 in 淸 dynasty which have restorative trends. In addition, when we examined of the interpretation of 詩經, 尹廷琦’s comments present the ancient’s commentary as well as his own opinion. For example, in 周南 芣苢’s case, 尹廷琦 thought even if someone had the weakness, the king should choose him because he had the strength. This opinion is the one that collaborates with 韓詩說 and 毛詩說. And in 召南 何彼穠矣’s case, the previous researchers considered it as “praise poem,” however, 尹廷琦 confirmed it as “satire poem” which followed 丁若鏞’s 補遺說. (This point of view was very rare and 方玉潤 in 淸 dynasty also had this perspective. This is very remarkable.) 尹廷琦’s 詩經說 was respect of the ancients’ commentary, but he proposed his own perspective as well. In the conclusion,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are far from of their political characteristics. We can understand it with scholarly view. With given view, we need to examine in the field of 經學 itself. 본고는 조선후기 학자인 茶山 丁若鏞(1762~1836)과 그의 외손인 舫山 尹廷琦(1814~1879)의 시경학이 가진 복고적 성격의 의미를 되짚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복고성이란 시경학에 있어 다산의 후기설이 입론의 근거를 漢代의 ‘毛詩說’ 및 그보다 이전에 정립된 魯・齊・韓의 ‘三家詩說’에서 취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방산의 詩經說 역시 다산의 이러한 경향을 계승하여 보다 견고하게 다듬고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 볼 수 있다. 그리고 간서론을 위주로 한 다산 시경학의 이러한 경향에 대해 기존의 평가의 경우 그것을 다산 경학의 ‘정치성’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周南」과 「召南」에 대한 주석을 보았을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모시서」와 「삼가시」를 두루 참고하는 등 기본적으로 ‘학술적 성격’을 띠며, 그 안에는 정치적 색채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다산의 후기설이라 할 수 있는 『시경강의보유』에는 간서론의 주장이 강하게 피력되고 있지만, 이 역시 유배기의 시간적 여유 속에서 「모시서」 및 鄭玄의 설을 재음미 하는 가운데 그 주장이 성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학술적 영역 안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방산 윤정기는 이러한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방대한 자료를 가지고 선진제가의 설들을 참조하는 가운데 古注 안에서도 한층 더 복고인 西漢 今文學에 맞닿는 논의를 펼쳤다고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고적 특징은 동시대인 청대 시경학에서 점차 古注를 중시하는 복고적 경향과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시편 해석을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방산의 설시는 古注를 참고하면서도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설을 개진하기도 하는데, 예컨대 「周南・芣苢」의 경우 방산은 『속집』에서 냄새가 고약한 질경이를 따는 것이 사람에게 나쁜 질환이 있지만 그럼에도 쓸 만한 재주와 덕행이 있으니 그것을 뽑아야지 버리면 안 된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韓詩의 설(⇐三家詩)’과 ‘求賢審官의 설(⇐毛詩)’을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召南」의 「何彼穠矣」편의 경우 이 시를 찬미시로 보는 ‘漢代의 古注’와 ‘朱熹의 新注’의 견해에서 탈피하고, 이 시를 풍자시로 본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여 이 시를 풍자시로 확정하였다. 이 시를 풍자시로 보는 견해는 드물다 할 수 있는데, 청대의 방옥윤 역시 이러한 시각을 가졌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淸代의 自得 계열과 조응하는 방산의 시경설의 의미를 논한다면, 방산의 시경설이 古注를 존중하여 삼가시와의 접점을 이루긴 하였지만, 그것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독자적인 설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그들의 經世論에 결부시키기에 앞서, 그 본연의 經學的 맥락에서 보다 자세히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詩經』 風論 再考

        홍유빈(You-Bin H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본고는 『詩經』 篇章의 명칭 중 하나인 ‘風’에 대한 기존의 논쟁을 검토해 보고, 그러한 논쟁의 원인과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 논문이다. 주지하다시피 「毛詩大序」에서 ‘風’을 ‘風化’와 ‘諷刺’로 나눈 이래, 『詩經』 「國風」의 風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다만 「大序」의 風論에 대해 鄭玄과 孔穎達이 설명한 내용을 종합해 본 바, 「大序」에서 언급한 ‘風化’ 역시 ‘諷刺’에 속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詩經』 편장의 명칭인 「國風」의 風에 대해서는 다른 개념이 요구된다. 「國風」의 風의 의미를 알기 위해 먼저 ‘風ㆍ雅ㆍ頌’의 구분 문제를 짚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크게 ① 정사적 구분(내용 기준), ② 체제적 구분(수사법 기준), ③ 음율적 구분(연주스타일 및 음계)으로 구분하였다. 다만 이 중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기준은 시편의 내용이나 수사적 방식이 風ㆍ雅ㆍ頌의 작품들 사이 서로 넘나듦이 있다는 점에서 분류의 기준이 되기에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세 번째인 ‘음율적 구분’은 이러한 모순으로부터 자유로우며, 「關雎」 및 「雅」ㆍ「頌」을 음악으로 인식했던 공자의 태도와도 일치되는 면이 있다. 아울러 양계초를 포함한 근대 중국의 학자들 역시 ‘음율로서의 風’을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國風」의 風을 ‘반주가 없는 노래’인 ‘徒歌’로 보는 이러한 설은 음악적 성격을 강조했다는 의의는 있지만, ‘그것이 왜 편장의 기준이 되는가?’에 대해서는 미진한 부분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방산 윤정기의 견해가 주목되는데, 그는 「國風」의 風을 기후의 온화함과 사나움의 차이와 그에 따른 음률의 차이로 보아, ‘音律 혹은 樂名의 개념으로서의 風’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그는 『詩經』 편장인 ‘風ㆍ雅ㆍ頌’의 ‘風’은 음악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장르적’인 개념(【樣式】)으로, 周禮 에서 언급된 ‘風ㆍ賦ㆍ比ㆍ興ㆍ雅ㆍ頌’[六詩]에서의 ‘風(=諷)’은 ‘수사적’인 개념(〖詩體〗)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詩經 편장인 「國風」의 風이 ‘음악 양식으로서의 風(style)’이며, 수사적 기법인 ‘六詩’에서 말한 ‘풍자의 의미로서의 諷(satire)’과는 다름을 선명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風(⇒樣式)’과 ‘諷(⇒詩體)’을 구분해서 보는 ‘二元’ 혹은 ‘二分’적인 이해는 시경 국풍의 風論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의 대안이 된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debate on '風', one of the names of '『詩經』 篇章' and suggests the cause of such controversy and alternatives. As is well known, since the division of “風” into “風序” and “刺諷” in “毛風風”, the debate over the 風 of 『詩經』 「國風」 has continued. However, after synthesizing the contents explained by 鄭玄 and 孔穎達 about the theory of 風論 in 「大序」, it was confirmed that ‘風化’ was mentioned in 「大序」 also belonged to ‘諷刺’. Therefore, a different concept is required for the name of the chapter about the 風 in 「國風」 of 『詩經』. In order to know the meaning of “風” in 「國風」,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風ㆍ雅ㆍ頌’ was first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it was largely divided into political classification (based on content), syste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investigation method), and phonetic classification (performance style and scal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criteria among these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ar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at the content or rhetorical methods of the psalms cross each other between the works of 風, 雅 and 頌. In contrast, the third “phonological classification” is free from this contradiction,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Confucius' attitude, which recognized “雎關” and 「雅」ㆍ「頌」 as music. However, this theory, which sees the 風 of “「國風」” as “Song without accompani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musical character, but there are insufficient parts about “why is it the standard of the chapter?“ In this regard, the view of Bangsan Yoon Jeong-ki is noteworthy, and he derived “風 as a concept of 音律 or 樂名” by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ldness and ferocity of the climate and the resulting sound. In addition, he divided into ‘風’(【樣式】) of ‘風ㆍ雅ㆍ頌’ which is “genre” concepts based o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風=諷’(〖修辭〗) of ‘風ㆍ賦ㆍ比ㆍ興ㆍ雅ㆍ頌’[六詩] which is mentioned in 『周禮』. Through this distinction, it can be seen that 風 of 「國風」 is “style as a musical style”, is clearly different from 諷(satire) as a satire meaning. In this perspective, I think that the '二元' or '二分' understanding, which distinguishes ‘風(⇒樣式)’ and ‘諷(⇒詩體)’ is an alternative solution to ending the debate over the 風論 of 『詩經』「國風」.

      • KCI등재

        풍자의 현실 비판적 성격에 관하여 — 詩經과 孟子의 경우 —

        홍유빈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본고에서는『詩經』의 시편 속에 내재된 풍자성과 이와 관련된 孟子의 풍자정신의 기원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中國 最古의 詩歌集인 『詩經』에는 古代의 戀歌 외에도 제왕⋅귀족에 대한 美刺와 전쟁에 대한 저지와 같은 사회 비판적 성격이 짙은 시편들도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詩經』의 시편 자체에 이미 당대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속에서 사회문학으로서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다. 선진(先秦)시대를 지나면서 시편들은 점차 結集되고 流傳되어 儒家⋅墨家⋅道家⋅法家 및 여타 諸家에 의해 함께 향유된 문화 자원이 되었는데, 儒家의 경우『詩經』의 시편들을 음악과 함께 연주하거나 시편의 의미에 대한 해석⋅연구와 관련된 교육을 실시했다. 시편의 교육 취지는 적절한 비유법과 그것을 통한 완곡한 표현법을 익히는 데에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은 『詩經』의 교육적 목적이 상당 부분 ‘用詩’ 즉 『詩經』에 나오는 시편 및 그 구절을 실제적인 언어생활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전국시대를 살다 간 맹자는 공자의 학문을 계승하고 연구하기 위해 『詩經』의 시편들을 제자들에게 가르쳤으며 아울러 함께 연구했다. 『孟子』에서 『詩經』의 시편을 인용한 부분은 총 39회이고, 그 중에서 맹자 본인이 인용한 부분은 30회 인데, 자신의 王道思想을 피력하고 또한 그것을 관철시키고자 누차『詩經』의 시편들을 끌어다 사용했다. 맹자의 언설에는 ‘비약이 심한 비유’ 및 ‘개념규정의 결여’와 같은 결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비유와 시편의 적절한 인용으로 인한 특유의 생동감이 있다. 맹자의 언설에 힘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당대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그러한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맹자의 意志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그의 정신은 「毛詩․大序」 風論에 까지 이어지게 되고, ‘완곡하게 다듬어진 말로써 윗사람에게 충고한다.’는 ‘諷諫의 정신’으로 정립되게 된다. This article is a story about a relation of the book of odes and Mencius. As you know, the book of Odes is a collection of Chinese oldest poetry. Some people think that the book of Odes is just old love poem colletion, but there are many critical and satire poems in this book. Therefore we can find the social critical aspect of literature in these poems. Mencius i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in ancient china. He was born in what is modern Shantung province. He taught idealistic confucianism to some of his pupils. He traveled for forty years to offer advice to rulers for reform which is based of his idealistic confucianism. The book of odes is a kind of text book which students have to learn at that time. In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Warring States Period, using poems in the book of Odes is most cultured behavior among the educated persons. They can indirect communication by using poems. So they had to study them. Mencius also learned and studied these poems. He used these poems in order to persuade the rulers. Mencius's saying have some illogical aspects. Therefore many philosophers criticize his lack of concept rule. But I think that his main point is not telling philosophy but persuading others. There are many various metaphors in his speaking from learning the book of odes. And his satire sprit is also affected with social critical aspect of literature in the book of o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