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종대왕실기』와 〈단종애사〉의 허구적 여성인물에게 투영된 작자 의식

        김성철(Kim Sung-chul)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단종대왕실기』와 〈단종애사〉는 동일한 시기에 발간되고 연재되었다. 두 작품은 단종과 세조조에 발생한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연려실기술』의 기록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두 작품의 서사 진행과 등장인물은 거의 동일하다. 여타의 역사서와 야사류에 등장하지 않고 두 작품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여성 인물이 있다. 『단종대왕실기』의 ‘옥화’와 〈단종애사〉의 ‘야화’가 그들이다. 여진족 여인인 ‘옥화’와 ‘야화’는 김종서의 세 번째 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단종대왕실기』에서 ‘옥화’는 등장하는 순간부터 수양대군의 수하에게 죽임을 당하는 순간까지 일관된 성격을 유지한다. ‘옥화’는 여진족이면서 전투를 가까이에서 접한 인물이기 때문에 무사의 기질을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이러한 성격을 흐트러짐없이 유지하면서 김종서의 곁을 지킨다. 반면 〈단종애사〉의 ‘야화’는 이민족 출신의 낯선 여성으로서 묘사되어 있으며, 성적인 매력을 발산하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김종서는 ‘야화’의 몸을 탐하는 늙은이로 묘사되어 있다. 『단종대왕실기』와 〈단종애사〉는 단종과 세조가 중심이 되는 서사를 유지하면서 전개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옥화’와 ‘야화’는 새롭게 창조된 인물이다. ‘가상의 인물’인 ‘옥화’와 ‘야화’를 통해 작자는 자신의 시각을 반영한다. 『단종대왕실기』는 철저하게 단종의 편에서 단종을 변호하는 서술 태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옥화’도 그와 같은 자장 안에 존재한다. 하지만 〈단종애사〉는 단종에 대한 시각과는 별개로 성적인 대상으로 ‘야화’를 등장시킴으로써 김종서에 대한 비판을 대신한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두 작품의 작가가 새로운 인물을 통해 작품을 바라보는 시선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술되었다. 〈端宗大王實記: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and 〈端宗哀史: Sad History of Danjong〉 were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Both were mainly composed of an incident which occurred in the reign of King Danjong and King Sejo. Standing on the basis of the records from 〈燃藜室記述: Yeonryosilgisul〉, narrative progressions and characters of both are almost the same. Both have female characters who don’t appear in other historical books or unofficial histories. They are Okhwa from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and Yahwa from 〈Sad History of Danjong〉. They, who were women from Jurchen(女眞) tribe, were portrayed as third concubines of Kim Jongseo. From the moment she first appears in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to the moment she is killed by a follower of Infante Suyang, Okhwa maintains her consistent personality. She is a character who has a tendency of an amazon. While maintaining this personality without woolgathering, she stands by Kim Jongseo. But to the contrary, Yahwa from 〈Sad History of Danjong〉 was portrayed as a stranger from different ethnic group, and a character who gives off her sexual charm. And Kim Jongseo was portrayed as a greedy old man who had a lust for body. Both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and 〈Sad History of Danjong〉 maintain narratives which center King Danjong and King Sejo. Okhwa and Yahwa are newly created characters. Through the two imaginary characters, the authors reflect their views. Because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has an attitude of narrating that defends King Danjong, Okhwa exists in the same field. However, by presenting Yahwa as an object of sexual desire, apart from its view on King Danjong, 〈Sad History of Danjong〉 criticizes Kim Jongseo in a roundabout way. Setting this difference on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st light upon the views that the two authors see their works through new characters.

      • KCI등재후보

        <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남승석(Nam, Seungsuk) 한국문화연구학회 2018 문화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1958년 제작된 신상옥의 영화 <지옥화>를 서울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에 의한 생산물로 간주하고, 1950년대 서울에 대한 영화적 공간을 구성하는 물류의 흐름, 즉 한국 전쟁 직후의 도시 서울의 경제생태학이 영화적 지도그리기를 통하여 어떻게 표현되는지 고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문화연구에서 지정학적 공간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으로, 인식론적 틀로서 대안적 지도그리기 개념을 모색하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지도그리기(Cartography)’에 대한 개념은 많은 주목을 끌면서 점차 하나의 학문적 논의의 중심 틀로 발전해 왔다. ‘지도그리기’는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는 ‘공간적 선회’에 대한 대답으로, 지리정보를 담는 인공적인 생산물로서 지도의 의미뿐만 아니라 그 범주를 뛰어 넘어 지도그리기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둔 독립적인 주제로서의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지도그리기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채택된 관습적인 기술 또는 운용이었다면 최근에 대두되는 논점은 영화적 지도그리기를 포하는 대안적 지도그리기의 목적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가설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958년 신상옥이 제작한 영화 <지옥 화>(1958)는 한국전쟁이후 미군의 무상원조로 작동하고 있던 비정상적인 경제 생태학적 흐름의 서울 공간을 3각 관계를 통해서 드러낸 멜로드라마적 감성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이다.” <지옥화>의 제작배경과 내용은 남한에대한 미국 군정이 시작 되었던 1945년부터 1948년까지의 군사⋅문화적 지배를 염두에 두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1950년대 시작된 한국전쟁과 그 이후 지속되어 온 미국의 무상원조에 기반을 둔 남한의 경제구조의 모순을내포하고 있다. <지옥화>는 당시 경제생태학적 물류의 흐름과 그 상황 속의 민중이 가진 감성을 서사적으로 재현하기 위해서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를 시도한다. 본 연구자는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려 한다. 집단 표상으로서의 집단기 억은 바로 사회적⋅개인적 기억과는 별도로 ‘문화적 기억(Cultural Memory)’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론적 틀로서 지도의 구성양식 중 벡터(방향+강도) 개념에 기반을 두는 ‘플룩투스(Fluctus)’의 개념을 제안한다. ‘플룩투스’는 민족 또는 집단의 정체성과 관련된 행위의 효과인 ‘맹목적인 이끌림’과 ‘지속적인 흐름’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지형학에서 위상학 으로의 변위의 순간, ‘플룩투스’는 특정한 어떤 지점에서 지점으로 연결하는방향과 세기의 물리적인 개념이기 보다는 집단의 정체성과 관련된 거대한흐름 속에 개인들의 흐름을 개념화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연구는 ‘플룩투스’을 통해서 문화적 기억이 민족, 집단, 국민의 정체성과 관련된 거대한 방향성을 재현하고 있다는 가설을 설명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through alternative cartography in order to research visual cultural studies, such as an analysis of logistics flow and an explanation of political space. In this study, we select the Korean film The Flower in Hell which was produced in 1958 as a research subject applying this epistemological framework. This study interprets The Flower in Hell as a cinematic cartography of Seoul and examines the flow of cinematic space relations in Seoul in the 1950s, ie how urban economic ecology is represented. Recently, the concept of ‘cartograph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trendy concept, attracting much attention. ‘Cartography’ is an answer to ‘Spatial Turn’, widely recognized in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field, and it has the meaning of map as an artificial product that contains geographical information. Conventional map drawing was the conventional technique or operation adopted to achieve the purpose.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research debate involves the purpose of drawing alternative maps, including drawing cinematic maps.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hypothesis. In 1958, Shin Sangok’s film The Flower in Hell made a strange flow of economic ecology, which had been operating as a gratuitous aid to the US military since the Korean War, through a melodramatic three-way relationship with emotional and cinematic cartography.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e Flower in Hell is that military and cultural dominance from 1945 to 1948 when the US military establishment against South Korea began. And further contradicts the economic structure of South Korea based on the Korean War that began in 1950 and its subsequent gratuitous US aid. Shin Sang-ok attempts to shift from topography to topology in order to reproduce the flow of economic ecological logistics and the emotions of the people in the situation in he Flower in Hell. This researcher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spatial implications of topographic displacement. There are two aspects to the binding of knowledge preserved in cultural memory; formative and normative. Jan Assmanne says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memory consists of texts of reconfigurable texts, images and ceremonies unique to each society in each age. The epistemological framework proposed by this study is named as ‘Fluctus’ based on the concept of vector (direction + intensity) of the map configuration style. ‘Flectus’ is a concept that explains ‘blind attraction’ and ‘continuous flow’ as the effect of the act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nation or group. ‘Flectus’ has spacial implications to conceptualize the flow of individuals in a huge flow related to group identity from the topography to the topological shift rather than a physical concept of direction and intensity connecting certain point to poi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explaining the hypothesis that cultural memory recreates the huge direction related to the identity of a group through ‘Flectus’.

      • KCI등재후보

        조선족 서사 『옥화』와 <두만강>의 환대(hospitality) 의식 분석

        이만강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2 No.1

        본 글은 조선족 예술가들의 작품을 서사 분석하여 그들의 작품에 나타난 환대의 양상 을 살펴본다. 중국과 한국에서 조선족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과 그에 대한 타자 의식, 환대를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민했을 금희, 장률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환대에 대한 관점 과 생각을 한국 사회에 제시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와 조건적 환대 사이의 이율배반적 관계에 관한 논의를 빌리고자 한다. 금희의 소설 「옥화」를 통해서는 무조건적 환대에 비해 열등하고 무조건적 환대로 나 아가는 과정에서 극복되어야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조건적 환대가 사실 무조건적 환대 와 분리 불가능한 것이자 무조건적 환대로 주체를 이끄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률의 <두만강>에서는 무조건적 환대의 실현에 있어 여성의 생명과 고통이 담보되는환대의윤리적문제에대해서고민해볼수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hospitality in their works by narrative analysis of the works of Korean-Chinese artists. In China and Korea, Geum-hee and Jang Yul, who would have considered the national identity as a Korean-Chinese, the other consciousness and hospitality more fiercely than anyone else, present their views and thoughts on hospitality to Korean society through their works. To examine this, I would like to borrow a discussion on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conditional hospitality by the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a. Geum-hee's novel “Okhwa” shows that conditional hospitality, which is considered inferior to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must be overcome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o unconditional hospitality, is in fact inseparable from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can play a role in leading the subject. In Jang Yul's “Duman River”, you can think about the ethical problem of hospitality in which women's lives and pain are guaranteed in realizing unconditional hospitality.

      • KCI등재

        <창선감의록>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지향과 교화적 성격

        박길희(Park Gil hee)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창선감의록>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은 모두 유교적 도덕관념인 효(孝)ㆍ제(悌)ㆍ열(烈) 등을 충실하게 실천한다. 특히 여성인물들은 저마다 중시하는 덕목이 있으며, 그 덕목은 인물이 처한 상황과 긴밀한 연관 속에서 구현된다. 남채봉은 '부모라 이름하는 모두'에게 애경과 애척의 마음으로 효를 실천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보은과 예의적 차원에서 실천하던 효를 성심으로 실천하게 되는 변모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진정한 효녀 되기의 전범을 구현한다. 윤옥화는 제를 중시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본래 남이었던 남채봉과 자매의 연을 맺은 이후 친자매 이상으로 아끼며, 함께 화진을 남편으로 섬기면서 순임금을 보필했던 아황과 여영의 모습을 구현한다. 진채경은 효와 절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효를 선택한다. 그러나 기지를 발휘하여 절개를 잃지 않으며, 정혼자를 위해 혐의를 무릅쓰고 중매를 성사시키면서 절을 구현한다. 여성인물들은 각자가 추구하는 윤리적 덕목을 성실히 실천하지만 이 과정에서 각자의 개성은 소거된다. 대신 쟁총하지 않고 효와 절을 겸비한 여성에게는 여성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지위를 획득하게 함으로써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한다. 그 결과 성공한 인생, 혹은 행복한 결말로 귀결되는 여성인물들의 서사는 독자들에게 이상적 여성의 본보기나 사례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여기는 효ㆍ제ㆍ열과 같은 윤리적 덕목으로 여성들을 교화하여 남성들의 지배질서에 합류시키고자 했던 남성들의 욕망이 자리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ain figures appeared in <Changsungamerok> faithfully practice Confucian moral ideas such as filial piety(孝)ㆍbrotherly love(悌)ㆍfaith(烈) etc. As a result, their pursuit and practice play a role of example or model that specifically shows how filial pietyㆍbrotherly loveㆍfaith should be practiced according to one's own given situation and pursuit. Nam Che-bong embodies model of real devoted daughter and devoted daughter-in-law by showing change process to practice filial piety sincerely, going beyond practice at dimension of gratitude and etiquette. Yoon Ok-hwa put importance on brotherly love. She becomes sisters with Nam Chae-bong and shares particular sisterly love - they are originally not sisters. Two persons in collaboration serve Hwajin sincerely so that this embodies examples of Ahwang and Yeohyeong who counseled emperor Shun. Jin Chae-gyeong is a filial daughtor who selected father's life in the situation where she should choose one person from two- father's life and Yoon Yeo-ok, her husband-to-be. But she does not lose fidelity by displaying wit and matchmaking is arranged for husband-to-be by enduring suspicion. And even after suffering, she practices faith by getting married with Yoon Yeo-ok. Through this, readers feel effect of filial pietyㆍbrotherly loveㆍfaith vividly.

      • KCI등재

        근대 세계체제의 확장과 약소자의 정체성― 중국 조선족 작가 금희의 소설 세계

        오창은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소설가 금희는 중국 조선족 문학계와 한국 문학계에서 동시에 주목받는 작가이다. 그는 조선족 거주지역인 길림성 장춘 구태시에서 나고 자랐으며, 한때는 한국에서 하위계층 노동자로 생활하기도 했다. 금희는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세계체제 변화에 따라, 중국 조선족의 삶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금희의 소설에는 조선족으로서의 삶을 긍정하는 태도가 드러나고(「세상에 없는 나의 집」), 북한 이탈 주민을 약소자로서 형상화해내는 뛰어난 윤리적 감각을 보여주기도 한다(「옥화」).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조선족 여성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면서 겪는 윤리적 갈등과 자기 욕망의 발견을 핍진하게 그려냈다(『천진 시절』). 중국 조선족 문학은 중국의 소수민족 문학이면서, 한국에서는 동일한 언어를 쓰는 재외한인문학으로 포용된다. 금희는 스스로를 ‘조선어로 작품을 쓰는 마지막 세대의 작가’라고 했다. 금희는 소설을 통해 농촌에서 도시로 옮겨온 이주민으로서, 가부장적 질서와 갈등하는 여성으로서, 세계체제의 하위주체로서 자기 정체성을 발견해나가는 과정을 형상화냈다. 금희 소설에 표현된 약소자로서의 정체성은 세계체제와 긴장하는 정치성을 띠고 있다. 금희의 소설은 디아스포라 문학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제기한다.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자는 자기가 속한 세계를 중심에 놓는 관점에서 벗어나 디아스포라적 주체의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금희의 소설은 중국 조선족의 자기 정체성의 발견을 제시함으로써, 전지구적 근대체제의 작동양상과 연관해 디아스포라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Geum Hee, a novelist, is a writer who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both the Joseonjok (ethnic Koreans in China) literature circle and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She was born and raised in Changchun, Jilin Province, and she once lived as a lower-class laborer in Korea. Geum Hee has realistically depicted the rapid changes in the lives of Joseonjok in East Asia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world system since the 1990s. Geum Hee’s novel reveals an attitude that gives an affirmative depiction of the life of Joseonjok (My Home That Is Not in the World), and also shows an excellent ethical sense that embodies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 Minority (Okhwa).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her novel plausibly portrays the ethical conflicts and the discovery of self-desire experienced by Joseonjok women as they move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Days of Tianjin) Joseonjok literature is ethnic minority literature in China, while it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using the same language. Geum Hee described herself as ‘the last generation of writers who write work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her novels, Geum Hee embodi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ir own identity of women in conflict with the patriarchal order as migrants from the countryside to the city and as a sub-subject of the world system. The identity as the Minority, expressed in Geum Hee Novel, is politicized in tension with the world system. Geum Hee’s novels call for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diaspora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researchers should be able to look at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a diaspora subject, awa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puts their world at the center. Geum Hee’s novels present Joseonjok’s discovery of self-identity, indicating the need to study diaspora in relation to the workings of the global modern system.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소설의 증오인식과 공존의 가치 연구-조선족과 탈북자 서사를 중심으로

        오연옥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reproduced in modern novels, while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them by confirming the production of hatred inherent between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hatred, shame, and fear experienced by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Korean diaspora. In order to form a new perception and discourse on hatred, the pain and hatred experienced by North Korean refugee women following Korean- Chinese women were discussed through Georzo Agamben's concepts of “Homo Sacer” and “Exception Status.” Along with this, the reproduction of Korean diaspora was divided into ‘the migration background of Korean-Chinese women and North Korean defectors’, ‘Homo Sacer, who was thrown into an exceptional state due to migration’, ‘reproduction of hatred after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and confirmed the perception between North Korean and Korean women. The change in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s possible with a humanities response that understands the reproduction and meaning of diaspora in novels of Korean writers, Korean-Chinese writ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experience was promoted for Heo Ryeonsun's A Chinese Brid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Chinese, Kim Yoo-kyung's Youth Sonata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defectors, Yoo Kyung-eun's Old Promis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the pos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Chinese looking at each other was confirmed by targeting Korean-Chinese writer Geum-hee's 「Okhwa」 and North Korean defector's 「Seogigol Loban」. I am confident that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future orientation by promoting the exchange and solidarity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value of coexistence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재현된 중국재외한인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사회의 인식 변화를 모색하는 한편,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내재한 증오의 발생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간의 화합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중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연관된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겪은 혐오와 수치심, 공포에 주목한다. 그리고 증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 형성을 위해 조선족 여성에 이어 탈북여성이 겪은 고통과 증오의 담론은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와 예외공간’과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을 ‘조선족 여성과 탈북 여성의 이주배경, 이주로 인해 예외상태로 던져진 호모 사케르, 한국사회에서의 정착과 증오의 재생산’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이들의 이주과정에 드러난 교차점을 확인하고, 탈북 여성과 조선족 여성 서로 간의 인식양상을 확인한 바이다. 조선족과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변화는 조선족 작가, 탈북 작가, 한국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하는 인문학적 대응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 작가, 조선족 작가, 그리고 탈북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이주에 대한 교차점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에 정착한 조선족과 탈북자의 대립구도 완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조선족, 탈북자 간의 왜곡된 정체성 인식 양상을 개진하고 사회통합력을 제고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조선족과 탈북자 소재의 서사 재현양상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이들의 정체성을 규명하되, 조선족 작가의 중국색시 , 탈북 작가의 청춘예찬 , 한국 작가의 오래된 약속 을 대상으로 이주 경험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조선족 작가의 「옥화」와 탈북 작가의 「서기골 로반」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가 탈북자와 조선족을 바라보는 관점과 탈북자와 조선족 서로가 견지해 온 증오의 발생과 인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공존의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윤여옥의 활약을 중심으로 살핀 <창선감의록>의 주제 구현 양상

        정선희 ( Jeong Sunny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30 No.-

        <창선감의록>은 ‘교화의 가치’로 집약할 수 있는 ‘교훈성’과 독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았던 ‘흥미성’이 공존하는 소설이다. 이 작품의 교훈성과 흥미성을 추동시키는 힘은 소설 속 사건의 주체라 할 수 있는 등장인물들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작품 내에서 순임금에 비견되는 주인공 화진이 교훈성의 축을, 그리고 주인공은 아니지만 개성 있는 면모를 보여주는 윤여옥이 흥미성의 축을 담당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창선감의록>이 지닌 독특한 미감과 주제를 구명하고자 한다면, 화진과 여옥에 대한 인물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는 화진과 여옥의 역할을 함께 조명하기보다는 주인공인 화진의 경우에만 집중하였던 경향이 없지 않았다. 그 결과, 여옥은 화진과는 대비되는 성격의 인물로 간략히 논의되거나, 작품에 흥미를 부여하는 보조인물로 평가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창선감의록>의 흥미성과 교훈성이 이분법적 구도 속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둘이 교차하면서 주제 구현에 기여한다는 가설 아래 여옥의 활약상을 재조명하였다. Changseongamuirok is a novel that features both morality and interest, where the former is a sum of edification and the latter concerns grabbing the readers' attention. The morality and interest of this novel seem to be generated by the characters who are the agents of the actions. In particular, the protagonist Hwa-jin--who is comparable to Emperor Shun--appears to form the axis of morality, while Yoon Yeo-ok--who reveals unique aspects although he is not the main character--forms the axis of interest. Therefore, a character analysis on Hwa-jin and Yeo-ok are imperative in order to identify the unique aesthetical traits and theme of Changseongamuirok. However, the previous literature mainly focused on the protagonist Hwa-jin without taking the role of Yeo-ok into consideration. As a result, Yeo-ok has been only briefly discussed as a contrasting character with Hwa-jin or evaluated as a supporting character who adds interest to the story. Thus, this study argues that the two axes of interest and morality in Changseongamuirok do not exist separately but cross each other as they contribute to the theme. This paper re-examines Yeo-ok's activities based on such an argu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