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전반 田稅 수입 감소와 量田 추진

        임성수 연세사학연구회 2023 學林 Vol.51 No.-

        The Joseon Dynasty operated state finances based on land taxes. Since stable land tax was a prerequisite for national oper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law to conduct land surveys every 20 years. However, the land survey was not carried out properly due to a famine, public opposition, and the burden of expenses. In particular, after the land survey conducted in 1720, large-scale land surveys were suspended for more than 100 years. Tax revenues declined as land surveys were not conducted. The biggest problem was that rice imports fell to the point of insufficient expenditure. Accordingly,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plan to secure additional rice by reorganizing the tax system rather than a land survey that was politically and administratively burdensome. In 1810, land tax, which was paid in coins in some areas of Hwanghae-do, was originally paid as rice. After 1830, when the land tax was fixed at less than 100,000 bags, this system was actively implemented.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filling the government’s shortfall because the amount of rice paid in some areas of Hwanghae-do was not large. In the end, there was no stable way to expand land tax like a land survey. In the 19th century, taxable land had decreased overall regardless of the bad harvest. After 1808, the taxable land did not exceed 800,000(結) even if it was a good harvest. In 1819, Jeolla-do and Gyeongsang-do reached the stage just before the land survey was implemented, but it was not realized due to strong opposition from the governor. With the steady decline in taxable land, national finance has become more difficult. In 1838, discuss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nd survey were resumed by Lee Ji-yeon, and in 1846, land surveys were finally carried out in some areas of Gyeongsang-do. The new survey method was ordered to be implemented throughout Jeolla-do,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in 1842, 1845 and 1858, but did not show much results. Provincial governors did not follow the government’s instructions, citing public opposition and famine, and the result of missing several opportunities was financial management that relied on temporary measures. And it caused chaos across the country. 숙종 46년(1720) 경자양전 이후 도 단위 양전이 중단되었다. 양전 중단은과세지 감소로 이어졌고 세입도 함께 줄어들었다. 특히 쌀 수입이 경비지출에 부족할 정도로 감소했다는 점이 큰 문제였다. 조정에서는 정치적·행정적으로 부담이 큰 양전보다는 부세제도를 개편하여 쌀을 추가 확보하는 방안을 시행하였다. 순조 10년(1810) 황해도 장산 이북 지역에서 동전으로 납부하던 전세를 쌀로 내도록 하였고, 순조 30년(1830) 이후 전세 수입이 10만 석 이하로 고착화되자 本色上納을 확대 시행하였다. 철종 연간에는 거의 전 시기에 본색상납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색상납으로 얻는 쌀은 그 양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정부의 부족분을 채우기에 한계가 있었다. 결국 근본적인 재정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양전을 시행해야만 했다. 19세기 과세지는 풍흉과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감소한 상태였다. 순조 9년(1808) 이후에는 풍년에도 출세실결이 80만 결을 넘지 못하였다. 오랜 논의 끝에 순조 16년(1816) 황해도 토산현의 양전을 시행하였지만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순조 19년(1819)에는 兩南 지역의 양전 시행을 준비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지만, 관찰사의 강력한 반대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과세지가 꾸준히 감소하는 상황에서 국가재정은 더욱 어려워져갔다. 헌종 4년(1838) 우의정 李止淵에 의해 양전 논의가 재개되었고, 마침내 헌종 12년(1846) 경상도 일부 군현에서 양전이 실행되었다. 도 단위 일괄 양전은 힘들었기에 풍흉에 따라 1~2 군현씩 순차적으로 양전하는 방식이채택되었다. 새로운 양전 방식은 헌종 8년(1842)·헌종 11년(1845)·철종 9년(1858)에 下三道 전역에 시행을 지시했지만 역시 큰 성과를 보지 못하였다. 관찰사들은 민심 이반과 흉년 등을 이유로 조정의 지시에 따르지 않았고, 양전 기회를 여러 차례 놓친 결과는 임시방편에 의존하는 재정운영의 지속과 불균한 과세로 인한 민심의 이반으로 이어졌다.

      • KCI등재

        광무양전의 토지파악 방식과 그 의미

        ( Kuen T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7 No.-

        이 글의 목적은 경기도 죽산군 남일면 금산리(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광무양안과 토지조사부를 비교 분석하여 광무양전의 성격을 해명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안과 조사부의 개별 필지를 서로 연결한 다음 두 자료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광무양안과 토지대장(지적도 포함)은 계통이 다른 문서였다고 판단되었다. 광무양안은 정부의 필요에 따라 전형, 등급, 면적 등의 실상을 일정 정도 가공하여 기록했다. 따라서 양안을 통해 실제 전형, 등급, 면적 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에 비해 조사사업 관련 문서는 여러 가지 내용을 실제 있는 그대로 기록하려고 했다. 그래서 조사사업에서 작성한 문서를 통해 당시의 전형, 등급, 면적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광무양전은 양전 시작 지점, 양전방향 판단, 전형 파악, 등급 결정, 면적 산출 등과 관련된 작업 규정[세칙]을 마련하지 않고, 양전 실무자의 주관적 판단에 맡겼다. 그 결과 개별 작업과 관련된 기준은 양전 실무자에 따라 달랐다. 양전에서는 작업 과정은 양전 실무자가 장악하고, 결과는 국가가 장악하였던 것이다. 그에 비해 토지조사사업은 조사 시작 지점, 전형 파악, 등급 결정, 면적 산출 등과 관련된 작업 규정[세칙]을 마련해둠으로써, 조사사업 과정에서 관리들의 주관적 판단이 미치는 영향을 줄이려고 하였다. 근대에는 국가가 양전 과정과 결과를 서울대 국사학과 부교수. 모두 장악한 것이다. 대한제국은 조선정부처럼 필요로 하는 양을 대략 정해놓고, 양전을 통해 이를 파악?확보하려고 하였다. 그에 비해 일제는 필요로 하는 양을 정해놓지 않고,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모든 것을 낱낱이 파악하여 지배하려고 하였다. This writing is aimed at clarifying the character of Gwangmu Yangjeon by doing analytical comparison between Yangan(land register based on land survey) and land investigation sheet of Geumsan-ri, Namil-myon, Juksan-gun, Gyeonggi-do(the present Geumsan-ri, Iljuk-myon, Sanseong-si). For this purpose, this writing compared the contents of these two documents by interlinking the land register and individual pieces of land of the land investigation shee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landowners at Geumsan-ri raked up lots of land through instrumentality of a government post. On the other hand, poor farmers augmented their arable acreage when their living expenses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area of arable acreage in case living expenses decreased. Like this, at Geumsan-ri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t``s rare to find the landowners who obtained wealth by more aggressively managing their land. So is it rare to find the farmers who tried to accumulate a lot more wealth than the cost of living in preparation for unexpected spending. In other words, the consciousness of the landowners and poor farmers at Geumsan-ri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era. The land survey officials in charge of Gwangmu Yangjeon of Geumsan-ri, and the same official-post holders in the Joseon Dynasty were found to be similar in their consciousness. As a result, Gwangmu Yangan (land register) became the documents that differed from the land register (cadastral book included) in its system. Gwangmu Yangan listed the real picture through the fictional proces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needs while listing the land-survey-businessrelated documents as it actually was. Gwangmu Yangjeon was subject to a land survey official``s judgment instead of arranging working rules (detailed rules) with regard to the starting point of Yangjeon, judgment of Yangjeon direction, grasp of its model, ratings determination, and area calculation, etc. As a result, the standards related to individual work differed from each and every land survey official. Like this, Yangjeon officials took charge of working process while the result of the working process was seized by the State. By comparison, land survey business tri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officials`` subjective judgment in the process of survey business by arranging working rules(detailed rules) having to do with the starting point of investigation, grasp of its model, ratings determination, and area calculation, etc. In short, in modern times, a State seized both Yangjeon process its result.

      • KCI등재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을 이용한 시대별 양전쟁점 변화분석

        김윤기 한국지적학회 2022 한국지적학회지 Vol.38 No.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Yangjeon(Land Surveying) issues over time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examined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set up four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m.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I collected the Yangjeon documents related to the King Seongjong, the King Injo and the King Sukjong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ducted LDA analysis on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I confirmed that there were ten major Yangjeon issues in the Joseon Dynasty. Among them, the request of conducting Yangjeon, the demand for stopping Yangjeon due to flood and choosing correct Yangjeon ruler seemed to be the vital Yangjeon issues in Joseon Dynasty. Also, most major Yangjeon issues have been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ime. To analyze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Yangjeon issues correctly over time, we need to understand the various situations of the times from a systematic point of view.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를 이용하여 시대별 양전쟁점의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4개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연구 질문들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서 양전 사업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던 성종시대, 인조시대 그리고 숙종시대의 양전관련 문서들을 조선왕조실록에서 수집한 다음 LD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조선시대에는 10개의 주요양전쟁점이 존재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양전시행여부, 수해로 인한 양전정지 그리고 양전척문제가 핵심쟁점들로 부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주요양전쟁점들은 시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양전쟁점들이 시대별로 어떠한 변화패턴을 보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가 처한 상황들을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광무양전과 조선후기 양전의 관계 ―경기도 용인 오산리 사례

        김건태 ( Kuen T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이 글은 광무양전과 조선후기 양전의 관련성을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오산리를 주목하였다. 조선후기에 작성된 각종 고문서, 양지아문양안과 지계아문양안, 토지조사부와 지적도를 활용하여 오산리 광무양전의 실상을 살필 수 있었다. 광무양안과 일제시기의 토지조사부에 등재된 토지를 필지별로 연결한 광무양전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두 번의 양전에도 불구하고 당시 경작되고 있던 토지 가운데 적지 않은 부분이 양안에 오르지 않았다. 그리고 지계아문양전 실무자들은 양지아문에서 결정한 결수부를 줄이기 위해 몇 가지 작업을 하였다. 오산리 지계아문양전 실무자들은 양지아문양전 때 결정된 다양한 전형을 몇 가지로 단순화 시키고, 전답면적도 이전보다 줄여서 파악하였다. 그리고 오산리 광무양전 실무자들은 실제 땅주인을 판명하는 것보다 田稅 귀속처를 분명히 하는 일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그리하여 많은 民田이 屯田으로 파악되었다. 이같은 현상이 빚어지게 된 데에는 오산리와 연고가 있던 해주오씨 추탄공파와 만운공파 구성원들의 영향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조선후기에도 권세가들이 부세를 줄이기 위해 자신의 토지를 양안에서 누락시키거나, 熟田을 陳田으로 바꾸어 올리는 일은 흔히 있었다. 이상의 여러 가지 사실로 볼 때 광무양전은 조선후기 양전을 계승·발전시킨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Despite the two times of land surveys by land surveyors during the Korean Empire, not a few parts of the land then under cultivation failed to be recorded in the Land Register. The second surveyors standardized the various shapes of farmlands, which were determined in the first survey. This means that the second survey aimed to calculate the expected size and further the amount of tax based on the actual land survey. If the purpose of the second survey was to accurately identify the area size, the surveyors would have set more diverse shapes of farmland than before. This is because as one plot of land is segmented, the area size will be more likely to be close to the actual size. The second surveyors reduced the size of many plots of land than the first time to downsize the amount of tax. As a result, the size of the farmland discovered in the second survey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actual size. Until the Korean Empire, the size of individual plots of land could be adjusted as much as possible upon the need of the government. It is indicates that the main purpose of the land surve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Korean Empire was not to measure the accurate size but obtain the prearranged size and further expected area size. In terms of Osan village(吳山里), the landowners recorded in the Land Register often did not represent the actual states during the Korean Empire. Many private lands were discovered as state-owned lands. The trend where people vested their private lands in the government to reduce the burden of taxation was obviously reflected in the Land Register during the Korean Empire. The land surveyors during the Korean Empire thought that it was more important to clarify whom to pay the tax rather than discover the real land owner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members of Haeju Oh clan(海州吳氏), who had connections with Osan-ri, were highly influential in that many farmlands were omitted from the Land Register, the size of individual plots of land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rivate lands were identified as state-owned lands. It was comm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people of influence omitted their lands from the Land Register to lower the tax burden or register the farmland after changing it to wasteland.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facts, it is concluded that the land survey project during the Korean Empire was a more advanced version of the land survey projec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1701년 황해도 방전법의 양전 과정

        김동일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0

        The land taxation system of Korean medieval nations was called Jeonjung(田政), and It was operated under Gyeolbujae(結負制) which was Korean own land system. However, since Gyeolbujae was subject to human arbitrariness, land proprietors and petty officials of a provincial town fomented problems. As a countermeasure, the Hwanghae province governor Yu Jib Il(俞集一) tried Bangjeonbeob(方田法) in Ganglyeong(康翎), Ongjin(甕津), and Eunyul(殷栗). Bangjeonbeob was a method of measuring all the land by squaring it. Although tax sources of the government were increased by searching all the hidden land in three regions, it was not able to be enlarged. In spite of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due to limited amount of data. As Bangjeonbeob was confirmed in the 19th century bureaucratic Yu Chi Beom(兪致範)’s collections “Ilsinlog(一哂錄)”,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phases in introducing Bangjeonbeob and its direction. First, land grade of three regions was determined. Then, all the land, including mountains, forests, rivers, lakes, roads, and banks, was divided into squares of 360m. The boundary was marked by wood and stone. In the past, the ruling class of the local village was the leader of the survey. In Bangjeonbeob, however, In Bangjeonbeob, Jabu, farmer of a letter(字夫), was a person chosen among the people who were a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tax calculation. In the Bangjeonbeob surveying process, farmers and peasants were the subjects of surveying and directly measured their own land. As a result of trying bangjeonbeob in three areas of Hwanghae province in 1701 (Sukjong 27), the total land was increased three times, the tax exempted land was 2.3 times, the wasteland was 8.6 times, the land to pay taxes was increased 1.7 times, and false land was gone. And it is thought that Bangjeonbeob influenced Gyeongjayangjeon(庚子量田), which was land surveying conducted in 1720. Bangjeonbeob led development of Bangjeonlon(方田論). 한국 중세 국가의 田政은 결부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田政은 토지를 파악하는 量田制와 이를 바탕으로 민인들에게 조세를 수취하는 收稅制로 구성되었다. 田政의 핵심은 국가가 민인을 토지에 긴박하고 조세를 수취하는 것이었다. 결부제는 토지의 세액·소출·면적을 강제로 일치시킨 한국 고유의 토지제도였다. 세종이 전분 6등과 연분 9등의 貢法으로 정교하게 정비한 결부제는 당초 의도와는 달리 인간의 주관․자의가 개입될 여지가 컸고,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결부제와 田政의 개혁 방책으로써 1701년(숙종 27)에 황해도 관찰사 유집일은 강령․옹진․은율에서 방전법을 시험 시행하였다. 방전법은 모든 토지를 방전으로 구획하여 타량하는 양전 방식이었다. 세 읍의 토지가 수 배 증가했지만, 수세로 이어지거나 확대 시행되지는 못하였다. 그렇지만 방전법은 한국 양전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양전 방식이었고 후대의 양전이나 개혁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자료의 제약으로 인해 충분히 연구되지 못한 실정이었는데,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19세기 관료 兪致範의 『一哂錄』 속에서 방전법에 관한 자료가 확인되어 구체적인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군현(강령․옹진․은율)의 전품 비율을 정하고, 면․리에서 분정하였다. 그리고 관문을 기준으로 방위를 설정하였다. 산림천택․도로․제언 등을 막론하고 모든 토지를 360量田尺의 방전으로 구획하고, 그 경계를 표목․표석과 田墩으로 나누어 타량하였다. 방전으로 구획된 토지에는 하나의 字號를 부여하였다. 한 字號가 부여된 방전은 전품에 따라 약 3∼13결이었다. 결부를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이 字夫로 선정되어 방전의 구획과 타량을 책임지고 수행하였다. 방전법 타량 과정에서는 농민이 타량의 주체가 되어, 표목․표석과 田墩을 만들고 量繩도 마련하여 자신의 토지를 직접 타량하여 농간을 줄일 수 있었다. 그리고 魚鱗圖冊과 같은 圖帳도 만들었다. 圖帳은 산․강․도로․지세를 보여주는 지도와 같이 큰 것이 있었고, 민가와 개별 필지를 표시하는 규모의 작은 것도 있었다. 유집일은 방전법으로 타량하며 魚鱗圖冊도 제작하여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또한 새로운 田政 문서인 字夫單子, 收捧單子, 正案을 만들어 활용하였다. 따라서 유집일의 방전법은 量田制 개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결부제와 田政을 혁신하려는 시도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1701년(숙종 27)에 황해도 강령․옹진․은율에서 방전법을 시도한 결과 원장부는 3배, 면세결은 2.3배, 진황전은 8.6배, 시기결은 1.7배 증가하였고 허결은 없어졌다. 비록 방전법은 수세로 이어지거나 확대 시행되지도 못하였다. 그러나 경자양전에 영향을 주어 양전 기술 발전에 이바지하였고, 19세기 방전론으로 이어져 광무양전의 논의에 이르게 되었다.

      • KCI등재

        癸卯ㆍ甲戌量田의 시행과 田稅 운영 변화

        임성수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2

        National finance of Joseon Dynasty was managed by focusing on land tax. After Japanese invasion, jinhwangji was increased and land list that is the ground of junse taxation is lost, so tax was reduced so much and the unbalance of regional taxation became severe. Therefore, ‘Gyemyoyangjo’ was fulfilled in Sunjo 34th year(1601). Gyemyoyangjun promoted urgently showed lots of problems and was completed by just grasping taxation land much less than gyulsoo before Japanese invasion. As taxation land was recovered sufficiently because of yangjun, finance of Gwanghae King period was managed by satisfying insufficiencies through all sorts of additive tax. It was fulfilled in Injo 12th year(1634). In ‘Gapsulyangjun’ fulfilled in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do, two yangjunsa was dispatched to each do(道) and supervised and controlled the general progress of yangjun. Actually, other yang was conducted by wigwan(委官)ㆍseowon(書員), etc. under the leading of suryeong. To prevent collusion of suryeong and toho, the method of yangjun by exchanging the town in charge mutually was adopted. As a result of Gapsulyangjun, total 895 thousand gyul(結) of wonjangbu was grasped in hasamdo and among them, gigyungjun was about 540 thousand gyul. If adding the gyul of the regions that yangjun was not fulfilled, more than about 1,300 gyul of wonjangbu(元帳簿) and about 700 gyul of gigyungjun(起耕田) could be nationally managed by hojo.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axation land, junse income was increased and hojo could grasp income of about 200 thousand suk of rice and bean every year. 조선시대 국가재정은 토지세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토지세의 징수를 위해서는 과세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풍흉에 따라 과세 규모를 조정하여 농민의 생계를 보장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조선전기 量田法이 제정되고, 세율을 조정하는 貢法이 마련되면서 전세 운영의 기반을 갖추었다.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던 전세 제도는 임진왜란 이후 큰 위기를 맞이하였다. 진황지가 증가하고 전세 부과의 근거가 되는 量案도 소실되면서 세입이 큰 폭으로 줄었을 뿐 아니라, 지역별 과세 불균도 심하였다. 특히 양안은 전세 뿐 아니라 각종 徭役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었기 때문에 국가체제를 재정비하는 데는 양안의 복구만큼 시급한 사안이 없었다. 양전은 많은 인력과 물력이 소요되고, 부세 증가를 우려하는 민심도 고려해야 했기 때문에 간단히 추진할 사안이 아니었지만, 재정의 시급함으로 인해 선조 34년(1601) 이른바 ‘癸卯量田’을 강행하였다. 계묘양전은 급하게 진행된 만큼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고, 왜란 이전의 결수에 크게 못 미친 전결을 파악한 채 마무리되었다. 양전으로 과세지를 충분히 회복하지 못하면서 광해군대 재정은 각종 부가세를 통해 부족분을 충당하는 식으로 운영되었다. 인조가 즉위하면서 양전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실제 양전은 십수 년이 지난 인조 12년(1634)에서야 시행되었다. 하삼도 지역에 시행된 ‘甲戌量田’에서는 各道에 量田使를 두 명씩 파견하여 전반적인 양전 진행을 지휘ㆍ감독하게 하였으며, 실제 타량은 수령의 주도 하에서 각 고을의 委官ㆍ書員 등이 담당하였다. 수령과 토호들의 결탁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고을을 바꿔 양전하는 ‘換邑打量’ 방식이 채용되었다. 갑술양전의 결과 하삼도에서 모두 89만 5천여 결의 원장부 결수를 확보하였고, 이 중 기경전은 54만여 결이었다. 양전을 시행하지 않은 道의 결수까지 합하면 전국적으로 약 130만 결 이상의 원장부 결수와 약 70여만 결의 기경전을 호조가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과세지 증가에 따라 전세 수입도 증가하여 호조는 매년 米太 약 20만 석 가량의 세입을 확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커뮤니티 검출(Community 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전의 주요 쟁점 확인에 관한 연구

        김윤기(Kim, Yun-Ki)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커뮤니티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자양전의 주요쟁점들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커뮤니티 검출과 양전 쟁점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2개의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숙종 시대의 양전관련 문서들을 수집하여 이들에 대해 언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커뮤니티 검출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듈성 값이 0.43으로 나타나 양전 언어 네트워크는 뚜렷한 커뮤니티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모듈성 값을 기준으로 필터링을 하여 10개의 커뮤니티를 검출하였다. 이 10개의 커뮤니티 중에서 가장 큰 커뮤니티는 커뮤니티 2로 전체 네트워크의 19.6%를 점유하였으며 또한 커뮤니티 1과 커뮤니티 9도 전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하위 네트워크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전체 네트워크에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커뮤니티들은 커뮤니티 3과 커뮤니티 5로 각각 전체 네트워크의 4.6%와 4.6%를 점유하였다. 각 커뮤니티의 노드들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그 당시의 주요 양전 쟁점들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issues of the Gyeongja Yangjeon using the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on community detection and Yangjeon, and derived two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Yangjeon documents related to the Sukjong era, constructed a semantic network for them, and conducted community detection 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dularity value is 0.43, indicating that the Yangjeon semantic network has a clear community structure. In addition, 10 communities were detected by filtering based on the modularity value. The largest community among these 10 communities turned out to be Community 2, which accounts for 19.6% of the total network, and Community 1 and Community 9 were also identified as sub-networks that perform important functions across the entire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ties that occupy the smallest share in the entire network were Community 3 and Community 5, accounting for 4.6% and 4.6% of the total network,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odes of each communit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reflect well the major issues of the Yangjeon those days.

      • KCI등재

        한국 고·중세 결부제의 전개과정

        이인재 ( Lee In Jae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0 學林 Vol.46 No.-

        농경이 국가경제의 토대였던 전근대 국가에서는 합리적인 조세정책을 운영하기 위해 농부와 함께 농지 파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는 시대별 특성에 맞는 공정한 호구조사와 양전을 통해 농업을 장려하였다. 결부제라는 측량시스템은 토지의 크기, 수확량, 과세를 연결시키는 제도로서, 고조선부터 조선에 이르는 한국 전근대 토지제도의 기본 도구로 사용해 왔다. 고조선에서는 수확량만 계산하는 고대적 결부양전 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중국의 동진과 천하체제 구축 압력으로 고조선이 쇠망하자, 고조선의 후예인 열국과 삼국은 여러 형태로 스스로의 경제체질을 바꾸려 하였다. 고대에서 중세사회로의 전환 모색 및 실현이었다. 그 와중에 결부양전제는 수확량과 함께 면적도 동시에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파와 파적의 제시였다. 그렇게 새로워진 중세적 결부양전제를 토대로 고구려는 공정한 조세제도를 만들었고, 좌식자와 하호라는 중세 전주전객제도 구축하였다. 고구려의 뒤를 이어 신라와 발해도 중세 전주전객제를 운영하였다. 중앙정부는 파와 파적의 제시에 그쳤지만, 전국 각 지역의 농업현장에서는 결과 결적, 부와 부적, 속과 속적, 파와 파적의 적용에 자의성이 높아졌다. 폭렴의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전주와 전객 가운데 전주들을 위한 제1차 중세적 결부양전법의 보완이 필요해진 것이다. 결국 9세기 이후 신라와 고려 정부는 수확량 중심의 결부속파와 면적중심의 결적, 부적, 속적, 파적과의 상관관계를 정리하기 위해 1결=방33보(1089보2) 라는 보적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결부수에 1089를 곱하면 결적을 알 수 있게 하고, 결적에 1089를 나누면 결부수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여말선초 제2차 중세적 결부양전법의 보완은 전주전객 가운데 전객을 위한 정책이었다. 이전과 달리 농업현장을 지키고 있던 전객농민 특히 자경소농들의 입장에서는 정부가 측량한 후 알려준 농지 면적과 수확량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했고, 정부도 그 요청을 받아들였다. 조선의 세종정부는 이를 위해 농지가 기름지고 척박한 정도를 반영하여 면적은 차이가 있지만 결부수가 같으면 조세수취량은 동일하다는 것을 공유하기 위해 부적 중심의 결부양전제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는 곧 중세적 결부양전제가 해체되기 시작했음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In pre-modern economies that were founded on agriculture, it was important to identify which farmland belonged to which farmers in order to implement tax policies. Many nations encouraged agriculture through fair censuses and land measurements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gyeol-bu (結負) system of land measurement was determined taxes based on the land area and production capacity, serving as a the core pre-modern land taxation instrument in Korea. In Gojoseon, an ancient gyeol-bu (結負) system was used to calculate only land yield. In the Middle Ag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the system was modified to measure both land yield and area. During this time, the pa (把) unit of land area was created and defined to promote international trade. When land size was the standard by which taxes were collected, people neglected yield. Then the bo (步積) standard was developed which accounted for both land yield and area. After that, the jeon-ju (田主) standard was developed for tax collectors. However, this standard was somewhat subjective, creating problems for the jeon-gaeg (佃客), taxpayers. In response, the bu (負積) standard was developed which jeon-gaeg (佃客) found more reliable, even when being used to evaluate small parcels of land.

      • KCI등재

        서유구의 양전법의 수학적 고찰 - 구일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종성(Choi, Jong sung)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70 No.-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백과사전적 성격을 띠는 방대한 저서이다. 그 저서의 첫 번째 부분인 본리지(本利志) 1권의 부록인 양전법(量田法)에 대한 수학적 고찰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다양한 모양의 농지의 넓이를 구하는 양전법은 국가 재정의 주춧돌이자 수학적으로는 기하학의 일부로서 평면도형의 넓이를 다루는 것과 동일하다. 양전법은 산학의 기본이자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다. 산학에 조예가 깊었던 조선 사대부 서유구의 양전법에 대한 수학적 고찰을 중인 출신의 전문 산학자인 남양(南陽) 홍정하(洪正夏, 1684∼?)가 저술한 산학서 『구일집(九一集)』에 수록된 문제들과 비교하면서 수행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본리지의 수학적 부분인 양전법의 전통산학적인 측면과 함께 『구일집(九一集)』과는 차별되는 다음 세 가지를 드러내 보일 것이다. 첫째는 원, 타원, 원 고리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에서 기하학적 관계를 활용한 비례식을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둘째는 이전 보다 정밀한 원주율을 사용하였다는 점인데 이는 본리지의 수학 부분에 끼친 서양 수학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삼각함수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홍정하의 저서에서는 볼 수 없으며, 중국에서 들여온 산학서 『수리정온(數理精蘊)』의 영향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본리지의 수학 부분이 어떤 통로로 서양 수학의 영향을 받게 되었는지도 간단히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유구의 양전법 서술 방식은 서양 수학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산학서 서술방식이 변해가는 모습의 작은 증거이자 한계임을 지적할 것이다. 『Imwonkyungjeji(林園經濟志)』of Pungseog(楓石) Yugu Seo(徐有榘, 1764-1845) is an enormous book with an encycloped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mathematical study of Yangjeonbub(量田法), an appendix to the first volume of Bonliji(本利志), the first part of the book. Yangjeonbub, method for calculating the area of various forms of farmland is the same as the cornerstone of national finances and mathematically as dealing with the area of planar form, part of the geometry. Yangjeonbub is a basic and important subject of traditional Mathematics.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mathematical considerations of Yangjeonbub in Yugu Seo, a high official of Chosun Dynasty, which had a strong knowledge of traditional Mathematics, with the problems in the traditional mathematics book 『Guiljip(九一集)』, written by Namyang(南陽) Jeongha Hong (洪正夏, 1684 ∼?), a professional mathematician. In this process, along with the traditional mathematical aspects of Yangjeonbub, mathematical part of Bonliji, the following three things will be distinguished from the Guiljip. First,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area of circles, ellipses and circle rings, the proportional expression using geometric relations was used. Second, the more precise (ratio of a circle’s circumference to its diameter) was used, which is the influence of Western mathematics on mathematics of Bonliji. Finally, the trigonometric functions were used. This is not seen in Jeongha Hong"s book, and should be seen as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traditional mathematics book, 『Surijeongon(數理精蘊)』. We will also briefly look at how passages of mathematics of Bonliji were influenced by Western mathematics. Finally, it will be pointed out that Yangjeonbub"s way of writing by Yugu Seo is a small evidence and limitation of how traditional mathematics book description is changing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mathematics.

      • KCI등재

        조선후기 토지공개념의 유형과 그 성격

        최윤오 ( Choi Yoon Oh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0 學林 Vol.46 No.-

        조선후기 토지공개념의 유형과 역사적 성격을 추적하기 위해 토지개혁론의 3유형-양전법과 방전법, 그리고 정전법-을 비교하였다. 그것은 토지소유 불평등의 원인과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찾기 위함이다. 첫 번째 양전법은 중세말까지 존재했던 조선 정부의 수취법이다. 결부 양전제는 균세라는 명분을 중심으로 1/10세를 수취하였지만, 은결이나 진전 등의 토지 모순을 해결하지 못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두 번째 유집일의 방전법이다. 마을의 산천과 전답 모두를 어린도에 그려 넣되, 가로세로선이 만나는 모퉁이에 작은 뚝[돈대]을 쌓아 표시한다. 모든 토지를 빠짐없이 조사하고 직역까지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다. 방전법은 균평을 지향하며 소농민이 찬성하는 공개념이었다. 세 번째 정전법은 다산 정약용에 의해 제안된 토지분배 방안으로써 노동능력에 비례한 소득분배 방안이었다. 그는 균산 차원의 토지공개념을 구상했다. 방전법과 정전법을 결합시켜 토지공개념을 실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균세, 균평, 균산 차원의 토지개혁론은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었지만 모두 다른 목표와 방법론을 보여주었다. 그 중 조선정부가 채택한 것은 양전법이었으며, 지배층 중심의 부분개혁, 부분개선적 방법론에 그쳤다. 방전법과 정전법 같은 토지공개념 은 실현되지 못했고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compares the gyeolbu-yangjeon-beob(結負量田法), bangjeon-beob(方田法, square field system), and jeongjeon-beop(井田法, nine-square field system) land management systems to explore the methods and history of public land ownership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reforms were enacted to find and resolve the causes of inequality in land ownership. The Joseon government’s initial system was the gyeolbu-yangjeon-beob(結負量田法), a method of measuring and taxing land in units of gyeolbu(結負) and lasted until the end of the Middle Ages. Under the gyeolbu-yangjeon-beob(結負量 田法), land was taxed at 10% of its value as a form of equal taxation(均稅), but it did not account for eungyel(隱結) and jinjeon(陳田). Then the bangjeon-beob(方田法) was implemented to more comprehensively manage land. Under this system, the complete topography of the area ruled by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farmland and mountain rivers, were drawn in the Fish Scales Register(魚鱗圖). Terrain was measured by creating small mounds where horizontal and vertical surveying lines met at regular intervals. The bangjeon-beob(方田法) system was a system of public land ownership that was implemented to achieve gyunpyung(均平). The following system was the jeongjeon-beop(井田法) land distribution plan developed by Dasan Jeong Yak-yong. He promoted public land ownership in order to implement gyunsan(均産). Under this plan, he sought to implement a combination of the bangjeon-beob(方田法) and jeongjeon-beop(井田法). Each of these land reform land management systems were implemented to address inequality broadly, but all had different methods and specific goals. The Joseon government adopted the gyeolbu-yangjeon-beob(結負量田法), as a partial reform measure in line with the interests of the ruling class. The bangjeon-beob(方田法) and jeongjeon-beop(井田法) methods of public land ownership were never fully re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