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이이(李珥) 철학의 지평 : 이통기국(理通氣局)과 기발리승(氣發理乘)을 중심으로

        이혜영(Hye-young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3 No.-

        논자는 이 글에서 이이의 철학을 동양적 사유 전통에 근거한 ‘천인합일(天人合一)’적 사유로 규정하고, 이러한 관점이 ‘이기묘합(理氣妙合)’의 전제에 드러나 있는 한편, 이러한 전제가 ‘이통기국(理通氣局)’과 ‘기발리승(氣發理乘)’의 상위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규명한다. 논자는 이이가 리와 기가 ‘서로 섞이지도 않고 떨어지지도 않는(理氣不相雜·不相離)’ 존재론의 구현으로서 이기묘합의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형이상과 형이하 양자의 밀접한 관계성을 드러내는 것이라 주장한다. 리와 기가 밀접한 상호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은 동양적 사유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원리와 현상이 괴리 됨 없이 공존하는 모습을 가리키는 것이다. 논자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이의 철학이 천인합일에 근거한 이기묘합의 세계관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특성은 이통기국과 기발리승의 이기론의 명제에서 구체화되고 있음을 규명한다. 이에 따라 논자는 이통기국과 기발리승이 이기묘합의 존재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위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논자는 이이의 이기묘합의 존재론이 동양의 유기체적 사유의 특성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동양적 사유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이통기국과 기발리승의 독특한 하위개념을 제시하여 이를 독창적으로 규명하고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illuminates the Philosophy of Yi,Yi that is the Unity of Heaven and Man(天人合一) from the oriental traditional thinking, also this aspect appears the premise of the subtle coexistence between Li(理) and Gi(氣), that is appeared as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Litonggikuk(理通氣局) and Giballiseung(氣發理乘). Yi,Yi indicates the subtle coexistence between Li(理) and Gi(氣) as the ontology about Ligibulsangjab(理氣不相雜) and Ligibulsangli(理氣不相離) in his philosophy. This is the expression for the connecting relationship with the subtle coexistence between metaphysical existence and physical existence. Mutual relationship of Li(理) and Gi(氣) indicates a feature of the oriental thinking that is the coexistence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on without any gap. In this context, the Philosophy of Yi,Yi suggested that the perspective of the subtle coexistence between Li(理) and Gi(氣) originated the Unity of Heaven and Man(天人合一). And also this feature is explained concretely the proposition of the Litonggikuk (理通氣局) and Giballiseung(氣發理乘). Therefore Litonggikuk(理通氣局) and Giballiseung(氣發理乘) are subordinate concepts for the ontology of the subtle coexistence between Li(理) and Gi(氣). The ontology of YiYi indicates a thinking of the social organism originated of the oriental tradition. YiYi presented subordinate concepts of the Litonggikuk(理通氣局) and Giballiseung(氣發理乘) and he illuminated it crea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명재 윤증의 학문과 사상; 栗谷和明齋性理學

        이홍군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9 儒學硏究 Vol.20 No.-

        율곡(1536-1584)과 명재(1629-1714)라고 하면 학자들이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계열의 학자로 주목 받는다. 비록 명재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와 접근이 다양하지만 명재 유학의 직접적인 학문적 主脈을 율곡학의 연장선에서 이해하고 있는 것은 공통적이다. 본고에서는 율곡과 명재가 한 계열의 성리학자라는 입장에서 이기묘합의 존재관, 인심도심설, 무실적 수기론을 상대로 양자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기묘합의 존재관에서 율곡과 명재는 이와 기의 묘합을 전제로 만사만물의 존재를 설명하며, 모든 존재의 양상은 기발이승의 구조이며, 현상계에서의 유행은 이통기국 이라는 존재관을 견지한다. 또한 명재 심성론의 핵심이론인 인심도심설에서는 율곡의 인심도심상위종시설을 직접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인심과 도심의 관계 설명에서 인심의 도심화와 도심의 인심화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또한 수양론에서 입지의 중요성의 강조, 참된 마음 실심의 추구, 실공의 실천적 역행 등 무실적 수기론의 특징은 율곡의 설을 충실히 계승하였음을 볼 수 있다. 더욱이는 수기론에서의 실심에 대한 중핵적 사고는 율곡에게서 본받은 바라 하겠다. 이와 같이 율곡과 명재는 한국 성리학의 발전에 있어서 한 사람은 기호유학의 영수로, 다른 한 사람은 소론의 영수로서 당시의 공리공담의 학문적 풍기에서 탈퇴하여 무실적 학풍을 추구한 인물로서 후기 한국 실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성리학적 본질은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가?

        정용환(Chung Yong-hwan)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이 글의 미시적 목표는 성리학적 수양론에서 이념적 본질이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지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으며, 거시적 목표는 성리학적 본질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담론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성리학이 복잡다단한 현실에서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기질의 자기변증적 과정을 요청하는지를 살펴본 다음, 본질의 실현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성리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통론·경전·예법 등의 개념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기술하였다. 이치·본성·형이상자·태극 등으로 불리는 성리학적 본질은 순수지선(純粹至善)하다는 측면에서 초월적 이념이지만, 다양한 현실에서 당위적으로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실천을 요청한다. 성리학적 본질의 구현 방법은 기질·감정·형이하자·음양 등의 현실을 이념적 본질의 영역으로 되돌리는데 있다. 성리학자는 자율적 자기연마를 통해 궁극적 본질을 회복함으로써 요·순·우·탕·문·무·주공·공자·맹자·북송사자 등과 같은 성현과 동일한 인간이 되기를 희망한다. 성리학에서는 본질체득의 사례를 모범적 텍스트로서의 유가경전(사서오경)에 근거하여 제시한다. 성리학적 본질의 현실화란 수양자의 경전읽기와 경전을 현실에 우려내기의 방법을 통하여 현실을 주재하는 것이다. 성리학적 수양론은 본질-경전-현실의 삼위일체를 요점으로 하고 있으며, 기질적 현실에 처한 수양자는 본질과 경전에 일치하는 삶을 살기 위해 부단히 체찰(體察)함으로써 공자와 같이 덕에 능숙한 삶의 기술자가 되고자 한다. 다만, 성리학적 본질에 이르는 수양론적 체계가 폐쇄적으로 고착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유의해야 한다. 성리학적 본질학에서 제시하는 유가경전의 체득을 통한 성인과의 일치라는 도통론적 동일의식은 현실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갈등과 문제에 대해 미처 논의가 성숙되기 전에 미리 표준화된 체계 속에 봉함으로써, 새로움에 대한 도전정신을 위축시킬 수 있는 우려도 뒤따른다. 따라서 성리학적 본질학이 자기 폐쇄적 부작용의 계기들을 극복하면서 제자백가 등에 대한 열려있는 독서와 사유, 유가경전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 새로운 규범 및 체계에 대한 추구 등을 포괄적으로 개진해나간다면 훨씬 풍부한 미래적 전망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Neo-Confucian essence called as Principle(li, 理), Nature(xing, 性) and the Supreme Ultimate(taiji, 太極) is not only regarded as a transcendent and absolute value but also practical one in the sense that we should realize it through our ordinary life. The way of embodying Neo-Confucian essence is dependent on regulating the deviation of personal dispositions(qizhi, 氣質) by returning to essence. Neo-Confucianists tried to become the same person as sages like Yao, Shun, Yu, Tang, Wen, Wu, Zhougong, Kongzi, and Mengzi who had already realized the absolute essence by self-concurring. Some of Neo-Confucian sacred books was also believed as a absolute guidance for human life. Actually, the ethical trying of Neo-Confucianists to unite their lives to the essence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representation that they should read repetitively and follow their sacred books to revive their meaning in one’s life. The grand system of the identification among essence, the sacred books and one’s living purpose in Neo-Confucian ethics have a tendency to make people to become skillful experts to reproduce the authorized Confucian values. The representational ethical system of Neo-Confucianism can cause a problem to stimulate people to avoid one’s actual challenge for creativity by enthroning Neo-Confucian absolute essen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Neo-Confucian essential ethics to have opened attitude against different schools, self-criticism, and investigation for alternatives if it can be a productive and effective theory today.

      • KCI등재

        斗溪 李丙燾의 韓國儒學史 연구와 그 意義

        정만조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6

        Yi Byeong-do(1896-1989) was a historian who had been so prolific in his scholarship on ancient Korean history. He also studied a history of Korean Thought, and wrote three books and a dozen of articles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This paper aims to review his achievements and the meaning of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 Thought. His study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started from collecting Confucian scholars' writings which stated the views on Confucianism. First of all, he extracted some passages on Confucian Thought from a collection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Based on them, then, he embodied the Confucian history by a positive method on studying history which analyzes the scholars' arguments and theories. He studied Korean history of Confucianism from that of Ancient Age, but in that era, it only included Practical Morality which was reflected in education or institution. It was only after the late Goryeo when Neo-Confucianism was brought into that Confucianism was firmly established as Korean Thought which involves contemplations and arguments. From the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many disputes over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 which focused on An Opinion of Li-Ch'i (Li-Ch'i: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e force' of Nature) of Neo-Confucianism, and a way of explaining using an explanatory diagram had developed. In addition, new school had appeared which inherited and developed the master's theory. Around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new trend of Confucianism such as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the Sirhak (Practical Learning). Taken as a whole, however, it had limits which could not pass the bounds of Chu Hsi's thinking in Neo-Confucianism. Some philosophical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his study on Confucian history was filled with superficial descriptions. Above all things, however, he is considered by many to be the one who laid the beginning of the study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in that he faithfully introduced and arranged documents of Confucians' thoughts. 이병도(1896~1989)는 한국 고대사에 관한 많은 연구업적을 남긴 역사학자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한국유학사와 관련해서 3권의 저서와 십 수 편의 논문을 쓴 사상사 연구자이기도 하다. 이 글은그의 유학사상사연구의 성과와 의의를 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그의 유학사연구는 유학에 관한 견해를 남긴 학자들의 글을 수집하는 작업에서부터 출발하였다.먼저 개개인의 문집 수천 권에서 유학사상에 관한 기록을 발췌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그들의 주장과 학설을 분석하는 실증적 방법으로 유학사를 정리했다.그는 한국유학사를 고대부터 시작하였으나, 이때의 유학은 교육이나 제도에 반영되는 실천윤리에그쳤다고 하였다. 유학이 사색과 논변을 수반한 사상으로서의 자리를 확립하게 되는 것은 성리학이들어 온 고려후기 이후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성리학의 이기심성설을 중심으로 한 유학사상의 연구와 논쟁이 거듭되면서 圖說에 의한 설명 방식이 발달하였다. 그리고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는 학파의 출현을 보게 하였다. 조선후기에 들어가 양명학 실학과 같은 유학의 새로운 사조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보아 주자학 일변도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지녔다고하였다.그의 유학사연구에 대해서는 평면적 서술로 시종했다는 철학 쪽 연구자의 비판적 시각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유학자 개인의 사상을 담은 기록을 충실히 소개하고 정리했다는 면에서 한국유학사연구의 기초를 닦은 것으로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