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유배시(流配詩)의 전개 양상과 미적 특질 :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유배시를 중심으로

        하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유배문학’은 유배지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체험하는 저자의 사상과 감정을 다루기에 다른 장르에 비해 진솔한 작가의 심정이 잘 드러난다는 면에서 상당히 의미가 있다. 고려시대의 문학사에서 유배시의 출발은 의종 때 활동했던 문인 정서(鄭敍)가 지은 「정과정(鄭瓜亭)」이다. 「정과정」은 ‘충신연주지사’, 혹은 원망과 상심의 문학이라는 유배문학의 두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어 후대 유배문학 작가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정서에 이어 이규보(李奎報)에 이르면 유배시 창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는 전라도 부안(扶安)에서의 유배 체험을 28제의 상당히 많은 시로 남기고 있다. 이규보에 이어서 14세기 후반의 이색, 정몽주, 김구용, 정도전, 이숭인, 이첨에 이르면 고려시대 유배시의 창작 전통은 절정에 이르게 된다. 목은 이색의 일생 중 1389년부터 1392년까지의 기간은 가장 암울한 시기였다. 창왕의 옹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이가 목은이었는데, 소위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에 따른 ‘폐가입진(廢假立眞)’으로 이성계에 의해 창왕이 쫓겨나고 공양왕이 옹립되면서 목은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결국 목은은 1389년 12월 장단으로 유배를 당했는데, 엄밀히 말하면 장단 유배는 본격적인 유배라기보다는 면직(免職)되어 시골에 우거(寓居)한 것이라 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 어쨌든 본인이 원하지 않는 면직과 강제이주를 한 것이기에 유배의 큰 범주로 보아도 좋을 것 같다. 목은은 이듬해인 1390년 4월에 함창(咸昌)으로 이배되었고, 5월에는 소위 ‘윤이(尹彛)·이초(李初) 사건’으로 청주옥(淸州獄)에 갇혔다가 수재(水災)로 풀려나게 된다. 하지만 8월에 다시 함창에 유배되었고 12월 해배되었으나 이듬해인 1391년 6월에 함창 유배, 12월 해배를 거듭 반복하였다. 1392년 4월에는 선죽교(善竹橋)에서 일어난 정몽주 피살 사건의 영향으로 금주(衿州)로 유배되고, 6월에 여흥(驪興)으로 이배(移配)되었다가, 7월에 장흥(長興)으로 옮겨지고 10월에 해배(解配)되었다. 이와같이 1389년 12월부터 1392년 10월까지 목은은 유배와 이배, 투옥, 해배를 거듭하였고, 이 시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장단음」·「함창음」·「금주음」·「여흥음」등 169제의 많은 유배시를 작시하였다. 목은의 유배시에는 인생에 대한 성찰과 반성, 정치적 환멸과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은일지향적 속성, 여전히 벼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조정으로 복귀하고 싶은 욕망, 이종학을 비롯한 가족들에 대한 걱정, 당시의 실권자였던 이성계에 대한 칭송과 선처의 부탁 등 매우 다양한 감정들이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있다. 이는 전 시대 정서(鄭敍)의 「정과정(鄭瓜亭)」이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성격이 강한 것과 대비되며, 또 동시대 척약재 김구용의 여흥 유배시나 운남 유배시와 또 다른 의경(意境)을 보여주고 있다. 14세기 후반 고려 학계와 문단의 가장 중심에 있었던 목은이 그의 정치적 최대 시련기였던 유배기에 지은 시편들은 목은의 정신적 지향과 사상적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또 역경에 처한 목은의 진솔한 감정과 인생에 대한 성찰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목은문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Exile Literature’ is quite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sincere feelings of writers compared to other genres because it deals with the author s thoughts and emotions experienced in a limited space called exil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beginning of exile was <Jeonguoajeong(鄭瓜亭)>, written by Jeong Seo, a literary man who was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Uijong. <Jeonguoajeong(鄭瓜亭)> has both elements of exile literature, such as ‘Chungshinyeonjusa’ and the literature of resentment, which can be sai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later exile literary writers. Following Jeong Seo, Lee Gyubo begins to create exile poems in earnest. He has left 28 poems about his exile experience in Buan, Jeolla-do. Following Lee Gyu-bo, Lee Saek, Jeong Mong-ju, Kim Gu-yong, Jeong Do-jeon, Lee Seong-in, and Lee Cheom in the late 14th century reached the peak of the creative tradition of exile poetry in the Goryeo Dynasty. The period from 1389 to 1392 of Lee Saek s life was the darkest period. Mokeu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King Chang. But King Chang was kicked out by Lee Seong-gye and King Gongyang was is appointed. In the end, Mokeun was exiled to Jangdan in December 1389, and strictly speaking, it is more accurate to say that exile to Jangdan was forced resignation than full-scale exile. He stayed quiet in the countryside of Jangdan. Anyway, it would be good to see it as a big category of exile because he was dismissed and forced migration that he did not want. Mokeun was transferred to Hamchang in April 1390, the following year, and in May, he was trapped in Cheongjuok due to the so-called Yooni and Yicho incidents and released as a flood disaster. However, from December 1389 to October 1392, Mokeun was exiled to Hamchang again in August released in December. He was exiled to Hamchang in June 1391, the following year, and repeatedly released in December. In April 1392, he was exiled to Geumju due to the murder of Jeong Mong-ju at Seonjukgyo Bridge, came to Yeohung in June, moved to Jangheung in July, and was released in October. From December 1389 to October 1392, He wrote 169 poems based on his exile experience, including <Jangdanum>, <Hamchangum>, <Geumjuum>, and <Yeoheungum>. Mok-eun s exile is intertwined with a wide variety of emotions, including reflection on life, political disillusionment, a desire to return to the government post, a wish to live quietly in nature, worries about Lee Jonghak and other families, praise and leniency for Lee Seong-gye, who was then in power. This contrasts with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Chungshinyeonjusa’ and shows another ‘Uikyong(意境)’ with the exile poems of Kim Gu-yong written in Yeohung and Unnam exile. In the late 14th century, Mok-eun, who was at the center of Goryeo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wrote poems during his exile, the biggest political ordeal. The poems written by Mok-eun, who was at the center of Goryeo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in the late 14th century, during his exile, the biggest political ordeal, show Mok-eun s spiritual orientation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ok Eun s sincere feelings in adversity and reflection on life are also revealed. In this respect, these poem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data in studying the literary world of Mokgeun.

      • KCI등재

        조선 후기 유배 한시의 서정성 -시 양식에 따른 서정의 표출 방식을 중심으로-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시학회 2017 韓國漢詩硏究 Vol.25 No.-

        유배를 당한 조선의 시인들은 개인적으로 고통과 좌절을 겪으면서 한편으로 유배지라는 낯선 공간에서 새로운 시적 긴장과 창작 욕구를 발현하였다. 유배시는 주제, 내용, 소재 등에서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지만, 여기서는 유배지에서 시인 자신의 ‘개인적 정감’을 토로한 시를 주목하였다. 특히, 시인이 선택하는 한시의 양식에 따라 서정성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점에 착안하여, 조선 전기 유배시와 달라진 조선 후기 유배시의 서정성을 주목하였다. 조선 전기의 유배시는 근체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당풍(唐風)을 지향한 시인으로 평가되는 이주(李?)와 김정(金淨)의 경우, 간결한 절구(絶句) 양식에 비애의 정감을 절제하여 경물 속에 응축, 함축하는 전형적인 당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에 속한 이행(李荇)과 노수신(盧守愼)의 경우, 언어의 단련과 시상의 조직을 강조하는 율시의 양식에 언지(言志)의 면모를 강하게 보여주었다. 조선 후기의 유배시는 조선 전기와 달리 상대적으로 고시와 연작시를 선호하였다. 이광사(李匡師), 김려(金?), 박제가(朴齊家), 이학규(李學逵) 등의 유배시는 조선 전기 근체시로 쓴 유배시에 나타나는 서정성과 뚜렷이 구분되는 개성적인 서정성을 보여주었다. 먼저, 장편 고시로 가족에게 편지 대신쓴 이광사의 한시는 행복했던 가족의 과거와 유배의 현실을 대조하면서 유배로 인해 상실한 ‘가족의 일상적 행복’이란 시적 진실을 읊었다. 구체적 수신자를 향한 편지의 형식을 취하였기에 매우 사적인 사연을 순간의 서정과 결합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중편 고시로 쓴 김려의 증별시(贈別詩)는 유배의 길에서 자신이 만난 실제 인물을 시속에 등장시켜 곡진한 사연과 정감을 서술하였는데, 자신이 만난 인물들과 교감하면서 새롭게 발견한 인정(人情), 인간애(人間愛)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근체시 연작으로 쓴 박제가와 이학규의 유배시는 일상을 발견하는 생활시의 면모를, 고시로 쓴 박제가와 이학규의 유배시는 유배지에서 새롭게 ‘나’를 발견하는 영회시(詠懷詩)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복잡한 심경의 흐름을 굴곡적으로 표출하는 데 적합한 고시의 양식, 복잡한 상념을 분절하여 표출하거나 자잘한 일상을 인상적, 집약적으로 포착하는데 적합한 근체시 연작은 보편적 추상화 된 서정성이 아닌, 구체적 유배 체험과 감정을 중시하는 개성적 서정성을 보여주었다. Exiled poets were personally suffering and frustrated. On the other hand, they exposed new poetic tension and creative motivation in an exotic space called the exile area. The exile poetry has various aspects of subject, content and material. I paid attention to the lyric poetry of poet's personal feeling. Especially I have noticed that lyricism also appears differently in the form of poetry that the poet chooses. A short poem was favored during the early days of Joseon. A long poem was favored during the late Joseon. Yi Ju(李?) and Kim Jeong (金淨) implied the feeling of exile by the description of the scenery. Yi Haeng (李荇) and Ro Sushin(盧守愼) expressed their sorrow and thinking at the same time while describing the scenery of the exile area. In the other hand, Yi Gwangsha(李匡師), Kim Rye(金?), Park Jega(朴齊家) and Yi Hakkyu(李學逵) wrote highly individualistic lyrics in the exile area. They recreated happy recollections of their families and depicted the grateful people whom they met in exile. Also they recreated their daily lives in exile. The lyricism of their exile poetry during the late Joseon focused on personal experiences and emotions, not universal and abstract emotions.

      • KCI등재후보

        李荇의 유배시에 나타난 정서 양상

        김은지(Kim Eunji)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0 No.-

        본 연구는 李荇이 충주, 함안, 거제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지은 유배시에 나타나는 시적 정서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전기의 중앙집권체제는 중기로 접어들면서 서서히 붕괴되었고, 사대사화가 일어나면서 혼란은 더욱 심해졌다. 이로 인하여 관직에 나아간 이들은 뜻을 펴기도 했고, 정치적으로 뜻을 잃어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 유배는 죄를 범한 자를 죽이지 않고 멀리 유배지로 보내어 終身토록 돌아오지 못하게 하는 형벌인데, 이런 극적인 체험은 유배를 당한 인물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여기서 유배생활은 정치적 삶과 전원생활로 대표되던 당시의 삶에 빠질 수 없는 또 다른 삶의 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삶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는 李荇의 유배시를 대상으로 시에 나타난 정서와 정서의 변화양상을 살피겠다. 李荇은 연산 10년(1504)에 일어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 길에 올라 3여 년 동안 충주와 함안을 거쳐 거제도로 유배지를 옮겨 배소되었다. 유배지를 옮길 때마다 충주에서는 ≪謫居錄≫, 함안에서는 ≪南遷錄≫, 거제도에서는 ≪海島錄≫을 제목으로 詩稿로 남겼다. 유배시에 나타나는 정서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기준으로 삼은 것은 현실을 바라보는 시적화자의 태도이다. 유배 상황에 대한 李荇의 시적 발화 과정을 현실에 대한 갈등 표출(외현화/내면화)이라고 보고, 각기 다른 상황에서 쓰인 시를 살피기 위하여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행의 유배시는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정서 층위를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배자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현실을 이야기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시에서 현실에서의 갈등을 어떻게 나타내느냐로 정서의 양상을 살필 수 있으며, 현실과의 갈등 또는 내적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謫居錄≫의 초창기에 나타나는 좌절과 절망하는 自嘆의 정서는 ≪南遷錄≫에서는 스스로를 위안하는 自慰의 정서로 나타남으로써 긍정적 정서로 나아가려한다. 이러한 현상은 ≪海島錄≫에서의 유배온 여러 인물들과 교유를 통하여 그가 느낀 좌절과 고독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오히려 스스로를 되돌아 볼 기회를 찾은 듯 보인다. 그리하여 自照의 정서로 가닥을 잡았다. 이행은 자신의 내면에 관심을 가지고, 혼란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태도를 형성해 갔던 것이다. 현실의 불만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한다는 것은 시적화자가 갈등을 조화롭게 해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시적화자이자 작가가 현실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행의 시세계와 문학이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믿고 여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poetic emotion shown in the poem made by Lee Haeng while exiling in Chungju, Haman province and Geoje Island. The centralism of early Chosun period slowly collapsed during the middle age and the society was in chaotic situation with the four events of massacre of scholars. Hence, the some people who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accomplished their will or some were exiled by losing the political power. The exile is a sort of punishment which criminals were sentenced for rest of their lives instead of the death sentence, then these extreme experiences influence the exiles. The exilic life is the other aspect which cannot be missed for the politicians of those times with the political and rural life. Let’s look at the poetic emotion and emotional changes shown in the poems by Lee Haeng during the exile. Lee Haeng’s exile was assigned to Chungju at first for 3 years then to Geoje Island through Haman province by involving in the Gapja massacre of scholars. As he moved the place of exile, he left manuscripts of poems with the tile of Jeokgeorok(≪謫居錄≫) in Chungju province, Namcheonrok(≪南遷錄≫) in Haman province and Haedorok(≪海島錄≫) in Geoje Island. The criterion of classifying the types of emotions in exilic poetry is the attitude of poetic mind toward the reality.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reality is changed depending on the exilic situation. The types of emo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way how to express the conflicts against the reality and we can see how to solve the problem against the reality or internal conflict. The frustrated and the desperate emotion of self lamentation shown at the beginning of Jeokgeorok(≪謫居錄≫) changed into the positive emotion as comforting himself in Namcheonrok(≪南遷錄≫). This transformation seemed to somewhat solve the desperation and solitude through the friendship with the other exiles and rather to have the opportunity to look back himself in Haedorok(≪海島錄≫).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poem attained the emotion of self enlightenment. Lee Haeng internally looked over himself and established the attitude of making more objective observation of his nature in the chaotic reality. The active internalization of dissatisfaction toward the reality shows poet himself solving the conflicts harmonically. This can be known as the process in which the writer or poet solves the problems of real world.

      • KCI등재

        麟齋 李種學의 유배시에 나타난 意境과 미적 특질

        하정승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Injae(麟齋)-Lee, Jong-Hak(李種學) lived a life of extreme ups and downs in the troubled state of politics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He was the son of Mokeun-Lee, Saek. When his father, Mokeun came to be persecuted by the authorities for the Kim Jeo affair and the Yun Ee & Lee Cho affair, so was Injae. After Jeong Mongju was killed on Seonjuk bridge and Goryo Dynasty was on the wane, he had been through a terrible ordeal, such as confinement and exile. At last he was strangled to death proceeding to his new place of exile. Injae always was ostrac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late Goryo dynasty. He was called as Mokeun's son rather than Lee Jong Hak, his own name. His loyalty to Goryo Dynasty also hasn't attracted attention, because Poeun is more famous as an ardent patriot in Goryo Dynasty. Injae left behind many works which were excellent in literary value, but they haven't been highlighted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 think that Injae's poet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which illustrated of exile life. His 123poems in the collection of works, <Injaeyougo(麟齋遺稿)> featured his own tragic exile life in Suncheon and Jincheon. The characteristic of Injae's poems is a major dignity of poetical style, which insists of loneliness and solitude in a place of exile. In his poetry, there are other motives–frustration and sorrow that are felt in a place of exile, the love of nature, a yearning for a life in seclusion, political aspirations, and a praise for a scenic attraction in the Gwandong district as well. In this manuscript, I especially focused on Injae’s poems that express emotions and feelings when he was in exile. I would like to referred to the dignity of Injae's poetry as Cheowan (悽惋)․Bigae(悲慨). <Injaeyougo(麟齋遺 稿)> is mostly made up of poems that were written in a place of exile. These are the very poems that show Injae’s quality as excellent poet. 인재 이종학은 고려말엽의 혼란했던 정치 상황 속에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그는 당대의 대학자이자 정치가인 목은 이색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우왕 사후 창왕과 공양왕조에서 목은이 김저 사건과 윤이․이초 사건으로 곤경을 당하자 부친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박해를 받아야만 했다. 또한 그는 포은 정몽주가 선죽교에서 죽임을 당하고 고려 왕조가 기울어 가자 순군옥에 투옥되고 함창에 유배되는 등 시련을 겪으면서 결국 移配 도중 교살당하게 되었다. 고려말엽의 문학사에서 그는 항상 소외당하여 왔다. 이종학이라는 본인의 이름보다는 평생을 목은의 아들로 일컬어졌고, 또 포은의 충절에 가려져 이종학의 충성과 절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가 남긴 상당한 분량의 유배시들은 그 뛰어난 문학성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한시사에서 언급되지 않거나 혹 언급은 되더라도 비중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 유배시의 사적 흐름에서 그의 시는 초기에 등장했던 가장 중요한 작품들 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그의 문집 『麟齋遺稿』에 남겨진 113제 123수의 시는 그같은 비극적 삶의 결과물이다. 그의 유배시는 전라도 平陽[順天]과 충청도 常山[鎭川]에서 유배를 당했을 때 지은 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시의 격조는 전반적으로 유배지에서의 쓸쓸함과 고독, 유배인으로서의 좌절과 비개감을 드러낸 것이 주를 이루고, 기타 자연에 대한 동경과 은일적 삶의 추구, 사대부로서 갖는 경세제민의 포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중에서도 특히 유배지에서의 쓸쓸하고 고독한 심경과 관직에 대한 미련 및 그에 따른 좌절감을 다룬 시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종학의 유배시의 詩品을 悽惋으로 규정하고 그 미감을 고찰해 보았다. 특별히 유배시, 그중에서도 悽惋의 미에 주목했던 것은 『麟齋遺稿』를 구성하고 있는 시들이 대체로 유배시라는 이유도 있지만, 그 유배시야말로 이종학의 시인으로서의 자질과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남천록(南遷錄)> 유배시 연구

        김은지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2

        이 글의 연구 대상이 되는 문집 소재 <남천록(南遷錄)>은 대부분이 유배를 떠나는 감회와 유배지에서의 정서를 표출한 시를 엮은 시고(詩稿)이다. <남천록>류라 함은 이러한 시고만을 따로 분류한 것으로 시대, 작가, 장소, 유배기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문집 속 시고에서 유배문학의 특징적인 좌절과 울분, 자탄, 상실 등의 정서를 살펴볼 수 있다. <남천록>은 중심에서 이탈되어 가깝거나 먼 거리로의 유배를 가게 된 체험이 좋은 시적 소재가 되어 많은 작품들이 유배지에서 창작되어 만들어낸 유배문학을 담고 있는 좋은 자료이다. 유배는 정치적인 좌절을 뜻하기도 하지만 아울러 낯선 지역에서 생활을 하게 되고, 새로운 문화를 체험하게 되므로 유배자에게는 작가로서 다양한 정서를 표출할 수 있는 시적체험의 바탕이 된다. 이러한 유배 체험은 개인적으로는 특수한 체험이면서 같은 상황에 처한 이들에게는 어느 정도의 보편성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유배체험 당시에 쓴 시를 묶은 <남천록>류를 통하여 유배로 인해 생활하게 된 낯선 곳에서의 체험을 풍광과 여정, 또는 유배지에서의 느낌 등을 중심으로 술회하고 있으므로 작품에 나타난 정서적 변화의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양상의 범주화도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남천록>류에 나타나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유배시의 전통성을 확보하고 유배지의 지역적 특색을 통해 유배자들의 유배체험이 가진 특수성과 보편성도 아울러 살피는 것을 의의로 한다. Nam-cheon-rok(『남천록』), a literary work targeted as the material of this study, is manuscripts of poems, most of which are expressing emotions of exile and in a place of exile. A style of Nam-cheon-rok refers to what is divided only with these manuscripts of poems, which are different in the time, writer, place and duration of exile. However, distinguishing emotions of exile literature such as frustration, gall, complaining to oneself, and a sense of loss can be seen in these manuscripts of poems. Nam-cheon-rok is a good material of exile literature, containing as a good poetic material the experiences of exile to a short or a long distance after broken away from the center, and many of the works created in a place of exile. Exile means political frustration,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the base of poetic experience for a writer to express various emotions by making an exile live in a strange region and experience a new culture. This exile experience can be a special experience to an individual and have somewhat universality to the persons facing the same situation. We can examine the trend of change in the works, as he relates experience in the unfamiliar place resulted from exile, focusing on scenery, itinerary and feelings in the place of exile, through the style of Nam-cheon-rok, which collected poems written at the time of exile experience. Furthermore, I expect categorization of this style is possible. Therefore,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securing traditionality of exile poetry through various works appearing in Nam-cheon-rok, and in examining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universality of exiles’ experience through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xile places.

      • KCI등재

        고려말 유배지와 유배시의 양상

        어강석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본고는 고려말 신진사류의 유배상황과 유배시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려말의 유배시는 우리나라 유배문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에 존재하는 유배시들은 정치적인 원인에 의한 유배가 아니라 실책에 대하여 받은 실형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배시와는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본격적인 유배시로 논의할 수 있는 자료는 고려말 신진사류들이 남긴 시문들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목은 이색을 중심으로 성균관에서 성리학을 가르치고, 연구하였던 인물들이 중심이 되었다. 포은 정몽주, 도은 이숭인, 척약재 김구용, 삼봉 정도전 등이며, 그 외 호정 하륜, 양촌 권근, 인재 이종학 등의 후학들도 포함되었다. 이들은 성리학 학습을 통해 형성된 의리와 대의명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것을 지키기 위하여 정치적인 유배형을 받게 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현실에 대하여 강개한 심정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강개한 심정은 다시 자기반성으로 수렴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금에 대한 원망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상 임금을 그리워하고 태평성대를 이루어 백성들을 올바르게 이끌 수 있기를 꿈꾸었다. 이들 신진사류들은 대부분 성리학 학습을 통해 서로에게 강한 믿음이 있었으며, 정치적인 지향점도 비슷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은 달라도 같은 시기에 같은 이유로 유배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서로를 안타까워하며 그리워하는 동병상련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Neo-Confucian Scholars’ conditions of exile and the aspects of exile poems they wrote. The exile poems that existed before late Goryeo Dynasty had been written by the people exiled not by political reason but by crimes they committed. Therefore, the poetry and prose that Neo-Confucian Scholars wrote can be the first that can be discussed as genuine exile poems. Most of Neo-Confucian Scholars in late Goryeo were the ones, in the center of Mogeun, that taught and studied Neo-Confucianism in Sungkyunkwan, They conformed a just and great cause by studying Neo-Confucianism but were sentenced to political exile in the process of keeping the 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that Neo-Confucian Scholars in late Goryeo left are as follows. First, Neo-Confucian Scholars expressed their regrets in their poems that their opinions had not been accepted by the country, which were represented again as self-reflection. Second, it is shown in their poems that they yearned for the King all the time, missed their parents and had a dream that they lead the people under a reign of peace. Third, the fact that they had a sympathy of missing and feeling sorry one another because they had a strong bond formed by studying Neo-Confucianism is found in their poems.

      • KCI등재

        약천 남구만의 유배시 연구

        이황진 ( Lee Hwang-jin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5

        본고는 약천 남구만의 유배와 유배시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남구만은 숙종 때에 총 4번의 유배를 다녀왔다. 남구만의 유배시에서는 유배문학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는 정서라 여겨지는 여러 요소, 즉 연군이나 충절, 자신이 유배형을 받게 된 것에 대한 억울함이나 울분, 유배로 인한 좌절이나 유배지에서의 신세한탄 등 그 어느 것도 주된 정서로 부각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배로 인한 격리, 고립, 소외라는 현실적 단절에서 오는 위기의식보다는 단지 친근한 사람들과 헤어져 있어야 하는 아쉬움과 애석함이 주조를 이룬다. 이러한 사실들은 남구만이 유배를 사형에 버금가는 극형이라고 받아들이기 보다는 그저 한 순간의 격리로 인식하였음을 짐작케 한다. 그리고 이는 자신의 유배를 하늘의 뜻이라고 받아들이며 순응하는 남구만의 삶의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숙종의 입장에서도 남구만을 유배 보내는 것이 정말로 그를 단죄하기 위한 형별이었다기보다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유배의 경우는 징계적인 성격이 강하였고, 세 번째 유배의 경우는 남인의 압력에 의한, 네 번째 유배의 경우는 노론의 압력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이러한 사실들이 남구만의 유배시에서는 왜 유배시의 보편적인 특징이라 여겨지는 정서가 부각되지 않는가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Yakcheon Nam Gu-man in exile and his poems of exile. In the reign of Sukjong, Nam Gu-man was exiled total four times. In Nam Gu-man`s poems of exile, any of the elements considered to be sentiments universally appearing in exile literature, for example, affection and loyalty towards the king, feelings of depression and resentment for being exiled, frustration in exile, or lamentation in exile, is not distinctly found. In addition, although an attitude of life accepting one`s exile as the disposition of Providence is found universally in poetry of exile, it is also hardly shown in his poems. In Sukjong`s position, too, exiling Nam Gu-man was not really a penalty to punish him severely. The first and second exiling was done as disciplinary action. The third exile was an inevitable action taken for Namin`s pressure, and the fourth was for Noron`s. All these things can explain why Nam Gu-man`s poems of exile present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found in other literary persons` poems of exile which distinctively reveal univers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송곡(松谷) 이서우(李瑞雨)의 유배시(流配詩) 연구(硏究)

        강석근 ( Kang Seogkeu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2

        본고는 조선 숙종(肅宗) 시기에 남인문단의 종장(宗匠)으로 불리던 송곡 이서우의 유배시를 연구한 논문이다. 그는 1680년 10월부터 1683년 2월까지 4년간 함경도 부령에 유배되어, 문집 4권과 5권에 209제(題)의 시작품을 남겼다. 그의 유배시는 조개가 고통스럽게 만들어낸 진주처럼 눈물, 회환, 고통, 그리움에서 나온 주옥과 같은 시문이자 북방지역의 박물지(博物誌)이다. 그의 유배시는 첫째, 눈물, 통곡, 함정,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불효의 정감, 눈물, 통곡으로 쓰는 반성과 회한의 정서가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특히 「팔수편(八雖篇)」은 유배기간의 여덟 가지 악조건에서도 장점만 생각하며 고통의 유배생활을 이겨낸 그의 긍정적 사고가 잘 드러난다. 둘째, 각종 식생과 풍속이 다른 함경도에서 그곳의 이국적인 풍속 등에 특별한 시선을 가지고, 아이들을 땅에 묻는 매아(埋兒)의 기괴한 풍속과 모친학대의 악속(惡俗)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특히 경제적, 민속적 측면에서 지역의 특산물인 베[麻布]의 상품성을 적극적 부각시키고 지역의 경제적 가치를 현창하였다. 셋째, 이서우는 불교에 대한 신심이 아주 특별했다. 승려와의 담론은 죽음을 잊게 할 정도로 재미난 일이었고, 유배기간 중 얻은 우울증을 불교적인 수행법으로 극복하였으며, 산사의 사계를 노래한 시 중 겨울을 읊은 시는 고차적인 불교 수행과 지식을 문학적으로 승화시켰다. This paper is a study of Songgok Lee Seo-woo's poetry of exile. He was called the master of the literary circles of Namin(南人文壇) during King Sukjong(肅宗) period of Joseon Dynasty. He was exiled to Ham-gyeong-do province for four years from the spring of 1680 to February 1683. He left 209 poems and in Volume4~5 during that time. His poetry of exile has a special value not only as a poetry created by tears, rings, pains and longings. but also a museum of the northern province of Korea. First, his poems embody the emotions of t ears, wailing, longing for family, reflection on the undutifulness to his parents. In particular, 「Pal-su-pyeon(八雖篇)」 contains his thoughts that overcome the exile of suffering which cons iders the merit of the exile in the eight bad conditions of the exile. Second, in Hamgyeong-do province, where the vegetation and customs were different, he took a special eye on the exotic customs. He strongly criticized the bizarre customs to bury a child in the ground and abuse of mothers. In particular, he highlighted a hemp fabric as a local specialty in terms of economic and folklore. Third, He had a special belief in Buddhism. The monks and Buddhism discourses were fun enough to forget death. He overcame depressions during the exile with Buddhist practices. The winter poetry, which sang the four seasons of a mountain temple, literally sublimates the higher order of Buddhist practice and knowledge. Therefore, Lee Seo-woo could be called a representative Buddhist among the major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壺谷流放詩之文學治療功能探究

        안말숙(An, Mal-suk) 동양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1 No.-

        본 논문에서는 壺谷南龍翼(1628∼1692)의 유배시를 문학치료적 관점으로 고찰하면서 척박한 불모의 땅인 유배지에서 창작한 그의 유배시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정서적 안정과 회복의 단계로 도달하게 되는가 하는 것을 논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호곡 남용익은 조선 숙종조에 대제학·이조판서 등의 벼슬을 한 문신이다. 호곡은『壺谷集』·『壺谷詩話』·『箕雅』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作詩·評詩·選詩 방면에 두루 업적을 남긴 인물로 문학사에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다. 그는 당쟁이 극심하던 시절 정치적 난국 속에서 결국 유배생활을 하게 되었다.『호곡집』에 수록된 유배시를 보면 그가 유배지에서의 고뇌와 고통, 현실 수용과 초월의 과정을 시로 형상화하면서 심리적 외상을 점차 극복해가며 정서적 안정을 회복하고 있는 면모가 유배시에 용해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호곡의 유배시에서 문학치유적 표현 양상의 특성을 보면 첫째, 젊은 시절의 使行길과 노년의 流配길에 대한 대비를 통해 유배에서 겪는 내면의 상처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둘째, 자연물에 의지한 감정이입의 방법을 통해서 고충을 더욱 현실감 있게 토로하였다. 셋째,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오히려 충신연주지사적 표현을 통해 정신적 안정을 회복하면서 문학적 치유를 도모하고 있었다. 이는 다양한 작시방법을 통한 창작치료의 과정이라 생각하며, 문학치료적 측면에 볼 때 작가 스스로 택한 시 창작이라는 방편이 심리적 외상 치유에 있어서 그 효용가치가 매우 크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문학치료학이라는 학문이 한국에 도입되어 본격적 연구가 진행된 것은 그리 역사가 길지 않다. 더구나 고전문학 연구에 원용되어 연구방법론의 하나로 정착되고 학문적 성과를 이루고 있는 것도 타 분야에 비해 아직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므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성과물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a controversial point that the exile literature of Hogok Namyongik (1628∼1692) acts as literary therapy. Namyongik’s writings from the barren soil of exile show the process of regaining emotional stability and rehabilitation. Hogok Namyongik served as a high level civilian government official and Minster of Interior (DaeJeHak & EeJoPanSeo) in the Joseon Dynasty Sukjong Era. Namyongik left behind writings such as “Hogokjip”,“Hogoksihwa”, and “Gia”.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e was known for his work in versification, peacetime and mercy. In the midst of political faction impasse, he lost his public post then started a life of exile. The exile literature included in the “Hogokjip” could be said to embody anguish, suffering, and acceptance of current reality. It chronicles the process of transcendence in a place of exile and the aspect of regaining emotional stability by overcom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cusing on Namyongik’s literature as a greater form of healing, he described conflicted reality highlighting mental anguish and psychological trauma; rather than reveal his seriously wounded heart, Namyongik went through the process of healing by making an attempt at mental stability through transcendent thinking. In the former, if expressed distress is considered a passive attempt in the healing process then the latter form of writing can be called proactive healing which is achieved through transcendence and sublimation.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herapy in Namyongik’s exile literature are revealed as first his wounded heart was effectively expressed in a contrast between his youth as an envoy and his elder years as an exile. Second, through his empathy with natural objects, he realistically expressed his difficulties. Third, even though Namyongik lived in exile, he promoted literary therapy through his continued loyalty, love, and respect to his king. When seen in terms of therapeutic literature, it is considered the process of creative healing by various means of writing poems. Namyongik found that writing poems himself was an effective method of healing psychological trauma. Studying literary therapy in Korea does not have a long history. Moreover, compared to other fields of study, it still hasn’t been fixated as a methodology which quotes articles in classical literature. Therefore, in the future, the field is expected to grow as researchers produce more in-depth results.

      • KCI등재

        柳方善의 流配詩에 내재된 정서의 제 양상

        金鎭鎬(Kim Jin-ho) 대동한문학회 2012 大東漢文學 Vol.37 No.-

        이 글은 태재 유방선의 유배기 작품에 함축적으로 내재된 정서를 양상별로 고찰해 본 것이다. 즉, 字意나 文面에 보이는 그대로가 아니라 이면에 깔린 시인의 본래 뜻과 정서를 엿보고자 하였다. 작품 분석에서는 시 표면의 정서를 ‘困楚酸寒’과 ‘憔悴困踣’, ‘安分順命’과 여유, 처지의 호소와 충심 등 셋으로 나누고, 그 이면에 깃든 내재적 정서를 살펴보았다. 그의 유배시에는 ‘困楚酸寒’, ‘憔悴困踣’의 정서가 기본적으로 깔려 있다. 구체적으로는 苦惱, 辛酸, 孤獨, 憂愁, 挫折, 窮寒, 悲歎등이 깃들어 있다. ‘가장 슬프고 불쌍하다’고 하면서도 약간의 해학이 묻어나고, 외롭고 괴로운 가운데도 여유나 절제가 느껴지기도 한다. 安分順命과 여유의 측면은, 장기간의 유배로 인해 모든 걸 체념한 채 命이나 하늘에 맡김으로써 安分과 여유를 느끼기도 한다. 때로는 周易의 ‘否極泰來’의 이치를 믿고자 한다. 하지만 다른 작품에서는 그 이치를 부정하기도 한다. 그 바탕에는 곤궁함과 절박함을 깔고 있으면서 의식적인 자기 위안이나 다짐, 또는 역설이 내재된 것으로 파악된다. 또 친한 벗이나 外叔에게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거나, 임금에 대한 충심을 표하거나 혹은 자신의 재능을 과시하는 내용들은 그 내심을 보면 모두 解配와 官仕에의 미련이 깃들어 있다. 임금의 은혜나 축원의 마음을 읊은 것은 더 이상 빌미를 만들지 않으려는 경계의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 때문에 그는 협소한 思考와 運身을 할 수밖에 없었고, 추호라도 불만스런 심정은 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시국을 읊거나 사회 문제로 눈을 돌린 경우가 드물고 자신의 처지를 읊는 데만 국한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詩情의 분석과정에서, 시는 웃어도 시인의 마음은 울고, 시는 괴롭지만 속마음은 여유도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본고는 시 작품의 표현과 내면의 정서를 분리하여 시인의 진정한 의도와 마음을 찾아내기 위한 하나의 시도를 해 보았다. 다만 작품의 창작 시기를 알 수 없어서 좀 더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types of emotions implicatively inherent in the works of Taejae(泰齋) Yu Bang-seon during his exile. The study set out to look into the poet's originally intended meanings and feelings behind instead of the literary meanings of words or what was seen on the surfaces of sentences. In analyzing his works, the investigator categorized the superficial poetic emotions into three groups of Gonchosanhan(困楚酸寒) and Chochuegonbok(憔悴困踣), Anbunsunmyeong(安分順命) and leisure, and complaint of his situations and loyalty, as well as examined the inherent emotions behind them. The basic emotions in his poems during his exile are Gonchosanhan and Chochuegonbok. To be specific, there are such emotions as agony, hardship, solitude, melancholy, frustration, destitution, and lamentation in those works. A hint of humor is detected in “the most sorrowful and pitiful” situations, and leisure and control are felt in solitude and suffering. As for the aspect of Anbunsunmyeong and leisure, he gets to have content and leisure by giving up everything after a long exile and leaving everything to fate or Heaven. He wanted to believe the logic of ‘Biguktaerae(否極泰來)’ in Zhouyi(周易) at some time or another. However, he also denied the logic in his another works. The underlying emotions of them are distress and urgency with his conscious self-comfort, determination or paradox inherent in them. There is his lingering attachment to getting his exile lifted and holding office in his complaining about his situations to his close friends and maternal uncle, exhibiting his loyalty to the king, and boasting his talent. He talked about the boon and invocation of the king out of a cautious intention to give no more curses. So he thought more narrowly and acted in a more passive way, and was not able to have a complaint. Therefore, it is a special quality of his writing poems that they don't say anything about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or social problems, but only say the situation of himself. The analysis results of his poetic emotions show that his mind wept when his poem smiled and that his mentality had leisure when his poem was in agony. The study is a try that seek the poet's true mind through separation of intended feelings from the surfaces of sentences of Yu Bangseon. But, the study has a limit to organic and systemic analysis, because the time of writing poems are not cl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